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삼한역사/식물

쥐꼬리망초(Justicia Procumbes)와 강원도

한부울 2012. 12. 24. 17:20

********************************

쥐꼬리망초(Justicia Procumbes)와 강원도(江原道)

 

쥐꼬리망초에 대해서 이야기하려는 것은 우리가 상식적으로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역사기록에 실려 있기 때문이다.

바로 세종지리지에 열대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한다고 하는 쥐꼬리망초가 황해도와 강원도에 자생식물로 등재됨은 물론이고 약재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이다.

이 기록을 보면 황해도 해주목, 강원도 강릉대도호부와 양양도호부, 강원도 원주목, 강원도 회양도호부, 강원도 춘천도호부 등에서 열대식물인 쥐꼬리망초가 자생했다는 기록이다.

세종지리지가 기록한 황해도와 강원도는 과연 한반도 인가?

한반도 황해도와 강원도에서 도대체 어떻게 열대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이 자랐다는 것인가?

그 당시에도 비닐하우스가 있었단 말인가?

천만에 말씀이다.

 

세종지리지 쥐꼬리망초뿌리[]자생 분포지

황해도 해주목

강원도 강릉 대도호부/양양도호부

강원도 원주목

강원도 회양 도호부

강원도 춘천 도호부

 

세종지리지의 기록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이러한 기록은 한반도의 기록이 결코 아니라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珊瑚花属:Cyrtanthera)是爵床科下的一个属。该属共有约10种,分布于美洲热带地区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未分级) 被子植物 Angiosperms

(未分级) 真双子叶植物 Eudicots

目: 唇形目 Lamiales

科: 爵床科 Acanthaceae

屬: 珊瑚花属 Cyrtanthera

Justicia procumbens L. 1753

 

쥐꼬리망초는 쌍떡잎식물의 꿀풀목(唇形目:Lamiales), 쥐꼬리망초과(爵床科:Acanthaceae), 쥐꼬리망초속(珊瑚花属:Cyrtanthera)에 속하는 식물이다.

산기슭이나 길가에 자라는 ‘쥐꼬리망초’는 열매가 쥐꼬리처럼 길어져서 쥐꼬리망초가 되었다고 하고 영어이름 ‘호스위드(horseweed)’는 말이 다니는 곳에 자라는 풀이기 때문일 것이다.

특히 이 식물은 열대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세계적으로 약 250속의 2,500여 종이 알려져 있는 큰 과인데, 한국에는 방울꽃속 등의 3속 3종만이 남부지방에서 자라고 있다.

쥐꼬리망초는 감기, 종기, 간염, 신경통, 신경안정 등에 만병통치약처럼 쓰인다고 한다.

전체에 짧은 털이 있고 줄기에 세로줄이 있어 사각형으로 만져지고 잎은 마주나며 꽃은 줄기나 기지 끝에 이삭 모양으로 달린다. 쥐꼬리망초꽃은 너무 작아서 자칫하면 그냥 지나치기 쉽다.

 

대부분 초본(草本)이지만, 종(種)에 따라서는 관목(灌木)이 되는 것도 있다. 잎은 턱잎이 없으며 마주 달리는데, 잎 몸 안에는 두드러진 종유체(鍾乳體:탄산칼슘의 결정)가 있다. 꽃은 좌우대칭인 양성화로, 보통은 포엽(苞葉)에 싸여 있다. 꽃부리는 입술 모양이며, 수술은 2개 또는 4개가 있다. 씨방은 상위이며, 씨는 그 밑 부분에 탄력성이 있는 부속물을 가지고 있어서 열매가 벌어지면 튀어나오게 된다[위키]

 

(1)Justicia americana (L.) Vahl, AMERICAN WATER-WILLOW

 

 

 

 

(2)Justicia betonica L. SQUIRRELTAIL, 야생보리

Adhatoda betonica L Nees; Squirrels tail

 

(3)Justicia comata (L. ) Lam. MARSH WATER-WILLOW 습지쥐꼬리망초

Justicia martiana; Dianthera comata

 

식물학의 시조(始祖) 린네(Carl Linnaeus, 1707-1778)가 붙인 대표종 학명(學名) 아래 세 종(種)의 분포지도를 살펴볼 수 있는데 이는 DNA 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Discover Life-미국유전자원정보네트워크와 식물유전자원관리체계(GRIN/NPGS)의 분포지도이다.

위 분포지도를 보면

명 (1)Justicia americana L. Vahl 는 미국쥐꼬리망초(AMERICAN WATER-WILLOW)라고도 하는데 분포지를 보면 북아메리카대륙 동부와 남부전역을 표시하고 있다.

학명 (2)Justicia betonica L 은 야생보리(SQUIRRELTAIL)라고도 하는데 분포지를 보면 아프리카 동부와 남부를 가르키고 호주, 뉴질랜드, 인도아대륙정도인데 중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대륙 동북부에 노란점이 뭉쳐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명 (3)Justicia comata L. Lam 은 습지쥐꼬리망초(MARSH WATER-WILLOW)라고도 하는데 이 종은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해 그리고 남아메리카대륙 전체를 분포지로 하고 있다.

 

동방(東邦)과 동국(東國)은 조선(朝鮮)의 별칭이다.

이 별칭들은 북아메리카대륙이란 사실을 앞에서 확인까지했다.

위 세가지 종에서 가장 조선과 관계 있을 것 같은 종은 미국쥐꼬리망초(AMERICAN WATER-WILLOW)라고 하는 학명 (1)Justicia americana L. Vahl 이라고 보지만 북아메리카 전체를 열대지역으로 볼 수없기 때문에 장애가 없지 않다.

린네가 아메리칸(American)란 종명을 학명에 붙였던 시기를 생각해 볼 때 "피나무(華椴Tilia chinensis)와 조선"이란 글에서 언급한 것처럼 린네가 적극적으로 활동한 시기가 1758년이라면 미국이 독립한 시기는 훨씬 뒤인 1776년이다.

그럼에도 린네가 아메리칸(American)이란 종명이 붙였다는 것은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때문에 이 종명은 아메리카란 명칭말고 다른 명칭이 있었다고 보이지만 알 수 없다.

 

나머지 종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열대식물이라고 하였으니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대륙 북부지역을 꼽지 않을 수없다.

때문에 (2), (3) 모두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종이라 할 수 있다.

추측컨데 적어도 동국인 대조선 땅 강원도에서 자생하던 쥐꼬리망초는 한반도가 아닌 아메리카대륙에서 자생한 것으로 보아야 맞다.[삼한역사연구:한부울]

********************************

국명 : 쥐꼬리망초

과명 : 쥐꼬리망초과 Acanthaceae

학명 : Justicia procumbens L.

한약명 : 작상爵床

생물학적특징

일년생 초본, 높이 30㎝; 잎은 대생, 장타원상 피침형, 길이 2~4㎝, 폭 1~2㎝, 예두, 예저, 전연, 엽병은 길이 5~15㎜; 꽃은 7~9월 연한 자홍색 개화, 포와 소포는 꽃받침와 같은 길이; 꽃받침은 피침형, 가장자리는 막질, 화관은 순형, 수술은 2개; 열매는 삭과; 종자는 4개

분포 : 한국(중, 남부), 일본, 중국, 인도지나, 인도, 말레이시아, 세이론

성분 : jasticidin C, D, jasticin이 들어있다.

용도 : 약용-(지상부) 감기, 신우신염, 종기, 이질에 사용한다.

********

中文名稱:爵床, 更多爵床

英文名稱: Creeping Rosellularia

學名:

Justicia procumbens L.

Justicia procumbens L. var. procumbens

JusticiRosellulariaa procumbens L. var. riukiuensis Yamamoto

Rosellularia procumbens (L.) Nees

Rostellularia procumbens (L.) Nees var. riukiuensis (Yamamoto) Ying 

科名:爵床科(Acanthaceae)爵床屬(Justicia)

別名小鼠尾紅、鼠尾紅、鼠筋紅、麥穗紅、風尾紅、香蘇、筆尾紅、

Ryakata'ppu、Zyakata'ppu(排灣)

原產地:中國大陸南部、印度、中南半島、澳洲、菲律賓、琉球、日本 

**************************************

쥐꼬리망초과는 꿀풀목의 하위 과이다. 열대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세계적으로 약 250속의 2,500여 종이 알려져 있는 큰 과인데, 한국에는 방울꽃속 등의 3속 3종만이 남부 지방에서 자라고 있다.


[특징]대부분 초본이지만, 종에 따라서는 관목이 되는 것도 있다. 잎은 턱잎이 없으며 마주 달리는데, 잎몸 안에는 두드러진 종유체(탄산칼슘의 결정)가 있다. 꽃은 좌우대칭인 양성화로, 보통은 포엽에 싸여 있다. 꽃부리는 입술 모양이며, 수술은 2개 또는 4개가 있다. 씨방은 상위이며, 씨는 그 밑부분에 탄력성이 있는 부속물을 가지고 있어서 열매가 벌어지면 튀어나오게 된다[위키]

*********

쥐꼬리망초(Justicia Procumbes)


Justicia procumbens, commonly known as Water Willow, (Marathi: करंबल Karambal, पित्तपापडा Pitpapada, कलमाशी Kalmashi) is a small plant endemic to India.

 

                       Justicia procumbens in Narsapur, Andhra Pradesh, India.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꿀풀목

과: 쥐꼬리망초과

속: 쥐꼬리망초속

종: 쥐꼬리망초

학명 

Justicia procumbens L. 1753

 

쥐꼬리망초는 쥐꼬리망초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생태]높이는 30-40cm 정도이며, 줄기는 사각형으로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잎은 가장자리가 매끈한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며 마주난다. 꽃은 엷은 홍색 또는 흰색인데,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가지 끝에 이삭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린다. 열매는 삭과이며 뿌리는 약재로 쓰인다. 주로 들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며, 한국의 남부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위키]


산기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밑 부분이 옆으로 자라고 윗부분이 곧게 서며 높이가 10∼40cm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마디가 굵고 단면은 사각형이며 잔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며 길이가 2∼4cm이고 양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자루는 길이가 5∼15mm이다.


꽃은 7∼9월에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길이 2∼5cm의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빽빽이 달린다. 포와 작은포, 그리고 꽃받침조각은 좁은 바소꼴이고 가장자리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화관은 입술 모양이고 꽃받침보다 길며 흰색이고, 아랫입술은 3개로 갈라지며 안쪽에 흰색 또는 연한 붉은 색 바탕에 붉은 반점이 있다.


수술은 2개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2개로 갈라지며, 종자는 4개이고 잔주름이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약재로 쓰는데, 감기로 인한 발열·해수·인후통에 효과가 있고, 신우신염·간염·간경화·타박상·종기·이질에 사용하며, 근육과 뼈의 동통을 제거한다. 한국·일본·타이완·중국·인도차이나·인도·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네이버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