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름(菱角:Trapa)
글쓴이:한부울
도금양목(桃金孃目:Myrtales), 마름과(菱科:Trapaceae), 마름속(菱屬:Trapa)의 능각(菱角)이라고 하는 기괴한 모양의 모서리가 뾰족뾰족한 송곳과도 같다하는 마름(菱)열매이다.
속명(屬名) 트라파(Trapa)는 라틴어의 디슬("thistle")엉겅퀴의 의미가 있고 calci-trappa 는
calcitrappa, Latin name of the caltrop, in reference to the peculiar, horned fruits. 가시가 난 열매, 기묘하게 생긴 뿔 같은 과일이라는 뜻의 라틴어에 기원함을 알 수 있다.
현재는 알려지길 대만의 남부지방 타이난에서 많이 생산되는 링짜오(菱角)라고 하고 물에서 자라는 식물인데 조선에서는 말율(末栗)·지(芝)·지실(芝實)·능각(菱角)·수율(水栗)·능(菱)이라 하였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는 마름의 뿌리는 진흙 속에 있고, 원줄기는 수면까지 자라며 끝에서 많은 잎이 사방으로 퍼진다 하였고 잎은 능형 비슷한 삼각형으로 위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길이는 2.5∼5㎝, 너비는 3∼8㎝로서 표면에 윤채가 있고 뒷면에 털이 많으며 꽃은 흰색 또는 붉은색이 돌며 7, 8월에 핀다하였다.
전국 각지의 저수지나 연못에 분포하고 식물의 부위에 따라서 줄기는 능경(菱莖), 잎은 능엽, 과병(果柄)은 능체(菱蒂), 과피(果皮)는 능각(菱殼), 과육(果肉)속에 들어 있는 흰색의 녹말은 능분(菱粉:Starch)이라고 하는 것으로 마름의 열매에는 녹말이 함유되어 있고, 포도당·단백질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복수간암에 작용하는 물질도 확인되었고 한약으로 쓰인 것은 중국 당나라 때부터라고 하였으며 약효는 여름에 더위를 물리치고 소갈(消渴)을 도우며 가슴이 답답하고 피로한 번조(煩燥)증상을 해소시킨다 하였고 또 위를 튼튼하게 하는 건위(健胃)작용과 체내에 알콜 성분이 축적되는 것을 제거하는 작용이 강하고 팔과 다리의 마비증상을 풀어주고 요통과 골격, 근육의 통증을 치유하기도 한다 하였다. 마름의 잎은 어린아이의 머리가 상처가 나 헌데 쓰이고, 과피(果皮)는 온 몸에 부스럼이 나는 창진(瘡疹)과 이질·설사·탈항(脫肛)·치질 등에 쓰이며, 줄기는 위궤양 치료에 쓰이고 마름의 녹말은 구황식품으로도 이용되었다는 기록을 볼 수가 있다.
세종지리지 마름 자생 분포지
충청도(忠淸道) 청주목(淸州牧) 연기현(燕岐縣)
전라도(全羅道)
황해도(黃海道)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평안도(平安道) 벽동군(碧潼郡), 창성도호부(昌城都護府)
전라도(全羅道) 정의현(旌義縣), 만경현(萬頃縣), 김제군(金堤郡)
경상도(慶尙道) 김해도호부(金海都護府), 밀양도호부(密陽都護府)
산림경제 제4권
치약(治藥)
능인(菱仁) 마름. 가루 만드는 방법은 치선(治膳) 조에 보인다.
秋間菱角黑時。收取撒在池中。來年自生。 神隱 煮熟。取仁作粉。極白滑。宜人。 本草 此物最冷。不可多食。令人腹脹。飮薑酒。卽消。 上同
가을에 능인의 뿔이 검을 때 거두어서 연못에 뿌려두면 다음해에 저절로 난다. 《신은지》
삶아서 알맹이를 채취하여 가루를 만드는데 아주 희고 미끄러우며 사람에게 좋다. 《증류본초》
이것은 매우 냉하므로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사람이 그것을 먹고 배가 부어오를 때에는 생강술을 먹으면 즉시 낫는다. 《증류본초》
그런데 이 기괴한 열매가 위 자료에서 보는 것처럼 세종지리지(世宗地理志)에 토산(土産)으로 충청도(忠淸道), 전라도(全羅道), 황해도(黃海道)에 난다 하였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평안도(平安道), 전라도(全羅道), 경상도(慶尙道)에 난다 하였다.
이 기괴하게 생긴 열매가 우리나라 땅에 났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菱角(学名:Trapa bicornis),是一種水生植物,屬於菱科或者千屈菜科,是中國食物的一種。英语中俗称Water chestnut,将荸荠也称为(Chinese Water chestnut),但二者根本是完全无关的两种植物。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門: 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綱: 雙子葉植物綱 Magnoliopsida
目: 桃金孃目 Myrtales
科: 菱科 Trapaceae
屬: 菱屬 Trapa
種: 菱 T. bicornis
二名法
Trapa bicornis L.
마름(菱仁)은 능각(菱角)이라고 하는 열매라는 것에 각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위 한어자료에는 영어로 워터 체스너트(Water chestnut) 즉 “물밤”이라고 하였으며 또는 중국물밤(荸荠:Chinese Water chestnut)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혼칭은 분류체계적으로 볼 때 전혀 다른 것의 종류이므로 혼동이 불가하다고 말하고 있다.
즉 중국물밤이라는 명칭이 또 다른 종에 있는데 이것에서 혼란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이것을 생물학적 분류체계적으로 풀어보면 확실하게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중국 물밤(Chinese Water chestnut)이라고 하는 발제(荸薺)는 “올방개”라는 것으로 쌍떡잎식물(雙子葉植物:Magnoliopsida)이 아닌 외떡잎식물(單子葉植物:Monocotyledon)계로 벼목(禾本目:Poales), 사초과(莎草科:Cyperaceae), 바늘골속(Eleocharis)에 속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올방개는 다음 글에서 이야기 하려는데 발해지명 근거와 관계가 있다고 보는 식물이다.
분명한 것은 이 마름의 이름의 식물은 세종지리지나 신증동국여지승람 기록에 우리나라 충청, 황해, 전라, 경상, 평안도에서 일찍이 토산(土産)으로 산출되었다고 하고 국가적인 행사 또는 제례(祭禮)에 일상적으로 쓰였다고 하는 열매로서 수율(水栗)이라고 하는 것은 즉 물에서 나는 열매 “물밤”은 말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밤나무의 밤이 아님을 알 수가 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이렇게 친숙한 역사사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 이상하게 생긴 모양의 마름에 대해서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는 사실이다.
왜 이런 현상이 생겼을까?생각해본다.
그것은 어떤 이유인지 알 수 없지만 현대에 와서 우리 면전에서 사라졌다고 해야 하는 것이다.
토산으로 생산되던 식물이 갑자기 한반도에서 사라졌다?
이것을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가?
위 마름의 모양을 보듯이 거의 이름처럼 “마름모” 형태이지만 특이하게 각 모서리가 뾰족뾰족한 송곳 같아 이 모양을 처음보는 한반도 거의 모든 사람들은 기괴하게 생겼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이 열매가 전통적으로 우리민족들이 식품으로 상용했고 제례(祭禮)에 사용될 정도로 친숙했다면 상당히 오랫동안 기억 속에 각인되고도 남을 일인데 기괴하게 본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즉 우리는 산(山)에서 나는 밤나무에서 생산되는 열매만 밤(栗)이라고 생각하였지 물(水)에서 나는 “물밤(水栗)” 못생긴 능각(菱角)에 대해서 잘 알지 못했다는 것으로서 이것은 한반도 지형 특성상 생소한 식물이고 열매라는 것이다.
이것은 바로 세계삼한역사관점에서 풀어 볼 이야기로 한반도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모순이고 한반도 이동과정 이후에서 생성된 이상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역사를 전제할 때 정상적인 토산이라는 식물을 접하면서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니다.
이것은 안타까운 이야기지만 근세기 동안 역사 단절이 있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알려주고 있는 것이다.
역사의 근원지가 만약 한반도가 아니라고 할 때 생각해보면 오히려 자연스러운 현상이 될 수 있다.
그렇다, 우리의 역사는 한반도로 옮겨지면서 역사시실과 전혀 다른 자연환경에 지배를 받지 않을 수 없었다는 것이며 때문에 이러한 자연스러운 현상은 역사와 관계 없이 우리의 지각과 판단에 맡길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자연스럽게 이 기괴하게 생긴 식물이 사라졌던 것이다.
그것이 오늘날 한반도 태생적 기억으로는 생소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이다.
이러한 경우가 한반도 태생적 생물학적 판단을 할 때 이 물밤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사서에 기록된 수많은 생물들, 동물이나 식물에서 이러한 이상한 의문점을 발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숨길 수가 없다.
다만 우리나라 한반도에 사람들은 이러한 사실을 모른척 하고 있을 뿐이다.
홍만선(洪萬選:1664-1715)의 산림경제(山林經濟)에 보면 매우 중요한 이야기가 있는데 이 마름은 가을에 마름의 열매(菱仁)의 뿔이 검을 때 거두어서 연못에 뿌려두면 다음해에 저절로 난다고 신은지(神隱志)를 인용하는 것을 보면 실제로 역사사실에서 우리나라 땅 연못에 뿌려 두면 다음해 저절로 자연스럽게 생겨 났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것의 작물에 별도로 크게 신경쓸 것 없이 재배가 환경조건만 된다면 가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식물이 천재지변, 전쟁 가뭄과 홍수에 의해 식량이 부족할 때 일시적으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섭취할 수 있는 구황식품(救荒食品)으로 활용되었다는 것은 일반 백성들에게도 아주 흔한 식물이었고 식품이었음을 알게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한반도 사람들은 이것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생소하며 기괴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리가 아니라고 볼 수 있겠다.
영어자료에 보면 이 마름은 유라시아와 아프리카를 원산으로 하고 있고 기원으로는 중국과 인도에서 3000년 전부터 경작되었다고 하였으며 주로 남부지방에 음식으로 사용되었다고 하고 있다 하였고 특히 호수(lakes), 하천, 물줄기, 수로(water courses), 습지대(wetlands)에서 생장하는 것이라고 적고 있다.
물이 풍부한 곳에서 자라는 열매이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이 식물의 근원지가 어딘지 살펴보자.
이 식물의 주요 3종을 살펴보게 되는데 [1]Trapa bicornis Osbeck, [2]Trapa incisa Siebold & Zucc., [3]Trapa natans L. 로 나타나는데 이것을 DNA 분석으로 하는 분포지도 Discover Life 자료를 참고로 게시하며 본다.
[1]Trapa bicornis(L)Osbeck, Horn Nut
루이지애나(Louisiana), 플로리다 남부(Southern Florida), 컬럼비아 특별구(District of Columbia:Washington, D.C.)
[2]애기마름Trapa incisa Siebold & Zucc.1845, 전부 아시아로 분류된 종(種)이다.
ASIA-TEMPERATE
Russian Far East: Russian Federation - Primorye
China: China - Anhui, Fujian, Henan, Hubei, Hunan, Jiangsu, Jiangxi, Sichuan, Yunnan, Zhejiang
Eastern Asia: Japan - Honshu, Kyushu, Shikoku; Korea; Taiwan
ASIA-TROPICAL
Indo-China: Cambodia; Vietnam
[3]Trapa natans L. bull nut, European water chestnut, water chestnut, water nut
Los Angeles, Québec 북아메리카대륙 동북부 다수 밀집
학명[1]Trapa bicornis(L)Osbeck, Horn Nut 을 보면 주로 분포지가 북아메리카대륙 동부와남부에 한정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남부는 루이지애나(Louisiana), 플로리다 남부(Southern Florida), 동부는 컬럼비아 특별구(District of Columbia:Washington, D.C.)를 표시하고 있다.
학명[2]Trapa incisa Siebold & Zucc.1845,는 시볼트와 주카리니가 명명한 학명임을 알 수 있는데 열도를 방문했다고 하는 특이한 학자들이다. 이것을 한반도 식물학자들은 "애기마름"이라고 하는데 분포지를 보면 전부 아시아지역으로 분류된 종(種)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나머지 학명[3]Trapa natans L. 은 린네가 명명한 것으로 황소견과(bull nut), 유럽물밤(European water chestnut), 물밤(water chestnut), 물과(water nut)등으로 불리며 분포지는 서부의 로스엔젤레스(Los Angeles), 캐나다 퀘벡(Québec)그리고 북아메리카대륙 동북부 다수 밀집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최종 정리하고 보면 린네가 붙이 학명 [1], [3]학명을 합하면 조선 세종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분포지와 일치한다고 할 수가 있겠다.[세계삼한역사연구:한부울]
***************************************
四角菱类
野生四角菱
1、馄饨菱,产江苏苏州、浙江杭州一带。晚熟品种,清明播种,秋分到霜降收获。优质丰产,味甜而糯,亩产1000~1200斤。果皮绿白色,每斤40~50个,肩角上翘,腰角下弯,菱腹凹陷,菱肉厚实,皮薄,果重与肉重之比约为1.5:1。
2、小白菱,产江苏吴江、苏州等地。中晚熟品种,清明播种,白露到霜降收获,亩产600~1200斤。肉质硬,含淀粉多,宜熟食,果形较小,每斤60~70个。皮绿白色,,肩角略向上斜伸,腰角细长下弯,腹稍隆起,果重与肉重之比约为1.4:1。菱盘小,茎蔓坚韧,生长势强,抗风浪力较强,生长适应范围较广,宜湖荡深水栽培。
3、大青菱,产江苏吴江、吴县、宜兴等地。中熟种,播种与成熟期与小白菱同,亩产1000~1200斤。品质中等,果形大,每斤20~25个。皮绿白色,肩部高隆,肩角平伸而粗大,腰角亦粗。略向下弯。果皮厚,果重与肉重之比约为2:1。
4、水红菱,产江苏苏州、浙江杭州以及嘉兴一带。早熟种,清明播种,立秋开始收嫩菱,处暑、霜降收老菱,一 般亩产800~1000斤。菱肉含水量多,含淀粉稍少,味甜,宜生食。叶柄、叶脉及果皮均呈水红色。果形较大,每斤25~35个,肩角细长平伸,腰角中长,略向下斜伸,果重与肉重之比约为1.5:1。不耐深水,不抗风浪。
5、邵伯菱,产江苏里下河地区。早、中熟种,处暑到寒露收获,产量中等,亩产500~1000斤,每斤40~50个,皮绿白色,肩角较大,腰角尖锐,皮较薄,果重与肉重之比约为1.5:1。
6、沙角菱,产江苏吴江、吴县等地。中熟种,清明、谷雨播种,立秋、处暑采收。亩产400~600斤。果形小,肩角细锐平伸,腰角向果侧斜伸,皮绿白而厚。菱肉坚硬,富含淀粉,宜熟食。根茎坚韧,叶小密生,抗风浪,耐深水及瘦地。
两角菱类
两角菱
1、扒菱,又名乌菱、风菱、大弯角菱,产江、浙及南方各地。晚熟品种,清明、谷雨播种,寒露、立秋采收,亩产600~1000斤。果形长大,每斤约25个。皮暗绿色,两角粗长而下弯。品质好,含淀粉多。成熟时果柄不易脱落,可以减少采收次数;但皮壳厚,果重与肉重之比约为2:1。寒露
2、蝙蝠菱,产南京附近。早熟品种,清明播种,处暑、寒露采收。生长势较弱,叶表面淡绿,背面赤褐色。果形中等,每斤约40个。皮色有红、绿两种,两角平伸,先端较钝。
3、五月菱,产广州市郊。早熟品种,两角平伸,产量中等,皮薄肉厚,菱肉含水多,为生食品种。
4、七月菱,产广州市郊。晚熟品种,果皮绿色,果形长大,两角粗长下弯,产量较高,含淀粉多,皮壳厚,宜加工制粉和熟食。 [互动백과]
**********************************
'세계삼한역사 >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욱(锦葵 Malva sinensis) (0) | 2010.10.02 |
---|---|
적소두(赤小豆Vigna umbellata)붉은 팥 (0) | 2010.07.26 |
죽여(竹茹)-조선 전라도는 장강유역에 있었다? (0) | 2010.02.25 |
조선현호색(朝鮮玄胡索:Corydalis sempervirens) (0) | 2010.02.21 |
유구국의 위치-광랑나무[桄榔樹] (0) | 2009.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