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 갓! 은 한국어? 여호와는 여와? 오마이 갓! 은 한국어? 여호와는 여와? [시대소리게시판]민족주의 2008.09.12 민족사와 연계된 인류사 연구는 한국민족의 우수성과 위대성을 증명할 것이다 어처구니가 없거나 아주 황당한 상황이 벌어져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모를 때 백인들이 사용하는 영어: 오! 마이 갓!은 사실 우리 한국어다! 왜냐하.. 세계삼한역사 2008.10.05
제4340주년 개천절 경축식 거행 제4340주년 개천절 경축식 거행 [YTN]2008-10-03 10:43 (서울=연합뉴스) 전수영 기자 = 3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4340주년 개천절 경축식에서 한승수 국무총리 등 참석자들이 최창기(왼쪽) 현정회 이사장의 선창에 따라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제4340주년 개천절 경축식이 오늘 오전 한승수 국무총.. 세계삼한역사 2008.10.03
개천절 제천 의식에 천문학 유산 담겨 있다 개천절 제천 의식에 천문학 유산 담겨 있다 [조선일보] 2008년 10월 02일(목) 오후 03:24 예로부터 개천절(開天節)에 지내던 제천(祭天) 의식에 옛 천문학 유산이 담겨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천문연구원 양홍진 박사는 지난 1일 대전에서 열린 ‘고(古)천문 워크숍’에서 강화도 마니산 참성대와 태.. 세계삼한역사 2008.10.03
14세 단군(B.C 1666)때 인구가 1억 8천만 명 14세 단군(B.C 1666)때 인구가 1억 8천만 명 2000년 5월30일 정석근 -차례- 1. 한단고기와 아웃브레이크 2. 인구 변동 3. 평형과 아웃브레이크 4. 출산율 (b) 5. 사망률 (d) 5-1. 전염병 5-2. 식량 5-3. 전쟁 6. 한단고기 1억 8천만에 대한 가설 검정 정리 6-1. 인구증가율 (r) 6-2. 지속 기간 (t) 6-3. 우연의 일치 (p) 6-4. 정리 7.. 세계삼한역사 2008.10.03
한단고기(桓檀古記)의 가치성 한단고기(桓檀古記)의 가치성 1. 머리말 어떤 한 민족의 역사가 왜곡되지 않고 올바르게 정립되어져야 하는 이유는, 단순히 그 민족만의 과거사를 규명하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닌 그 지역과 연관된 타지역 넓게는 인류사 전체의 한 구성으로서 과거·현재를 바르게 파악하고 인류미래의 문화발전에 .. 세계삼한역사 2008.10.03
단재 신 채호(丹齋 申采浩, 1880-1936) 단재 신 채호(丹齋 申采浩, 1880-1936) 숙명여대 한국사학과 교수 이만열 1. 신채호는 누구인가? 최근 백여년의 역사를 돌이켜 볼때, 우리나라에는 참으로 위대한 많은 선조들이 있음을 발견한다. 그런 분들 중에는 나라가 어려운 지경에 빠졌을 때 자신의 한 몸을 던져 나라와 민족을 구하려 한 독립운동.. 세계삼한역사 2008.10.03
檀君은 神話아닌 우리國祖 檀君은 神話아닌 우리國祖 조선일보 1986년 10월9일(목) 원로 문헌 사학자 이병도(李丙燾)씨 조선일보 특별기고 역대왕조의 단군제사 일제 때 끊겼다 대체 天이란 말은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되지만 그중에서 天을 君長의 뜻으로 해석할 때에는 開天節은 즉 「君長을 開設한다」는 것이 되므로 開國, 建.. 세계삼한역사 2008.10.03
고려봉(高麗棒) 고려봉(高麗棒) [중앙일보] 2008년 08월 28일(목) 오전 00:35 낯선 사람, 특히 잦은 접촉이 없었던 외국인에게는 혐오감이 따를 수 있다. 이방인에 대한 모호한 상태의 적개심은 흔히 제노포비아(Xenophobia)라는 용어로 설명할 수 있다. 외부 사람이라는 뜻의 ‘제노’와 싫어한다는 의미의 ‘포비아’를 합성.. 세계삼한역사 2008.09.21
이즈모 바닷가 신라神 모신 미호신사 이즈모 바닷가 신라神 모신 미호신사 [세계일보] 2007년 10월 17일(수) 오전 10:46 경북 경주와 가까운 일본 땅은 ‘이즈모’(出雲)라고 불린다. 이즈모의 ‘미호노세키’(美保關) 지역 주민들은 달걀을 절대 먹지 않는다. 미호노세키의 큰사당인 미호신사(美保神社)의 요코야마 나오키(橫山直材) 궁사는 .. 세계삼한역사 2008.09.21
고조선 아사달문명 고조선 아사달문명 동아일보2007-05-26 02:53 산동반도에서 발굴된 고조선족의 팽이형 토기와 아사달 모양(네모 안). 아침 단(旦)을 나타내는 그림 아래 산(당시에는 ‘달’이라고 불렸음)이 그려져 있다. 중국 측은 기원전 4300년∼기원전 2200년의 유물로 추정한다. 사진 제공 신용하 교수 《서해(황해)를 .. 세계삼한역사 2008.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