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투리움(Anthurium)과 안쓰러움(Anthurium coriaceum)
글쓴이:한부울
안투리움(Anthurium)은 큰 꽃부채(flamingo flower) 혹은 소년꽃(boy flower)으로 불린다.
천남성(天南星), 토란잎과 비슷하게 생긴 식물로 그 꽃은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속명(Anthurium)으로 ‘꽃’이라는 안토스(anthos)와 ‘꼬리’라는 의미의 오라(oura)가 조합된 말로 ‘꽃의 꼬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관상용의 꽃인데 이름자체에서 우리나라 말 어감적으로 안스리움, 안수리움, 안시리움이 안쓰러움으로 불려 졌을 것이란 느낌도 없지 않다.
사실 천남성(天南星)과라 하니 이 천남성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전라도(全羅道) 능성현(綾城縣)편에 보면 토산으로 나온 기록이 있고 세종지리지(世宗地理誌)에도 경기,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황해도, 강원도, 평안도, 함길도 등 조선 전역에서 자생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천남성이 그렇다는 이야기다.
물론 안투리움(Anthurium)은 천남성과에 화촉속(花燭屬, Anthurium)으로 한어자료에서는 홍장(紅掌), 안조화(安祖花), 화학화(火鶴花), 홍아장(紅鵝掌) 아장홍(鵝掌紅)등으로 불리는 남미열대우림지역(南美洲的热带雨林地区)에서 자생하는 것이라고 나온다.
영명(英名)으로는 홍학백합, 플라밍고 릴리(Flamingo lily)라고 지칭한다.
이 꽃은 열대 아메리카에 약 600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서인도제도와 브라질이 원산인 필로덴드론(Philodendron)과 마찬가지로 천남성과 식물로 알려져 있다.
백과사전에 안투리움(Anthurium)은 꽃을 관상하는 종류와 잎을 관상하는 종류로 나누어진다 했고 꽃을 관상하는 종류에는 많은 원예품종이 있으며 여기에서 꽃이라고 부르는 것은 육수꽃차례의 꽃을 싸고 있는, 포(包)가 변형된 큰 꽃 턱잎, 불염포(佛焰包)라는 부분으로 그 포(包)가 붉은색이나 분홍색, 흰색으로 마치 꽃잎과 같이 보이는 것을 말한다고 했다.
실제의 꽃은 중앙에 돌출된 원통상의 것으로 여기에 많은 꽃이 붙어 있는 식물이다.
이 불염포(佛焰包)가 아름다우며 오랫동안 감상할 수 있어 매력적이며 꽃꽂이로 매우 인기가 좋다 한다.
이 안투리움(Anthurium)에서 잘 알려진 종(種)으로서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콜롬비아가 원산지인 화학화(火鹤花) 또는 홍학꽃이라고 하는 안투리움 안드레아넘(Anthurium andreanum)이 있고 큰꽃부채(flamingo flower)라고도 하는 코스타리카, 과테말라가 원산지인 안투리움 세르제리아넘(Anthurium scherzerianum)이 있으며 콜롬비아가 원산지인 안투리움 와로퀘아넘(Anthurium warocqueanum)과 역시 콜롬비아가 원산지인 안투리움 크리스탈리움(Anthurium crystallium), 이렇게 4종이 있다.
모두 남아메리카를 원산지로 하고 있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놀라운 사실은 이 식물 학명 중에 안투리움 코리아시움(Anthurium coriaceum) 이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더욱 놀라운 것은 이 종이 남아메리카 그것도 브라질에만 원산지로 표시되어 있다는 점이다.
브라질과 coria?
그곳이 본래 고려와 관계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앞에서 이 안투리움에 관해서는 충분하게 이야기 했다.
관상용의 꽃으로 이 안투리움이란 명칭이 우리나라 말인 안스리움, 안수리움, 안시리움이 안쓰러움으로 불려 졌을 것이란 추측을 하였을 정도로 이름에서 친밀감이 많다.
그래서 따져보니 학명 뒤 속명 ‘coria-ceum’에서 나타나는 것이 분명 ‘coria’ 이다.
그리고 이어 붙어 있는 라틴어 ‘ceum’ 인데 이것을 자료에 찾아 보니 아래와 같다.
어원(Etymology)
From Old Irish céim (“step, stride”).
Noun ceum m. (genitive ceuma or cèim, plural ceuman or ceumannan)
1.step, pace, footstep
2.step (of a stair)
3.degree (of a university)
즉 이 단어는 명사로서 작용이 강하고 옛 아일랜드 사람들은 ‘걸음걸이, 활보하다’ 란 뜻으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고려(高麗)사람이 활보했다는 것인데 이 꽃은 고려(高麗)사람과 연관된다고 생각하기에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기에 안스리움, 안수리움, 안시리움, 안쓰러움으로 이어진 것이 아니겠는가?
그곳이 남아메리카라니 삼한역사는 실로 대단한 역사가 아닐 수 없다.그렇지 않는가?[세계삼한역사연구:한부울]
**********************************
안투리움(紅掌, Anthurium)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門: 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綱: 單子葉植物綱 Liliopsida
目: 澤瀉目 Ranunculales
科: 天南星科 Alismatales
屬: 花燭屬 Anthurium
種: 火鶴花 A. andraeanum Schott, 1829
Heinrich Wilhelm Schott (1794-1865) was an Austrian botanist well known for his extensive work on aroids (Family Araceae).
1.안투리움 안드레아넘(Anthurium andreanum) Lindl. 火鹤花, 홍학꽃
콜럼비아가 원산지이며 습한 밀림에서 자란다.줄기를 짧은 관목상이며 잎의 길이는 약 30~40cm, 폭은 10~20정도로 잎이 가늘고 긴편이다. 꽃(불염포)은 연중피며 포의 색깔은 흰색, 분홍색, 적생등으로 다양하다.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未分级) 被子植物 Angiosperms
(未分级) 单子叶植物 Monocots
目: 泽泻目 Alismatales
科: 天南星科 Araceae
屬: 花烛属 Anthurium
分布于热带美洲
2.안투리움 세르제리아넘(Anthurium scherzerianum) 큰꽃부채(flamingo flower)
코스타리카, 과테말라가 원산지이다. 잎은 가늘며 작은 불염포를 관상하는 종류로 분식물로서 좋다. 포는 붉은색과 흰색으로 광택이 없다. 우리나라에는 아마존, 베린다, 델타 등이 재배되고 있다.
3.안투리움 와로퀘아넘(Anthurium warocqueanum)
콤럼비아가 원산지이며 관엽종으로 포는 관상가치가 없다. 줄기는 굵고 자라는게 더뎌서 키가 잘 크지 않는다. 잎은 광택이 있으며 길이는 약 60cm 이상, 폭은 약 20cm 이상으로 자라지만 화분에 심을경우 이것보다 더 덜자란다.
4.안투리움 크리스탈리움(Anthurium crystallium)
콜럼비아가 원산지이며 관엽종으로 포는 관상가치가 없다. 짧은 줄기에서 근경이 나오고 생육이 더뎌서 키가 잘 크지 않는다. 잎의 길이는 약 20cm, 폭은 약 15cm 정도이다.
***********************
산림경제 제4권
치약(治藥)
천남성(天南星) 두여머조자기
生山野。二月八月採根。入藥炮用。 本草 臘月置水中。凍去燥性。炮裂두001 用。或薑汁白礬煮。至中心無白點。亦好。 上同 牛膽製者尤佳。 上同 製牛膽南星法。南星爲末。臘月。取牛黃膽汁。拌匀入膽內。封口掛當風處。陰乾用。 丹心
산과 들에서 난다.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어 약에 넣을 때는 구워서 사용한다. 《증류본초》
섣달에 물속에 놓아두어 얼려서, 건조한 성질을 없애고 구워서 사용한다. 혹은 생강즙과 백반으로 중심(中心)에 백점(白點)이 없어질 때까지 익혀도 좋다. 《증류본초》
우담(牛膽)으로 만든 것이 더욱 좋다. 《증류본초》
우담남성(牛膽南星)을 제조하는 방법은 남성(南星)을 가루로 만들어 섣달에 우담의 황즙(黃汁)을 쏟아 골고루 섞어서 쓸개 껍질 속에 다시 넣고 꼭 봉한 다음 바람이 통하는 곳에 걸어 놓는다. 그리하여 음건되면 사용한다. 《단계심법》
천남성(天南星) :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음지에서 나는 유독 식물이다.
뿌리는 치담(治痰)ㆍ치풍(治風) 등에 쓰인다.
*****************************************
'세계삼한역사 >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장목(香樟木, Cinnamomum camphora)과 장뇌(樟腦, camphor) (0) | 2012.10.18 |
---|---|
육계(肉桂:Cinnamomum cassia)-계피 (0) | 2012.10.14 |
소나무(赤松, Korean Red Pine)와 잣나무(紅松, Korean Pine)의 혼란 (0) | 2012.10.06 |
참나무(橡, 橡樹, Oak)와 메티스인(metis or Anglo-Métis) (0) | 2012.10.04 |
미나리(水芹 : Water dropwort)와 한반도 (0) | 2012.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