분류 전체보기 4591

세쿼이아(Sequoia)와 조선송(朝鮮松)

************************ 세쿼이아(Sequoia)와 조선송(朝鮮松) 글쓴이:한부울 세쿼이아를 한어사전에 찾아보면 홍삼(紅杉), 홍목(紅木), 가주홍목(加州紅木),해안홍삼(海岸紅杉), 당송(唐松)등으로 불린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홍목(紅木)이라 하면 재질이 치밀하고 단단하며 아름다운 물결 모양의 나무결을 가진 가구재로 유명한 마호가니(mahogany)을 생각할 수 있는데 마호가니역시 홍목(紅木) 또는 배화홍목(桃花心木)이라 하고 실제로 붉은 적갈색을 띠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호가니(mahogany)도 상록교목(常綠喬木)으로 높이는 30m 정도까지 자라며, 나무껍질은 적갈색으로 벗겨지고 잎은 어긋나고 작은 잎은 3~5쌍이며, 찌그러진 난형(卵形)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게 나타나..

오동나무(梧桐)로 본 애팔래치아산맥

*********************** 오동나무(梧桐)가 난 산 동쪽 애팔래치아산맥 글쓴이:한부울 소제:시경(詩經)에서 산(山)의 동쪽에 오동이 난다는 이 산(山)은 애팔래치아산맥이다. 조양(朝陽)은 산의 동쪽, 봉(鳳)은 전설상의 영조(靈鳥)로서 주(周)나라 성왕(成王)의 성대(聖代)를 노래한 시에 “봉황이 울도다 저기 높은 언덕에서, 오동(梧桐)이 자라도다 저 조양에서.” 했다는 기록이 유교경전이라 하는 춘추시대의 민요시집 시경(詩經)에 육의(六義:風雅頌賦比興)의 하나 대아(大雅:天子樂) 생민지십(生民之什) 권아(卷阿:正大雅)에 있는 것으로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찾을 수 있다. 얼마전 본 블로그의 글에서 이야기 했듯이 바로 조선(朝鮮)을 조양(朝陽) 또는 조광(朝光)이라 하여 '아침의 땅', '빛나는..

멧토끼(산토끼:Korean hare)와 아메리카대륙

************************** 멧토끼(산토끼:Korean hare)와 아메리카대륙 글쓴이:한부울 소제:섣달토끼란 북극토끼(Lepus timidus Linnaeus,1758)이거나 아메리카산토끼(Lepus americanus, Erxleben,1777)이다. 우리는 산토끼라면 당연히 한반도에서 근원적으로 서식한 줄 안다. 때문에 산토끼는 우리 역사 속에 살아 있는 동물로 여겨지는 것이 사실이다. 동요작가 이일래(李一來:1903-1979)가 1938년 마산에서 교회성가대 지휘자로 활동하고 있을 때 동요(童謠) "산토끼 토끼야"를 발표하게 됨으로서 해방 이후 우리들에게 더욱 친숙해진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 생물학계에서는 이 산토끼를 한국토끼가 아니라 “일본토끼(Japanese hare)..

좁쌀 조(粟:Setaria italica)로 본 속수(粟水)

************************* 좁쌀 조(粟:Setaria italica)좁쌀로 본 속수(粟水) 글쓴이:한부울 발해의 지명을 찾기 위해 황해(黃海)로부터 시동을 걸어 흰쑥(白蒿 : Artemisia cana), 올방개(荸荠:Eleocharis), 상기생(桑寄生:Viscum) 등을 거치면서 어느듯 종착역까지 온 것 같다. 이제 신라(新羅)때 속말말갈(粟末靺鞨)이 있어서 속수(粟水)의 땅을 점거하고 있다가 대조영(大祚榮)이 흥기하자 그 선봉이 되었다던 민족이 말갈이라 하였는데 문제는 이 속수가 어디에 있었는가를 알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다 아다시피 속(粟)은 좁쌀이라고 하는 소미(小米)이다. 속말수(粟末水), 속말강(粟末江) 또한 소밀하(蘇密河)라 한 속수(粟水)는 즉 좁쌀이 생산되거나 재배..

조선사마귀(朝鮮蟷螂)가 서식하던 위치의 진실

**************************** 조선당랑(朝鮮蟷螂:narrow-winged mantis)이 서식하던 위치 글쓴이:한부울 조선당랑은 다름 아닌 일본자료에 보면 많이 나타난다. 당랑[螳螂]이라는 한자를 보면 사마귀 당(蟷)자, 버마재비 랑(螂)자의 사마귓과에 속한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서 몸이 길고 빛깔은 녹색 또는 황갈색이며 앞가슴이 길쭉하면서 앞다리가 낫처럼 구부러져 있고 살아 있는 곤충만 잡아먹고 산다라고 간략하게 정리되어 있다. 이 당랑(蟷螂)에는 고사속담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당랑거철(螳螂拒轍), 당랑지부(螳螂之斧), 당랑당거철(螳螂當車轍)이라 하여 '사마귀가 앞발을 들고 수레를 멈추려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자기 분수도 모르고 무모하게 덤빔을 비유적으로 하는 말"..

겨울폭풍(winter storm)에 의한 해일(海溢)이 조선시대에 있었다.

************************ 겨울폭풍(winter storm)에 의한 해일(海溢)이 조선시대에 있었다. 글쓴이:한부울 한겨울의 설재(雪災), 설해(雪害)가 있었을 수 있어도 겨울폭풍(winter storm)에 의한 해일(海溢)이 있었다는 것에서 볼 때 한반도 사정으로는 도저히 이해하기 힘든 경우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