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삼한역사/식물

비타민나무와 산자나무

한부울 2018. 10. 1. 15:39

******************

비타민나무와 산자나무

 

글쓴이:한부울

 

몽골에 나는 나무 비타민나무가 있다.

이것을 한자로 사극(沙棘, 砂棘)이라 하고 이를 산자나무라 한다.

 

朝鮮王朝實錄

연산군일기 37, 연산 631乙卯 2번째기사 1500년 명 홍치(弘治) 13

전라도 감사에게 동백을 조운선에 실어 보내고 보리수 열매가 익으면 진상하게 하다

下書于全羅道監司曰: "冬栢木五六株, 各盛盆戴土, 竝載漕船以進甫里樹實, 待熟封進"

전라도 감사에게 하서(下書)하기를,

"동백(冬柏) 56 그루를 각기 화분에 담고 흙을 덮어 모두 조운선(漕運船)에 실어보내고, 보리수(甫里樹) 열매를 익은 다음에 봉하여 올려보내라."하였다.

 

위 기사를 보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연산군일기에 나타나는 보리수(甫里樹)가 바로 사극(沙棘, 砂棘)이다.

사극은 모래에 나는 가시나무라는 뜻이다.

안타깝게도 이 한 기사만 나오고 보리수(甫里樹)에 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에서 종적을 감추어버렸다.

글쓴이가 조선왕조실록을 결코 신뢰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이런 현상이 즐비하다는 사실이다.

도대체 보리수나무가 생장되었다고 하면 세종지리지나 그외 다른 기록에도 자세하게 기록되고 나타나야 하지만 이렇듯 감추어버렸다는 것은 숨기려했다는 사실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북아메리카대륙만 생장되는 생물들은 모두 이런 식으로 감추어버렸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무엇때분인지 독자여러분을 아실 것이다.

위 기록에는 보리수 열매를 중히 여겼는지 열매가 익으면 진상(進上)하라 하였다.

다른 자료들을 보면 이 보리수 열매를 징기스칸도 좋아했다고 하였다.

보양제로로 쓰였다는 사실도 알 수 있음직하다.

보리수나무의 열매가 익는 시기가 대체로 9월~10월로 알려진다.

위 기사는 음력 3월 초이니 양력으로 4월 정도가 될 것이니 익으려면 시일이 아직 많이 있다.

그러하더라도 미리 관리들에게 하서 한 것은 그만큼 주요하게 보았던 보리수 열매인 것은 분명하다.

아래 더 자세하게 이야기 하겠지만 현대들어 보리수나무의 열매와 씨앗을 음료, 주스, , 식초, , 화장품, 비누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하며 인류에게 유익한 식물로 소개되고 있다.

이 산자나무의 열매 맛은 독특한 감귤 맛이 나며, 패션 프루트(Passion Fruit)와 비슷한 상큼한 향이 있고 신 맛이 강하기 때문에 보통 생과일보다는 설탕을 섞은 주스로 마신다고 설명된다.

 

이제 이 보리수나무를 실펴봄에 있어 먼저 생물학분류체계를 통해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분류체계는 속씨식물문(被子植物門,Angiosperms), (TTS:系統群)진정쌍떡잎식물군(眞雙子葉植物群,Eudicots), 장미군(蔷薇类植物群,Rosids),  장미목(蔷薇目,Rosales),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이며 전 세계적으로 3()의 약60()가량으로 알려져 있다.

 

보리수나무과()

 

 

 

먼저 장미군(蔷薇类植物群,Rosids),  장미목(蔷薇目,Rosales),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 페밀리를 살펴보자.

이것은 남 유럽산(産)보리수나무의 일종(올리브)으로 알려져 있고 북반구의 온대, 열대아시아와 호주로 남쪽으로 구성되며 특히 해안이나 건조지에 많고, 전 세계적으로 3속(屬)의 약60종(種)가량이 알려져 있다.

위 분포지를 보면 북아메리카대륙에는 북부지역 캐나다 영토 전반에 걸쳐 생장이 된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북아메리카대륙은 그것으로 단절되고 유럽과 아시아를 지나 인도차이나반도 중부까지 끝어지고 있는데 아열대 위도를 충분히 커버하고 있음도 알 수가 있다.

아메리카대륙을 기준으로 한다면 위도 13°~15° 카리브해안지역을 포함한 온두라스와 니카라과 경계선을 그을 수가 있다.

그러나 이것은 대체적으로 아시아 일본종(種)이라고 하는 집착과 잘못된 역사잣대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라고 할 수 있다.

대다수의 보리수나무과의 일반적인 분포지역을 북반구 온대지역으로 나타난다.

일본종 때문에 아열대지역까지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보리수나무속에는 특히 올리브나무과(Oleaster)의 야생올리브와 비슷한 형태적구조가 있기때문에 올리브와 혼동되게 하지만 올리브나무는 이 보리수나무와는 다르게 속씨식물문(被子植物門:Magnoliophyta), 쌍떡잎식물강(雙子葉植物綱:Magnoliopsida), 꿀풀목(脣形目:Lamiales), 물푸레나무과(木犀科:Oleaceae)이며 지중해지방이 원산이고 잎이 작고 단단하며 비교적 건조에 강하기 때문에 레바논에서부터 카스피해 남단, 이란 북부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스페인과 이탈리아 등의 지중해 지역에서 널리 재배된다고 알려지기 때문에 특히 아열대지역에서 유럽남부와 겹쳐지는 종이 존재한다.
그러나 보리수나무가 올리브와 계통군자체가 다르다.

속씨식물문에는 라틴어 마그노리오피타(Magnoliophyta), 안지오스퍼메(Angiospermae) 공히 쓰이며 1998년부터 속씨식물을 재 분류 발표하면서 Angiosperm Phylogeny Group (APG)의 연구를 통해 분류가 시작되었고 이렇게 통합 도입한 분류체계를 APG II 시스템(2003), APG III 시스템(2009), APG IV 시스템(2016)로 불린다.
사실 속씨식물의 기원과 계통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는 것이 많다는 사실이 분명하게 존재하고 일반적으로 속씨식물의 특징을 불완전하게 나타내는 무리들은 원시적인 속씨식물로 간주할 수 있다라고 되어 있는 체계역시 불완전하다.

속씨식물은 크게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로 나누어지고 떡잎이 2개 또는 그 이상인 것은 쌍떡, 단지 1개인 것은 외떡이라 하는 단순한 구분이외 여러 가지 계통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이 분명함으로 1998년 이전 분류사실과 비교하면 1998년 이후 원천적으로 불완전한 작업에 의해 변질이 많이 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전제하지 않을 수가 없다.

 

하여튼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의 대부분은 호퇴자(胡頹子)라고 하는 보리수나무속(胡頹子屬:Elaeagnus L.)이 포함되고 이것을 한반도에는 보리수나무, 볼레나무, 보리밥나무, 녹보리수나무, 왕보리수나무 등 1속(屬)6종(種)정도가 분포하고 있다고 알려지지만 한반도[국립생물자원관국가생물종목록]자료를 참조하면 아종(亞種, subspecies)으로 보리장나무(Elaeagnus glabra),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 통영볼레나무(Elaeagnus pungens),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정도이고 나머지는 변종(變種:variety)으로 나타나는데 긴보리수나무(Elaeagnus crispa var.longicarpa), 좁은잎보리장나무(Elaeagnus glabra f.oxyphylla), 왕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var.coreana), 민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var.parvifolia), 녹보리똥나무(Elaeagnus x maritima), 왕볼레나무(Elaeagnus x nikaii), 큰보리장나무(Elaeagnus x submacrophylla)이다.
특이한 것은 한반도에 자생하는 왕보리수나무라고 알려지는 종은 아종명에 'coreana'를 가지고 있지만 이것은 일본을 근원지로 하는 일본은(銀)베리(Elaeagnus umbellata Thunb.-Japanese silverberry)종의 변종으로 나타나고 이 종의 변종을 영어자료에 보면 'Elaeagnus umbellata C.P.Thunb. ex A.Murray',  'Elaeagnus umbellata subsp. umbellata Servett.', 'Elaeagnus umbellata var. umbellata' 로 나타나 있지만 그 속에 왕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var.coreana)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력자체를 찾을 수 없으며 아종(亞種)에도 못 끼이는 변종(Variety)이라는 이야기다.

COREA 란 명칭은 동서양을 포괄하여 인류가 처음 범국가적으로 만든 명칭으로 역사에서는 언제나 신성함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된다.

CORE 그 자체이다.

이토록 위대한 본래의 이름이 한반도 역사가 만들어지면서 엉뚱하게 쪼그라들고 결국 온전함이 사라진 것이다.
현재 식물학분류역사가 이야기 하는 것은 조선왕조실록 연산군일기에 나타나는 보리수나무 기사가 참으로 무색하기 짝이 없는 것이다.
또한 식물학분류체계가 말하는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내 일본종(種)이라고 하는 이 학명이 여기도 저기도 있어 비일비재하지만 위 분포지도가 알려주듯이 본래 근원지 분포지도에는 열도뿐만아니라 한반도조차 근원지 표식 자체가 없는 해괴함이 존재한다.

 

胡頹子科学分类

植物界 Plantae

演化支(TTS:계통군)被子植物 Angiosperms

演化支真双子叶植物 Eudicots

演化支蔷薇类植物 Rosids

蔷薇目 Rosales

胡頹子科 Elaeagnaceae Juss.1789

模式属

Elaeagnus L.1753

 

보리수나무과에는 전 세계적으로 3속(屬)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

(1)보리수나무속(胡頹子屬:Elaeagnus L.)1753, (2)비타민나무속(沙棘屬:Hippophae L.)1753, (3)스헤페르디아속(水牛果屬:Shepherdia Nutt.)1818 그것이다.

Thomas Nuttall (17861858), English botanist and zoologist

위 스헤페르디아속의 학명은 영국식물학자이며 동물학자인 토마스 누탈(Thomas Nuttall:17861858)이 명명했음을 알 수가 있다.

그는 영국 잉글랜드 프레스톤(Preston)에서 1786년에 태어났다 하고 22세 때인 1808년부터 미국에서 살았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1810년 오대호를 여행하고 1811년 미주리강를 답습하였으며 사우스 다코타(South Dakota)에서 인디언 아리카라족과 접촉을 하였으며 그해8월에 세인트 루이스(St. Louis)로 돌아 왔다. 그렇지만 그들이 채집은 표본을 분실하였다고 하였으며 때문에 누탈이 채집한 식물은 알려지지 않아 재차 표본을 수집해야 하는 수고로움이 필요했다.
1812년 미영전쟁 때문에 영국으로 귀환했다고 하였다.
1815년에 미국으로 돌아 왔고 1818 년에 출판 된 '북미식물의 군들(Genera of North American Plants)'을 수집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 1818년부터 1820년까지 알칸소(Arkansas)와 Red rivfer(레드 리버)를 따라 여행하여 과거 영국이 있었다고 보이는 필라델피아(Philadelphia)로 돌아가 1819 년에 여행저널을 알칸소에서 출간했다. 1823년에는 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의 부교수로 임명되고 1825 년에 하버드 대학식물원 관장이되었다.

표본을 분실했다고 하지만 식물학의 시조(始祖) 린네(Carl Linnaeus:1707-1778)보다 늦은시대의 사람이기 때문에 시기적으로 근원식물에서 제외될 수밖에 없으나 북아메리카대륙만 보면 그가 이른 것이 분명하다.

린네는 유럽대륙을 기준으로 표본을 수집한 사람이다.

그러나 그렇지만도 않다.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의 식물들은 일반적으로 가시(:thorn)가 있으며, 작은 잎이나 작은 비늘로 덮여있다.

가시가 있으니 몽골(蒙古:Mongolia)에서 사극(沙棘, 砂棘)이라 칭한 것의 형태적의미와 일치한다.

대부분의 종()은 건조도(乾照度)가 연평균 강수량이 250㎜ 또는 그 이하인 건조한 서식지에서 발견되는 건생식물(乾生植物:xerophytes)이고 몇몇은 염생식물(鹽生植物, halophyte, halophilous plant)로 토양 염분의 높은 수준을 견뎌낸다 한 것을 보면 해안지역과 염수지역에서도 자랄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의 대부분은 본래 북반구(北半球:northern Hemisphere)온대지역이 원산이며 남부(南部) 열대성(熱帶性:tropical)은 일본종이라고 하는 보리수나무(菩提樹:Elaeagnus umbellata)와 보리밥나무(大葉胡颓子:Elaeagnus macrophylla)을 포함할 수 있다.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는 주로 낙엽 또는 상록수 관목으로 자라는 장미목(薔薇目:Rosales)계통의 식물군()이기 때문에 대체로 온대지역의 온화한 곳에서 자란다. 그러나 분포지는 북유럽 스웨덴(Sweden) 팔룬(Falun)지역으로 나타기도 한다.

 

매력적인 단풍, 가을과 겨울에 싱싱한 오렌지 열매를 먹을 수 있는 비타민나무 혹은 산자나무(Hippophae rhamnoides:sea buckthorn)를 씨벅톤이라 한다.

씨벅톤의 벅톤(buckthorn)은 가시가 많은 나무로 해석하고 있어 한자로 사극(沙棘, 砂棘)과 같다.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의 과일은 일반적으로 식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스헤페르디아 아르겐테아(Shepherdia argentea-silver buffalo berry) 실버 버팔로베리 과일은 젤리로 사용되며 미국과 캐나다의 여러 지역에서 설탕과 함께 건조된다.

스헤페르디아 케나덴시스(Shepherdia canadensis-russet buffalo berry)러셋 버팔로베리란 열매는 건조하거나 훈제했을 때 에스키모의 음식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산자나무, 히포페 람노이데스(Hippophae rhamnoides)의 열매는 프랑스에서는 소스(sauce)로 사용되고 다른 곳에서는 젤리(jelly)로 만들어지며 나무는 결이 고와 선반용으로 사용된다 한다.

일본관목(Japanese shrub)이라 하는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cherry elaeagnus)는 체리 엘레아구누스라 하는데 이 열매는 저장식품()으로 사용되었고 알코올음료에도 사용된 것으로 정리된다.

하여튼 열도일본의 종명이 아종 전반에 걸쳐 이렇게도 많이 사용되었어야 했던 점은 근대사의 미스테리와 연결되었다는 것을 충분히 알 수 있는 이야기다.

그 종을 보면 대호퇴자(大胡頹子)라고 하는 왕볼레나무(Elaeagnus nikaii Nakai)일본, 실버톤이라고 하는 일본종 엘레아구누스 푼겐스(Elaeagnus pungens Thunb.(Silverthorn; Japan)도 일본, 일본실버베리라고 하는 Elaeagnus umbellata Thunb. (Japanese silverberry or autumn-olive; eastern Asia)도 일본을 근원지로 하고 있다.

 

보리수나무속(胡頹子屬:Elaeagnus L.)1753

 

이제부터 보리수나무과에서 차례차례로 속명들을 살펴본다.

먼저 보리수나무속()에는 5070(:species)이 있다.

History and Etymology for Elaeagnus
New Latin, from Greek elaiagnos, a kind of willow, from elaia olive, olive tree + agnos chaste tree.

속명(屬名) 엘레아구누스(Elaeagnus)는 그리스어(Greek)로 elaia(έλαια)에서 "올리브(olive)"를 의미하고, "Agnos"는 "유럽 남부산(産)의 마편초속(屬)의 관목(Chaste Tree)"를 의미한다.

이것은 처음부터 속명을 명명한 것이 유럽대륙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세세히 살펴보면 거의가 동아시아 일본으로 나타나고 기본적으로 아시아대륙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별히 북미대륙을 근원으로 하는 것은 바로 엘레아구누스 코뮤타타(Elaeagnus commutata)이다.

미국실버베리(American silverberry)혹은 늑대버드나무(wolf-willow) 버팔로베리(buffalo berry)라 하는데 북미 서부 및 아한대(亞寒帶)가 근원지이고 알래스카남부에서 브리티시 컬럼비아, 동부퀘벡까지 유타남부에서 미국중서부 사우스다코타 및 서부 미네소타 등 대개 초원, 초원 또는 삼림 지대의 건조한 습한 모래 및 자갈 토양에서 자란다.

이 종은 뇌조(雷鳥), 참새아목(Passeri)에 속하는 노래하는 조류의 명금(鳴禽:Passeri Linnaeus, 1758 ), 사슴, 엘크 식량으로 사용된다.

 

 

사막보리수나무 사조(沙棗) Elaeagnus angustifolia L. (Oleaster, Russian silverberry or Russian-olive; western Asia)]

북미 유일의 고유종 엘레아구누스 코뮤타타 Elaeagnus commutata Bernh. ex Rydb (American silverberry or wolf-willow; North America).

보리장나무 Elaeagnus glabra Thunb. (eastern Asia)

보리밥나무 Elaeagnus macrophylla Thunb. (eastern Asia)

뜰보리수 Elaeagnus multiflora Thunb. (Cherry silverberry or Gumi; eastern Asia)

통영볼레나무 Elaeagnus pungens Thunb. (Silverthorn; Japan)

보리수나무 Elaeagnus umbellata Thunb. (Japanese silverberry or autumn-olive; eastern Asia).

 

위에서 열거한 주요한 몇 종()을 살펴 볼 수 있지만 대다수의 종()은 아시아의 온대 및 아열대 지방을 근원지로 하고 있다.

Elaeagnus triflora 는 아시아 남부에서 호주 북동부이다.

 

아시아 종()의 하나 인 엘레아구누스 안구스티포리아(Elaeagnus angustifolia)는 사막보리수나무(沙枣:Elaeagnus angustifolia)라 하고 다른 명칭으로 은류(銀柳), 향류(香柳), 계향류(桂香柳)이라 하며 이를 서양에서는 러시아올리브라고 하는데 올리브[olive (Olea europaea)]와 유사성 때문이다.

그러나 올리브와는 다르다.

 

 

科学分类

植物界 Plantae

演化支被子植物 Angiosperms

演化支真双子叶植物 Eudicots

演化支蔷薇类植物 Rosids

蔷薇目 Rosales

胡頹子科 Elaeagnaceae

胡頹子屬 Elaeagnus

沙枣 E. angustifolia

二名法

Elaeagnus angustifolia L.

 

위 분류체계를 보다시피 서양 식물학의 시조(始祖) 린네(Carl Linnaeus:1707-1778)1753년 경 명명한 학명 Elaeagnus angustifolia L 이를 사막보리수나무 또는 사조(沙棗)라 한다.

 

린네가 명명한 대표적인 학명으로 러시아 올리브(Russian olive),()베리(silver berry), 오레스터(oleaster), 페르시아 올리브(Persian olive)또는 야생 올리브(wild olive)라고 불리고 혹은 일반적으로는 파키스탄에서 센호르(senjhor) 또는 신조르(sinjhor), 아프가니스탄의 신지드(sinjid), 아제르바이잔의 Iydə, 이란의 센예드(senjed), 아르메니아의 셔샤(p'shat (շշատ), 인도의 북동부에 위치한 메갈라야(Meghalaya)에 있는 Sohshang 등으로 불리는 엘레아구누스(Elaeagnus)의 종()의 근원지는 서부 및 중앙아시아, 아프가니스탄, 러시아 남부와 카자흐스탄, 터키, 이란 및 파키스탄이라고 나타난다.

그러나 현재는 북미(North America)에서 도입(外來. 歸化) ()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이 학명은 북아메리카대륙에서 이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니 북아메리카대륙을 강조하지 않을 수가 없다.

 

이외 한반도에서 보리수나무(甫里樹)라고 하는 종() 학명 엘레아구누스 움베라타(Elaeagnus umbellata)가 있다.

이 종()은 일본 은()베리(Japanese silverberry) 또는 가을올리브(autumn-olive)라고 하는 동아시아지역분포를 말하고 있지만 거의 일본종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학명 명명자는 일본의 린네라고 불리는 스웨덴식물학자 칼 페테르 툰베리(Carl Peter Thunberg:1743-1828)가 명명하였는데 자가 명명한 것은 거의가 동아시아대륙과 열도일본을 말하고 있.

그렇지만 위 분포지도들을 보면 일본열도에는 표시조차없고 오히려 북아메리카대륙 동부가 주요 분포지로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도대체 툰베리는 아시아대륙 일본열도에서 표본을 채집했던 것은 사실일까?

절대 아니다.

그곳은 위 북아메리카대륙 분포지도를 보듯이 동부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그곳이 일본이라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스헤페르디아속(水牛果屬:Shepherdia Nutt.)1818

 

 

3종()의 속명(屬名) 중 스헤레프디아속(屬)은 일반적으로 버팔로베리(buffaloberry)라고 불리는데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계통의 작은 관목으로 알려지고 앞에서 언급하였지만 영국식물학자이며 동물학자인 토마스 누탈(Thomas Nuttall:17861858)이 명명한 속이다.

이 식물은 북아메리카의 북부와 서부가 근거지로 되어 있다.

이속명에는 세가지의 종()이 있다.

 

a) Shepherdia argentea(Pursh) Nutt.-silver buffaloberry 은 버팔로베리

프레드릭 퍼쉬(Frederick Traugott Pursh:1774-1820) was a German–American botanist

b) Shepherdia canadensis(L.) Nutt.-Canada buffaloberry 캐나다 버팔로베리

c) Shepherdia rotundifolia Parry-roundleaf buffaloberry, endemic to southern Utah and northern Arizona 은 유타()남부(southern Utah) 및 애리조나 북부(northern Arizona)지방 특유의 둥근 잎(Having round leaves)를 가지고 있다.

 

이 속명에 나나타는 종들은 모두가 북아메리카대륙을 분포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열매는 하얀 점이 조금씩 있고 어두운 붉은 색상이며 촉감이 거친 것이 나무들과 관목에 발견된다.

이 스헤레프디아속은 쓴맛이 나는 열매를 가지면 이 열매는 곰의 먹이로 이용되는데 전하는 것에 따르면 겨울 동안 지방저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북미산() 버팔로베리(Buffaloberries)는 날개물결가지나방(Ectropis crepuscularia-Shepherdia canadensis)과 북아메리카대륙 미시간과 온타리오호수를 포함한 5대호에서 발견되는 (North America, from the Great Lakes northward, including Michigan and ontario)얼룩 고치 애벌레나방(Coleophora elaeagnisella)를 포함한 나비목()(Lepidoptera species)의 유충에 의해 식용식물로 완성된다고 알려지고 있는 것도 근원적으로 이 속명의 종들은 모두가 북아메리카대륙을 근원지로하고 있음을 충분히 짐작할 수가 있다.

 

비타민나무속(沙棘屬:Hippophae L.)1753

그렇다면 이제 마지막으로 비타민나무 즉 산자나무속()을 살펴볼 차례이다.

이 속명(屬名) 히포페(Hippophae)어원을 보면 동양역사와 상당히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태고 적에 씨벅톤(sea buckthorn)의 어린 잎과 가지를 말의 체중 증가와 외모의 광택이 빛나게 해주는 보양제로 말에게 먹였기 때문에 그리스어(Greek)로 히포(hippo:horse)()과 파오(phaos:shining)(빛나는)의 합성어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이 속명은 말에게 광택을 준다는 의미가 있고 잎사귀 아래부분에는 은색이 있어 말의 눈을 밝게 하거나, 아래를 빛나게 하는 치료제로 사용되었다고 말하고 있는 것과 동일하다.

그리스신화(Greek mythology)에 등장하는 날개를 가진 말인 페가수스(Pegasus)가 선호하는 식량이 씨벅톤(sea buckthorn)이라 한 것이다.

서양못지 않게 이러한 비슷한 이야기가 동양에도 전해지고 있는데 티베트와 내몽고 지역에 있는 몽고인들이 이 열매를 즐겨 먹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고 13세기, 칭기즈칸(成吉思汗:Chingiz Khan)이 주요하게 여기던 세 가지가 있었는데 첫째, 잘 조직된 군대, 둘째, 엄격한 훈련 셋째, 몽골어로 차차르간(ЧАЦАРГАНА)이라고 불리는 이 산자나무(비타민나무)라고 알려진다.

이를 몽고에서는 사극(沙棘, 砂棘)이라 한 것이고 차차르간(ЧАЦАРГАНА)이 바로 씨벅톤(sea buckthorn)이다.

당시 몽고 군인들은 치열한 전투로 지친 말들을 산자나무숲에 방목하면 얼마 지나지 않아 말들이 이전보다 훨씬 건강해져 살아 돌아왔다고 하며 이러한 산자나무의 특성 때문에 잎과 가지를 말에게 먹였다는 사실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sea buckthorn

a thorny Eurasian shrub, Hippophaë rhamnoides, growing on sea coasts and having silvery leaves and orange fruits: family Elaeagnaceae

Buckthorn may also refer to:

a) 갈매나무과 갈매나무속 Rhamnaceae, the buckthorn family

b) 감탕나무과 서구서리(欧鼠李:Frangula alnus) or alder buckthorn

Hippophae or sea-buckthorn

sea buckthorn이라는 이름은 (Rhamnus, family Rhamnaceae)가족에있는 관목 또는 작은 나무의 속buckthorns 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위 자료의 설명을 보면 일단 유라시아의 관목이라 했다.

씨벅톤의 근원지가 유라시아라는 이야기다.

과연 그럴까?

그러나 보리수나무의 근원종이 이 속명과 가깝다고 한다면 그리고 수많은 비타민을 가지고 있는 나무열매가 이 종이 확실하다면 이 속명도 북아메리카대륙 북부를 근원지로 했음을 충분하게 알 수가 있다.

 

 

위 자료에도 알 수 있듯이 분포지도에 노란 점이 표식하는 곳은 캐나다 전 지역이다.

영어자료에는 씨벅톤(sea buckthorn)이라 하여 바다(sea)를 붙인 이유로 a)갈매나무과(Rhamnaceae)갈매나무속 그리고 b)감탕나무과 서구서리(欧鼠李:Frangula alnus)의 벅톤(buckthorn)과 구별하기 위한 것이라 하였으며 산자나무 즉 비타민나무를 또한 씨벅톤 이외 샌드톤(sandthorn), 셀우톤(sallowthorn), 또는 씨베리(seaberry)라고도 하였다는 사실을 자료에서 말하고 잇다.

위 설명에는 이것과 다른 현실적인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씨(sea)를 붙인 것은 바로 해안에서 자라고 은 빛의 잎사귀와 오렌지 열매를 가진다고 하고 있다.

희랍전설에서 잎사귀 아래부분에는 은색이 있어 말의 눈을 밝게 하거나, 아래를 빛나게 하는 치료제로 사용되었다고 한 사실과 거의 일치한다.

 

 

 

그것 이외에도 사용처가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이다.

씨벅톤 오일(Sea Buckthorn Oil)은 습진, 여드름, 코의 모공이 커지는 로세셔(rosacea), 화상, 상처 등의 국소 치료와 젊은 피부의 색조와 질감을 보존하기 위한 전통적인 미용관리 방법으로 오랫동안 사용돼 왔다 하였고 서양에서 말하는 말의 사료용이나 동양에서 말하는 말의 사료용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은 동일한 이야기로써 근원적으로 이 산자나무(비타민 나무)에는 다양하고 풍부한 비타민 A, C, D, E, B, P, K 등과 여러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고 그 열매의 추출물에는 6~7% 정도의 오메가3, 오메가6 등의 40여종의 불포화 지방산 기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의 주요 성분은 '비타민 E'라고 설명하고 있다.

말의 사료로 사용되던 잎과 열매는 비타민이 풍부한데 특히 열매에는 C, E, K의 함유량이 높다고 알려지며 '비타민 C'의 경우 재배지에 따라 편차가 큰 편인데 적게는 200mg에서 많게는 2000mg 정도로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난.

일반적으론 450~600mg 정도를 함량하고 있다.

이러한 영양제가 함유되었기 때문에 노화방지와 간질환, 혈액순환에 효과가 좋으며 최근 연구 결과 항암 효과도 상당히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어 징기스칸이 왜 이를 복용하였는지도 알 수가 있고 서두에 게시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연산군일기에도 나타나지만 연산군이 이 보리수의 열매를 즐겨 먹었다는 사실 또한 알 수 있는 이야기다.

산자나무(비타민 나무)열매의 표면은 갈색이고 윤기가 있으며 중간에 도랑이 한 개 패어져 있으며 껍질은 단단하고 종자 알은 유백색에 기름기가 있고, 맛은 약간 시큼하고 떫다고 되어 있다.

산자나무(비타민 나무)열매의 수확 시기는 4, 9, 10월라고 알려지고 참고로 1톤의 열매에서 약 670의 기름을 얻을 수 있다고 알려진다.

또 다른 자료를 보면 이 산자나무(비타민 나무)열매의 비타민 함량은 과일 중에서 최고로 사과의 200~800배 정도로 매우 높으며, 사포닌 함유량도 인삼의 4배나 된다고 알려진다. 또한 비타민 나무의 잎과 열매에는 칼슘, 철분 등 수 십여 종의 미네랄과 자일리톨과 같은 천연당, 플라보노이드, 카포테노이드, 엽산, 폴리페놀, 유기산, 카테킨 등의 다양한 천연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아래 도표 [Table 1]에 잘 나타나 있다.

 

            

 

산자나무 주요 종()

(1)棱果沙棘 Hippophae goniocarpa Y.S. Lian & et al. ex Swenson & Bartish 네팔, 중국의 산과 비탈진 지역

(2)沙棘 Hippophae rhamnoides L (ITS 잔존 종)

(3)柳葉沙棘 Hippophae salicifolia D. Don 히말리야

(4)西藏沙棘 Hippophae tibetana Schltdl 티벳 (ITS 잔존 종)

(5) Hippophae gyantsensis (ITS 잔존 종)

 

최종 히포페(Hippophae) 속명 중 5종의 근원지 분포지도를 살펴본 결과 (2)번 종() Hippophae rhamnoides L 이 사극(沙棘)이라 할 수 밖에 없고 이것을 산자나무 또는 비타민나무라고 최종 판단할 수 있다.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DNA의 내부전사되는 역전류기 부분, 두 종류의 리보솜 RNA(16S rRNA23S rRNA)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염기서열인데 이 연구에 따르면 유전자가 3개의 단세포 층으로 분할될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H. tibetana 과 아종(H. rhamnoides ssp)을 제외한 H. rhamnoides,
gyantsensis(=H. gyantsensis)를 잔존 종()이라고 정리하고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결과 라틴어 어원이 알려주고 있는 사실이라던지 또는 몽고 징기스칸이 아끼던 나무열매등을 살펴본 결과 산자나무(비타민나무)는 학명 Hippophae rhamnoides L.종()으로 나타난다.

이 히포페 람노이데스(Hippophae rhamnoides)는 북반구의 온대 및 아북극(亞北極)지역에서 넓은 범위의 원산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북아메리카대륙에는 1930년대에 캐나다에서 귀화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이것은 캐나다가 이 보리수나무과의 산자나무의 근원지임을 알려주는 것이다.

씨벅톤(sea buckthorn)의 영양 및 의약 가치는 북아메리카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수세기 동안 유라시아에서 알려지고 악용되었다 하였고 1940년대부터 과학자들이 열매, 나뭇잎, 나무 껍질에서 발견되는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조사하기 시작한 이래 씨벅톤(sea buckthorn)산업은 러시아에서 가장 번창했다고 알려진다.

왜 북아메리카대륙에서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는 것일까?

몽고제국의 역사를 북아메리카대륙에 놓고 도저히 그릴 수가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 식물은 국가적으로도 매우 중요하게 취급된 것이 사실인데 러시아인들은 우주 비행사가 사용하는 제품을 개발했으며 우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크림으로도 개발했고 1950년 이후 냉전 기간 동안 러시아와 동독의 원예사들은 영양가가 더 높고, 열매가 더 크며 수확시기가 다른 여러 가지 품종을 개발했다고 알려진다.

그런데도 미국은 이를 못본척했다는 것이다.

말이 되는가.

하지만 이것과 다르게 지난 20년 동안 실험작물로만 미국 네바다(Nevada)1종, 애리조나(Arizona)1종, 그리고 캐나다의 여러 주에서 재배되었다는 사실만 현재 자료에는 알리고 있을 뿐이다.

러시아, 몽골, 독일에서는 털갈이가 없거나 거의 흉벽이 없는 씨벅톤(sea buckthorn)의 재배 품종이 재배되었지만 북미(北美)에서는 이러한 재배 품종이 없다고 알려지는 것도 오리엔탈 문화에 대한 두려움이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spp. sinensis), (Hippophae rhamnoides L. spp. turkestanica)

또한 위 두 종()씨벅톤(sea buckthorn) 즉 산자나무(비타민나무)의 원종의 아종(亞種, subspecies)으로 이러한 분석에서 Hippophae rhamnoides 분포지가 본래 트루크족들이 거주한 곳 트루크(Turks)땅이 아닌가 판단할 수 있고 그 주위에 역사적으로 중국(sinensis)도 존재했을 것이란 짐작이 가능하게 해주고 있으며 더 하여 ITS 연구에 잔존 종으로 나타나는 "Hippophae tibetana" 는 현재 모든 자료에서 아시아대륙 히말리야산맥을 근원으로 하지만 이것 역시 잘못된 이야기다.

특히 현재 동아시아대륙에 있는 신중국분포지역에서 보면 동경 75~121도 북위 27~48도 사이의 주로 청정고원과 내몽골 고비고원에 90% 로 집중되어 있으며 해발 450m~5,000m의 범위내에서 생장하는 것으로 말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잘못 짚은 것이다.

그곳은 이미 본 블로그 글(2013.09.15) "안식향(安息香)으로 본 삼한(三韓)영역 http://blog.daum.net/han0114/17048871"에서 이탈리아 베네치아 출신 지아코모 가스탈디(Giacomo Gastaldi :1500–1566)가 1546년에 제작한 지도(Universale Cosmographo)에 놀랍게도 티벳이 북아메리카대륙 북서부에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최종정리

 

전술한 바와같이 보리수나무과(科:Elaeagnaceae)에는 전 세계적으로 3속(屬)의 약60종(種)이 존재한다.
3속(屬)은 보리수나무속(胡頹子屬:Elaeagnus L.)1753, 비타민나무속(沙棘屬:Hippophae L.)1753, 스헤페르디아속(水牛果屬:Shepherdia Nutt.)1818 이다.

물론 명명일자를 보면 (3)스헤페르디아속이 제일 나중에 명명된 것이며 앞에서 분포지도 자료에서 살펴보았듯이 (1)보리수나무속은 현 분류체계에서 전부 동아시아대륙, 유라시아, 러시아로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가 있다.

그렇다면 최종 산자나무라 알려진 비타민나무는 (2)비타민나무속으로 알려진 히포페(Hippophae L) 속(屬)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연산군일기 37, 연산 631일 기사에는 "동백(冬柏) 56 그루를 각기 화분에 담고 흙을 덮어 모두 조운선(漕運船)에 실어보내고, 보리수(甫里樹)열매를 익은 다음에 봉하여 올려 보내라."한 기사를 다시 풀이를 하면 당시 조선에서는 분명 이 산자나무(비타민나무)라고 하는 보리수가 자생되었다는 사실을 명확히 알 수 있는 자료이다.

물론 질이나 양적인 문제가 있겟지만 자생했다는 사실을 어떻게 부정할 수 있겠는가.

그리고 중앙정부에서 보리수 열매가 익을 때를 기다려 임금에게 진상(進上)하라고 전라도 감사에게 하서(下書)한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이것이 자생한 곳은 대체로 함경도와 평안도 정도라고 판단되는데 왜 전라도 감사에게 이러한 명령을 하달한 것일까.

보리수(甫里樹)열매는 대체로 북부지방의 특산물이지만 당시 연산군때 조운선(漕運船)을 관리하는 곳은 전라도 감사(全羅道監司)가 아닌가 한다. 

이 조운선은 조세미(租稅米) 혹은 특산물을 실어 나르던 선박인데 거대한 강 하류에서 이 선박을 통제하지 않았을까 하는 것이다.

전라도는 남쪽이 거의 확실하다.

세계삼한역사관점으로 관찰하면 조선 북서지역의 미주리강(Missouri)에서 조운선에 싣고 대도시 세인트루이스로 들어가던가 미시시피강(Mississippi)를 상류로 올라가던가, 아니면 하류로 내려가든가 얼마든지 조운선 방향 이동선을 상상할 수가 있다.
영문자료를 보면 히포페 람노이데스(Hippophae rhamnoides)의 분포지는 유럽과 아시아의 추운 온대 지방이라 하였고 정확하게 위도(緯度:latitude)는 27°~69° 위이며 경도(經度:longitude)는 7° EW와 122° EE라고 하여 아시아대륙을 기준으로 삼았다. 핀란드, 폴란드, 독일의 발트해 연안, 스웨덴의 보스니아 만, 영국 연안, 그리고 아시아에서는 인도 북부 지역, 네팔, 부탄 등의 히말라야 지역, 중국 북부 지역,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북부 지역이라 설명하고 있다.

그래봤자 아시아대륙이지 북아메리카대륙은 아니다.

어떤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북아메리카대륙은 아시아역사에서는 고스란히 빠진다.

 

 

생각해 보면 이 산자나무가 한반도 국내에선 2006년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재배가 시작되었다고 하는 사실 또한 조선왕조실록과 얼마나 좁힐 수 없는 엄청난 괴리를 가지고 있는 가를 알 수가 있다.

연산군시대에 존재한 보리수나무가 전부 멸종되어 600년이 지나고 다시 2006년 강원지역 중심으로 재배되어야 했던 역사는 과연 어떤 역사인가.

그렇지만 근원지가 이렇듯 진실을 말하고 있음에도 모든 자료에서 산자나무 전체 아시아대륙을 분포지라고 하고 있다는 사실자체가 어찌 바른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인가.

이 식물은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로써 나타나 2억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과 1,200여 년 전부터 아랍과 몽골지역에서 음료와 술 등으로 사용된 나무 열매는 바로 동양한문 사서기록에 나타나는 사극(沙棘, 砂棘)이라고 하는 보리수(甫里樹)이다.

이 나무는 징기스칸과 몽고의 귀족들사이에 자양 강장(滋養强壯)의 비약(祕藥)으로 사용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는 것도 위에서 밝혀본 특별하게 함유된 각종 영양제를 보면 알 수 있는 이야기다.

징기스칸은 이 열매를 장거리원정시 항상복용하였다고 알려지는데 그 열매가 익어 식용가능했던 몽고 땅은 과연 어딜 말할 것인지 살펴야 할 문제의 핵심이다.

본 블로그 글 "어르쇠 흑요석(黑曜石)과 아라사(愕羅斯)정체 http://blog.daum.net/han0114/17050711 "에서 러시아라고 알려진 대비달자라고 하는 아라사(愕羅斯)는 바로 북아메리카대륙 몬태나(Montana)주의 가디너(Gardiner)마을 옵시디언 절벽(Obsidian Cliff)에서 흑요석(黑曜石)을 채취하던 종족이며 그곳 주위에 몽고종락(蒙古種落)이 있었다는 사실을 밝혔고 본 블로그의 글 "조선패모(朝鮮貝母)와 북아메리카대륙 서부 http://blog.daum.net/han0114/17050693" 에서 밝힌 로키산맥을 발원지라고 하는 미주리강(Missouri river)과 미시시피강(Mississippi river)을 포괄적으로 흑룡강이라고 결론을 지었던 사실도 참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북아메리카대륙에서 나타나는 보리수나무의 근원 분포지는 북부지역모두는 선 함경도일 가능성이 높다.[세계삼한역사연구:한부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