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삼한역사/동물

야도충(夜盜蟲)

한부울 2018. 11. 8. 14:00

********************

야도충(夜盜蟲)

 

글쓴이:한부울

 

[1]南朝鮮(남조선)旱魃繼續(한발계속)

1934.07.05 동아일보

南朝鮮(남조선)旱魃繼續(한발계속)

移秧不能(이앙불능),夜盜蟲(야도충)까지發生(발생)

하지(夏至(하지))를 전후한 이앙기에 잇어 한발이 약간 게속하든 끝에 ()적천금의 감우가 나라기시작하야 ()여일을 장마로 화하야 중부이북에는 흡복을 넘어서 하천이 범람하야 도리어 침수된 곳도 잇는 반면에 남부지방엔 농무만 잠긴 중에 의연이 한발이 게속 되어 묘판이 균렬되고 앞으로 ()주일만 더 게속하면 다른 곡식의 씨앗을 뿌려 심는 대파(代播)를 준비한다는 가뭄 때문에 일어나는 소동인 한소(旱騷)의 기현상을 보이고 잇다.

경남밀양(密陽)지방에는 비가 올듯 올듯하면서 오지아니하야 사시로 쉬지않고 흘으는 밀양강 물도 상하로 곳곳이 지소(池沼)가되어 밀양 명산인 은어(銀魚)도 극히 귀하게 되고 각 수리조합구역을 제한 외에는 한포기의 모도 심지 못하고 일반농가에서는 크게 우려 중이며 각 촌락에는 식수에도 큰 곤난을 받는다 한다.

경남합천군 덕곡면(陜川德谷面)에는 요사이 야도충(夜盜蟲)이라는 버러지가 창궐하야 육도(陸稻)와 조()등 피해가 막대하므로 일반농가에서는 게속하는 한반도 이앙(移秧:移植)도 못하고 잇는 이때 인심은 극도로 흉흉하며 관게 당국은 각 학교와 열락하야 구제에 노력중이라는대 피해 면적은 총 경작면적 224정보에 약 7할가량 되는153정보나 되고 방금도 피해가 늘어가는 중인대 일주야의 피해되는 면적이 28정보나 된다 한다.

 

때는 1934년 여름 동아일보 기사를 보면 한발이 계속되어 이앙이 불가능할 정도로 한발피해가 막대하였다는 사실과 더불어 경남 합천군 덕곡면(陜川德谷面)에는 야도충(夜盜蟲) 발생하여 밭벼(육도 陸稻:upland rice)와 (, Setaria italica)농사의 피해가 막대하는 사실을 알리고 있다.

 

밤나방    
1.나비목 밤나방과에 속한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야도충  [夜盜蟲]  ヨトウガの幼虫 
<昆虫> ヨトウガ(夜盗蛾)の幼虫ようちゅう.

야도충(夜盜蟲)
[지렁이] a night crawler; an army worm; a cutworm; ((英)) a nightwalker.

 

[19655 Spodoptera litura Oriental Leafworm Moth]

         

야도충(夜盜蟲)

담배거세미나방

俗稱黑肚蟲土蟲或行軍蟲

科學分類

動物界 Animalia

節肢動物門 Arthropoda

昆蟲綱 Insecta

鱗翅目 Lepidoptera

夜蛾科 Drepanidae

夜盜蛾屬 Spodoptera

斜紋夜盜蟲 S. litura

二名法

Spodoptera litura(Fabricius, 1775)

Johan Christian Fabricius:1745-1808 was a Danish zoologist

異名

Oriental Leafworm Moth-Spodoptera litura

Cluster caterpillar

Cotton leafworm-Alabama argillacea

Tobacco cutworm

Tropical armyworm

 

斜紋夜盜蟲学名Spodoptera litura是鱗翅目夜蛾科夜盜蛾屬的一种俗稱黑肚蟲土蟲或行軍蟲一年可發生 811 世代初孵化的幼蟲為灰綠色具群集性三齡以後幼蟲漸轉為黑色幼蟲晝伏夜出雜食性可危害多種作物如葉菜類茼蒿落花生田菁毛豆紅豆青蔥玉米花卉瓜果類及印度棗木瓜等果樹等多種作物幼蟲食量極大會大量啃食植株心梢及葉片嚴重時常導致全園廢耕

斜紋夜盜蛾成蟲體長約2公分外觀呈黑褐色翅中央有一條寬長灰白斜帶為其辨識特徵有趨光性雌蟲交尾後飛至植株葉背產下數 10 至數百粒卵堆集成卵塊其上附有雌蟲的鱗毛

비스듬무늬야도충(斜紋夜盜蟲:Spodoptera litura)은 검은 표피가 있는 벌레 또는 군대벌레라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나비목(Lepidoptera)속의 종이다. 새롭게 부화 된 유충은 회백색이며 군집생활 하고, 유생은 3세 이후에 검게 변한다. 유충은 야행성이며 육식성이고 잎이 많은 채소, 샐비어(茼蒿), 땅콩(落花生), 그레이프(田菁), 에다마메(Edamame:毛豆,) (紅豆), 샬롯(青蔥), 옥수수(玉米), 화분(花卉), 멜론(melon,apple)과 인도채(印度棗), 중미와 남미 원산지 파파야(papaya) 및 기타 과일나무 등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줄 수 있다. 어린 애벌레는 먹는 것이 많고 심지와 엽편을 먹기 때문에 종종 심각한 폐허로 만든다. Spodoptera litura의 성충은 길이가 약 2cm이며 짙은 갈색을 띠고 있고 날개 중앙에 넓은 흰색의 사선(斜線)이 있어 식별 가능하며 빛의 자극에 대하여 그것을 향하거나 피하려고 움직이려는 성질 추광성(趨光性)이 있고 암충이 교미한 후, 식물 잎사귀의 아래 수로 날아와 알을 만들고, 알 덩어리를 쌓아서 그 위에 암충이 붙어 있는 털이 덮인 군집으로 만든다.

 

추광성(趨光性)-나방의 종에서 페로몬(pheromone)은 페로몬 땀샘(females gland)에 의해 암컷에 의해 생산되며, 자신의 종의 수컷을 유치하기 위해 방출된다. 호환되지 않는 동료의 정확한 인식은 재생산 성공에 필수적입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시간과 에너지 낭비, 포식의 위험성 증가, 생존 가능한 자손의 감소 등과 같은 가파른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Range[edit]

S. litura is the most common in South Asia. However, its natural range extends from the Oriental and Australasian areas to parts of the Palearctic region as well. The countries with the most widespread population of S. litura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hina, Indonesia, India, Japan, and Malaysia. The range of S. litura has also extended into non-indigenous regions through international trade. Moths in their egg, larvae, or pupae stages can be present in the soil, flower, or vegetation that are being transported across various regions. Pupae especially can be moved long distances, provided that they are not crushed, because of the relatively long pupation period.

 

위 중국자료를 보면 사실상 아시아 근원종으로 알려지고 있는 스포도프레라 리투라[Spodoptera litura(Fabricius, 1775)]를 설명하는 것인데 추광성을 가진 야도충은 특히 잎이 많은 채소, 샐비어(茼蒿), 땅콩(落花生), 그레이프(田菁), 에다마메(Edamame:毛豆,) (紅豆), 샬롯(青蔥), 옥수수(玉米), 화분(花卉), 멜론(melon,apple)과 인도채(印度棗), 중미와 남미 원산지 파파야(papaya) 및 기타 과일나무 등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줄 수 있다고 말하고 있으며 이것의 학명은 여러자료에서 다르게 나타나고 위 지도를 보면 학명자가 파브리치우스에서 1857년에 다시 워커로 이전 재수정된 것으로 정리되고 있다. 

즉 애초, 1775년 덴마크 동물학자 파브리치우스(Fabricius)가 명명한 것 원종과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Spodoptera Guenée, 1852
Species Spodoptera litura (Fabricius, 1775 )
= Noctua litura (Fabricius, 1775 )
= Prodenia litura (Fabricius, 1775)

 

위 학명 변천과정을 보더라도 명확한 것은 아니지만 북아메리카대륙을 근거로 한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동아일보 기사에서 말하고 있는 남조선 지역에 밭벼(육도 陸稻:upland rice)와 (, Setaria italica)농사에 막대한 피해를 준 야도충 창권을 생각하게 하는 것이다.

위 자료들은 남아시아에서 가장 흔하다고 하였고 자연적 범위는 동양 및 호주 지역에서 북회귀선 이북지역의 일부까지 확장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는데 위 분포지 역시 이런 사실과 일치한다.

S. litura가 가장 많이 근거하는 국가는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 일본 및 말레이시아가 포함된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고 한 것은 유동적이라는 사실을 암시하는 것이며 매우 부정확하다는 것도 알 수가 있다.

때문에 아시아대륙이 아니라 위 분포지는 호주와 남아프리카 동부, 말레이로 나타나고 있다.

중국아시아대륙이라고 하였지만 아시아대륙에는 노란 점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황들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신중국은 아시아대륙을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포함되어야 했을 것이고 일본은 근세기에 서양세력에 의해 생물학적 범위가 넓게 퍼져 있다는 특성을 가질 수 있어 나타날 수밖에 없으며 나머지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지아는 열대와 아열대 지역을 커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이러한 분포지를 나타내는 종을 1932년도의 동아일보에 기사처럼 남조선 지역에 한발과 함께 창궐한 야도충이라고 할 수가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기는 것이다.

S. litura의 분포 범위 또한 국제 무역을 통해 비 원주민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하고 애벌레 또는 번데기 단계에 있는 나방은 여러 지역에 걸쳐 운반되는 토양, 꽃 또는 식물에 존재할 수 있다고 알려지며 번데기는 상대적으로 긴 번식 기간 때문에 분쇄되지 않다면 장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고 정리되어 언제든지 자연 대기, 풍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특히 이 종을 명명한 요한 크리스티안 파브리치우스(Johan Christian Fabricius:1745-1808)는 곤충, 거미류, 갑각류 등 모든 절지 동물을 포함하는 곤충강(昆蟲綱,insecta)를 전문으로하는 덴마크의 동물 학자이다.

그는 린네의 제자라고 알려지고 거의 10,000 종의 동물을 명명한 18세기의 가장 주요한 곤충학자로 알려지고 있다.

1762년 코펜하겐 대학에 입학하고 웁살라(Uppsala)로 가 2년간 린네로부터 수업을 받았다.

1776년 출판된 Systema entomologiæ 에대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1770년 코펜하겐 교수가 되었으며 1776년에 키엘(Kiel)대학 자연사박물관 교수로 임명되어 평생지위를 유지했다고 알려진다.

그러나 그는 아시아대륙을 방문한 근거가 나타나지 않는다.

1934.07.05 일자 동아일보기사에서 특히 남조선(南朝鮮)은 한발이 계속되고 야도충이 창궐하였다는 이야기는 특별히 위 아시아종으로 규정된 스포도프레라 리투라(Spodoptera litura)로 볼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Spodoptera albula – Gray-streaked Armywom Moth – (Walker, 1857)]

 

앞에서 이야기 한 것처럼 줄무니가 있는 거염벌레나방[Spodoptera albula (Walker, 1857)GRAY-STREAKED ARMYWOM MOTH]의 분포지를 보면 북아메리카대륙 남부 텍사스와 플로리다주를 나타내고 있다.

이 학명의 명명자인 프란시스 워커(Francis Walker:1809-1874)란 사람인데 영국 곤충 학자이며 곤충학에서 가장 많은 집필가 중에 한 명이라고 소개되었고, 그의 출판물이 엄청난 수가 되어 오히려 후기의 많은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고 알려진다.

워커(Walker)1848 6 월과 1873 년 후반에 곤충을 분류하기 위해 대영제국에 의해 고용되었다고 알려지는데 이 시기에 대영제국은 세계삼한역사관점으로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삼한역사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체제개체이다.

본 블로그 글 "방울뱀(Rattlesnake, 響尾蛇)으로 본 마지막 대조선(大朝鮮) http://blog.daum.net/han0114/17050522"에서 말하길 영국(브리티시) 즉 그레이트브리튼 왕국(Kingdom of Great Britain,1707-1801)이라는 나라가 동양에서 용(龍)이라고 상징되는 드라곤(Dragon)을 국가 문장(文章)으로 했다는 사실을 밝히고 순조(純祖, 1790-1834,재위:1800-1834)가 이은 후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貞純王后, 1745-1805)4년 수렴청정 끝에 관직을 빼앗고 귀양을 보내 남인과 소론(少論) 시파(時派)들은 대거 몰락했고 다시 권력은 노론(老論)이었고 시파(時派)인 안동김씨 김조순이 정권을 잡는데 이것이 바로 안동김씨 60년 세도라고 견주어 말했다.
즉 브리티시로부터 임명된 것이라면 대조선으로부터 임명되었다는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는 1809 7 31 일 잉글랜드 사우스 게이트(Southgate, London)에서 태어 났으며 1874 10 5 일 영국 완스테드(Wanstead)에서 사망했다고 알려지고 워커의 저서는 대영 박물관 소장품에 엄청난 양의 자료를 추가했으며 300가지가 넘는 과학 논문과 리포트를 저술했다고 말하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메뚜기목(Orthoptera), 풀잠라지목(Neuroptera), 노린재목(Hemiptera), 파리목(Diptera), 나비목(Lepidoptera)과 벌목(Hymenoptera)의 카탈로그로 가장 잘 알려져 있고 야도충인 거염벌레 역시 나비목(Lepidoptera)임도 알 수가 있다.

평생 친구 인 알렉산더 헨리 할리데이(Alexander Henry Haliday:1806–1870)와 협력하여 벌아목의 장수말벌(Chalcidoidea)의 첫 연구자이기도 하고 곤충 학회 회원으로도 활동했.

워커는 산을 좋아하는 여행자였고 1830곤충 학자 존 커티스(John Curtis)와 함께 프랑스로 장기간 여행을 하여 특히 잎눈나비과(Satyridae)표본을 수집하였고, 1836년에 윌리암 크리스티(William Christy, Jr.)와 식물학자이며 삽화가인 윌리암 후커(W. Hooker)와 함께 라플란드(Lapland)로의 3 개월간의 여행과 1849년 그의 새로운 신부 엘리자베스 메이(Elizabeth May)와 스위스와 와이트 섬으로 여행했다고 하며 그는 주로 영국(잉글랜드)와 북유럽 등을 방문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독일 남서부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슈바르츠발트(Schwarzwald)란 산악 지역에서 보냈는데 이곳은 숲이 울창하여 검은 숲이라고 불린다고 알려진다.

이후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아일랜드 등 그가 여행을 한 곳은 전부 유럽대륙임에도 현재 위 분포도에 나타는 검은 점은 텍사스주와 플로리다주, 그리고 카리브해를 표시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의아스러운 것이다.

아시아종(Spodoptera litura)으로 규정된 것의 별칭을 보면 담배거세미나방, 비스듬한 무니 야도충(斜紋夜盜蟲)이라 하고 특히 담배라 한 것을 보면 담배작물에 피해를 주는 야도충임을 알 수 있으며 그의 별칭들이 동양잎벌레나방(Oriental Leafworm Moth), 무리쇄기벌레(Cluster caterpillar), 목화잎벌레(Cotton leafworm), 담배거세벌레(Tobacco cutworm), 열대거염벌레(Tropical armyworm)등 목화, 담배, 열대 등의 용어는 전부 북미남부와 중앙아메리카대륙 과 연관되고 아시아 대륙과는 거리가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린네(Carl Peter Thunberg:1743-1828)가 1758년에 명명한 나비목(Lepidoptera)은 기록된 것만 16만종(萬種)가량이 속해 있으며, 46개 상과(上科)와 127개 과(科)로 분류된다. 밤나방상과(Noctuoidea)에는 4개 과(科)와 4개 아과(亞科)를 가지며, 4개의 과(科)중에 밤나방과(Noctuidae Latreille, 1809)가 약 35,000 종(種)으로 알려진다.
여기에서 상위 분류: 카라드리니니(Caradrinini)의 스포도프테라속(Spodoptera)의 설명을 보면
Spodoptera is a genus of moths of the family Noctuidae. Many are known as pest insects. The larvae are sometimes called armyworms. The roughly 30 species are distributed across six continents.
스포도프테라속(Spodoptera)은 밤나방과(Noctuidae)계통의 나방속(屬)이다.
이는 해충 곤충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유충은 특히 군대벌레(armyworms)라 부르고 대략 30종(種)이 육대륙(六大陸)에 분포한다고 되어 있다.

 

야도충에는 수많은 종(種)으로 나눠지고 있어 종을 숫자로 따지면 어마어마한 숫자이다.
특히 군대벌레(armyworm)란 명칭을 가지고 있는 것은 특히 스포도프테라속(Spodoptera)에 있으며 그 중에서도 분류가 빠른 시간적으로 종(種)들을 보면 (1)Spodoptera androgea(Stoll 1782), (2)Spodoptera dolichos(Fabricius 1794), (3)Spodoptera eridania(Cramer 1784), (4)Spodoptera frugiperda(J. E. Smith 1797), (5)Spodoptera ornithogalli(Guenée 1852)이다.
이를 하나하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Spodoptera androgea (Stoll, 1782) -Androgea Armyworm Moth

 

나비목(Lepidoptera), 밤나방상과(Noctuoidea), 밤나방과(Noctuidae), 스포도프테라속(Spodoptera), 안드로케아 군대벌레나방(androgea armyworm moth)은 거세벌레(cutworm) 혹은 화살나방(dart moth)이라 하는데 It is found in North America. 북아메리카대륙에서 발견된다.

북미나방을 위한 체계가 MONA 와 Hodges number 라고 하는데 약 12,000종의 나방이 북미에 존재하고 주로 야행성의 나방과 나비를 함께 분류목록에서 1983년에 멕시코북부의 아메리카 인시목(Lepidoptera of America)발행 목록인데 사실상 미국과 캐나다이다.

위 분포지도를 보면 플로리다 남부와 쿠바, 푸에르토리코에 검은 점이 표식이 되어 있다.

Spodoptera androgeaMONA 또는 Hodges number 는 9671.1이.

 

(2)Spodoptera dolichos (Fabricius, 1794)-)-Southern Armyworm Moth(남부 군대벌레나방)

 

요한 크리스티안 파브리치우스(Johan Christian Fabricius:1745-1808)는 곤충, 거미류, 갑각류 등 모든 절지 동물을 포함하는 곤충강(昆蟲綱,insecta)를 전문으로하는 덴마크의 동물 학자이다.

그는 린네의 제자라고 알려지고 거의 10,000 종의 동물을 명명한 18세기의 가장 주요한 곤충학자로 알려지고 있다.

Spodoptera dolichos (마라톤 군대벌레 나방 또는 고구마 군대벌레 나방)는 남부 미국
앨라바마(Alabama), 플로리다(Florida), 조지아(Georgia), 루이지애나(Louisiana), 미시시피(Mississippi), 남부 캐롤라이나(South Carolina), 텍사스(Texas)에서 발견 된 밤나방과(Noctuidae)계통의 나방이며, 남쪽으로는 코스타리카에서 남아메리카, 아르헨티나까지 미국의 동부 켄터키와 메릴랜드 북쪽으로 창궐할 수 있다. 날개 길이는 약 40mm이며 유충은 다양성이며 야생 및 재배식물의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

상당히 동아일보 기사와 일치되는 면이 많다.

 

(3)Spodoptera eridania (Stoll, 1784)-Dolichos Armyworm Moth(마라톤 군대벌레나방)

 

카스퍼 스톨(Caspar Stoll:1725 and 1730-1791)은 헤쎄-카쎌에서 태어나고 곤충학자로 기억되고 아마포 린넨(linen)과 스페인양모를 파는 네덜란드(Dutch)상인인 피터 크레머(Pieter Cramer:1721-1776)이 시작한 나비에 관한 작업을 하고 출판을 의뢰한 프랑스 교회(De Uitlandsche Kapellen)의 대부분 설명과 plate 를 도왔다는 것으로 유명하다. 

남방군대벌레는 해충으로 알려진 나방이다. 그들은 서반구 열대지방과 아열대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식엽충(defoliators) 중 하나이며, 그들이 어릴 때 식물을 많이 먹어 종종 그들의 식물에 뼈대만 남긴다. 그들은 또한 플로리다에서 토마토를 많이 먹은 치우고  Spodoptera eridania 에 대한 살충제 생산에는 많은 발전이 있었다. 이 나방 날개 길이는 33-38mm이고 어른들은 일년 내내 날개 짓을 한다. 유충은 다양한 잡초를 먹지만 비름속 아마란투스 종(種)(Amaranthus species)과 미국자리공 피톨라카 아메리카나(Phytolacca americana)를 더 좋아한다.

피해를 보는 작물을 보면 사탕 무우(beet), 양배추(cabbage), 당근(carrot), 콜라드(collard), 카우 피아(cowpea), 가지(eggplant), 오크라(okra), 후추(pepper), 감자(potato), 고구마(sweet potato), 토마토(tomato) 및 수박(watermelon)이 포함된다. 손상된 다른 작물에는 아보카도(avocado), 감귤류(citrus), 땅콩(peanut), 해바라기(sunflower), 벨벳 콩(velvet bean), 담배(tobacco)및 다양한 꽃(various flowers)이 포함된다. 잔디는 거의 먹지 않는다. 더 선호되는 숙주 식물 중 하나는 리마 콩(lima bean)인데 시안 생성 물질 배당체(cyanogenic glycoside)인 리나마린(linamarin)의 접촉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지리적 범위를 보면 S. eridania는 북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중미에서 남아메리카대륙까지 발견된다.

북아메리카대륙 미국남부에서 캔사스와 뉴멕시코 와 같이 서쪽(the southern US states as far west as Kansas and New Mexico) 그리고 남아메리카대륙은 브라질을 통과하여 아르헨티나까지로 나타난다.

위 분포지도를 보면 텍사스주,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앨라배마 남부와 플로리다전역, 조지아, 사우스캐롤라이나, 그리고 카리브해 까지로 표식이 나타난다.

 

(4)Spodoptera frugiperda (J. E. Smith, 1797)-Fall Armyworm Moth(낙엽 군대벌레나방) 

 

담배거세미나방종은 학명자 제임스 에드워드 스미스(James Edward Smith:1759-1888)는 영국식물학자이며 린네 학회(Linnean Society)의 창립자이다.

낙엽 군대벌레(Spodoptera frugiperda) 나비, 나방 인시목(鱗翅目:Lepidoptera)의 순서로 종(種)이며 낙엽군대벌레나방의 애벌레 생활 단계이다. 군대벌레"armyworm"라는 용어는 종(種)의 유충 단계의 대규모 침입 행동을 묘사하는 여러 종(種)을 나타낼 수 있다. 그것은 해충으로 간주되어 큰 피해를 입히는 다양한 작물을 파괴할 수 있다. 그것의 과학적인 이름은 'frugiperda' 에서 파생되는데 'frugiperda'는 손실 된 과일에 대한 라틴어로, (種)의 작물 파괴 때문에 명명되었다. 낙엽군대벌레 식물의 습성과 작물 보호 가능성에 대해 깊이 연구했다. 그것은 현재 두 종(種)으로 나뉘어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교상 종(種)의 분화를 연구하기 위한 주목할 만한 사례이기도 하다. 애벌레의 또 다른 주목할만한 특징은 그들이 동족끼리 잡아 먹는 습관인 카니발리즘(cannibalism)이다.

낙엽 군대벌레는 실제 군대벌레(armyworm)보다 다른시기에 활동적이며, 인시목(Lepidoptera)과 나비목의 밤나방과(Noctuidae)의 또 다른 종이지만 Mythimna (moth) (屬)이다. 진정한 'armyworm'의 발생은 대개 여름 초기에 발생한다. 낙엽군대벌레는 늦은 여름 미국 남부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입히며  북부 지역에서는 일찍 가을에 나타난다.

낙엽 군대벌레(fall armyworm)는 동부 및 중부 북미 및 남미 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2016년 이후로 아프리카에서는 침입종이며 그것은 동결 온도 이하에서 겨울잠을 할 수없기 때문에 미국의 대부분의 남부지역, 즉 텍사스와 플로리다에서만 겨울을 견뎌낸다. 이 때문에 가을 기생충은 남동부 주에서 더 두드러진 해충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계절에 따라 미국 전역과 캐나다 남부까지 퍼져 나갈 수 있고 적절한 식량 공급이 있는 지역에 거주할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2016년에 옥수수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는 보고가 처음으로 있었으며, 더 많은 번식과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라고 결론 내려졌다. 이후 아프리카 28개국으로 퍼졌고 2018년 인도에 널리 퍼지지 시작했다.

 

(5)Spodoptera ornithogalli(Guenée, 1852)-Yellow-striped Armyworm Moth(노랑줄무니군대벌레나방)

 

위 학명의 명명자는 프랑스의 변호사이자 곤충학자 아킬레스 제네(Achille Guenée:1809-1880)이고 그는 샤르트르(Chartres)에서 탄생하고 샤토됭(Châteaudun)에서 사망했다.

Spodoptera ornithogalli(노란색 줄무늬 군대벌레, 면화 거세벌레)는 과달루프섬(Guadeloupe), 마리 갈랑트(Marie-Galante), 세인트키츠(Saint Kitts), 도미니카(Dominica), 쿠바(Cuba), 도미니카공화국(Dominican Republic), 멕시코(Mexico), 과테말라(Guatemala), 코스타리카(Costa Rica)에서 발견된 밤나방과(Noctuidae)가족의 나방이다.

이 종은 북아메리카(North America)의 캘리포니아(California)에서 플로리다(Florida)와 동부주(州eastern states), 서쪽의 캔자스, 그리고 캐나다 동남부의 노바 스코샤(Nova Scotia)에서 온타리오(Ontario)까지 발견된다. 남아메리카에서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콜롬비아, 프랑스 령 기아나, 파라과이, 페루, 베네수엘라에서 발견되며 이자매 종(種)인 아프리카, 지중해 유럽 그리고 중동 국가들에게 발견되는 스포도프테라 리토랄리스(Spodoptera littoralis) 혹은 아프리카 목화 잎벌레(African cotton leafworm), 이집트 목화 잎벌레(Egyptian cotton leafworm), 지중해 무늬판(Mediterranean Brocade)이라 불리는 종(種)으로써 북아메리카대륙 대표 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두 종(種)의 형태는 매우 유사하며 'Spodoptera ornithogalli'는 날카로운 표식을 지닌 더 진한 색체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

성충 나방의 날개 폭은 32-44mm이고 4월에서 11월까지 위치에 따라 날개를 달고 있.

이 성충 애벌레를 키우는 식물들을 보면 알팔파(alfalfa), 아스파라거스(asparagus), 콩(bean), 사탕무(beet), 양배추(cabbage), 클로버(clover), 옥수수(corn), 목화(cotton), 오이(cucumber), 홉(hops), 포도(grape), 잔디(grass), 흰꽃독말풀(jimsonweed), 나팔꽃(morning glory), 양파(onion), 완두콩(pea), 복숭아(peach), 땅콩(peanut), 고구마(sweet potato), 근대(swiss chard), 담배(tobacco), 토마토(tomato), 순무(turnip), 밀(wheat), 수박(watermelon), 달래(wild onion)등 대부분의 부드러운 잎이 있는 식물이다.

 

위에서 군대벌레(army worm);야도충 중에 주요한 5종(種)을 살펴보았다.

보다시피 전부 북아메리카대륙을 분포지로 하고 있다.

백과사전에서 정의 하듯 야도충이라 함은 나비목 밤나방과에 속한 곤충들이라 한 사실과 이에 더하여 영어명칭으로 밤벌레(a night crawler); 군대벌레(an army worm); 거세벌레(a cutworm); 야행충(a nightwalker)이라 한 사실에 충족되고 학명 명명시기가 빠른 것 중에 선별한 주요한 종(種)들을 살펴보았다.
비록 아시아대륙에 자리한 한반도에 생물학자들이 주장하는 야도충은 학명 "Spodoptera litura(Fabricius, 1775)"으로 지정하고 있지만 이것은 영어명칭에서 보았듯이 "동양 잎벌레나방(Oriental Leafworm Moth)" 이라 한 사실과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야도충은 백과사전에서 정의 한 것처럼 잎벌레가 아니라 군대벌레란 사실을 전제해야 하는 것이다
.

 

서두에 게시한 동아일보 1934.07.05 일자 기사 내용에서 보면  남조선(南朝鮮)은 한발(旱魃)이 계속(繼續)되고 경남합천군 덕곡면(陜川德谷面)에는 요사이 야도충(夜盜蟲)이라는 버러지가 창궐하야 육도(陸稻) 즉 밭벼(upland rice)와 조(粟, Setaria italica)등 피해가 막대하여 구제에 노력중이라 했는대 피해 면적은 총 경작면적 224정보에 약 7할가량 되는153정보나 되고 방금도 피해가 늘어가는 중이라 했는데 실제로 한발도 문제지만 야도충에 의한 피해가 지대했음을 알 수가 있다.

 

동아일보 기사를 보면 1922.10.28 일자 함남이원지방(咸南利原地方)에 야도충(夜盜虫)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시작으로  평남평원군지방(平南平原郡地方), 평남대동군남곶면(平南大同郡南串面)과 중화군신흥면지방(中和郡新興面地方), 황해도은파지방(黃海道銀波地方), 황해도봉산군(鳳山郡), 대동군 고평면(大同郡古平面), 평남안주(平南安州), 평원(平原), 덕천등지(德川等地), 창성군창성면(昌城郡昌城面), 함북농가(咸北農家), 평남맹산지방, 평븍곽산(郭山)지방 등에 야도충번식과 그에 따른 피해사례가 너무 많다.

 

위 게시한 1934년 한해만 하더라도  1934.04.10 기사부터 시작하여 야도충이 발생사실을 말하고 있으며 7월부터 본격적으로 피해가 나타난 지역으로 포천군영북면(抱川郡永北面), 함남신흥군, 경북고령군우곡면(高靈郡牛谷面), 경남합천군덕곡면(陜川郡德谷面), 충북괴산군 청천면(槐山郡靑川面)과 문광면(文光面), 경남협천군(陜川), 청덕(靑德)적중면(赤中面), 경북고령군 우곡면(高靈郡牛谷面), 함남석왕사(釋王寺)일대, 평남중화(中和), 양양군 서면(襄陽郡西面)과 도천면(道川面), 무산군동면(茂山郡東面), 강원도평강(江原道平康), 함남 안변군(安邊郡), 경남 김해군(金海郡)등

그해 1934.08.19 까지 계속 야도충에 의한 피해 사례가 기사를 가득 메우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기사가 말하고 있는 범위를 유심히 관찰하면 한반도 상황이라고 도저히 믿기지 않는 광대한 지역이다.

한반도 지형처럼 가로 폭이 좁은 곳이 아니라 넓게 퍼져 있는 영역이며 남부지역도 광폭이란 점이 상기된다.

마치 위에서 게시한 낙엽 군대벌레나방(Fall Armyworm Moth)의 분포지 같은 광대한 범위이다.

 

또한 1934.07.05 일자 기사에 경북선산군(善山郡)은 지난 25일부터 금월1일까지 농무(濃霧)가 습래 (襲來)하여 어느날이나 비방울이 아니듯 난날이 없었으나 이앙할 만한 비는 도무지 오지 아니하므로 일반농가에서는 대단히공황중에 있다하며 지금까지 이앙(移秧:移植)된 것은 겨우()활에 불과한바 아직까지도 비올 희망이 없으므로 방금 대파(代播) 즉 모를 내지 못한 마른논에 대신(代身) 다른 곡식(穀食)을 심는 일를 준비중에 있다는 기사도 볼 수 있다.

1934년 4월부터 한발과 야도충피해, 그리고 한여름의 짙은 안개, 농무(濃霧)까지 농사를 주업으로 하는 조선사회에 미치는 자연의 피해상황은 한마디로 극심한 것이라 하지 않을 수가 없다.

한여름의 농무는 북아메리카대륙 대평원지역에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1934년은 어떤 해인가.

이해 8월 2일 독일 히틀러가 총통으로 선출되는 때인데 그 만큼 자연환경으로부터 주민들이 극심한 피해가 있어 여론의 악화에 따른 돌변적인 정치상황을 예측해 볼 수 있듯이 체제내 민심이 어딜 가나 상당히 흉흉했다는 것도 알 수가 있다.

 

Fall armyworm (Spodoptera frugiperda) (North and South America)

이제 서두에서 의문을 가졌던 1934년 7월 3일자 기사 내용과 일치하는 야도충을 찾아 마무리를 해야 하는데 최종 결론내릴 수 있는 것은 위 5종(種)의 군대벌레(army worm)학명 중에서 포괄적으로 "(4)Spodoptera frugiperda (J. E. Smith, 1797)-Fall Armyworm Moth(낙엽 군대벌레나방)"를 꼽을 수가 있다.낙엽군대벌레는 늦은 여름 미국 남부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입히며  북부 지역에서는 일찍 가을에 나타난다는 사실과 낙엽 군대벌레(fall armyworm)는 동부 및 중부 북미 및 남미 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Northern armyworm, oriental armyworm or rice ear-cutting caterpillar (Mythimna separata) (Asia)
그것과 더하여 밤나방상과, 밤나방과(Noctuidae)에서 1837년 프랑스 법률가이며 곤충학자인 아킬레스 제네(Achille Guenée:1809-1880)가 명명한 줄무늬밤나방아과(Hadeninae) 나방속[Mythimna (moth) Ochsenheimer, 1816]를 관찰 할 수 있는데 학명 멸강나방(Mythimna separata, Walker)은 철저하게 아시아(Asia)용으로 정리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무엇때문일까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러한 범위가 중국, 일본, 동아시아, 인도, 동부 호주, 뉴질랜드, 태평양도서란 지역이 매우 포괄적이라는 사실이다.

나방이 바다를 건너 날아 다닐 수 있다는데 의심하지 않을 수가 없다.

하지만 북아메리카대륙을 근거로 하는 Mythimna unipuncta 은 스포도프테라속(Spodoptera)의 낙엽 군대벌레나방과 밀접하게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Mythimna unipuncta(Haworth, 1809)는 미주, 남부 유럽, 중앙 아프리카 및 서부 아시아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흔하게 발견되고 북미에서는 록키산맥의 동쪽과 캐나다 북부에 분포한다.

일부 다처제로 암컷은 성 페로몬(pheromones)을 방출하고 여러 수컷을 배우자로 선택하고 페로몬의 생산과 방출은 온도, 광주기(光週期), 그리고 어린 호르몬에 영향을 받고 청각은 짝짓기 및 박쥐 포식을 피하는데 필요한군대벌레(armyworm)습성에 대한 중요한 의미라고 자료는 설명하고 있다.

이 나방은 또한 학명 멸강나방속"Pseudaletia unipuncta", 라고도 하는데 흰 반점 나방 또는 일반적인 군대벌레(armyworm)로 언급되며 분포지는 미주 및 유럽, 아프리카 및 아시아의 일부 지역에서 발견되는데 원래 근원지는 북미와 남미이다.

무척추 동물들은 군대와 같은 거대한 무리로 줄을 서서 이동하며 작물을 파괴하기 때문에 그것을 군대벌레(armyworms)라고 하는 것이다.

야도충의 피해는 이런 식으로 엄청난 피해를 농작물에 안기고 있다.
이 멸강나방 유충이 다음과 같은 작물에 피해를 주는데 보리(barley-Hordeum vulgare),옥수수(Maize–corn), 귀리(Oats), 쌀(Rice), 호밀(Rye), 사탕수수(Sorghum:Sugarcane), 밀(Wheat), 알팔파(Alfalfa), 아티초크(Artichoke), 콩(Bean), 양배추(Cabbage), 당근(Carrot), 셀러리(Celery), 오이(Cucumber), 상추(Lettuce), 양파(Onion), 파슬리(Parsley), 후추(Pepper), 고구마(Sweet potato)이다.
이 종의 학명을 명명한 에이드리안 하워스(Adrian Hardy Haworth:1767-1833)는 영국의 곤충학자이며 식물학자이고 갑각류학자로서 영국 나비와 나방에 대한 권위있는 연구저서 나비목과 영국백과(Lepidoptera Britannica:1803-1828)의 저자이고 또한 새우 전문 연구가이며 원예학회 회원이자 린네학회 회원으로 알려진다.

우리는 이러한 사실들을 얼마나 알아야 하는가.

캐도캐도 끝이 없다.

하지만 마무리는 신중하지 않으면 안된다. [세계삼한역사연구:한부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