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역변절

북한동포 대규모 수해피해 안타까운 고통!

한부울 2006. 7. 29. 12:49
 

대규모 수해로 식량난 심화 北 "지원 필요없다"

[노컷뉴스] 2006년 07월 29일(토) 오전 05:07

태풍과 장마가 장기화되면서 한반도 전역에 걸쳐 홍수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북한도 예외는 아니어서 북한의 각종 매체들이 지난 16일부터 집중적으로 '큰물 피해(홍수피해)'에 대해 집중적인 보도를 하고 있다.

평양방송과 조선중앙TV 등의 보도를 종합하면 지금까지 황해남도 지역의 농경지 수십만 정보가 침수되거나 유실됐으며 강원도 지역의 농경지도 수천 정보가 피해를 입었다.

인명피해와 관련해 국제적십사자연맹(IFRC)은 사망 또는 실종 248명, 이재민 1만 2천 585세대로 추정했으며 세계식량계획(WFP)도 이재민이 6만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북한의 매체들은 자세한 언급은 하지 않은 채 "수 백 명이 숨지거나 연락이 끊겼다"고 보도했다.

특히 북한의 전통적 곡창지역인 황해도와 평안도 지방에 피해가 집중되면서 북한의 식량난이 심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올해는 북한의 작황이 좋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올 들어 북한의 식량사정이 좋지 않은 것은 남북협상 테이블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이달 초 부산에서 열렸던 남북 장관급회담에서 북측 대표들이 회담 첫날부터 식량지원 문제를 꺼낸 것. 남북회담에서 북한은 보통 여러 조건을 내세우다가 회담 막판에 가서야 남측에 식량지원을 요청하며 기존의 조건들을 슬쩍 거둬들이는 협상전술을 써왔는데 이번 장관급 회담에서는 단도직입적으로 식량지원을 요청했다는 후문이다. 그만큼 북한의 식량사정이 좋지 않다는 사실을 나타내주고 있다는 게 정부 당국자의 말이다.


하지만 북한의 '저자세'에도 불구하고 미사일 발사로 1년 치 식량부족분의 절반에 해당하는 50만톤을 남측으로부터 지원받지 못하게 됐다. 식량과 비료지원은 시기가 중요하다. 북한의 기근은 추수를 앞둔 여름에 절정에 달하며 비료도 제때 주지 못하면 쓸모가 없는 만큼 7월이 식량과 비료지원의 적기라는 게 대북지원단체 관계자들의 말이다.


그러나 이처럼 식량사정이 다급한데도 북한은 국제적인 지원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한적십자사에 따르면 국제적십자사연맹이 북한 수해와 관련해 당초 대북지원을 하려다 북한으로부터 지원요청이 없어 지원을 철회했다. 한적 관계자는 "북한 적십자회 실무자들이 연맹의 지원을 받으려 했으나 북한 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유럽이나 미국의 적십자사도 북한에 대한 개별지원을 제의했다가 북한으로부터 거절을 당했다"고 밝힌 뒤"한적의 지원제의도 간접적으로 북적에 전했으나 아직까지 가타부타 대답이 없다"고 전했다.


또한 지난주 북한을 방문했던 대북지원단체 관계자도 "평양시 외곽의 협동농장을 방문했는데 북한 주민들이 남측이 식량지원을 중단했다는 소식을 모르고 있었다."며 "북한 당국자들도 이 사실을 쉬쉬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 당국이 국제사회에 식량지원을 요청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같은 말을 종합해볼 때 북한 당국이 식량난에도 불구하고 당분간은 국제사회에 대북지원을 요청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북한의 이런 움직임은 남측의 식량, 비료 중단에 대한 반발로 해석된다.

미사일 발사를 이유로 인도적 지원을 거부한 남측에 대해 "민족을 팔아먹은 반민족 행위"라고 비난했던 북한이 국제사회에 손 벌릴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북한 당국은 '고난의 행군'정신을 강조하면서 내부결속을 강화하는 동시에 당분간 남북관계 소강상태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리고 북한의 이 같은 방침은 미사일 발사와 인도적 지원문제를 연계시킨 것에 대한 여론의 비난과 남북관계 냉각 장기화를 우리 정부가 얼마나 감내할 수 있는지 테스트하려는 의도도 있어 보인다.

또한 인도적 지원을 북한 미사일 문제해결의 카드로 활용하려던 우리 정부의 전략에도 당분간 차질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