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우산국이 日 오키나와 670년간 경영 신라 우산국이 日 오키나와 670년간 경영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기록 [예1] 太祖 1卷, 1年( 1392 壬申 / 명 홍무(洪武) 25年) 8月 18日 丁卯 1번째 기사 유구국(琉球國)의 중산왕(中山王)이 (스스로를 조선의) 신하로 일컫고 글을 받들어 예물(禮物)를 가져와서 바쳤다. ○丁卯/琉球國中山王遣使來朝。 유구국.. 세계삼한역사 2007.04.06
시초 대륙제국들이 가졌던 동이의 강력한 힘과 존경심 단제의 기록 공자의 후손인 공빈(孔斌)이 서문을 쓴 <홍사(鴻史)>라는 책에 고조선 기록이 있어서 서문을 소개합니다.*공빈(孔斌)- 공자(孔子)의 7대 후손으로 위(魏)나라 사람 [사진- 홍사] 단군조선부터 고려까지의 역사를 편년체(編年體)로 엮은 책으로 필사본이고 15권 5책으로 이루어졌다. 장서.. 세계삼한역사 2007.04.05
대륙조선설, 한국이 안 하면 중국이 해 버린다, 대륙조선설과 한민족의 정체성 대륙조선설, 한국이 안 하면 중국이 해 버린다, 대륙조선설과 한민족의 정체성 김성도[시대소리] 대륙조선설이 만약 사실이라면 지금 이 순간 누구보다 중국정부가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며 증거도 더 많이 가지고 있을 것이다. 필자는 불과 1년 전만 해도 대륙조선설에 별 관심이 없었다. 그저 우리 한.. 세계삼한역사 2007.04.01
청나라가 중국을 봉성(奉省)이라고 부르랍니다 청나라가 중국을 봉성(조선)이라고 부르랍니다. 이는 실로 엄청난 사건입니다. 그동안 실록에 수도 없이 등장하는 중국이란 단어가 명나라나 현재의 중국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조선의)중앙조정을 지칭한다는 것이 증명된 것입니다. 지금까지의 역사해석은 전부다 날조된 셈이지요. 결론은 유사 .. 세계삼한역사 2007.04.01
고구려인이 세운 잊혀진 ‘왕국’ 고구려인이 세운 잊혀진 ‘왕국’ [조선일보] 2007년 03월 23일(금) 오후 09:27 이정기(李正己)라는 이름이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에는 동양 중세사학자(연세대 교수)인 저자의 역할이 컸다. 그의 연구 결과는 이렇다. “고구려 멸망 이후 중국으로 끌려간 고구려인의 후예인 이정기와 그의 후손들.. 세계삼한역사 2007.03.23
“중국 金나라 시조는 안동 권씨일 것” “중국 金나라 시조는 안동 권씨일 것” [동아일보] 2007년 02월 28일(수) 오전 02:59 [동아일보] 금태조 가계도 추적 ‘금조사연구’ 펴낸 금감원 윤명수 수석조사역 《여진족의 국가로 알려진 금(金·1115∼1234)의 시조가 안동 권씨의 시조인 권행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나왔다. 금융감독원 윤.. 세계삼한역사 2007.02.28
한반도 청동기 역사 1천년 앞당겨진다 한반도 청동기 역사 1천년 앞당겨진다(종합) [연합뉴스] 2007년 02월 23일(금) 오전 09:35 고교 역사책 수정…中ㆍ日 역사왜곡 대응 의도 신화 형태의 `고조선 건국' 역사로 편입(서울=연합뉴스) 황대일 기자 = 올해 신학기 역사교과서에 한반도 청동기 보급 시기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최대 1천년까지 앞.. 세계삼한역사 2007.02.23
고조선 건국, 공식 역사로 편입…中 동북공정 맞대응 고조선 건국, 공식 역사로 편입…中 동북공정 맞대응 [노컷뉴스] 2007년 02월 23일(금) 오전 09:36 올 새 학기 역사 교과서부터 고조선 건국과정이 공식 역사로 편입되고 한반도 청동기 보급 시기가 천년 정도 앞당겨진다. 교육부에 따르면, 현행 교과서에 기재된 한반도 청동기 보급 시기가 잘못됐다는 학.. 세계삼한역사 2007.02.23
“신라 우산국이 日 오키나와 670년 지배” “신라 우산국이 日 오키나와 670년 지배” [연합뉴스] 2007년 02월 22일(목) 오전 09:45 `류구국' 건국…`서울ㆍ엄마ㆍ안사람' 오키나와 말과 유사 日 고문헌 분석ㆍ현장 답사 담은 저서 내달 출간(서울=연합뉴스) 김성용 기자 = 신라시대 우산국(지금의 울릉도) 주민 1천여명이 서기 513-514년께 일본 남단 오.. 세계삼한역사 2007.02.22
1600년만에 깨어난 백제 금동관 1600년만에 깨어난 백제 금동관 [조선일보] 2007년 02월 21일(수) 오전 12:50 충남역사문화원 문화재센터(센터장 이훈)는 20일 공주 수촌리 1호 고분에서 2003년 발굴한 백제 최고(最古) 금동관을 보존 처리한 뒤 공개했다. 서기 4세기 후반~5세기 초 것으로 한국·일본에서 발굴된 백제 금동관 10점 중 가장 오.. 세계삼한역사 2007.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