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부

中 동북공정 31일 마감…역사침탈은 계속된다

한부울 2007. 1. 30. 12:16
 

中 동북공정 31일 마감…역사침탈은 계속된다

[쿠키뉴스] 2007년 01월 29일(월) 오후 05:45

동북공정은 끝났지만 중국의 역사침탈은 계속된다.

2002년 2월부터 5개년 계획으로 진행된 중국의 동북공정이 31일로 마감된다. 이를 앞두고 동북공정의 전모를 파헤치고 연구결과를 비판하는 학술대회가 개최됐다. 고구려연구회(회장
한규철) 주최로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중국의 동북공정 5년,그 성과와 한국의 대응’이라는 주제의 토론회에서 서길수 서경대 교수는 “중국의 역사침탈 작업은 이미 중국사회과학원 변강사지연구중심에서 2004년 지린성사회과학원으로 연구주체를 옮겨 더욱 강화됐다”며 “동북공정은 중국의 새로운 역사 만들기인 ‘다민족통일국가론’의 한 프로젝트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동북공정과 관련해 서 교수는 “변강사지연구중심은 2002∼20004년 47개의 동북공정 기초연구 과제를 수행했으나 2005년부터 한국의 반발을 피해 공식적인 과제모집은 하지 않았다”면서 “중국 동북지역사 연구를 떠맡은 지린성사회과학원은 2004년 학술지 ‘동북사지’를 창간하고 2006년까지 3년 동안 301편의 논문을 발표했다”고 역설했다.

즉 한국에서 ‘동북공정’이라는 껍데기를 가지고 온 국민이 난리를 치는 동안 중국은 한편으로 외교적 무마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리를 옮겨 몇 배 강도 있는 연구를 진행했다는 것. 동북공정을 실질적으로 이끌어가는 전문가위원회 위원인 장푸유가 ‘동북사지’의 사장으로 취임한 것이 그 대표적인 증거.

실제로 ‘동북사지’에 실린 논문 가운데 3분의 1이 넘는 106편이 고구려 관계 논문이었으며 발해 관련 논문이 17편, 고조선 관련 논문은 9편이었다. 또 장백산(백두산)을 주제로 한 논문도 21편에 이르렀으며 중국 청나라를 다룬 56편의 논문 가운데 상당수가 간도문제 및 조선·청의 국경 문제를 연구한 것이었다.

서 교수는 “동북공정에서는 고구려와 관련해 5편의 연구과제가 채택된 것에 반해 ‘동북사지’는 20배가 넘는 106편의 논문을 실었다”고 밝히고 “고조선 관계 논문이 한 학술지에 3년간 9편이나 실린 것은 우리나라에서도 흔치 않은 현상”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동북공정은 중국이 1981년 이후 ‘다민족통일국가론’을 기반으로 추진하고 있는 역사 만들기의 한 과정이라는 것이 서 교수의 주장이다. 당시 현재 중국사의 범위가 현대 중화인민공화국이 아니라 청나라 때의 영토 안에 있던 모든 지역의 역사로 확대되었다는 것. 이에 따라 청나라 영역 안에서 활동한 민족은 모두 중국사 속의 소수민족 지방정권이라는 분석이다. 바로 이 점 때문에 고구려를 비롯해 몽골, 알타이 등의 러시아 땅은 중국의 역사라는 해석이 나오는 것이다.

서 교수에 이어 발제자로 나선 반병률 동북아역사재단 제2연구실장은 ‘동북공정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과 반성’에서 “초기에 동북공정의 목적을 ‘중국의 고구려서 빼앗기 작전’ 정도로 파악해 동북공정의 내용, 목적, 파급효과 등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고 대응책 마련에 차질을 빚었다”면서 “특히 언론에서 집중보도한 뒤 시민궐기대회가 이뤄지고, 다시 학술회의나 토론회로 개최되는 양상을 띠며 편향적 민족주의에 입각한 일회성 반응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게다가 정부는 6자회담, 북핵문제 등과 연관된 중국과의 관계와 국민들의 분노 사이에서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이며 현안처리에 급급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박원철 동아시아역사 시민네트워크 상임대표는 “그동안 각계각층에서 개별적으로 모색되어온 동북공정에 대한 대응을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시점이 왔다”면서 “국가전략적인 차원에서 동북공정에 대한 장기적 대응이 필요하며 국제공조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전국역사교사모임 동북공정수업연구모임회장인 이강무 인창중학교 교사는 “7차 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라 독립교과였던 중학교 국사가 사회로 흡수통합 됨에 따라 역사 수업시간이 절대적으로 줄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과연 동북공정을 말할 수 있을지 의문이며, 중국의 역사침탈에 대해 어떻게 대안을 마련하겠다는 것인지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장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