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삼한역사/식물

조선애백(朝鮮崖柏)의 정체는?

한부울 2013. 1. 12. 22:32

*****************************

조선애백(朝鮮崖柏)의 정체는?

 

글쓴이:한부울

 

조선애백의 애(崖)는 벼랑, 절벽, 낭떠러지를 나타내는 뜻이고 애백이란 이 나무도 그런 의미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 하겠다.

단애(斷崖), 절애(絶崖)는 깎아지른 듯한 낭떠러지(cliff)라는 뜻이다

한반도 지형은 산은 많으나 단애(斷崖), 절애(絶崖)와 같은 인위적인 것 말고 자연적인 지형에서만 볼 수 있는 낭떠러지기 또는 벼랑 천길만길 절벽 등은 찾아보기 힘든다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도 예부터 조선애백(朝鮮崖柏)이라고 독특한 명을 붙이고 있다는 사실이 특이하게 생각되는 점이다.

신중국에서 조차 이렇게 통칭한다는 사실이다.

모르긴 몰라도 동아시아대륙이나 북아메리카대륙 애팔레치아산맥이라든가 아니면 로키산맥이라면 가능한 이야기다.

그렇지 않다면 이것은 무엇인가 처음부터 잘못된 이름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애백(朝鲜崖柏)이라 하여 학명 Thuja koraiensis Nakai 라고 하였는데 아니나 다를까 역시 학명 뒤에는 재수없는 나카이(Nakai)이름을 달고 있다.

정황으로 보았을 때 조선 땅 어느 다른 곳에 있던 이 애백(崖柏)을 한반도로 옮겨 조선애백이라 하고 그 뒤꽁무니에 쪽팔리는 그의 쪽바리 이름을 전승자처럼 달았을 것이란 추측은 쉽게 할 수 있는 일이다.

그것을 마치 한반도가 원산지인 냥 사기를 친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 DNA 분석을 바탕으로 한 Discover life 분포지도를 보면 조선애백이 근거한 곳으로 볼 때 물론 한반도는 나카이(Nakai)이름이 있으니 당연하게 노란점이 있겠지만 미국 북아메리카대륙 동부 매사추세츠(Massachusetts)가 유일하게 올라와 있는 것을 발견할 수가 있다.

매사추세츠(Massachusetts)란 지명은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사용 인구가 많은 아메리카 토착민 언어 나바호어(Navajo)인데 그 뜻이 아래와 같다.

mass- is "large", -adchu- is "hill", -s- is a diminutive suffix meaning "small", and -et is a locative suffix, identifying a place.

"near the great hill", "by the blue hills", "at the little big hill", or "at the range of hills"

모두 언덕 구(丘:hill)와 관계되고 더 나아가 청구(靑丘:Blue Hills)와 관계함을 알 수가 있다.

바로 가까이 서쪽편에 거대한 산맥인 애팔레치아산맥이 세로로 둘러쳐져 있다.

 

[매사추세츠 광동]

 

미국내 광동(廣東)지명을 가진 곳
광동, 캘리포니아(Coloma) 금광으로 유명한 곳

광동, 코네티컷
광동, 조지아
광동, 일리노이
광동, 아이오와
광동, 캔자스
광동, 메인
광둥, 볼티모어, 메릴랜드 지역 공원
광동, 매사추세츠
광동, 미시간
광동, 미네소타
광동, 미시시피
광동, 미주리
광둥, 몬태나, 지금 캐년 페리 호수 아래에 위치한 옛 마을
광동마을, 뉴욕
광동, 노스 캐롤라이나
광동시, 노스 다코타
광둥, 오하이오,이 목록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대도시 지역
광동, 오클라호마
광동, 펜실베니아
광동, 사우스 다코타
광동, 텍사스
광둥, 위스콘신 마을

 

그곳에 조선애백(朝鲜崖柏)을 찾을 수 있는 근거가 있다는 이야기고 또한 그곳에는 동아시아대륙 남쪽 광주(廣州)에 있어야 할 광동(廣東:Canton, Massachusetts)이란 지명도 있다.

물론 비약이 심하다고 할 수도 있다.

모든 것을 감안하고 보자는 의미이다.

또한 우리사서 세종지리지에서 측백이 전라도가 자생지라고 하였고 산림경제에서는 측백뿐만아니라 황백(黃柏)역시 심는 방법과 약재로 사용하는 것등을 기록한 것을 찾을 수가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충청도(忠淸道) 단양군(丹陽郡)편에 보면 황양목(黃楊木)과 측백(側柏)이 돌 틈에서 거꾸로 났다고 하여 애맥임을 알 수 있고 또한 강원도(江原道) 평해군(平海郡)편에는 향백(香柏)은 덩굴 뻗어 돌 틈에 났다고 분명히 기록한 것등이 보인다.

그렇다면 과연 조선애백(朝鮮崖柏)은 어떤 종이고 어디에서 자생지를 찾아야 할까?

(朝鲜崖柏:Thuja koraiensis)为柏科崖柏属的植物。分布于朝鲜以及中国大陆的长白山、吉林:延吉等地,

위는 신중국자료인데 조선애백(朝鮮崖柏)이 분포하는 곳으로 조선과 중국대륙에 장백산(长白山)과 길림연길을 표시하고 있다.

 

애백속(崖柏属:Thuja)是柏科下的一个属,为常绿乔木植物。该属共有约6种,分布于北美和东亚。

native to North America and three native to eastern Asia.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門: 松柏门 Pinophyta

綱: 松柏纲 Pinopsida

目: 松柏目 Pinales

科: 柏科 Cupressaceae

屬: 崖柏属 Thuja L

(1)Thuja koraiensis - Korean Thuja

(2)Thuja occidentalis - Eastern Arborvitae, Northern Whitecedar

(3)Thuja orientalis - Chinese Arborvitae , Oriental Arbor-vitae

(4)Thuja plicata - Western Redcedar

(5)Thuja standishii - Japanese Thuja

(6)Thuja sutchuenensis - Sichuan Thuja

 

애백속(崖柏屬 Thuja)에는 6종이 있다.

현 자료에는 분포지가 북미대륙과 동아시아라고 하고 있지만 실제 나카이 이름이 붙어 있는 가짜 조선애백(朝鲜崖柏)이 아니라 진짜 조선애백을 찾아야 하는데 6종 중에서도 근접할 수 있는 종이 서양측백(Thuja occidentalis)과  동양측백(Thuja orientalis), 자이안트측백(Thuja plicata)이라 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진짜 조선애맥(朝鲜崖柏)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세계삼한역사연구:한부울]

*********************

(1)Thuja koraiensis - Korean Thuja

 

别名长白侧柏(东北木本植物图志),朝鲜柏(中国东北裸子植物研究资料)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門: 松柏门 Pinophyta

綱: 松柏纲 Pinopsida

目: 松柏目 Pinales

科: 柏科 Cupressaceae

屬: 崖柏属 Thuja

種: 朝鲜崖柏 T. koraiensis

二名法

Thuja koraiensis Nakai

 

(2)Thuja occidentalis - Eastern Arborvitae, Northern Whitecedar

 

 

北美香柏, 香柏(通用名),美国侧柏(中国树木分类学),黄心柏木(中国木材学)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門: 松柏门 Pinophyta

綱: 松柏纲 Pinopsida

目: 松柏目 Pinales

科: 柏科 Cupressaceae

屬: 崖柏属 Thuja

種: 北美香柏 T. occidentalis

二名法

Thuja occidentalis Linn.

 

(3)Thuja orientalis - Chinese Arborvitae , Oriental Arbor-vitae

 

왜 측백나무과(柏科: Cupressaceae)의 애백속(崖柏屬 Thuja)이 측백속(側柏屬 Platycladus)으로 바뀐 것인가에 대한 설명은 어디에도 없다.

측백(侧柏:Platycladus orientalis),又名香柏(河北)、香树、香柯树(湖北宣恩、利川)、黄柏(华北)、扁柏(浙江、安徽)、扁桧(江苏扬州),属柏科.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門: 松柏门 Pinophyta

綱: 松柏纲 Pinopsida

目: 松柏目 Pinales

科: 柏科 Cupressaceae

屬: 侧柏属 Platycladus Spach

種: 侧柏 P. orientalis

二名法

Platycladus orientalis(L.) Franco

 

(4)Thuja plicata - Western Redcedar

 

 

미국교백(北美乔柏:Thuja plicata),俗稱:西部側柏、大側柏、美檜、北美紅檜、香杉、西洋杉、美國紅杉、北美紅杉、美國檜木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門: 松柏门 Pinophyta

綱: 松柏纲 Pinopsida

目: 松柏目 Pinales

科: 柏科 Cupressaceae

屬: 崖柏属 Thuja

種: 北美乔柏 T. plicata

二名法

Thuja plicata D. Don

David Don (1799-1841) was a Scottish botanist,

********************************

科學分類

域: 真核域 Eukarya

界: 植物界 Plantae

門: 松柏門 Coniferophyta

綱: 松柏綱 Coniferopsida

目: 松柏目 Coniferales

科: 柏科 Cupressaceae

澳洲柏松屬 Actinostrobus

密葉杉屬 Athrotaxis

智利雪松屬 Austrocedrus

柏松屬 Callitris

澳洲柏屬 Callitropsis * (柏木屬)

翠柏屬 Calocedrus

扁柏屬 Chamaecyparis

柳杉屬 Cryptomeria

杉屬 Cunninghamia

柏木屬 Cupressus

塔斯馬尼亞柏松屬 Diselma

智利肖柏屬 Fitzroya

福建柏屬 Fokienia

水松屬 Glyptostrobus

刺柏屬 Juniperus

肖楠屬 Libocedrus

水杉屬 Metasequoia

小側柏屬 Microbiota

新赫里多尼亞柏松屬 Neocallitropsis

巴布亞柏松屬 Papuacedrus * (肖楠屬)

智南柏屬 Pilgerodendron * (肖楠屬)

側柏屬 Platycladus

紅杉屬 Sequoia

巨杉屬 Sequoiadendron

臺灣杉屬 Taiwania

落羽杉屬 Taxodium

四鱗柏屬 Tetraclinis

崖柏屬 Thuja

羅漢柏屬 Thujopsis

非洲柏松屬 Widdringtonia

*************************************

측백(側柏)

Thuja orientalis(=Biota orientalis)의 잎으로 혈(血)을 길러주고 지혈(止血)작용이 있고 풍습(風濕)을 없애주며 종독(腫毒)을 삭이고, 기육(肌肉)을 만들게 하며 통증을 그치고 뭉친 것을 풀어주며 소변을 잘 보게 하고 수염과 머리털을 검게 해주는 효능이 있는 약재라고 하였다.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반송같이 되는 것을 천지백(for. sieboldii)이라고 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설악산과 오대산 등 높은 산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종을 눈측백(T. koraiensis)이라고 하는데 가지가 서양측백처럼 수평으로 퍼지고 향기가 있다. 이것을 지빵나무라고도 하지만 지빵이나 찝빵은 측백과 같은 뜻이므로 눈(누운)측백이라고 한다. 미국에서 들어온 서양측백은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며 향기가 있고 잎이 넓다. 수형(樹形)이 아름답기 때문에 생울타리, 관상용으로 심는다. [두산백과]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innaeus)의 속명‘Thuja’는 측백나무과 측백나무속, 애백(崖柏)으로 고대 그리스이름 thuia 에서 유래되었으며 ( 발음은 투야) 수지(樹脂)의 뜻 thya 또는 thyia 에서 유래한 설과 향기의 뜻인 thuin 에서 나온 말이라고 하며 종소명 orientalis 는 원산지가 동양이며 영명도 oriental Arbor-vitae(동양의 지빵나무)이고 한자는 측백(柏)이다.

불로장생의 영약이라는 측백(側柏)이란 이름의 유래는 잎이 옆을 향해서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측백나무 수지인 백유의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였으며 개선(疥癬), 나창(癩瘡), 독창(禿瘡), 황수창(黃水瘡), 적유단(赤遊丹)을 치료하고 외용시 그대로 붙이거나 달여서 고약을 만들어 문지른다.

********************

侧柏

******

세종 지리지 / 전라도가 자생지라 했다.

********************

산림경제 제2권  

종수(種樹)

측백나무[側柏]

五六月長霖時。鋪秋麥於坎中而種之生活。經驗方 種法上同

오뉴월 장마 때, 구덩이에 가을보리[秋麥]를 펴고 심으면 살아난다. 심는 법은 위 소나무 조와 같다. 《경험방》

********************

산림경제 제4권  

치약(治藥)

측백(側柏) 측백나무. 심는 방법은 종수(種樹) 조에 보인다. 백탕(柏湯)은 치선(治膳) 조에 보인다.

九月結子。候成熟。收採蒸乾。去殼用。 本草 去殼。取仁微炒。去油用。 入門 葉四時採陰乾。入藥。蒸用。 本草

9월에 열매를 맺는데 성숙(成熟) 하기를 기다려서 채취하여 쪄 말려 깎지를 제거하고 사용한다. 《증류본초》

깎지를 제거하고 알맹이를 취하여 약간 볶아서 기름을 제거하고 사용한다. 《의학입문》

잎사귀는 아무 때나 따서 음건(陰乾) 하며 약에 넣을 때는 쪄서 사용한다. 《증류본초》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14권  

충청도(忠淸道)

단양군(丹陽郡)

『신증』 불암천(佛巖川) 군 남쪽 20리에 있다. 경치가 좋다. 도담(島潭) 군 북쪽 24리에 있다. 세 바위가 못 가운데 우뚝 솟아 있고, 도담에서 흐름을 거슬러서 수백 보쯤 가면 푸른 바위가 만 길이나 된다. 황양목(黃楊木)과 측백(側柏)이 돌 틈에서 거꾸로 났고, 바위 구멍이 문과 같아서 바라보면 따로 한 동천(洞天)이 있는 것 같다. 구담(龜潭) 군 서쪽 20리에 있다.

**********

香柏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5권  

강원도(江原道)

평해군(平海郡)

망양정(望洋亭)-흰 수레가 바람 속을 달리고 은산(銀山)이 언덕에 부서지는 것 같다. 가까이 가서 보면 고운 모래가 희게 펼쳐지고 해당화는 붉게 번득이는데, 고기들은 떼지어 물결 사이에서 희롱하고 향백(香柏)은 덩굴 뻗어 돌 틈에 났다.

**********

黄柏

********

산림경제 제4권  

치약(治藥)

황백(黃柏) 황백나무 껍질. 황벽(黃檗) 이라고도 한다.

生山中。處處有之。五六月採皮。去皺麤。暴乾。 本草 鮮黃色厚者佳。 丹心 銅刀。削去麤皮。蜜水浸半日。取出炙乾用。入下部鹽水炒。火盛者。童便浸蒸。 入門

산중(山中) 곳곳에 난다. 5~6월에 껍질을 채취하여 주름진 추피(麤皮)를 제거하고 볕에 말린다. 《증류초본》

선황색(鮮黃色) 이면서 두꺼운 것이 좋다. 《단계심법》

동도(銅刀) 로 추피를 깎아 버리고 반나절 동안 꿀물에 담갔다가 꺼내어 구건(灸乾) 하여 사용한다. 하부(下部)의 약에 넣을 때 염수(鹽水)로 볶고 화성(火盛) 한 자에게는 동변(童便)에 담갔다가 쪄서 사용한다. 《의학입문》

********************

(2)Thuja occidentalis - Eastern Arborvitae, Northern Whitecedar

 

 

 

 

 

(3)Thuja orientalis - Chinese Arborvitae , Oriental Arbor-vitae

(4)Thuja plicata - Western Redcedar

 

 

 

 

학명 Thuja는 수지(식물에서 분비되는 진득진득한 물질)란 뜻이다. 측백나무과의 나무들이 모두 향기가 있는 수지를 포함하며, 잎과 열매로 기름을 짜서 약용하면 몸에서 나쁜 냄새가 없어지고 향내가 난다고 한다. 또 머리칼이 휘어지지 않고 이와 뼈가 튼튼해져서 오래 산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조경용으로 많이 심으며 자생지에서는 주로 석회암지대의 절벽지에서 회양목과 함께 자라고 있다. 그늘에서도 비교적 잘 견디고, 건조와 추위에 강하며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도 강해 느티나무 못지 않게 오래 자라는 나무로 사랑받고 있다. 겨울에도 나무의 모양이 좋으며, 비교적 키우고 가꾸기가 쉬워 생울타리용, 방품림용 등으로 많이 사용된다

관상수로 심으며, 목재는 절을 짓는 데 자재로 썼고, 쪼개서 향의 재료로도 썼다. 여름에 잎이 붙은 가지를 베어 그늘에 말려서 피를 멎게 하는 약으로 썼으며, 말린 씨앗은 한방에서 ‘백자인’이라는 약재로 썼다.

 

측백나무에 대해서 최영전씨가 기록한 <한국민속식물>에서는 "옛날 진왕(秦王) 때 모녀(毛女: 털이 많은 여인)라는 궁녀가 있었는데 관동(關東)의 적도(賊徒)가 내습했을 때 그녀는 산중(山中)으로 도망쳤다. 허기져서 헤메고 있을 때 한 선인(仙人)이 나타나 송백(松柏) 잎을 먹어보라고 이르고는 사라졌는데 과연 그것을 먹었더니 시장끼를 느끼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그 잎을 계속 먹었더니 겨울에는 춥지 않고 여름에는 더위를 모르게 되었다. 모녀(毛女)는 궁으로 돌아갈 것을 잊었는데 그 후 한(漢)의 성제시(成帝時)에 어떤 사냥꾼이 종남산(終南山)에서 옷도 입지 않고 온몸에 검은 털이 나 있으며 훨훨 날다시피 뛰어 다니는 이상한 사람을 잡아보니 그 사람이 모녀었더라는 것이다.

그때는 이미 진(秦)나라 때부터 200여 년이 지난 후였다 한다. 이 전설은 측백나무가 불로장생의 신선나무(선수:仙樹)임을 암시적으로 말해준 것이다.

또 열선전(列仙傳)에는 적송자(赤松子)가 즐겨 측백나무 씨를 먹었는데 빠졌던 이(치:齒)가 다시 돋아났다고 했으며 화원기(化源記)에도 백엽선인(柏葉仙人)이 눈앞의 측백나무가 불로장생의 영약이라는 도사의 교시를 받아 8년 간 쉬지 않고 그것을 먹었더니 마침내 온몸이 불덩이처럼 더워지고 종기가 돋아나 차마 볼 수 없을 지경이라 옆에 오는 사람이 없었다. 그는 몸을 자꾸 씻었더니 종기는 사라지고 이목이 수려해지고 광채가 나며 머리는 검게 되니 몸이 날 듯 가벼워져 득도선술(得道仙術)하여 우화등선(羽化登仙)하게 되었다고 한다."

측백(側柏)이란 이름의 유래는 잎이 옆을 향해서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