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우리(caule) 학명으로 본 삼한의 규모와 위치
글쓴이:한부울
박주가리과(蘿藦, Cynanchum)와 가우리(caule)
들어가 보니 블로그 한 페이지에 작성하기에는 너무 많은 이야기꺼리의 글이 되겠기에 간추리고 최대한으로 줄이면서 제2편에 다시 더 한번 글을 올리기로 하였다.
우선 중요한 포인트 가우리(caule)와 아메리카대륙 관계 공통적인 것만 추려 올리도록 한다.
전편에서 유럽인들이 우리 삼한을 부르기를 “Caule”, “Cauly”, “Cores”, “Core”, “Coray”, “Conray”, “Corie”, “Coria”, “Corai”, “korai”, “united corea”라고 불렀다는 것을 알았다.
우리는 보통 식물학명의 속명은 그 식물이 근거하는 원산지 지명을 일반적으로 붙인다고 알 고 있다.
그런데 식물 중
(1)박주가리과 백미속 검은솜아마존(Cynanchum amplexicaule for. castaneum Ohwi)
(2)박주가리과 백미속 솜아마존(Cynanchum amplexicaule (Siebold & Zucc.) Hemsl)
(3)거머리말과 거머리말속 수거머리말(Zostera caulescens Miki)(1933)
(4)꿀풀과 광대수염속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L.)
(5)꿀풀과 탑꽃속 탑꽃(Clinopodium gracile var. multicaule (Maxim.) Ohwi)
(6)백합과 둥굴레속 선둥굴레(Polygonatum grandicaule Y.S.Kim, B.U.Oh, C.G.Jang)
등은 속명에 떡하니 가우리(Caule)를 붙이고 있다.
이것도 따져 들어가면 우리가 알 수 없는 또 다른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란 기대 속에서 하나하나 영양분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찾아들어간다.
(1)박주가리과 백미속 검은솜아마존(Cynanchum amplexicaule for. castaneum Ohwi)
(2)박주가리과 백미속 솜아마존(Cynanchum amplexicaule (Siebold & Zucc.) Hemsl)를 보면 바로 속명에 붙어 있는 amplexi-caule 가 있다.
그런데 이상하게 남미 브라질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세계에서 제일 긴 강이라고 하는 아마존 강의 이름이 우리말로 붙어있다는 사실에서 궁금증이 도발되었다.
아마존과 가우리가 어떻게 관계한다는 말인가?
먼저 아마존(Amazon)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무사족(女武士族)을 일컫는다고 사전에 나온다.
활을 당기기 위한 편리함에서 왼쪽 젖을 잘랐다고 하는 고대 그리스의 전설상 여전사인데 아마존이란 원래 그리스어로「가슴, 즉 유방이 없다」란 뜻으로서, 옛 카프카스나 흑해연안에 살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 말이 유럽에 퍼지자「승마 부인」이나「키가 큰 건강한 여성」이란 의미가 되었다. 좀 더 나아가서는 아마존의 복수형인 아마조네스(Amazones)의 의미를 살려 당당한 여전사 이미지의 여성으로 쓰이게 되었다.[네이버사전]
그리스가 고구려이니 그곳 말은 우리말로 옮겨졌을 것이란 추측이 가능하다.
그래서 아마존은 우리말로 생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아마존은 그런 뜻으로 불리었는가?
또 다른 것은 실제 남아메리카에 있는 아마존 강에 대해서다.
한어자료는
原来亚马逊河没有一个总的名称,每条支流和每一段都有它自己的当地名称,在1502年以后,只是被叫做“大河”,后来在西班牙语中叫"maraña",意思是“纠缠”、“混乱”,现在演变成巴西的马腊尼昂州的名称。
1542年西班牙探險家法蘭西斯科·德·奧雷亞納(Francisco de Orellana)在現在的亚马逊河流域探險時被印第安人攻擊,以為遇到了希臘神話中的亚马逊女戰士,而將大河命名為亚马逊河。
아마존 강은 원래 각 지류와 분야에 따라 자체 이름을 가지고 있었으나 1502년 이후부터 “대하(大河)”라고 불리었고 그 이후로 스페인어로 마라나(marana)라고 불리었는데 이 뜻은 뒤엉키다와 혼란이란 뜻이다. 그리스 신화의 여인족 아마조네스(Amazones)에 연관되어 1542년 초기의 탐험자 프란시스코·데·오레랴나(Francisco de Orellana)에 의해 명명되었다고 하는 설도 있다. 다른 설에서는 현지어로 닮은 소리를 가지는 이름으로 아마조나스라고 이름 붙여졌다고 한다.[위키]
그렇다면 아마존은 우리나라 말에 나올 수도 있겠지만 우리나라 말로 아마존이라는 것이 있어 고유명사가 자연스럽게 식물에 접했을 것이라는 예상은 쉽지 않다.
분명 현재 아마존이란 명칭과 어떤 관계가 없으면 곤란하다고 보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사실 또한 삼한이 아메리카 대륙과 무관하지 않다는 자신감에서 나오는 의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바로 속명 amplexicaule 에 대한 분석에 들어갔다.
amplect-, amplexi-, amplex-(Latin: embrace; clasp, clasping)
라틴어로 amplexi 는
embrace;
① 얼싸안다, 껴안다(hug), 포옹하다.
② (산·언덕이) 둘러[에워]싸다.
③ 품다, 포함하다.
clasp, clasping
① 걸쇠, 버클, 죔쇠, 메뚜기, 훅.
② 악수, 포옹(embrace).
사전에서 찾아보니 이런 뜻이다.
전체적 공통의미가 악수 또는 포옹으로 모여진는데 결국 amplexi-는 악수 또는 포옹이라는 의미적으로도 뒤에 붙는 가우리(caule)와 깊이 연계되는 뜻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독립단어로 분리되고 다시 합쳐 의미가 강해지는 것이다.
amplexi-caule
앞에서 이 가우리는 고구려 또는 고려를 호칭한 것으로서 이것은 삼한의 대명칭 caule=corea 과 같다 할 수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과연 가우리(caule)를 실제 유럽인들은 무어라 하였는지 단어를 찾아보았다.
거의 대부분 뜻은 경(莖) 줄기를 나타낸다.
Italian
Noun
caule m. (plural cauli)
1.(botany) stem (of a herbaceous plant)
Related terms
caulinare
caulinare m. and f. (m and f plural caulinari)
Latin
Adjective
caule
1.nominative neuter singular of caulis
2.accusative neuter singular of caulis
3.vocative neuter singular of caulis
포르투갈어
alongamento do caule 줄기신장
broca do caule 식간충
caule hortícola 경채류
이태리어, 라틴어, 포르투갈어 모두 거의 같은 의미의 줄기 경(莖)이다.
줄기를 악수했다. 줄기를 포옹했다.
그것보다는 가우리(caule)를 악수했다. 가우리(caule)를 포옹했다. 오히려 더 친숙하게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당시 가우리(caule)는 세계를 지배하는 제국의 명칭이었으니까 붙여도 이상할 것이 없다.
당시 학명을 붙인 년도가 1846년도이니 그 때 아직 대륙조선(1881년 해체)이 존속했을 때이다.
지금 그들이 가우리(caule)를 고려(corea)라고 해석하지 않는다고 실망할 필요는 없다는 이야기다.
지금도 그 때처럼 절대로 고려라고 직접적으로 뜻으로 풀이 할 리가 만무한 것이다.
가우리(caule)를 옛 유럽인들이 지칭한 것에서 보면 1253년 경 프랑스의 프란체스코회 수도사인 루브룩(William of Rubruck, 1220-1293)의《윌리엄 루브룩의 동방세계여행(The Journey of William Rubruck to the Eastern Parts ofthe World, 1253-1255)》과 마르코 폴로(Marco Polo, 1254-1324)의 동방견문록(東方見聞錄,1271-1295)에서 고려를 Caule, Cauli로 표기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카울레, 까우리, 가우리(Caule)는 한가운데, 가장자리를 뜻하는 것이다.
1253년-1255년은 고구려(高句麗)가 아닌 고려(高麗)때인데 그들은 동쪽에 가우리(Caule)라는 나라가 있다 하였다.
유럽에서 동쪽이라 하면 어딘가?
유라시아에서 아시아동단, 그리고 아메리카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원래 가우리(Caule)는 천하의 중심지(가운데)라는 뜻인 코레(core 핵, 중심)로 받아들였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지금 영어 코레(core)가 핵, 중심이라는 뜻이다.
이것은 우리의 관점으로 본 것이 아니라 유럽인들이 가지고 있던 통상적인 의미를 추측해 볼 수 있다는 말이다.
어쨌던 과거 삼한 고려(corea)를 지칭한 가우리(caule)라는 사실은 대단한 뜻이었음을 인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다면 이 박주가리과 백미속 검은솜아마존(Cynanchum amplexicaule for. castaneum Ohwi)과 솜아마존(Cynanchum amplexicaule (Siebold & Zucc.) Hemsl.)의 속명에 들어있는 가우리(caule)는 원산지 지명 또는 제국명 대명사를 붙였다고 보았을 때 이 아마존 식물은 바로 가우리(caule)를 모태로 명명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솔직히 식물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데 학명에 그것도 버젓이 식물의 근원지가 될 속명 접미에 붙었다는 것은 앞에서 언급한 의미와 매우 다르고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너무 어렵게 해석하고 이해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 식물이 자라는 곳에 삼한(caule)이 존재한 것이라고 추리가 가능하다.
여기서 덧 붙여 볼 때 이 학명 명명자들이 우리대륙조선 생물학적 역사와 뗄레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자들이라는 사실이 들어난다.
바로 그 유명한 지볼트와 주카리니(Siebold & Zucc)이다!
독일의사 겸 식물학자인 필리프 프란츠 폰 지볼트(Philipp Franz Balthasar von Siebold, 1796-1866)와 그의 동료 식물학자 요제프 게르하르트 주카리니(Joseph Gerhard Zuccarini, 1797-1848)이다.
19세기 그들은 똑같이 일본(동남아 자바?)에서 활동했다고 여태까지 그렇게 여겼으나 좀 더 진보 스럽게 생각이 변한 지금 동남아자바가 아니라 바로 아마존이 있는 곳이 그들의 활동지였다고 볼 수 있으며 그곳이 아마존 근방에 자와(Java, Jawa)가 있었을 가능성과 또한 그들이 그렇게 친숙해 하던 일본인(Javan, Jawan)들이 근거한 곳이 아닌가 한다.
의사인 지볼트(Siebold)는 당시 일본에서 서양의학을 처음 가르친 유럽인으로 유명하며 일본의 식물과 동물고유종을 연구하였으며 주카리니(Zuccarini) 역시 독일의 식물학자로서 지볼트와 광범위하게 함께 일 하면서 지볼트가 일본에서 수집한 식물을 분류하는 것을 도왔고 나중에 멕시코 등지(?)의 식물기술도 함께 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이들 전적을 보면 바로 이 두 사람이 조선의 소나무적송(赤松,Korean Red Pine)을 일본소나무(Japanese red pine)로 만들어 버린 장본인들이다.
Pinus densiflora(소나무)-Korean Red Pine(赤松), Siebold & Zucc(1842)
Pinus koraiensis(잣나무)-Korean Pine(紅松)Siebold & Zucc(1842)
한국소나무 korai(corea)ensis 란 학명은 독일학자 지볼트(Siebold)와 주카리니(Zuccarini)가 함께 1842년에 명명하였다.
그런데 이때 소나무와 잣나무를 분리하여 학명을 명명하였는데 소나무로는 적송(赤松)이라고 하여 Pinus densiflora-Korean Red Pine Siebold & Zucc.(1842)라 하였고 한어자료에는 홍송(紅松)이라고 하는 잣나무는 Pinus koraiensis(잣나무)-Korean Pine, Siebold & Zucc(1842)라고 명명하였다.
소나무라고 대표 학명이 적송(赤松, Pinus densiflora-Korean Red Pine)인데 이것을 일본소나무(Japanese red pine)로 만들어 바꿔치기하고 열도에 심어버린 것이다.
뒤바꿔치기한 이와 같은 사실은 실제 이 두 사람이 살아생전 그렇게 인정하고 기록을 남긴 것인지 아니면 간교한 근세기 일본극우식물학자들에 의해 조직적으로 조작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하지만 명백한 조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잣나무(紅松 Korean Pine)와 소나무란 적송(赤松)의 혼란
http://blog.daum.net/han0114/17049727
위 두 사람의 과거 이력을 살펴보면 지볼트(Siebold)는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직원으로 소속되어 의사신분으로 자바에 들어가 그 자바에서 다시 근거리에 있었을 일본에서 의학을 강의하고 식물에 관심을 두어 관찰하기 시작하였고 주카리니(Zuccarini) 역시 1820년부터 칼·마르티우스(Carl Friedrich Philipp von Martius)가 브라질에서 모은 식물이나, 필립·지볼트(Siebold)가 일본에서 모은 식물의 체계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다는데 이 사람은 자바나 브라질에 간 기록이 없다.
그런데 난데없이 멕시코 식물표본연구도 했다고 하니 이 사람들이야 말로 홍길동 그 자체다.
물론 이 주카리니(Zuccarini)는 앉아서 분석작업, 연구만 했을 가능성도 있다.
그런데 그들의 동선이 아무래도 신뢰가 가지 않는 점이 있다는 사실이고 이 두 사람이 연계된 학명명명에서 하필 가지도 않았을 브라질 아마존과 관계되는 식물 솜아마존(Cynanchum amplexicaule (Siebold & Zucc.) Hemsl)에 이름이 나와 있다는 사실이 이상하지 않을 수 없다.
분명 주카리니(Zuccarini)는 그렇다 치고 같이 일한 지볼트(Siebold)는 동남아시아 자바에 들어간 이야기만 나올 뿐 남아메리카 어디에도 간 행적이 나오지 않는다는 말이다.
이것은 근세기에 누군가에 의해 이력이 교묘하게 위장 또는 조작되었거나 자바나 일본이 멕시코나 브라질 즉 남아메리카에 있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알려주는 것이다.
어쩌면 포르투갈이나 네덜란드의 동인도회사 역시 지금 인도대륙이 아닌 남아메리카에 있었던 것은 아닌지 근원적으로 의구심이 드는 바이다.
실제 아프리카 대륙 희망봉을 극복했던 시기적인 문제가 분명하게 있다.
그렇다면 유럽이 그들 연고지였다면 가봐야 대서양 범위 내에 활동지역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왜 아프리카 남단을 회귀할 수 없었는가 하는 것은 나중 해류(current)편에서 한 번 더 상세하게 집어 볼 예정이다.
지볼트의 이력
1822년에 네덜란드의 헤이그에서 네덜란드 연합 왕국 오라녜나사우 왕가(House of Oranje-Nassau)의 초대 국왕 빌럼 1세(Willem I, 1772-1843, 재위1815-1840)의 시의로부터 알선을 받아 7월에 네덜란드령 동인도 육군 병원의 외과 직원이 된다.
1823년 4월에는 자바섬에 도달하고 6월에 일본방문, 일본의 대외 무역창인 나가사키인 데지마(出島)의 네델란드 상관의가 된다.
1824년에는 데지마(出島)외에 나루타키주쿠(牧瀧蘭學塾)를 개설해, 서양의학(蘭學)교육을 실시한다.
일본에 온 것은 프로이센(Pruisen)정부로부터 일본의 내정 탐색을 명받았기 때문이라고 하는 설도 있다.
1826년 4월에는 에도에 가서 근무하던 도중을 이용해 일본의 자연을 연구하는 것에 몰두한다. 지리나 식생, 기후나 천문등을 조사한다.
최신의 세계 지도를 주는 담보로서 최신의 일본 지도가 주어졌다.
1828년에 귀국할 때 선발한 배가 난파하여, 화물의 대부분이 해중에 유출하고 일부는 일본의 바닷가에 표류 화물 안에 막부 금제의 일본 지도가 있던 것으로부터 문제가 되어 국외 추방 처분(Siebold 사건)
1830년, 네덜란드에 귀착한다.
다음 해에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육군 참모부장 되어 일본관계의 사무를 촉탁하였다.
1844년에는 네덜란드 국왕 위렘 2세의 친서를 기초 하고
1853년에는 미국 동인도 함대를 인솔하여 일본 방문하는 흑선(黑船)사건 매슈 페리 장군(Matthew Calbraith Perry/Matthew C. Perry, 1794-1858)에 일본자료를 제공하고, 급한 대처를 실시하지 않게 요청한다.
1857년에는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1세에 초대되어 서간을 기초 하지만, 크리미아 전쟁에 의해 일러 교섭은 중단한다.
48세에 해당하는 1845년에는 독일 귀족출신의 여성과 결혼. 3남 2녀를 둔다.
1854년에 일본은 개국
1858년에는 네덜란드 일본 조약이 되어 Siebold에 대한 추방령도 해제된다.
1859년 네덜란드 무역회사 고문으로서 다시 일본을 방문
1861년에는 대외 교섭을 위한 막부 고문이 된다.
1862년에 관직을 물러나 귀국한다.
1863년에는 네덜란드의 관직도 물러나 고향 뷔르츠부르크(Würzburg)에 돌아갔다.
1866년 10월 18일, 뮌헨에서 사망, 70세
1820년부터 칼·마르티우스(Carl Friedrich Philipp von Martius)가 브라질에서 모은 식물을 체계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다는 것은 오히려 친일성향이 있는 지볼트(Siebold) 보다 이 칼 마르티우스(Martius)의 행적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일이다.
(Karl Friedrich Philipp von Martius, 1794-1868)독일의 식물학자.
브라질 식물상(植物相)에 대한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 에를랑겐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고 바이에른 왕립아카데미의 학생회원이었다(1814~17). 1817년 4월 2일 오스트리아 탐험대와 함께 트리에스테를 떠나 브라질로 갔다. 1820년 12월 뮌헨 식물표본실에 6,500종(種)의 식물을 기증하여, 그 식물원에는 브라질 식물과 씨가 많아지게 되었다. 뮌헨대학교의 교수가 되었다(1826). 학술원의 정회원으로 임명되어 식물원 관리위원직을 맡았다.(1832),
그는 저서인<브라질 식물상 Flora Brasiliensis>(15권,1840~1906)·
<감자병Die kartoffel-epi-demie>(1842)이 잘 알려져 있다. 1840년에는 학술원 물리수학분과의 사무관이 되었다.[브리태니커]
[Route followed by von Martius and von Spix 1817-1820]
그렇게 본다면 이 지볼트와 주카리니(Siebold & Zucc)두 사람은 우리 삼한역사 혼란의 중심에 서 있는 것이 분명하다.
다시 속명 amplexicaule 분석으로 들어가 보면
Caule 줄기로
amplect-, amplexi-, amplex-(Latin: embrace; clasp, clasping)
amplexi 는 악수 포옹으로 귀결되었다.
Cynanchum(蘿藦, 박주가리과)
Distribution:These species are found worldwide in the tropics and subtropics. Several species also grow in temperate regions.
Cynanchum(蘿藦, 박주가리과)가 어쨌던 한반도 또는 동아시아가 아닌 열대와 아열대지방에서 발견된다는 사실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이야기다.
그러면 이 과에 속한 검은솜아마존, 솜아마존 역시 그러한 기후나 지역범주에 들어가지 않을 수 없다.
아래는 박주가리과의 다른 속들의 근원지 즉 원산지(native)를 밝혀보지만 모두
Cynanchum auriculatum is native to Asian temperate and tropical regions; found in China (in Sichuan, Xizang, and Yunnan provinces), Bhutan, Nepal, and the northern parts of Pakistan and India.
Cynanchum elegans
is a plant species in the genus Cynanchum found in New South Wales in Australia
Cynanchum laeve
Common names include honeyvine, honeyvine milkweed, bluevine milkweed, climbing milkweed, and smooth swallow-wort.
native to eastern and central U.S. states and Ontario.
Cynanchum louiseae
is native to Europe and is found primarily in Italy, France, Portugal, and Spain.
Cynanchum rossicum
It is a perennial herb native to southern Europe
Cynanchum utahense
This relatively uncommon perennial vine is native to the Mojave Desert from California to Utah and Arizona in the United States.
Cynanchum vincetoxicum(Vincetoxicum hirundinaria)
It is native to cliffs and slopes, especially in calcareous soils, of continental Eurasia (including some Baltic islands).
열대지방과 아열대지방을 근거하고 있음은 물론이고 오스트레일리아, 북아메리카 동쪽과 중앙, 그리고 온타리오, 유럽 이태리, 프랑스, 포르투갈, 스페인, 남부유럽, 캘리포니아 유카, 아리조나 그리고 유라시아로 범주에 넣고 있다.
이것이 가우리(caule)인 것이다.
산해박(徐長卿 Cynanchum paniculatum) http://blog.daum.net/han0114/17049998
산해박(Cynanchum paniculatum)
산해박은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햇볕이 잘 드는 무덤가나 산언덕의 풀밭에서 잘 자란다. 박주가리과 식구로는 큰조롱, 덩굴박주가리, 흑박주가리, 백미꽃, 민백미꽃, 선백미꽃, 양반풀, 솜아마존 등이 있다. 마주나는 잎이 마치 외떡잎식물의 풀처럼 뾰족한 선형이어서 산해박이 이와 같은 박주가리 식구임을 연상하기 쉽지 않다.
여름부터 초가을까지 꽃이 피는데, 꽃이 진 다음에 성숙한 열매를 달고 있는 모습을 보기는 쉽지 않다. 어쩌다 발견하는 산해박의 열매를 보면 박주가리와 닮았음을 알 수 있다. 산해박의 열매는 골돌과로서 뿔처럼 길고 뾰족한데, 길이 6~8cm 지름 6~8mm로서 울퉁불퉁한 박주가리와는 달리 표면이 바나나처럼 매끈하다. 겨울에 접어들면 열매는 세로로 갈라지고 그 속에 있던 깃털을 단 무수한 씨앗이 바람을 타고 널리 퍼진다.
영명은 Paniculate Swal-lowwort.
백미꽃(白薇,Cynanchum atratum)은 여러해살이풀로 산이나 들에서 자라며 높이는 50㎝ 정도의 꽃이다. 순 우리말로는 아마존이라고 한다.
조선 초기에는 마하존(摩何尊)·백길초(百吉草)라 하였고, 장초(長草)·망초(芒草)·백막(白幕)·미초(薇草)·골미(骨美) 등이라고도 하였다. 학명은 Cynanchum atratum BUNGE이다.
유사종으로 꽃이 녹색빛이 도는 것을 푸른백미꽃(Cynanchum atratum for. viridescens Ohwi)이라 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말린 것을 백미라 하여 해열·이뇨·토산제 등에 사용한다. 또 민간에서는 잎을 강장제로 쓴다.
아마존은 가우리(caule)의 고구려때부터 내려오던 그리스? 의 순수한 고구려말일 가능성도 있으며 지볼트와 주카리니(Siebold & Zucc)가 명명할 때 당시까지도 영광스럽게 단어를 사용하던 때가 아닌가 하며 아니면 아마존은 당시 지금의 아마존 강을 다르게 불렀거나 그 위치를 아마존이라고 했을 것이란 추측도 가능하다.
(3)거머리말과 거머리말속 수거머리말(Zostera caulescens Miki)(1933)
scens = climb [transcend, ascend]
잘피(Zostera marina)
is a species of seagrass known by the common names common eelgrass and seawrack. It is an aquatic plant native to marine environments on the coastlines of mostly northern sections of North America and Eurasia.
거머리말속(屬)-Zostera 정박지
잘피:잠긴 해양 식물에서 발견 매우 긴 좁은 단풍과 함께
북아메리카 대서양 연안(eelgrass본질적으로 동등한, 가족),
(잔디 함께 풍요로움),
잘피대(zostera zone)는 연안 내만의 간조선 부근 수심 3-4m되는 곳으로 잘피(Zostera marina)가 번식하고 있는 곳으로서 수산동물의 산란장과 새끼들의 성육장으로서 중요한 곳이라 한다.
위에서도 보듯이 거머리말속 수거머리말에서도 조스테라(Zostera)는 해양식물 해초 잘피라는 것인데 여기서는 북아메리카 대서양연안을 지정하고 있다.
caule-scens
가우리(caule) 와 scens 가 분리 된다.
scens = climb [transcend, ascend]라 하였으니
가우리(caule)를 기어오른다의 뜻으로 풀이 할 수 있다.
잘피가 기어오르는 곳은 가우리(caule)영역이라고 해석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4)꿀풀과 광대수염속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L.)
Scientific clasification
Kingdom: Plantae
(unranked): Angiosperms
(unranked): Eudicots
(unranked): Asterids
Order: Lamiales
Family: Lamiaceae
Genus: Lamium
Species: L. amplexicaule
Binomial name
Lamium amplexicaule L.
[Lamium amplexicaule]
(Henbit Deadnettle, Greater Henbit) is a species of Lamium native to Europe, western Asia and northern Africa.
It flowers very early in the spring even in northern areas, and for most of the winter and the early spring in warmer areas such as the Mediterranean region.
It is widely naturalised in eastern North America and elsewhere, where it is often considered to be an invasive weed.
위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은 꿀풀과에 속한 두해살이풀이다.
유라시아 원산인 구 귀화식물이며, 한대지역에서 온대지역까지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전국 각지의 햇빛이 잘 드는 비옥한 땅에서 자란다.
유라시아의 원산이며 우리나라에는 귀화식물이라고 분명하게 못을 박고 있다.
즉 한반도에서는 유라시아에 들어온 귀화식물이 자란다는 말이다.
amplexi-caule
박주가리과와 마찬가지로
Caule 줄기로
amplect-, amplexi-, amplex-(Latin: embrace; clasp, clasping)
amplexi 는 악수 포옹으로 귀결된다.
그리고 광대나물 역시 원산지가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를 지정하고 있으며 지중해연안에 따뜻한 곳에 이른 봄이면 꽃이 핀다 하였으며 동 북아메리카(eastern North America)귀속되었다고 한다.
여기서도 북아메리카를 말하고 있다.
가우리(caule)영역인 것이다.
(5)꿀풀과 탑꽃속 탑꽃(Clinopodium gracile var. multicaule (Maxim.) Ohwi)
clinopodium -wild basil
The Greek klino means "a bed" and the Greek podion means "a little foot".
Scientific classification
Kingdom: Plantae
(unranked): Angiosperms
(unranked): Eudicots
(unranked): Asterids
Order: Lamiales
Family: Lamiaceae
Genus: Clinopodium L.
Type species
Clinopodium vulgare L.
Clinopodium ashei
It is native to Florida and Georgia in the United States.
Clinopodium brownei
This herb is found during late winter and early spring in marshy environments along the Gulf Coast of the United States, specifically from Texas through Florida.
Clinopodium chandleri
It is native to northern Baja California and several areas of southern California, where it can be found in mountain 채퍼널(chaparral).
Clinopodium dentatum
It is native to Florida and Georgia in the United States.
Yerba buena (Clinopodium douglasii)
is a rambling aromatic herb of western and northwestern North America, ranging from maritime Alaska southwards to Baja California Sur.
Clinopodium mimuloides
It is endemic to California, where it can be found in the mountain ranges of the Central Coast and Los Angeles area.
위 탑 꽃(Clinopodium gracile var. multicaule)은 여러해살이풀(대체적으로 아열대, 열대식물이다.)로 높이 10-30㎝ 가량으로 줄기는 뭉쳐나고 가지가 갈라졌다. 잎은 마주나며 달걀꼴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6-8월에 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층층으로 흰색 꽃이 돌려 달리므로 마치 탑을 떠올리게 한다.
위 탑 꽃 학명(Clinopodium gracile var. multicaule)에 multicaule 가 있다.
탑꽃을 한어에서는 전도초(剪刀草), 즉 가위꽃이라고도 부른다.
gracile 가냘픈, 연약한(slender)
multi-caule
다중, 다목적(multi)
다중적인 가우리(caule)을 높이 칭송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이 꽃 역시 부류의 원산지를 보면 전부 북아메리카를 막라하고 있다.
(6)백합과 둥굴레속 선둥굴레(Polygonatum grandicaule Y.S.Kim, B.U.Oh, C.G.Jang)
황정, 둥글레(黃精:笔管菜) http://blog.daum.net/han0114/17049642
우리는 이 둥굴레를 차로 많이 먹는다.
신선들 양식이라고 하여‘선인유량(仙人遺糧)’이라고 하였고 구궁초(救窮草)라 불리며 흉년에 구황식물로 잘 알려진 둥굴레 황정이다.
黄精(学名:Polygonatum sibiricum)
”分布于西伯利亚、蒙古、朝鲜以及中国大陆的山西、河北、安徽、黑龙江、河南、辽宁、内蒙古、陕西、山东、浙江、吉林、甘肃、宁夏等地,
别名又稱
鸡头黄精(中药志),黄鸡菜(东北),笔管菜(辽宁),爪子参(陕西),老虎姜(宁夏),鸡爪参(甘肃)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門: 被子植物门 Magnoliophyta
綱: 单子叶植物纲 Liliopsida
目: 百合目 Liliales
科: 百合科 Liliaceae
屬: 黄精属 Polygonatum
種: 黄精 P. sibiricum
二名法
Polygonatum sibiricum Delar. ex Redouté
Traditionally, "Solomon's Seal" purportedly alleviates a range of afflictions from menopause to broken bones.[citation needed] As a topical application, the root are said to expedite the healing of cuts and bruises, skin irritations and inflammations, and as a face wash is good for acne, blemishes and all kinds of imperfections of the skin.
Polygonatum biflorum
is a species of the family Polygonatum native to eastern North America.
Polygonatum-Biflorum-Walt-Ell-Hairy-Solomon-s-Se-1295
Polygonatum biflorum (Walter) Elliot, Giant Solomons-seal
Polygonatum commutatum
is a widespread native plant of North America, located mainly from the eastern seaboard through the Great Plains
Polygonatum commutatum (R. & S. ) Dietr.
Polygonatum multiflorum
In Britain it is one of three native species of the genus, the others being Angular Solomon's-seal and Whorled Solomon's-seal.
Solomon's-seal : 둥굴레(백합과(科) 둥굴레속(屬) 식물의 총칭).
Polygonatum multiflorum (L. ) Allioni EURASIAN SOLOMONS SEAL
Polygonatum odoratum
In Britain it is one of three native species of the genus, the others being (Common) Solomon's-seal and Whorled Solomon's-seal.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where it is called yùzhú (玉竹).
Polygonatum verticillatum or Whorled Solomon's-seal
轮叶黄精 分布于欧洲、부탄(不丹Bhutan)、네팔(尼泊尔)
별칭:红果黄精(中药志),地吊(四川)
위의 분류 종에서 Polygonatum biflorum는 Giant Solomons-seal 이라 하였고 Polygonatum multiflorum 에서는 Angular Solomon's-seal and Whorled Solomon's-seal 이라 하였다.
둥굴레에서 솔로몬의 문장(Solomon's Seal)이라 하는 것은 성경에 등장하는 솔로몬과 관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솔로몬의 문장(Solomon's Seal)은 두개의 삼각형이 역 교차 된 상징을 의미하고 이 상징은 다윗의 별(the star of david)로 유명하지만 솔로몬의 문장(Solomon's Seal)이란 말과 같은 의미라고 한다. 둥굴레가 겨울에 뿌리만 남고 말라버린 엽흔(葉痕, leaf scar)의 모양이 이 솔로몬의 문장(Solomon's Seal)과 닮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이다.
이것 역시 신성적인 상징성을 말하는 것인데 솔로몬의 문장(Solomon's Seal)이 종교적 상징성을 조금이라도 내포한 것이라면 이렇게 이름한 서양인들은 적어도 가우리(caule)의 전통적 신앙관 신선들이 즐겨먹는 양식이라 하거나 사슴들이 즐겨먹는 녹죽(鹿竹)이라 하여 선인유량(仙人遺糧)이라 한 것처럼 이 둥굴레를 신성하게 받아들인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둥굴레는 흉년이나 천재지변을 만난 백성들을 기근으로부터 구하는 구황(救荒)식품 중 하나였고 옥죽(玉竹, Polygonatum odoratum)이라 하고, 층층갈고리둥굴레는 황정(黃精Polygonatum sibiricum)이라 하였다.
양지바른 곳에서 자생하거나 재배하며 뿌리줄기를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말리거나 쪄서 약재로 사용한다.
옥죽(玉竹)의 성질은 약간 차면서 단맛이 난다.
진액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폐가 건조하면서 열이 있어 기침이 나고 객담이 끈끈할 때, 감기로 인하여 열이 나고 기침을 할 때 음을 보충해 치료하는 작용이 있다.
위에 열이 있어 입안이 건조해지고 갈증이 나며 공복감이 느껴질 때도 진액을 생기게 하여 치료하는 작용이 있다. 옥죽(玉竹)은 물질대사를 촉진시키고 심장혈관계의 기능을 개선시켜 강심작용과 혈압강하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작용이 있어 피부노화 방지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황정의 성질은 평(平)하고 단맛이 있다. 옥죽(玉竹)과 같이 폐와 위가 열로 인하여 건조해 기침과 끈끈한 객담이 생기거나 입안이 마르고 갈증이 날 때 진액을 생기게 하여 치료하는 작용은 비슷하다. 그러나 옥죽(玉竹)에 비하여 비위나 신장의 기능을 보하는 작용이 있다.
이 옥죽(玉竹)이 솔로몬 문장(Solomon's-seal)이라 한다.
여기서도 보면 Polygonatum biflorum 원산지(native)가 동북아메리카이고 Polygonatum commutatum 원산지(native)도 북아메리카이다.
여기서도 변함없이 아메리카를 말하고 있다.
가우리(caule)영역인 것이다.
특히 세종지리지와 산림경제에서는 황정 둥굴레가 평안도에서만 난다 했다.
또 선둥굴레 학명(Polygonatum grandicaule)에서 “grandicaule”가 있다.
“grandicaule”가 무엇인가?
grandi : big, large.
큰 가우리(caule)다.
얼마나 컸으면 큰 (grandi)라 했을까?
muti, grand caule 어떠한가?
이상 가우리(caule) 학명으로 본 삼한의 규모와 위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한반도가 아닌 아메리카이다.
그것도 북아메리카가 가우리(caule)와 밀접하게 켑쳐(capture) 되고 있다.
바로 이 가우리(caule)가 아메리카일 가능성에 대한 충분하고도 남을 이야기거리를 분명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다는 이야기다.[세계삼한역사연구:한부울]
*************************
박주가리과(蘿藦, Cynanchum)
[In the foreground, Cynanchum aphyllum]
Scientific classification
Kingdom: Plantae
(unranked): Angiosperms
(unranked): Eudicots
(unranked): Asterids
Order: Gentianales
Family: Apocynaceae
Genus: Cynanchum L. 1753 swallow-worts
Species
About 300, see text.
is a genus of about 300 species including some swallowworts, belonging to the family Apocynaceae. The taxon name comes from Greek kynos (meaning "dog") and anchein ("to choke"), referring to the toxicity of these plants. Hence the common name for several species is dog-strangling vine. Most species are non-succulent climbers or twiners.
MorphologyThese plants are perennial herbs or subshrubs, often growing from rhizomes. The leaves are usually oppositely arranged and sometimes are borne on petioles. The inflorescences and flowers come in a variety of shapes.
Like other species of the milkweed family, these plants bear follicles, which are podlike dry fruits.
Distribution(원산지)
이 종은 세계지역에서 열대지방과 아열대지방에서 발견된다.
These species are found worldwide in the tropics and subtropics. Several species also grow in temperate regions.
***
협죽도과 또는 마삭나무과는 용담목의 과이다.
白前属(Cynanchum),又称鹅绒藤属、牛皮消属,是萝摩科下的一个属,
主要分布于热带和亚热带地区
Cynanchum is a genus of about 300 species including some swallowworts, belonging to the family Apocynaceae
These species are found worldwide in the tropics and subtropics. Several species also grow in temperate regions.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John Forbes Royle (1799-1858), British botanist and teacher of materia medica, was born in Kanpur (then Cawnpore) in 1799.
Robert Wight (1796-1872) was a Scottish surgeon and botanist who spent 30 years in India.
native to Asian temperate and tropical regions; found in China (in Sichuan, Xizang, and Yunnan provinces), Bhutan, Nepal, and the northern parts of Pakistan and India
Cynanchum elegans(Benth.) Domin
George Bentham CMG FRS (1800 -1884) was an English botanist,
Karel Domin (1882-1953) was a Czech botanist and politician.
found in New South Wales in Australia.
Cynanchum laeve(Michx.) Pers
André Michaux (1746-1802) was a French botanist and explorer.
Christiaan Hendrik Persoon (1761-1836) was a mycologist who made additions to Linnaeus' mushroom taxonomy.
native to eastern and central U.S. states and ontario.
Cynanchum louiseae Kartesz & Gandhi
native to Europe and is found primarily in Italy, France, Portugal, and Spain. It is an invasive plant species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parts of the Midwest, southeastern Canada, and California.
Cynanchum rossicum
pale swallowwort,dog-strangling swallowwort, dog-strangling vine
native to southern Europe.
Cynanchum utahense(Engelm.) Woodson
George Engelmann, also known as Georg Engelmann, (1809-1884) was a German-American botanist.
native to the Mojave Desert from California to Utah and Arizona in the United States.
Cynanchum vincetoxicum(L.) Pers.
It is native to cliffs and slopes, especially in calcareous soils, of continental Eurasia (including some Baltic islands). There are introduced populations in North America (Ontario, Michigan, and New York).
***************************
合掌消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門: 被子植物门 Magnoliophyta
綱: 双子叶植物纲 Magnoliopsida
目: 龙胆目 Gentianales
科: 夹竹桃科 Apocynaceae
屬: 鹅绒藤属 Cynanchum
種: 合掌消 C. amplexicaule
二名法
Cynanchum amplexicaule(Sieb. et Zucc.) Hemsl.
헴슬리(William Botting Hemsley, 1843-1924)was an English botanist and 1909 Victoria Medal of Honour recipient
变种
合掌消 C. a. var. amplexicaule
紫花合掌消 C. a. var. castaneum
合掌消(学名:Cynanchum amplexicaule)为夹竹桃科鹅绒藤属的植物。分布于日本、朝鲜以及中国大陆的辽宁、黑龙江等地,生长于海拔100米至1,000米的地区,一般生于湿地、山坡草地、田边或沙滩草丛中,目前尚未由人工引种栽培。
合掌消(原变种)
**************
紫花合掌消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門: 被子植物门 Magnoliophyta
綱: 双子叶植物纲 Magnoliopsida
目: 龙胆目 Gentianales
科: 夹竹桃科 Apocynaceae
屬: 鹅绒藤属 Cynanchum
種: 合掌消 C. amplexicaule
變種: 紫花合掌消 C. a. var. castaneum
三名法
Cynanchum amplexicaule var. castaneum Makino in Bot.
검은솜아마존(Cynanchum amplexicaule for. castaneum Ohwi)
지사부로 오위(Jisaburo Ohwi, 1905-1977)Japanese botanist
紫花合掌消(学名:Cynanchum amplexicaule var. castaneum)是夹竹桃科鹅绒藤属合掌消的变种。分布于朝鲜、日本以及中国大陆的河北、湖北、广西、黑龙江、湖南、山东、内蒙古、陕西、河南、吉林、辽宁、江西、江苏等地,生长于海拔100米至1,000米的地区,一般生于湿草地、田边、山坡草地和沙滩草丛中,目前尚未由人工引种栽培。
别名合掌消(植物名实图考);合掌草、合掌硝、硬皮草(湖南);甜胆草、土胆草(湖南、江西)
Latin
Adjective
castaneum
1.nominative neuter singular of castaneus
2.accusative masculine singular of castaneus
3.accusative neuter singular of castaneus
4.vocative neuter singular of castaneus
a chestnut tree
a chestnut (nut)
************************************
'세계삼한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잉카제국 마지막 황제 무덤 발굴 (0) | 2012.03.04 |
---|---|
스페인의 땅은 신라 땅이다? (0) | 2012.02.28 |
고려금속활자발명과 구텐베르크와의 이상한관계 (1) | 2012.01.22 |
코라이(korai)는 그리스(Greece)에 어떤 의미로 존재했을까? (0) | 2012.01.14 |
칠면조(七面鳥, 火雞, turkey)로 본 터키(Turkey)는 북아메리카에 있었는가? (0) | 2011.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