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조선 강역이 보인다-벽려(薜荔 : Ficus pumila) http://blog.daum.net/han0114/17050234
******************************************
[慶尙道]
2.광평부(廣平府)는 청하(淸河)이고,
直隸省(十一府。六直隸州。十九州。一百二十四縣)。
○廣平府(名武安。一州。九縣)永年縣(名平千。附府)曲周(斤漳)肥鄉(清漳)雞澤(量村)廣平(長樂)邯鄲(趙都)成安(斥邱)威縣(洛水)清河(信成)磁州(隆陽)
廣平府
唐复为洺州《唐书》:武德元年,改武安郡为洺州。二年,为窦建德所据。四年,平,立山东道大行台于此。五年,刘黑闼都之。六年,黑闼平,置洺州大总管府,寻复为洺州。天宝初,曰广平郡。乾元初,复故。宋仍曰洺州亦曰广平郡。金人因之。
元初亦为洺州初置邢洺路,兼领邢、磁、威三州。寻又为洺磁路,兼领磁、威二州。至元中,升为广平路。
宋建炎二年、金天会六年(1128年)四月,金兵破宋洺州,十二月金兵攻占宋大名府,今广平县境始为金地。
金大定七年(1167年),金析魏县地置广平县,属洺州。金兴定四年、蒙古太祖十五年(1220年),广平县为蒙古汗国所辖。金正大八年、蒙古太宗三年(1231年)蒙古始立中书省,统山东、山西、河北之地,谓之“腹里”,广平县属之。
蒙古太宗八年(1236年)属中书省邢洺路。蒙古宪宗二年(1252年),改邢洺路为洺磁路,广平县属之。
元至元十五年(1278年)改路名为广平路,广平县仍属之
明洪武元年(1368)改广平路为广平府,隶属直隶京师,治永年县(今河北省永年县),明末领九县,永年,鸡泽,曲周,肥乡,广平,成安,威县,邯郸,清河。清末辖永年(今河北省永年县)、曲周县(今河北省曲周县)、肥乡(今河北省肥乡县)、鸡泽(今河北省鸡泽县)、广平(今河北省广平县)、邯郸(今河北省邯郸市)、成安(今河北省成安县)、威县(今河北省威县)、清河(今河北省清河县)共9县;磁州(今河北省磁县)1散州。
明永乐十九年(1421)广平县属京师广平府。清代、广平县属直隶省广平府。
中华民国初年沿清制。民国2年(1913年)废府,广平县属直隶省冀南道。翌年,冀南道改名为大名道,广平县仍属之。民国17年〔1928年)6月28日直隶省改为河北省,同时废道改县直属省,广平县直属河北省。民国26年(1937年)属河北省第十三督察区。
武安县
历史古代
武安县盖以武安邑为名,武安故邑在今河北武安市西南五十里的固镇,据《史记·秦本记》载:“昭襄王二十九年(公元前278年)白起为武安君”,其食邑即此地,邑因封号而名武安,至于其含义,《史记·正义》载,秦名将白起“能抚养军士,战必克,得百姓安集,故号武安。’ 武安县地,在春秋时属晋。战国时为赵之武安邑。秦代属邯郸郡。
西汉始于武安故邑(今河北武安市西南五十里固镇)置武妄县,不久移至今武安市区,属魏郡。
王莽时更武安称桓安。东汉时复故名,仍属魏郡。
三国魏时,武安县属冀州广平郡。西晋属司州广平郡。北魏时武安县属相州广平郡,天平初(公元534年)改属司州魏尹。北齐属司州清都尹。后周更隶洺州。
隋代,开皇十年(公元590年)析武安县置阳邑县,两县皆属广平郡。大业初(元年为公元605年)省阳邑复入武安县,其后武安县改属武安郡。
唐代,武德元年(公元618年)武安县改属紫州,四年改属慈州,六年改属洺州,永泰元年(公元765年)改属礠州,天佑三年(公元906年)礠州改名惠州,武安县仍属之。
五代后唐时,惠州复名礠州,武安县仍属之。
宋政和三年(公元1113年)礠州更为磁州,武安县仍隶焉。金代因之。
元至元二年(公元1265年)武安县并入邯郸县,不久便复置,十五年武安县属广平路磁州,元末武安县废。
明洪武元年(公元1368年)十一月复置武安县,属京师广平府磁州,二年改属河南省彰德府磁州。
清初因之,雍正四年(公元1726年)直京于河南省彰德府。
清河县
历史沿革
黄河流域是中华民族的发祥地。清河地处黄河下游,与华夏民族有着同样悠久的历史。
明朝(公元1368年-1644年),清河县隶属北平布政司大名府。
洪武六年改隶光平府,永乐后为直隶广平府,县城在清河老城里。
为明正德七年修,城周三里,高二丈,阔一丈五尺。
清朝(公元1616-1911年),仍为直隶省广平府清河县,初属顺广道,后属大名道。
清河县自金元降为县之后,其县境至今无大变化。清河县城址仍与前朝同。
1912年中华民国建立,废除州府制,实行中央、地方两级行政管理,中央辖省(市)及地方。清河县属河北省。当时全省132个县分15个区,清河是第12区所辖11个县之一,区署设在南宫县,清河为三等县。
***********************************
세종지리지
경주부◎ 청하현(淸河縣)
본디 고구려의 아자현(阿子縣)인데, 신라에서 아해(阿海)로 이름을 고쳐 유린군(有隣郡)의 영현(領縣)으로 삼았고, 고려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현종 무오년에 경주(慶州) 임내(任內)에 붙였는데, 본조 태조 원년 임신에 비로소 감무(監務)를 두었다.
진산(鎭山)은 고학(高鶴)이며,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바다에 이르기 6리, 서쪽으로 신광(神光)에 이르기 9리, 남쪽으로 흥해(興海)에 이르기 8리, 북쪽으로 영덕(盈德)에 이르기 14리이다.
호수는 2백 35호, 인구가 7백 24명이며,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2명, 선군(船軍)이 46명이다.
토성(土姓)이 3이니, 김(金)·명(明)·이(李)요, 속성(續姓)이 2이니, 주(朱)【웅신(熊神)에서 왔다. 】·정(鄭)【근본은 알지 못하나, 모두 향리가 되었다. 】이며, 남계 부곡(南界部曲)의 성이 1이니, 길(吉)이다.
땅이 메마르고, 기후는 따뜻하며, 간전(墾田)이 7백 99결이다.【논이 3분의 1이다. 】토의(土宜)는 오곡(五穀)과 삼[麻]이며, 토공(土貢)은 꿀·밀[黃蠟]·칠·종이·미역·대구·광어·모래무지·전포(全鮑)·마른 조개·여우가죽·노루가죽이요, 약재(藥材)는 방풍(防風)이다. 염소(鹽所)가 3곳이니, 하나는 현 동쪽에 있고, 둘은 현 북쪽에 있다.
읍 석성(邑石城)【둘레가 2백 20보이며, 안에 우물 둘이 있다. 】역(驛)이 1이니, 송라(松羅)이며, 봉화가 1곳이니, 도리산(都里山)으로, 현 북쪽에 있다.【남쪽으로 흥해(興海)의 오연대(烏烟臺)에 응하고, 북쪽으로 영덕(盈德)의 황석산(黃石山)에 응한다. 】
신증동국여지승람 지리지
청하현(淸河縣)
동쪽으로 해안까지 7리이고, 남쪽으로 흥해군(興海郡) 경계까지 11리이며, 서쪽으로 경주(慶州) 신광현(神光縣) 경계까지 13리이고, 북쪽으로 영덕현(盈德縣) 경계까진 19리이다. 서울까지의 거리는 8백 41리이다.
[건치연혁]본래 고구려의 아혜현(阿兮縣)으로, 신라 때 해아현(海阿縣)으로 개칭하여 유린군(有隣郡)의 영현(領縣)으로 두었는데, 고려조에 이르러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으며, 현종(顯宗) 때에는 경주에 예속시켰고, 본조에 들어와서 태조(太祖) 때에 비로소 감무를 두었다가 후에 현감으로 고쳤다.
[형승]동쪽으론 푸른 바다를 누르고, 서쪽으로는 중첩된 봉우리가 나란히 섰다 홍여방(洪汝方)의 기문에, “동쪽으론 넓은 바다를 눌러 파도가 만경이요, 서쪽으론 중첩된 봉우리와 나란히 서 있어 운하가 천태로다.” 하였다. 돌성[石堡]은 큰 강을 베개 삼고 조서강(趙瑞康)의 시에 있다.
[산천]호학산(呼鶴山) 현의 서쪽 9리에 있으며, 진산(鎭山)이다. 내영산(內迎山) 현의 북쪽 11리에 있다. 산에는 대(大)ㆍ중(中)ㆍ소(小) 세 개의 바위가 솥발처럼 벌려 있는데, 사람들이 3동석(動石)이라고 한다. 손가락으로 건드리면 조금 움직이지만 두 손으로 흔들면 움직이지 않는다. 신라 진평왕(眞平王)이 견훤(甄萱)의 난을 이 산에서 피했다. 도리산(桃李山) 현의 북쪽 11리에 있다. 신귀산(神龜山) 현의 북쪽 10리에 있으며, 세 용(龍)이 웅덩이에 있는데 가뭄에 비를 빌면 응한다 한다. 별내현(別乃峴) 현의 남쪽 15리에 있으며 흥해군(興海郡)과의 경계에 있다. 용산(龍山) 현의 남쪽 6리에 있다. 바다 현의 동쪽 6리에 있다. 개포(介浦) 현의 동쪽 6리에 있는데, 일찍이 병선(兵船)을 배치했었으나, 해문(海門)이 광활하기 때문에 항상 풍랑의 근심이 있어서, 영일현(迎日縣) 경계인 통양포(通洋浦)로 옮겨 배치했다. 세상에 전하는 말로는, “신라 때에 군영(軍營)을 설치하고 해안 개포 세 곳에 해자(海子)를 파서 왜구를 막았다.” 하였는데, 그 길이는 각각 2리이고, 깊이는 두어 길이 되었으며, 그 유적이 아직도 남아 있다. 이기로포(二岐路浦) 현의 동쪽 10리에 있다. 허혈포(虛穴浦) 현의 동쪽 7리에 있으며, 돌에 빈 구멍이 있다 해서 붙인 이름이다. 고송라포(古松羅浦) 현의 북쪽 13리에 있다. 도리포(桃李浦) 현 북쪽 11리에 있다. 벌지(伐池) 현의 서쪽 7리에 있으며 둘레가 1만 3백 척이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
[토산]방어(魴魚)ㆍ전복[鰒]ㆍ대구(大口)ㆍ청어(靑魚)ㆍ홍합(紅蛤)ㆍ백조어(白條魚)ㆍ김[海衣]ㆍ미역[藿]ㆍ넙치[廣魚]ㆍ꿀[蜂蜜]ㆍ석이[石蕈].
[불우]보경사(寶鏡寺) 내영산(內迎山)에 있으며, 고려 때 이송로(李松老)가 지은 원진국사(圓眞國師)의 비가 있다. 상태사(常泰寺) 호학산(呼鶴山)에 있다.
[고적]고청하(古淸河) 지금의 현청 소재지 남쪽으로 10리 떨어져 있다. 북아부곡(北阿部曲) 현의 북쪽으로 10리에 있다. 등정부곡(等汀部曲) 현의 동쪽 7리에 있다. 김해부곡(金海部曲) 현에서 서쪽으로 7리에 있다. 모등곡부곡(毛等谷部曲) 현의 서쪽 5리에 있다. 신지부곡(新池部曲) 현의 서쪽 4리에 있다. 우천부곡(于川部曲) 현의 서쪽 10리에 있다. 남계부곡(南界部曲) 현의 남쪽 10리에 있다.
*****************[계속]
'세계삼한역사 >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慶尙道]4.서안부(西安府)는 함양(咸陽) (0) | 2011.03.16 |
---|---|
[慶尙道]3.회안부(淮安府)는 안동(安東) (0) | 2011.03.16 |
[慶尙道]1.진정부(眞定府)는 지금의 진주(晉州) (0) | 2011.03.16 |
[全羅道]9.호주부(湖州府)는 장흥(長興) (0) | 2011.03.16 |
[全羅道]8.동평부(東平府)는 제주(濟州) (0) | 2011.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