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삼한역사/동물

조선박석(朝鮮薄石鳖:Lepidozona)이 주는 혼란과 코리아 서해안

한부울 2013. 7. 19. 14:02

*******************************

조선박석(朝鮮薄石鳖:Lepidozona)이 주는 혼란과 코리아 서해안

 

글쓴이:한부울

 

우리는 반도역사의 폐해를 말하지만 실은 우리 스스로가 반도역사 늪에 너무 빠져버린 나머지 우리의 역사를 너무 하찮게 본다는 것이 문제이다.

이 조선박석에서도 이러한 점을 느끼고 알 수 있는 것인데 이 박석을 한반도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실제로 한반도 궁전 바닥에 깔려 있는 얇게 뜰 수 있는 청석종류라고 생각한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사실은 역사를 전문적으로 공부하지 않는 사람은 말할 것도 없고 역사를 가르치는 중진역사학자들까지 이렇게 생각해버린다는 것이 문제라 할 수 있다.

다시 한번 자세히 살펴보면 조선박석은 그냥 청석종류가 아니라 바로 물밖에 나와 굳어지면 돌처럼 딱딱한 박석별의 딱지조개를 이어 붙여 굳힌 도로포장재라고 생각해야 한다는 말이다.

 

 

朝鲜鳞带石鳖(学名:Lepidozona coreanica),中国大陆称作朝鲜鳞带石鳖,台湾称作锉石鳖,又名朝鮮鱗帶石鱉,是新石鳖目薄石鳖科Lepidozona的一种。主要分布于韩国、中国大陆、台湾,常栖息在潮间带、潮下带的岩石、低潮区至水深5米

科學分類

界: 动物界 Animalia

門: 软体动物门 Mollusca

綱: 多板纲 Polyplacophora

目: 新石鳖目 Neoloricata

科: 薄石鳖科 Ischnochitonidae

屬: Lepidozona

種: 朝鲜鳞带石鳖 L. coreanica

二名法

Lepidozona coreanica(Reeve, 1847)

 

실제로 박석이 무엇인가 하고 찾아보았다.

한어자료에서는 이것을 조선박석별(朝鮮薄石鳖)이라고 하고 있다.

일반적인 조간대(潮間帶:intertidal zone)종()으로서 크기는 5cm로, 북부알래스카 91m 수심에서 북부멕시코 조간대까지에 걸쳐 있으며 띠 모양이 매우 세분화하고 일반적으로 줄무늬라고 한다.

하여 이것을 딱지조개와 비슷한 줄군부라고 하고 한국해양무척추동물도감에서는 이것을 코리아 카이튼(Korean chiton)이라고 하는데 몸통길이는 4cm 전후이고 몸통나비는 2cm 정도이고 몸통은 전체적으로 긴 타원형이며 육질부와 각판의 색상과 무늬에는 변이가 크지만 보통 여러 색이 혼합된 단아하며 화려한 느낌을 주며, 어린 개체에서는 주로 적갈색을 띠는 것이 많다 하고 있다.

이것을 당시 조선왕조 때 여러 궁 뜰 도로와 릉 도로에 깔았던 것이다.

때문에 조선왕조실록 기록을 보면 이 박석(薄石)을 구하기 위해 일부러 섬으로 들어갔다는 사실을 기록으로 확인 할 수가 있다.

이러한 사실이 있었음에도 한반도 역사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난리를 피운다.

경복궁 근정전을 비롯한 조선시대 궁궐, 능묘 뜰에 깔려 있던 화강암 ‘박석’. 종묘 어도(御道)의 박석이 굴착기에 깔려 부서졌다는 보도가 있은 뒤 문화재청은 옛 박석산지를 찾아나섰다는 것이고 이어 제보가 잇따랐으나 궁궐에서 볼 수 있는 차분하고도 깊은 맛과는 달라 기다리고 있던 중 드디어 믿을 만한 보고가 들어왔는데 현재 한반도 강화도의 석모도(席毛島)에 이 박석이 있다 하여 비로소 찾을 수 있었다고 하고 이어 감격스런 문장이 등장하는데 “조선왕조 멸망 이래 한 세기 가까이 묻혀있던 ‘박석의 비밀’은 인천시 강화군 석모도(席毛島)에서 막 베일을 벗으려 하고 있다. 섬 동쪽 해안 경사면에서만 박석과 동일한 재질의 화강암층이 드러난 부분을 10여 곳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을 둘러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양동윤 박사는 ‘가로로 나 있는 절리(節理·바위에 생긴 금)를 이용해 망치로 걷어내면 쓰기 좋은 두께로 하나씩 쪼개진다’며 “박석 광산 자리가 분명하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이 정도라면 정말 반도역사 폐해가 이만저만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 노릇을 어찌해야만 하는 것일까?

한어자료에서 조선박석별(朝鮮薄石鳖)이라고 하고 한국해양무척추동물도감에서는 이것을 코리아 카이튼(Korean chiton)이라고 하는데 화강암 청석같은 종류의 암석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다.

일제가 그렇게 가르쳤으니 어쩔 수가 없는 것이다.

생각해 보라,

얇고 넓적하게 뜬 돌로 사용한 것이라면 거의 화강암, 청석수준인데 분명 화강암으로 뒤 덮인 한반도 산이나 육지에서 얼마든지 구할 수 있는 포장재들이다.

경복궁 근정전을 비롯한 조선왕조 왕궁(王宮)들은 일제에 의해 한반도에 세트장으로 둔갑시킨 것이란 사실은 이미 밝혀질 때로 밝혀진 이야기다.

그 때 일제가 미리 청사진으로 찍어 둔 곳에서 청석류를 퍼 왔음이 분명한데 이곳을 마치 제보에 의해 찾았다는 것 같은 어설픈 연기를 보는 듯하다.

석모도(席毛島)를 원래 이름과 상관없이 매도(煤島)라고 하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정말 위 보도처럼 제보가 있었을까?

아마도 반도역사학자들이 만들어낸 궁지(窮地)책이었을 것이란 생각을 떨칠 수가 없다.

 

분명한 것은 아래 기록들을 보면 박석(薄石)을 전부 바다가운데 섬에서 이것을 구할 수 있다 하였다.

이상하지 않는가?

왜 화강암 청석류를 굳이 섬에서만 구할 수 있었을까?

역사기록은 그렇지 않는데 기존 반도사학자들이 해석을 그렇게 하고 그것을 정당화하려고 애를 쓰는 자체가 비위가 상할 정도이다.

이러하니 이들이 가르쳐 준대로 알면 천하에 바보가 되기 일 수이다.

삼한역사는 현재 반도역사학자들의 가르침이 아니라 스스로 능력으로 깨우쳐 알아야 최소한 이런 바보는 면할 수 있는 것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3권

황해도(黃海道)

해주목(海州牧)

동쪽으로 평산부(平山府) 경계까지 69리, 용매량(龍媒梁)까지 95리, 남쪽으로 강령현(康翎縣) 경계까지 49리, 서쪽으로 옹진현(甕津縣) 경계까지 94리, 장연현(長淵縣) 경계까지 92리, 북쪽으로 신천군(信川郡) 경계까지 56리, 재령군(載寧郡) 경계까지 41리이며, 서울과의 거리는 3백 65리다.

《대동지지(大東地志)》이것은 현재 번역원에서 원문 이미지도 보여지지 않는다.

【토산】 먹[墨]ㆍ박석(薄石).

****************************

세종 14년 임자(1432)10월20일 (을사)

임금이 민력을 번거롭게 하는 일을 하지 않겠노라고 말하다

○上曰: “煩民力之事, 予不欲爲。” 安崇善、金宗瑞等啓: “薄石多在煤島, 宜當事簡時, 遣左右水站及司宰監船隻載來, 鋪之殿庭。” 上曰: “其諭諸繕工監, 待事簡時爲之。”

임금이 말하기를,

“민력(民力)을 번거롭게 하는 일을 내 하고자 않노라.”

하니, 안숭선·김종서 등이 아뢰기를,

“박석(薄石)은 매도(煤島)에 많이 있사오니, 마땅히 일이 한가할 때 좌·우수참(左右水站) 및 사재감(司宰監)의 선척(船隻)을 보내어 실어오게 하여 전정(殿庭)에 포장(鋪裝)하시옵소서.”

하매, 임금이 말하기를,

“그 일은 선공감(繕工監)에게 유시하여 일이 한가할 때를 기다려 하도록 하겠다.”

하였다.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12권

경기(京畿)

강화도호부(江華都護府)

바다 섬 가운데 있는데, 동으로 갑곶나루[甲串津]까지 10리, 남으로 해안(海岸)까지 40리, 서쪽으로 인화석진(寅火石津)까지 26리, 북으로 승천부진(昇天府津)까지 15리, 서울과의 거리는 1백 35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고구려 혈구군(穴口郡)인데 갑비고차(甲比古次)라고도 한다. 신라 경덕왕이 해구(海口)라 고치고, 원성왕(元聖王)이 혈구진(穴口鎭)을 설치하였다. 고려 초에 지금 이름으로 고쳐서 현(縣)으로 만들었다. 현종 9년(1018)에 현령(縣令)을 두었다. 고종이 몽고병을 피해 들어가 도읍하고 군(郡)으로 승격시키고 이름을 강도(江都)라 했다. 원종(元宗) 원년(1259)에 다시 송도(松都)로 돌아왔다. 충렬왕(忠烈王) 때에 인주(仁州)에 합병하였다가 곧 복구시켰다. 신우(辛禑) 3년(1377)에 부(府)로 승격시켰다가 본조 태종 13년(1413)에 도호부로 고쳤다.

매도(煤島) 부의 서쪽에 있는데, 예전 구음도(仇音島)로 주위가 60리요, 섬에 광박석(廣博石)이 있어 국용(國用)으로 삼는다. 목장이 있다.

 

위 세종지리지와 신증지리지, 기록들을 참고 하더라도 청석류라고 하기에는 민망할 정도이다.

분명 한어자료에서 말하는 이 박석은 박석별(薄石鳖)이라고 하는 줄군부 또는 딱딱해진다는 딱지조개로서 바로 바다 가운데 있는 강화도호부(江華都護府) 서쪽 매도(煤島)에 박석(薄石)이 있다 하였고 신증동국여지승람《대동지지(大東地志)》황해도(黃海道) 해주목(海州牧)의 토산(土産)으로 박석(薄石)이 난다 하였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알 수가 있다.

박석은 비록 4-5cm 정도 작지만(薄), 딱딱하고(薄), 여러 가지 색깔을 내기 때문에 궁전 도로나 릉(陵)도로에 깔아 포장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대표적으로 경회루 아래, 후원(後苑) 또한 헌릉(獻陵)의 내맥(來脈)인 천천현(穿川峴)의 구로(舊路)에 깔렸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기록에 의하면 문종1년(1451)7월16일, 구운 당전(唐甎)을 사정전뜰(思政殿庭)에 먼저 시험케 하다란 제목에서

○左議政皇甫仁啓: “撤勤政殿月臺薄石, 以今燔造唐甎, 排設試驗。

좌의정(左議政) 황보인(皇甫仁)이 근정전(勤政殿) 월대(月臺)의 박석(薄石)을 치우고, 이번에 구운 당전(唐甎)을 깔아서 시험하소서라고 아뢰었다고 하는데서 이미 근정전에 박석(薄石)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가 있는 것이다.

이것을 현재 반도사학자들은 얇고 넓적하게 뜬 돌로, 대궐이나 왕릉 등에 깔아 통행에 편리함을 주거나 지하로 침입할 변고에 대비하는 구실을 만들었다고 하고 정의하고 있으니 참으로 답답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판단컨데 박석은 도로 포장재로 으뜸이라고 하는 것은 견고하고 오래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특히 색채가 다양해 아름다움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있기 때문에 옛 왕조들이 다투어 사용했을 것이란 판단을 할 수 있는 것이다.

 

薄[엷을 박, 동자기둥 벽, 풀이름 보]

위 박석의 박()을 사전에서 엷다, 얇다, 적다, 야박하다, 싱겁다, 맛없다, 깔보다, 업신여기다, 또는 어량(魚梁), 물고기를 잡는 장치 등으로 나타나는데 이 박석의 박은 작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일 수 있고 물고기 또는 어량이 있는 바다에서 나는 생물을 뜻하는 것임을 알게 하는 문자이고 어감에서는 박이 주는 딱딱함도 있다.

 

鱗 비늘 린, 帶 띠 대, 石鱉 딱지조개

 

그런데 놀랍게도 이 박석을 한어자료에서 대표적으로 린대석별(鱗帶石鱉)라 하여 비늘 띠가 있는 자라 또는 딱지조개란 뜻에서 앞에 조선(朝鲜)을 붙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다.

이것을 한국해양무척추동물도감에서는 코리아 카이튼(Korean chiton)이라고 하였던 것이다.

이를 학명으로 'Lepidozona coreanica' 하는데 이 학명은 우리나라 어떠한 자료에도 잘 알려지지 않은 학명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조선린대석별(朝鲜鳞带石鳖:Lepidozona coreanica)이란 학명을 1847년에 붙인 사람은 영국의 패류학자(conchologist) 로벨 리브(Lovell Augustus Reeve:1814–1865) was an English conchologist and publisher. 이라는 사람으로 He was elected a fellow of the Linnean Society in 1846,

이 사람은 1846년 린네 소사이어티(Linnean Society)연구원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좀 더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이 굵은줄연두군부 또는 줄군부(Lepidozona:鳞带石鳖)속(屬) 학명 전체를 찾아보니 로벨 리브의 이름으로 같은 년도에 두 개의 학명을 명명하였는데 하나는 아래 보편적으로 한어자료에 등장하는 조선린대석별(朝鲜鳞带石鳖:Lepidozona coreanica)의 학명이고 하나는 학명 Lepidozona clathrata (Reeve, 1847)으로 나타난다.

문제는 한어자료에 등장하는 조선린대석별(朝鲜鳞带石鳖)의 근원지는 동아시아대륙 동부와 한반도에 분포지가 나타나고 또 다른 학명 Lepidozona clathrata (Reeve, 1847)는 놀랍게도 북미대륙 서해안에 분포지가 또렷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보나마나 로벨 리브(Lovell Augustus Reeve:1814–1865)의 의사와 전혀 상관없이 Lepidozona coreanica 학명에 '코리아'가 붙어 있다고 하여 한반도 부근에 분포지를 만들어 붙인 학명임을 금방 알 수 있고 동시에 그가 붙였던 Lepidozona clathrata 의 학명이 그가 정말 박석 표본을 채취한 것으로서 이것이 바로 조선린대석별(朝鲜鳞带石鳖) 또는 코리아 카이튼(Korean chiton)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 영국인 패류학자 로벨 리브가 1847년을 기준으로 실제로 본 것은 바로 북아메리카대륙 서해안에서 이 패류를 보았을 것이고 그곳이 바로 조선 또는 '코리아'이었음을 알게 한다.

바로 고려(高麗)가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조선 초기에 김종직외 인사들이 고려사절요를 편찬했다는 사실을 보더라도 조선과 고려는 시대적으로 공존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다.

 

때문에 정확한 근원지를 밝히기 위해 종전과 같이 영국인 패류학자 로벨 리브의 학명“Lepidozona clathrata”를 DNA 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디스커버 라이프(Discover life)의 분포지도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Lepidozona clathrata (Reeve, 1847) 

 

[분포지]

California Monterey

California San Diego

California Los Angeles, Malaga Cove

California San Diego, Point Loma

Mexico Baja California Norte, San Felipe, Campo Uno or La Paz, Balandra Beach

Mexico Isla Tiburon, Isla Turner. low intertidal

 

놀랍게도 전부 북아메리카대륙 서해안에 노란 점을 찍고 있다.

이렇게 볼 때 동아시아대륙을 근원하는 학명 Lepidozona coreanica (Reeve, 1847)도 이사람이 명명한 것이라면 분명 같은 년도에 그가 북아메리카대륙서해안과 한반도서해안을 동시에 찾아 직접 채취하였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이야기고 당시 상황으로 보았을때 태평양을 건널 엄두를 내지 못했을 것이란 추측이 가능하다.

때문에 이것은 근세기에 한반도 코리아가 만들어지면서 이중처리 되었을 확률이 높다 할 수 있다.

이 로벨 리브는 한반도에 오질 않았다는 사실이다.

그것과 함께 또 다른 학명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는데 영국인 패류학자 로벨 리브가 명명한 동 시대에 명명한 학명 Lepidozona mertensii 이 또 있다.

이 학명을 명명한 사람은 알렉산더 테오도르 폰 미덴도르프(Alexander Theodor von Middendorff:1815-1894)로서 조상은 발트 독일인이라하고 러시아의 동물학자이자 탐험가였다.

이 러시아 사람이 어떻게 북아메리카대륙 서해안에서 표본을 채취 할 수 있었을까 생각해 본다.

바로 당시 러시아 사람들은 모두 북아메리카대륙 북서부에 근거하였다는 사실을 근세기의 지도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는데 그곳은 전부 러시아영역으로 표시한 것에서 알 수가 있다.

 

때문에 정확한 근원지를 밝히기 위해 위 로벨 리브의 학명처럼 DNA 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디스커버 라이프(Discover life)의 분포지도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2)Lepidozona mertensii(von Middendorff, 1847) 원산지 확률이 높음

 

[분포지]

British Columbia Vancouver Island, Victoria

United States, Washington, Jefferson Co., Port Townsend

Oregon Lincoln

California Mendocino

California Monterey

California Los Angeles Co.

California San Mateo Half Moon Bay

 

역시 마찬가지로 북아메리카대륙 서해안을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다.

위 분포지도를 바탕으로 근원지를 정리를 한다면 (1)Lepidozona clathrata (Reeve, 1847) 와 (2)Lepidozona mertensii(von Middendorff, 1847)은 거의 같은 지역에서 표본을 채취한 것이 틀림 없다.

문제는 이 학명들의 분포지가 코리아의 영역과 일치하게 볼 수있다는 사실이다.

학명 (1)Lepidozona clathrata (Reeve, 1847)은 캘리포니아 몬테레이, 샌디에이고, 로스엔젤레스 말라가만,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노르테주 등이며 이은 학명 (2)Lepidozona mertensii(von Middendorff, 1847)는 북서부쪽을 치중한 것으로서 브리티시 컬럼비아(British Columbia)의 밴쿠버 섬(Vancouver Island) 빅토리아(Victoria), 워싱턴(Washington)주 포트 타운젠드(Port Townsend), 오리건 링컨(Oregon Lincoln), 캘리포니아 몬테레이,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주 샌 마테오 카운티 하프문베이(Half Moon Bay) 등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생각하건데 위 분포지 중에 분명 박석을 채취할 수 있었다던 매도(煤島)가 있는 강화도호부가 있을 것이고 박석을 토산으로 한다던 황해도(黃海道) 해주목(海州牧)이 있을 것이다.[세계삼한역사연구:한부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