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삼한역사/지리

[慶尙道]14.합서부(陜西府)는 예천(醴泉)

한부울 2011. 3. 16. 16:18

대륙조선 강역이 보인다-벽려(薜荔 : Ficus pumila) http://blog.daum.net/han0114/17050234

*********************************

[慶尙道]

14.합서부(陜西府)는 예천(醴泉)이고,

陝西省(領七府。五直隸州。五州。七十三縣)。 

西安府(名關中。領一州。十五縣)長安(鎬京。附府)咸寧(霸陵。附府)咸陽(石安)興平(茂陵)臨潼(新豐)高陵(鹿苑)鄂縣(杜亭)藍田(玉山)涇陽(鼎州)三原(鹿原)盩屋(恒州)渭南(南鄭)富平(頻陽)醴泉(溫秀)同官(役祤)耀州(華原)-地輿名目(一十九省)

 

 

 


礼泉

历史沿革

礼泉历史悠久,钟灵毓秀 自秦始皇二十六年(公元221)建县,距今2218年。夏属雍州,周称焦获,秦叫谷口县(一作瓠口),西汉置谷口邑,属左冯翊管辖,后改为谷喙县,东汉并入池阳,南北朝时改称宁夷县。隋文帝开皇十八年(598),因境内有泉,味甘如泉,且旁有醴泉宫,故更名为醴泉县。1964年9月9日,经国务院批准,“醴泉县”更名为“礼泉县”。


醴泉 <li quan>   

释名:亦名甘泉。泉水略有淡酒味。参见《尔雅.释天》“甘雨时降,万物以嘉,谓之醴泉”   

气味:甘、平、无毒。甘平,治鬼气邪秽及心腹痼疾。 

主治:心腹痛,疰忤(即鬼疰)消渴,反胃,霍乱等。治病以新汲水为好。   

《瑞应图》说:常饮醴泉,令人长寿。《东观记》说:常饮醴泉,可除痼疾(久病)。

醴泉:养生术语。谓口中津液。《黄庭内景经·口为章第三》务成子注:“口中津液……一名醴泉。”《医心方》卷二七“用气第四”:“唾者凑为醴泉。”   

醴泉 - 地名

醴泉县,位于陕西省关中平原西北部,


礼泉县(旧称“醴泉”,1986年更名为“礼泉”)是中国陕西咸阳市所属的一个县,秦为谷口邑,汉为谷口县。 《太平寰宇记》载:在今县东三十里处,汉宣帝时建置了一座宫殿,在宫殿旁边有一股泉水涌出,其味如醴,因此称醴泉宫。隋时又因宫名县


礼泉县 - 历史沿革

礼泉县红富士苹果礼泉历史悠久,钟灵毓秀

自秦始皇二十六年(公元221)建县,距今2218年。

夏属雍州,周称焦获,秦叫谷口县(一作瓠口),西汉置谷口邑,属左冯翊管辖,后改为谷喙县,东汉并入池阳,南北朝时改称宁夷县。

隋文帝开皇十八年(598),因境内有泉,味甘如泉,且旁有醴泉宫,故更名为醴泉县。

1946年,经国务院批准,改“醴泉”为“礼泉”。境内有古文化遗址21处,古建筑5处,是陕西省18个重点文物旅游大县之一。盛唐的两位帝王都安葬在北部九宗山上。第一批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唐太宗昭陵,占地30万亩,有陪葬墓200余座,被誉为世界最大的皇家陵园。

唐肃宗建陵石刻工艺精美,是目前唐十八陵中保存最为完好的石雕石刻群。

现在昭陵博物馆藏有文物珍品5000余件。

****************************************************

세종지리지

안동 대도호부◎ 예천군(醴泉郡)

본디 수주현(水酒縣)인데, 경덕왕이 예천군(醴泉郡)으로 고쳤고, 고려에서 보주(甫州)로 고쳐서 안동(安東) 임내(任內)에 붙였다가, 명종 2년 임진에 태자(太子)의 태(胎)를 묻은 까닭으로 기양현(基陽縣)으로 고쳐서 영(令)을 두었는데, 신종(神宗) 7년 갑자에【송나라 영종(寧宗) 가태(嘉泰) 4년. 】남도 초토병마사(南道招討兵馬使) 최광의(崔光義)가 동경(東京)5071) 의 도적과 더불어 기양(基陽)에서 싸워 크게 이겼으므로, 지보주사(知甫州事)로 승격시켰고, 본조 태종 계사년에 예(例)에 의하여 보천군(甫川郡)으로 고쳤다가, 병신년에 또 예천군(醴泉郡)으로 고쳤다. 속현(屬縣)이 1이니, 다인현(多仁縣)이다. 본디 달이현(達已縣)인데,【혹은 다이(多已)라고도 한다. 】경덕왕이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상주(尙州)의 영현(領縣)으로 삼았고, 고려 때에도 그대로 상주에 붙였다가, 뒤에 본군(本郡)으로 내속(來屬)시켰다. 별호(別號)는 인양(仁陽)·양양(襄陽), 또는 청하(淸河)이다.【순화(淳化) 때에 정한 것이다. 】부곡(部曲)이 2이니, 고림(高林)·보진(寶進)이며, 소(所)가 1이니, 동로(冬老)이다.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옛 안정(安貞)에 이르기 34리, 서쪽으로 상주(尙州) 산양(山陽)에 이르기 38리, 남쪽으로 단밀(丹密)에 이르기 63리, 북쪽으로 용궁(龍宮)에 이르기 4리이다.

본군(本郡)의 호수는 7백 81호, 인구가 3천 8백 명이며, 다인(多仁)의 호수는 3백 11호, 인구가 1천 4백 27명이다.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73명, 진군(鎭軍)이 95명, 선군(船軍)이 2백 56명이다.

토성(土姓)이 3이니, 임(林)·윤(尹)·권(權)이요,【권(權)은 본래 흔씨(昕氏)인데, 신종(神宗) 원년에 명종(明宗)의 예전 이름[舊諱]을 피하여 권(權)으로 성(姓)을 고쳐 주었다. 】내성(來姓)이 2이니, 허(許)·이(李)이며, 촌성(村姓)이 2이니, 황(黃)·방(邦)이다. 다인(多仁)의 성이 4이니, 황(黃)·장(張)·최(崔)·목(睦)이며, 내성(來姓)이 2이니, 나(羅)·백(白)이다. 보진(寶進)의 속성(續姓)이 2이니, 최·김이며, 고림(高林)의 속성(續姓)이 2이니, 김·황(黃)이요, 동로소(冬老所)의 속성(續姓)이 2이니, 김·임(林)이다.

땅이 기름지고 메마른 것이 서로 반반씩이며, 간전(墾田)이 7천 2백 98결이다.【논이 8분의 3이 넘는다. 】토의(土宜)는 벼·조·콩·보리·메밀·팥·왕골[莞]·뽕나무·삼[麻]이며, 토공(土貢)은 여우가죽·삵가죽·노루가죽·칠·종이·자리[席]·호도·송이버섯·은구어요, 약재(藥材)는 당귀·복령이다. 토산(土産)은 사철(沙鐵)이다.【다인현(多仁縣) 동쪽 대곡탄(大谷灘)에서 난다. 연철(鍊鐵)·정철(正鐵)로 공납(貢納)한다. 】도기소(陶器所)가 1이니, 군(郡) 북쪽 금당곡(金堂谷)에 있다.【하품이다. 】

읍 석성(邑石城)【군(郡) 서쪽 1리에 있다. 둘레가 4백 53보인데, 높고 험하며, 안에 우물 하나가 있다. 】역(驛)이 2이니, 통명(通明)【군(郡) 경내에 있다. 】·수산(守山)【다인(多仁)에 있다. 】이요, 봉화가 2곳이니, 서암산(西岩山)은 군 서쪽에 있고,【동쪽으로 풍산(豐山)의 남산(南山)에 응하고, 서쪽으로 용궁 산성(龍宮山城)에 응한다. 】소이산(所伊山)은 다인현에 있다.【동쪽으로 안정(安貞) 대암산(大岩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함창(咸昌) 쌍화산(雙花山)에 응한다. 】

 

신증동국여지승람 지리지

예천군(醴泉郡)

동쪽은 안동부(安東府) 경계까지 22리, 풍기군(豐基郡) 경계까지 34리, 남쪽은 용궁현(龍宮縣)경계까지 21리, 서쪽도 용궁현 경계까지 33리, 북쪽은 충청도 단양군(丹陽郡) 경계까지 70리, 서울과의 거리는 4백 98리이다.

[건치연혁]본래 신라의 수주현(水酒縣)이다. 경덕왕(景德王)이 지금의 이름으로 고치고 군(郡)으로 하였다. 고려 초에 보주(甫州)로 고쳤고, 현종(顯宗) 때에는 안동부에 예속시켰으며, 명종(明宗) 2년에는 태자(太子)의 태(胎)를 이 고을에 장치(藏置)하고 기양(基陽)으로 고쳐서 승격시켜 현령(縣令)으로 하였다. 신종(神宗) 때, 남도초토사(南道招討使) 최광의(崔光義)가 동경의 적[東京賊]과 이 고을에서 싸워서 크게 이겼으므로 지보주사(知甫州事)로 승격시켰다. 본조에서는 태종(太宗) 13년에 예에 따라 보주군(甫州郡)으로 고쳤고, 16년에는 다시 지금의 이름으로 하였다.

[풍속]풍속은 평이(平易)한 것을 숭상한다. 관풍안(觀風案). 여염에 야박한 풍속이 없다. 이지강(李之剛)의 시(詩).

[형승]동쪽과 서쪽의 두 재[嶺] 사이에 끼어있다. 윤상(尹祥)의 기(記)

[산천]덕봉산(德逢山) 군의 서쪽 3리에 있다. 진산(鎭山)이다. 산 위에 흑응성(黑鷹城)이 있다. 서암산(西菴山) 군 서쪽 8리에 있다. 비봉산(飛鳳山) 다인현(多仁縣)의 남쪽에 있다. 군과의 거리는 남으로 35리. 용문산(龍門山) 군의 북쪽 32리에 있다. 세상에서 전하기를, 신라 때에 고승(高僧) 두운(杜雲)이 이 산에 들어와서 초막을 짓고 살았는데, 고려 태조가 일찍이 남쪽으로 정벌을 나가는 길에, 여기를 지나다가 두운의 이름을 듣고 찾아갔다. 동구(洞口)에 이르러 홀연히 용이 바위 위에 있는 것을 보았다. 그래서 용문산(龍門山)이라고 불렀다. 보문산(普門山) 군의 동쪽 34리에 있다. 작성산(鵲城山) 군의 북쪽 75리에 있다. 하가산(下駕山) 군의 동쪽 31리에 있다. 남천(南川) 군의 남쪽 1리에 있다. 사천(沙川) 군의 동쪽 14리에 있다. 영천군(榮川郡) 임천(臨川)의 하류이다. 양천(襄川) 군의 남쪽 1리에 있다. 그 근원은 풍기군(豐基郡) 명봉산(鳴鳳山)에서 나와서, 본군의 남쪽 12리에 이르러 사천에 들어간다. 대곡탄(大谷灘) 다인현(多仁縣)의 동쪽 9리에 있다. 선창진(船倉津) 현(縣)의 동쪽 3리에 있다. ○ 두 갈래의 물은 자세하게 용궁현(龍宮縣)에 나온다. 홍련지(紅蓮池) 다인현에 있다. 군의 동쪽 60리의 거리에 있다. 『신증』 정개산(鼎蓋山) 군의 동쪽 6리에 있다. 귀모현(歸毛峴) 군의 동쪽 10리에 있다. 대지지(大旨池) 군의 서쪽 8리에 있다.

[토산]철(鐵) 다인현의 동쪽 대곡탄에서 난다. 자초(紫草)ㆍ왕골[莞草]ㆍ은어[銀口魚]ㆍ붕어[鯽魚]ㆍ꿀[蜂蜜]ㆍ송이[松蕈]ㆍ인삼ㆍ산무애뱀[白花蛇]ㆍ오미자(五味子)ㆍ잣[海松子]ㆍ닥종이[楮]ㆍ설면(雪緜).

[불우]용문사(龍門寺) 용문산(龍門山)에 있다. 고려 태조가 두운(杜雲)을 위하여 창건한 것이다. 뒤에 명종(明宗) 때에 태자(太子)의 태(胎)를 절의 왼편에 있는 봉우리에 장치(藏置)하고 이름을 창기사(昌期寺)라 고쳤다. 산기상시(散騎常侍) 이지명(李知命)이 기(記)를 썼다. ○ 서거정(徐居正)의 시에, “두 번째 용문사에 이르니, 산이 깊어서 세속의 소란함이 끊어졌네. 상방(上方 중 있는 곳)에는 중의 평상[榻]이 고요하고, 옛 벽(壁)에는 불등(佛燈)이 환하다. 한 줄기[一道] 샘물 소리는 가늘고, 일천 봉우리 달빛이 나누인다. 고요히 깊은 반성에 잠기니, 다시 이미 나의 가졌던 것까지 잊어버린다.” 하였다. 『신증』 대곡사(大谷寺) 비봉산(飛鳳山)에 있다. ○ 이규보(李奎報)의 시(詩)에, “돌 길이 높고 낮아 평탄하기도 평탄하지 않기도 하니, 한가한 손이 과하(果下)를 타고 채찍을 늘어뜨리고 가네. 가벼운 바람은 고요히 연기 빛을 쓸어 가고, 넘어가는 달 때로는 새벽 빛을 겸하여 밝다. 짧은 산기슭 앞머리에서 절[寺]의 현판을 보고, 배를 옆 언덕에 가로 대고는 여울[灘] 이름을 묻는다. 외로운 마을 어디에서 쓸쓸히 피리를 부는가, 타향에서 병들어 있는 사람의 심정은 괴로워지기 쉬운데.” 하였다.

[고적]안인폐현(安仁廢縣) 김부식(金富軾)이 말하기를, “본래 난산현(蘭山縣)이다. 경덕왕(景德王)이 지금 이름으로 고치고 보주(甫州)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하였다. 지금 어디인지 자세하지 않다. 고림부곡(高林部曲) 군의 서쪽 20리에 있다. 용궁현(龍宮縣)의 북촌(北村)에 넘어 들어가 있다. 효천부곡(孝川部曲) 군의 남쪽 18리에 있다. 보진부곡(寶進部曲) 다인현(多仁縣)의 남쪽 27리에 있다. 동로평소(冬老坪所) 군의 북쪽 53리에 있다. 작성(鵲城) 둘레가 6백 10척이다. 지금은 폐성(廢城)이다. 서쪽에 석문(石門)이 있는데, 높이가 11척, 넓이가 12척이다. 삼면(三面)은 암석(巖石)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