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삼한역사/광물

우리나라 `금`이 없다?

한부울 2009. 8. 6. 21:23

동서양 史料로 본 Corea, Korea 연원 http://blog.daum.net/han0114/17047810

 

아래 기사내용을 보면 우리나라엔 금이 생산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생산 되더라도 미미할 뿐이다.

그러나 조선시대 세종 지리지에서 보면 금이 강원도에서 토산으로 생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강원도가 어딜까?

금성(金城)이 어디인가? 지금 감숙성에 금성이 있다.

금성 38리 북쪽에 금강산이 있다 했다.

알타이산맥 천산이 금산(金山)이다. 서금산, 동금산이 존재했다.

옛부터 금산(金山)은 금이 많이 생산되는 곳이라고 하여 이름이 금산이다.

**********************************

우리나라 `금`이 없다?…외환보유액 0.2% 불과

[매일경제] 2009년 08월 06일(목) 오전 08:20


최근 들어 금이 가격 급등으로 매력적인 투자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한국의 금 보유량은 경제 규모에 비해 크게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세계금위원회(WGC)는 최근 각국 정부에 통보한 6월 말 현재 금 보유량 현황에서 한국의 금 보유량이 14.3톤으로 조사 대상 103개국 가운데 56위인 것으로 평가했다.


한국이 세계 10위권의 경제 규모에 외환 보유액이 세계 6위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금 보유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셈이다.


금 보유량 1위는 미국으로 8133.5톤을 보유해 우리나라보다 570배가량 많았다. 이어 독일(3412.6톤), 국제통화기금(3217.3톤), 이탈리아(2451.8톤), 프랑스(2450.7톤), 중국(1054톤), 스위스(1040.1톤)가 1000톤이 넘는 금을 보유하고 있었다.


일본은 765.2톤의 금을 보유해 세계 8위에 올랐으며 네덜란드(612.5톤), 러시아(536.9톤)가 1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과 경쟁 관계인 대만은 금 보유량이 423.6톤으로 세계 12위였다.


세계 50위권에는 에콰도르(26.1톤 51위), 시리아(25.8톤 52위), 모로코(22.1톤 53위), 나이지리아(21.5톤 54위), 벨로루시(21.1톤 55위)가 속했으며 한국은 56위로 키프로스(13.9톤 57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13.1톤 58위), 체코(13톤 59위)와 금 보유량이 비슷했다.


특히 문제는 6월 말 기준으로 한국의 외환보유액 가운데 금의 비중이 0.2%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이는 조사 대상국의 외환보유액 중 평균 금 비중이 10.1%인 것과 비교하면 무려 50배 이상 부족한 셈이다. 외환보유액 중 금의 비중이 한국보다 낮은 국가는 조사 대상 103개국 가운데 홍콩.칠레(0.0%), 피지(0.1%) 정도다.


미국은 전체 외환보유액의 78.3%가 금이었으며 독일은 69.5%, 이탈리아는 66.1%, 프랑스는 73.0%, 포르투갈은 90.3%, 그리스는 91.6%, 오스트리아는 56.3%, 슬로바키아는 83.3%였다.


[석남식 기자]매일경제

*****************************************

조선왕조실록 세종지리지

 

地理志 / 江原道 / 江陵大都護府/ 정선군(旌善郡)

地理志 / 江原道/ 회양도호부(淮陽都護府)

地理志 / 江原道 / 淮陽都護府/ 금성현(金城縣)

地理志 / 江原道/ 춘천도호부(春川都護府)

 ------------

◎ 旌善郡: 知郡事一人。 本高句麗仍買縣, 新羅改今名, 爲溟州領縣。 高麗顯宗戊午, 仍爲任內, 後陞爲郡, 本朝因之。 別號三鳳、朱陳、桃源。 鎭山, 飛鳳。【在郡北高險】大川, 大陰江。【在郡南有渡舡。】四境, 東距三陟五十三里, 西南距平昌西二十二里, 南三十一里, 北距羽溪三十二里。 戶二百三, 口四百五十九。 軍丁, 侍衛軍十九, 舡軍二十四。 土姓三, 李、全、高; 賜姓一, 文;【諺傳。】 續姓一, 安。【興寧來, 鄕吏。】厥土塉, 風氣多寒, 墾田一千五結。【水田只一結。】土宜, 黍、稷、粟、豆、麥、桑、麻、梨、栗、漆。 土貢, 紫檀香、白檀香、黃蠟、蜂蜜、五倍子、石茸、正鐵、芝草、漆、鹿脯、獐皮、狐皮、狸皮、水獺皮、猪毛、熊毛。 藥材, 人蔘、白芨、當歸、藍、漆、芎藭、茯苓、安息香、白膠香、五味子、羚羊角、白花蛇、鹿角膠、猯油。 土産, 金産郡東三十里馬周川及米川。 石鐵産郡南五十里許能箭山洞。 石鍾乳産郡西十五里許毛亇於里北山石窟。【似玉。】靑石産郡西二十里許碧波山洞。【作硯】松茸、山芥。 驛三, 好善、餘粮、碧呑。 風穴。【在郡南川邊大陰山麓, 稱風岩, 旁有倚風亭, 其下置氷經夏, 其旁又有水穴。 南江水分入地中。】


◎ 정선군(旌善郡)

지군사(知郡事) 1인.

 

본래 고구려의 잉매현(仍買縣)인데, 신라 때에 지금 이름으로 고쳐서 명주(溟州)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고려 현종(顯宗) 9년 무오에 그대로 임내로 하였다가, 뒤에 군(郡)으로 승격하였으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별호는 삼봉(三鳳)·주진(朱陳)·도원(桃源)이라 한다.

 

진산(鎭山)은 비봉(飛鳳)이요,【군의 북쪽에 있는데, 높고 험하다.】대천(大川)은 대음강(大陰江)이다.【군(郡) 남쪽에 있는데, 나룻배가 있다.】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삼척(三陟)에 이르기 53리, 서·남쪽은 평창(平昌)에 이르는데, 서쪽이 22리, 남쪽이 31리이며, 북쪽으로 우계(羽溪)에 이르기 32리이다.

호수가 2백 3호요, 인구가 4백 59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19명이요, 선군이 24명이다.토성(土姓)이 3이니, 이(李)·전(全)·고(高)요, 사성(賜姓)이 1이니, 문(文)이며,【민간에 전한다.】속성(續姓)이 1이니, 안(安)이다.【흥녕(興寧)에서 왔는데, 향리이다.】

 

땅이 메마르며, 기후가 많이 춥다. 간전(墾田)이 1천 5결이요,【논이 겨우 1결.】토의(土宜)는 기장·피·조·팥·보리·뽕나무·삼·배·밤·칠(漆)이다. 토공은 자단향(紫檀香)·백단향·밀[黃蠟]·꿀·북나무충영·석이·시우쇠·지초·칠(漆)·사슴포·노루가죽·여우가죽·삵괭이가죽·수달피·돼지털·곰의 털이요, 약재는 인삼·대왕풀[白芨]·승검초뿌리[當歸]·쪽[藍]·칠(漆)·궁궁이[芎藭]·복령(茯苓)·북나무진[安息香]·다린송진[白膠香]·오미자(五味子)·산양이뿔[羚羊角]·산무애뱀[白花蛇]·녹각교(鹿角膠)·오소리기름[油]이다.

 

토산(土産)은 이 군(郡) 동쪽 30리 마주천(馬周川) 및 미천(米川)에서 나고, 석철(石鐵)이 군(郡) 남쪽 50리쯤 되는 능전산골[能箭山洞]에서 나며, 돌고드름[石鍾乳]이 군(郡) 서쪽 15리쯤 되는 모마어리(毛亇於里) 북쪽 산 석굴(石窟)에서 나고,【옥과 같다.】푸른 돌[靑石]이 군(郡) 서쪽 20리쯤 되는 벽파산골[碧波山洞]에서 나며,【벼루를 만든다.】송이·산개(山芥)이다.

 

역(驛)이 3이니, 호선(好善)·여량(餘糧)·벽탄(碧呑)이다. 풍혈(風穴)【군(郡) 남쪽 냇가 대음산(大陰山) 기슭에 있는데, ‘바람바위[風岩]’라 한다. 곁에 의풍정(倚風亭)이 있는데, 그 아래에 얼음을 두고 여름을 지낸다. 그 곁에 또 물구멍[水穴]이 있는데, 남강(南江) 물이 갈라져서 땅속으로 들어간다.

*************************

地理志 / 江原道/ 회양도호부(淮陽都護府)

-----------

⊙ 淮陽: 都護府使一人, 儒學敎授官一人。 本高句麗各連城郡,【各, 一作客, 一云加兮牙】新羅改連城郡, 高麗時, 又稱伊勿城。【見《太祖記》】成宗十四年丙申, 改交州團練使, 顯宗戊午, 改爲防禦使, 忠烈王三十四年戊申, 以鐵嶺口子把截有功, 陞淮州牧。【元武宗至大元年】忠宣王二年庚戌, 降爲淮陽府, 本朝因之。 太宗十三年癸巳, 例爲都護府。 別號蓮城, 或連城。【淳化所定】屬縣五, 和川縣, 本高句麗數狌川縣, 新羅改名藪川, 爲大陽郡領縣。 高麗改和川縣, 爲交州任內, 本朝因之。 水入縣,【一云買伊縣】據金城縣報, 本是通溝縣地, 分屬年代未詳。 文登縣, 本高句麗文現縣,【一云斤尸波兮】新羅改今名, 爲大陽郡領縣。 高麗顯宗戊午, 移屬春州任內, 後復屬交州, 本朝因之。 嵐谷縣, 本高句麗赤木鎭, 新羅改名丹松縣, 爲連城郡領縣。 高麗顯宗戊午, 改嵐谷, 爲交州任內, 本朝因之。 長楊縣, 本高句麗大陽管郡,【一云馬斤押】新羅改大陽郡, 高麗改長楊縣, 爲交州任內, 本朝因之。 鎭山, 義館嶺。【在府北】德津溟所、【在義館嶺下, 春秋降香致祭, 皆小祀】金剛山、【在長楊縣東三十里許, 一云楓岳, 或稱皆骨, 海東山水名於天下, 此山千峯雪立, 高竣奇絶, 又爲之冠。 且以佛書有曇無竭菩薩所住之說, 世遂謂人間淨土, 諺傳中國人亦云: “願生高麗國, 親見之。”】 四境, 東距通川五十二里, 西距平康七十一里, 南距金城三十八里, 北距咸吉道安邊三十里。 戶二百二十二, 口五百九十二。 和川縣戶十九, 口三十九, 水入縣戶四十一, 口一百五十五。 文登縣戶十四, 口二十八。 風谷縣戶十一, 口四十六。 長楊縣戶一百單四, 口二百十八。 軍丁, 侍衛軍, 一百五十八, 舡軍十。 土姓五, 宋、房、高、李、玄; 續姓四, 金、【淸道來】蔡、【平康來】全、【旌善來】鄭、【務安來。 皆鄕吏】蔡;【平康來】亡姓一, 房。【熊林來】和川姓一, 金; 亡姓一, 殷。 水入續姓二, 金、【三陟來, 鄕吏】尹。【縣及姓氏, 古籍無】文登姓一, 壽; 亡姓四, 辛、楊、邢、信。 嵐谷姓一, 朴; 亡姓三, 田、盧、玄。 長楊姓一, 孟; 亡姓三, 敬、華、田。 厥土塉, 風氣寒, 墾田四千五百八十六結。【水田止七結】土宜, 黍、稷、粟、豆、蕎麥、桑、麻、栗。 土貢, 蜂蜜、黃蠟、漆、松子、五倍子、正鐵、芝草、眞茸、石茸、狐皮、狸皮、水獺皮、麞皮、豹尾、猪尾、熊毛。 藥材, 五味子、茯苓、當歸、蓁艽、前胡、芎藭、牽牛子、白芨、白膠香、安息香、木賊、磁石、膽、羚羊角、酥油、空靑、人蔘。 土産, 金産府東三十里菩堤津川邊及府北五里臨溪寺下川邊。 陶器所一, 在府東瓮里。【下品】天佛山石城, 在府南。【周回六百七十一步一尺, 內有一泉, 旱則渴】驛二, 銀溪、新安。【本東安驛, 今上七年乙巳, 以任內長楊縣新楊驛合于東安, 改稱新安】和川驛一, 和親。【本朝太宗二年壬子, 始置】要害, 鐵嶺在府北三十里, 楸池嶺在和川東十四里, 洒嶺峴在長楊北三十里。 烽火六處, 个呑在府南,【南準金城任內歧城城山, 東準任內和川餘伊破】餘伊破、【東準楸池】楸池。【東準通川金蘭】所山在府西,【北準咸吉道安邊鐵嶺】嵐谷城北、【東準府地所山, 南準雙嶺】雙嶺。【南準平康松峴。】表訓寺、【屬敎宗, 給田三百結】正陽寺、【屬敎宗, 給田一百五十結】長安寺。【屬禪宗, 給田三百結。 右三寺, 皆在金剛山】所嶺縣四, 金城、金化、平康、伊川。


⊙ 회양 도호부(淮陽都護府)

사(使) 1인. 유학 교수관(儒學敎授官) 1인.

 

본래 고구려의 각련성군(各連城郡)인데,【각(各)이 객(客)으로도 쓰이었다. 가혜아(加兮牙)라고도 한다.】신라에서 연성군(連城郡)으로 고쳤다. 고려 때에 이물성(伊勿城)이라 일컬었으며,【태조기(太祖記)에 나온다.】성종(成宗) 14년 병신에 교주 단련사(交州團練使)로 고쳤고, 현종(顯宗) 9년에 방어사(防禦使)로 고쳤다가, 충렬왕(忠烈王) 34년 무신에 철령 구자(鐵嶺口子)의 파절(把截)로써 공이 있으므로 회주목(淮州牧)으로 승격시켰고,【원나라 무종(武宗) 지대(至大) 원년.】충선왕(忠宣王) 2년 경술에 회양부(淮陽府)로 강등하였다. 본조에서 그대로 따르다가, 태종(太宗) 13년 계사에 예(例)에 의하여 도호부(都護府)로 하였다. 별호(別號)는 연성(蓮城), 혹은 연성(連城)이라 한다.【순화(淳化) 때에 정한 것이다.】속현(屬縣)이 5이니, 화천현(和川縣)은 본래 고구려의 수생천현(數狌川縣)인데, 신라에서 수천(藪川)으로 고쳐서 대양군(大陽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고, 고려에서 화천현(和川縣)으로 고쳐서 교주(交州) 임내로 하였는데, 본조(本朝)에서 그대로 하였다. 수입현(水入縣)은【매이현(買伊縣)이라고도 한다. 】금성현(金城縣)의 보(報)에 의거하면, 본시 통구현(通溝縣)의 땅인데, 갈라 붙인 연대는 미상(未詳)하다. 문등현(文登縣)은 본래 고구려의 문현현(文現縣)인데,【근시파혜(斤尸波兮)라고도 한다. 】신라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대양군(大陽郡)의 영현으로 하였고, 고려 현종(顯宗) 9년 무오에 춘주(春州) 임내에 옮겨 붙이었다가, 뒤에 다시 교주(交州)에 붙였는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남곡현(嵐谷縣)은 본래 고구려의 적목진(赤木鎭)인데, 신라에서 단송현(丹松縣)으로 고쳐서 연성군(連城郡)의 영현으로 하였고, 고려 현종 9년에 남곡으로 고쳐서 교주 임내로 하였으며, 본조에서 그대로 따랐다. 장양현(長楊縣)은 본래 고구려의 대양관군(大陽管郡)인데,【마근압(馬斤押)이라고도 한다. 】신라에서 대양군(大陽郡)으로 고쳤고, 고려에서 장양현으로 고쳐 교주 임내로 한 것을, 본조에서 그대로 따랐다.

 

진산(鎭山)은 의관령(義館嶺)이다.【부의 북쪽에 있다.】덕진명소(德津溟所)【의관령 아래에 있다. 봄·가을에 향(香)을 내려 제사지내는데, 모두 소사(小祀)로써 한다.】금강산(金剛山)【장양현의 동쪽 30리쯤에 있다. 풍악(楓岳)이라고도 하고, 개골(皆骨)이라고도 한다. 우리 나라의 산수(山水)가 천하(天下)에 이름났는데, 이 산의 천만 봉우리는 눈처럼 서서, 높고 절묘함이 으뜸이며, 또 불서(佛書)에 담무갈보살(曇無竭普薩)이 머무르던 곳이란 말이 있어서, 인간의 정토(淨土)라 이른다. 민간에서 전하기를, “중국(中國) 사람들이 또한 이르기를, ‘고려국에 나서 친히 〈금강산〉 보기를 원한다.’ 하였다.” 한다.】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통천(通川)에 이르기 52리, 서쪽으로 평강(平康)에 이르기 71리, 남쪽으로 금성(金城)에 이르기 38리, 북쪽으로 함길도(咸吉道) 안변(安邊)에 이르기 30리이다.

호수가 2백 22호요, 인구가 5백 92명이다. 화천현의 호수가 19호요, 인구가 39명이며, 수입현의 호수가 41호요, 인구가 1백 55명이며, 문등현의 호수가 14호요, 인구가 28명이며, 남곡현의 호수가 11호요, 인구가 46명이며, 장양현의 호수가 1백 단(單) 4호요, 인구가 2백 18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1백 58명이요, 선군이 10명이다.

 

토성(土姓)이 5이니, 송(宋)·방(房)·고(高)·이(李)·현(玄)이요, 속성(續姓)이 4이니, 김(金)【청도(淸道)에서 왔다.】·채(蔡)【평강에서 왔다.】·전(全)【정선(旌善)에서 왔다.】·정(鄭)【무안(務安)에서 왔는데, 모두 향리이다.】·채(蔡)【평강(平康)에서 왔다.】망성(亡姓)이 1이니, 방(房)이다.【웅림(熊林)에서 왔다.】화천의 성이 1이니, 김(金)이요, 망성이 1이니, 은(殷)이며, 수입(水入)의 속성(續姓)이 2이니, 김(金)【삼척(三陟)에서 왔는데, 향리이다.】·윤(尹)이며,【현(縣)과 성씨가 옛 문적에는 없다.】문등의 성이 1이니, 수(壽)요, 망성이 4이니, 신(辛)·양(楊)·형(邢)·신(信)이며, 남곡의 성이 1이니, 박(朴)이요, 망성이 3이니, 전(田)·노(盧)·현(玄)이며, 장양의 성이 1이니, 맹(孟)이요, 망성이 3이니, 경(敬)·화(華)·전(田)이다.

 

땅이 메마르며, 기후가 차다. 간전(墾田)이 4천 5백 86결이요,【논이 7결 뿐이다.】토의(土宜)는 기장·피·조·콩·메밀·뽕나무·삼·밤이다. 토공은 꿀·밀[黃蠟]·칠·잣·오배자·시우쇠·지초·느타리·석이·여우가죽·삵괭이가죽·수달피·노루가죽·표범꼬리·돼지꼬리·곰의 털이요, 약재는 오미자·복령·승검초뿌리[當歸]·쥐꼬리망초뿌리[秦]·바디나물뿌리[前胡]·궁궁이·나팔꽃씨[牽牛子]·대왕풀[白芨]·백교향(白膠香)·북나무진[安息香]·속새[木賊]·지남철[磁石]·곰의 쓸개·산양이뿔[羚羊角]·소유(酥油)·공청(空靑)·인삼이다. 토산(土産)은 금(金)이 부(部)의 동쪽 30리 보제진(菩堤津) 냇가와 부(部)의 북쪽 5리 임계사(臨溪寺) 아래 냇가에서 난다. 도기소(陶器所)가 1이니, 부(郡)의 동쪽 옹리(甕里)에 있다.【하품이다.】

 

천불산 석성(天佛山石城)이 부의 남쪽에 있다.【둘레 6백 71보(步) 1척이며, 안에 샘 하나가 있는데, 가물면 마른다.】역(驛)이 2이니, 은계(銀溪)·신안(新安)이요,【본래 동안역(東安驛)인데, 금상(今上) 7년 을사에 임내 장양현의 신양약(新楊驛)을 동안(東安)에 합쳐 신안(新安)으로 고쳤다.】화천의 역이 1이니, 화친(和親)이다.【본조 태종 2년 임자에 비로소 두었다.】요해(要害)는 철령(鐵嶺)이 부의 북쪽 30리에 있고, 추지령(楸池嶺)이 화천 동쪽에 14리에 있으며, 세령현(洒嶺峴)이 장양 북쪽 30리에 있다. 봉화가 6곳이니, 개탄(个呑)이 부의 남쪽에 있고,【남쪽으로 금성(金城) 임내 기성(岐城)의 성산(城山)에, 동쪽으로 임내 화천의 여이파에 응한다.】여이파(餘伊破)【동쪽으로 추지에 응한다.】·추지(楸池)【동쪽으로 통천(通川) 금란(金蘭)에 응한다.】·소산(所山)이 부의 서쪽에 있고,【북쪽으로 함길도 안변(安邊) 철령(鐵嶺)에 응한다.】남곡 성북(嵐谷城北)【동쪽으로 부지(府地) 소산(所山)에, 남쪽으로 쌍령에 응한다.】·쌍령(雙嶺)【남쪽으로 평강 송현(松峴)에 응한다.】이 있다. 표훈사(表訓寺)【교종(敎宗)에 붙이고, 전지 3백 결(結)을 주었다.】·정양사(正陽寺)【교종에 붙이고, 전지 1백 50결을 주었다.】·장안사(長安寺)【선종(禪宗)에 붙이고, 전지 3백 결(結)을 주었다. 위의 세 절은 모두 금강산에 있다.】

관할[所領]이 4이니, 금성(金城)·김화(金化)·평강(平康)·이천(伊川)이다.

*********************

地理志 / 江原道 / 淮陽都護府/ 김성현(金城縣)

-------------------

金城: 縣令一人。 本高句麗母城郡, 新羅改益城郡。 高麗顯宗戊午, 改金城縣, 爲交州任內, 睿宗元年丙戌, 始置監務, 後爲縣令, 本朝因之。 別號金壤。 屬縣二。 通溝縣, 本高句麗水入縣, 新羅改今名, 爲岐城郡領縣。 高麗顯宗戊午, 移屬交州任內, 後來屬。 岐城縣, 本高句麗冬斯忽郡, 新羅改岐城郡, 高麗因之, 後爲縣, 敗亡, 今爲直村。 慶把山【在縣北, 縣人以爲鎭山】菩提津。【在岐城縣北】四境, 東距狼川四十里, 西南距金化西二十八里, 南十三里, 北距淮陽四十九里。 戶三百四十, 口七百五十九。 通溝縣戶七十二, 口九十六。 軍丁, 侍衛軍一百十九。 土姓三, 孫、盧、劉; 亡姓二, 蘇、申; 續姓五, 崔、【原州來】宋、【慶州來】李、【寧州來】黃、【平海來】鄭。【襄陽來, 皆鄕吏】通溝姓二, 李、朴; 亡姓四, 田、林、尹、朴; 續姓二, 金、徐; 亡岐城亡姓三, 朴、高、文; 續姓一, 金; 亡來姓二, 朴、【通溝來】許。【平康來】厥土塉, 風氣寒, 墾田三千九百三十八結。【水田止十二結】土宜, 黍、稷、粟、豆、麥、桑、麻、楮、漆、栗。 土貢, 蜂蜜、黃蠟、正鐵、松子、五倍子、朱土、芝草、眞茸、石茸、鹿脯、狐皮、狸皮、獐皮、猪皮、熊毛。 藥材, 人蔘、茯苓、前胡、當歸、蓁艽、白芨、白膠香、五味子。 土産, 金産任內歧城北四十五里菩提津邊, 鉛鐵産縣北十五里端正洞會陽洞及歧城西二十七里金也洞內小川。 爐甘石鐵産縣北十五里端正洞會陽洞。【不用】石鐵産歧城東四十五里釜嵓也音浦小川。 驛三, 直木、瑞雲、【古名看波, 本朝太宗十四年甲午, 改今名】昌道。【在通溝, 今上七年乙巳, 幷通道能昌, 改今名】烽火三處, 阿峴在縣南,【西準金化所山伊, 北準仇乙破】仇乙破、【北準任內歧城城北】城北。【北準淮陽个呑】


◎ 금성현(金城縣)

영(令) 1인.

 

본래 고구려의 모성군(母城郡)인데, 신라에서 익성군(益城郡)으로 고쳤고, 고려 현종(顯宗) 9년 무오에 금성현으로 고쳐서 교주(交州) 임내로 하였다가, 예종(睿宗) 원년 병술에 비로소 감무(監務)를 두었고, 뒤에 현령으로 하였는데, 본조에서 그대로 따랐다. 별호는 금양(金壤)이다. 속현(屬縣)이 2이니, 통구현(通溝縣)은 본래 고구려의 수입현(水入縣)인데, 신라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기성군(岐城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고, 고려 현종 9년에 교주(交州)의 임내로 옮겨 붙이었다가, 뒤에 내속(來屬)시켰다. 기성현(岐城縣)은 본래 고구려의 동사홀군(冬斯忽郡)인데, 신라에서 기성군으로 고쳤고, 고려에서도 그대로 따랐다가, 뒤에 현(縣)이 패망(敗亡)하게 되매, 지금 직촌(直村)으로 하였다.

경파산(慶把山)【현(縣)의 북쪽에 있는데, 현의 사람들이 진산(鎭山)으로 삼는다.】보제진(菩提津)【기성현 북쪽에 있다.】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낭천(狼川)에 이르기 40리, 서·남쪽으로 김화(金化)에 이르는데, 서쪽이 28리, 남쪽이 13리이며, 북쪽으로 회양(淮陽)에 이르기 49리이다.

호수가 3백 40호요, 인구가 7백 59명이며, 통구현의 호수가 72호요, 인구가 96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1백 19명이다.

 

토성(土姓)이 3이니, 손(孫)·노(盧)·유(劉)요, 망성(亡姓)이 2이니, 소(蘇)·신(申)이요, 속성(續姓)이 5이니, 최(崔)【원주(原州)에서 왔다.】·송(宋)【경주에서 왔다.】·이(李)【영주(寧州)에서 왔다.】·황(黃)【평해(平海)에서 왔다.】·정(鄭)이요,【양양(襄陽)에서 왔는데, 모두 향리이다.】통구의 성이 2이니, 이(李)·박(朴)이요, 망성이 4이니, 전(田)·임(林)·윤(尹)·박(朴)이요, 속성(續姓)이 2이니, 김(金)·서(徐)이다. 기성의 망성(亡姓)이 3이니, 박(朴)·고(高)·문(文)이요, 속성이 1이니, 김(金)이요, 망내성(亡來姓)이 2이니, 박(朴)【통구에서 왔다.】·허(許)이다.【 평강에서 왔다.】

 

땅이 메마르며, 기후가 차다. 간전(墾田)이 3천 9백 38결이요,【논이 겨우 12결이다.】토의(土宜)는 기장·피·조·콩·보리·뽕나무·삼·닥·칠·밤이다. 토공은 꿀·밀[黃蠟]·시우쇠·잣·오배자·주토·지초·느타리·석이·사슴포·여우가죽·삵괭이가죽·노루가죽·돼지가죽·곰의 털이요, 약재는 인삼·복령·바디나물뿌리·승검초뿌리·쥐꼬리망초뿌리·대왕풀·백교향(白膠香)·오미자이다. 토산(土産)은 금(金)이 임내인 기성 북쪽 45리 보제진(菩提津) 가에서 나고, 연철(鉛鐵)이 현의 북쪽 15리 단정동(端正洞)·회양동(會陽洞) 및 기성 서쪽 27리 금야동(金也洞) 안의 작은 냇가에서 나며, 노감석철(爐甘石鐵)이 현의 북쪽 15리 단정동·회양동에서 나고,【쓰지 못함.】석철(石鐵)이 기성 동쪽 45리 부암(釜嵓) 야음포(也音浦)의 작은 내에서 난다.

 

역(驛)이 3이니, 직목(直木)·서운(瑞雲)【옛 이름은 간파(看波)인데, 본조 태종 14년에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창도(昌道)이다.【통구에 있는데, 금상(今上) 7년에 통도(通道)와 능창(能昌)을 병합하여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봉화가 3곳이니, 아현(阿峴)이 현의 남쪽에 있고,【서쪽으로 김화(金化) 소이산(所伊山)에, 북쪽으로 구을파(仇乙破)에 응한다.】구을파(仇乙破)【북쪽으로 임내인 기성(岐城) 성북(城北)에 응한다.】·성북(城北)이다.【북쪽으로 회양 개탄(个呑)에 응한다.】

************************

地理志 / 江原道/ 춘천도호부(春川都護府)

--------------------

⊙ 春川: 都護府使一人, 儒學敎授官一人, 本貊地。 新羅善德王六年, 爲牛首州,【卽唐太宗貞觀十二年。 一云文武王十三年, 置首若州】景德王改朔州。【一云首次若。 一云烏根乃】高麗成宗十四年乙未, 改春州團練使, 屬於安邊。 州人以道途艱險, 難於往來, 至神宗六年癸亥, 賂權臣崔忠獻, 陞爲安陽都護府,【南宋寧宗嘉泰三年】後降爲知春州事, 本朝因之。 太宗十三年癸巳, 改春川郡, 十五年乙未, 例改都護府。 別號壽春。【淳化所定, 又號光海鳳山】屬縣一, 基麟, 本高句麗基知郡, 高麗改基麟, 本朝因之。 鄕一, 史呑。 鎭山, 鳳山。【在府北。】母津、【在府北。】昭陽江。【在府北, 皆有舟楫】四境, 東距洪川四十三里, 西距京畿加平三十八里, 南距京畿楊根六十里, 北距楊口五十五里。 戶一千一百十九, 口一千九百五十。 基麟戶一百單八, 口二百五十一。 軍丁, 侍衛軍二百九十八, 舡軍一百三十四。 土姓三, 崔、朴、辛; 亡姓一, 許; 續姓八, 金、【咸昌來】林、尹、【酒泉來】池、【忠州來】石、【堤川來】安、元、【原州來】全;【旌善來】亡來姓二, 咸、韓。 史呑姓一, 宋; 亡姓八, 韓、程、朴、楊、徐、吉、李、全。 基麟續姓一, 朴。 人物, 贊成朴恒。【忠烈王時人】 厥土多塉, 風氣寒, 墾田五千七百三十七結。【水田十分之一强】土宜五穀, 桑、麻、莞、梨、栗、楮、漆。 土貢, 蜂蜜、黃蠟、松子、五味子、五倍子、鐵、眞茸、石茸、狐皮、狸皮、獐皮、猪皮、山獺皮、水獺皮、豹尾、猪毛、熊毛。 藥材, 人蔘、蓁艽、茯苓、當歸、前胡、芎藭、牽牛子、白芨、白膠香、木賊、拳白。 土産, 金産府西四十二里許所串里。 陶器所一, 在府南十三里倉老里。【品下】龍華山石城, 在府北六十里。【周回四百五十二步四尺, 有三小泉, 旱則渴】昭陽亭、【在府北鳳山下, 俯臨江水】驛五, 保安、原昌、安保、仁嵐、富昌。 所領縣三, 狼川、楊口、麟蹄。


지리지 / 강원도 / 춘천 도호부

-----------------

⊙ 춘천 도호부(春川都護府)

사(使) 1인, 유학교수관(儒學敎授官) 1인.

 

본래 맥국(貊國)의 땅인데, 신라 선덕왕(善德王) 6년에 우수주(牛首州)로 하였고,【곧 당나라 태종(太宗) 정관(貞觀) 12년인데, 문무왕(文武王) 13년에 수약주(首若州)를 두었다고도 한다.】경덕왕(景德王)이 삭주(朔州)로 고쳤다.【수차약(首次若)이라고도 하고, 오근내(烏根乃)라고도 한다.】고려 성종(成宗) 14년 을미에 춘주 단련사(春州團練使)로 고쳐 안변(安邊)에 붙이었는데, 고을 사람[州人]들이 길이 험하여 왕래하기에 곤란하였으므로, 신종(神宗) 6년 계해에 이르러 권신(權臣) 최충헌(崔忠獻)에게 뇌물을 주어 안양 도호부(安陽都護府)로 승격하게 하였다.【남송(南宋) 영종(寧宗) 가태(嘉泰) 3년.】뒤에 지춘주사(知春州事)로 강등하였고, 본조(本朝)에서도 그대로 따랐는데, 태종(太宗) 13년 계사에 춘천군(春川郡)으로 고쳤다가, 15년 을미에 도호부(都護府)로 고쳤다. 별호(別號)는 수춘(壽春)이다.【순화(淳化) 때 정한 것이며, 또 별호를 광해(光海)·봉산(鳳山)이라 한다.】속현(屬縣)이 1이니, 기린(基麟)은 본래 고구려의 기지군(基知郡)인데, 고려에서 기린(基麟)으로 고치고, 본조(本朝)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향(鄕)이 1이니, 사탄(史呑)이다.

 

진산(鎭山)은 봉산(鳳山)이다.【부(府)의 북쪽에 있다.】모진(母津)【부(府)의 북쪽에 있다.】소양강(昭陽江)【부(府)의 북쪽에 있는데, 모두 건너는 배가 있다.】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홍천(洪川)에 이르기 43리, 서쪽으로 경기 가평(加平)에 이르기 38리, 남쪽으로 경기 양근(楊根)에 이르기 60리, 북쪽으로 양구(楊口)에 이르기 55리이다.

 

호수가 1천 1백 19호요, 인구가 1천 9백 50명이며, 기린의 호수가 1백 단(單) 8호요, 인구가 2백 51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2백 98명이요, 선군이 1백 34명이다.

 

토성(土姓)이 3이니, 최(崔)·박(朴)·신(辛)이요, 망성(亡姓)이 1이니, 허(許)요, 속성(續姓)이 8이니, 김(金)【함창(咸昌)에서 왔다.】·임(林)·윤(尹)【주천(酒泉)에서 왔다.】·지(池)【충주(忠州)에서 왔다.】·석(石)【제천(堤川)에서 왔다.】·안(安)·원(元)【원주(原州)에서 왔다.】·전(全)이요,【정선(旌善)에서 왔다.】망래성(亡來姓)이 2이니, 함(咸)·한(韓)이며, 사탄(史呑)의 성이 1이니, 송(宋)이요, 망성이 8이니, 한(韓)·정(程)·박(朴)·양(楊)·서(徐)·길(吉)·이(李)·전(全)이며, 기린(基麟)의 속성이 1이니, 박(朴)이다. 인물은 찬성(贊成) 박항(朴恒)이다.【충렬왕(忠烈王) 때 사람이다.】

 

땅이 메마르며, 기후가 차다. 간전(墾田)이 5천 7백 37결(結)이요,【논이 10분의 1에 넘는다. 】토의(土宜)는 오곡과 뽕나무·삼·왕골·배·밤·닥나무·칠이다. 토공(土貢)은 꿀·밀[黃蠟]·잣·오미자·오배자(五倍子)·철(鐵)·느타리·석이·여우가죽·삵괭이가죽·노루가죽·돼지가죽·잘·수달피·표범꼬리·돼지털·곰의 털이요, 약재는 인삼·쥐꼬리망초뿌리[秦]·복령·승검초뿌리[當歸]·바디나물뿌리[前胡]·궁궁이·나팔꽃씨[牽牛子]·대왕풀[白芨]·백교향(白膠香)·속새[木賊]·부처손[拳白]이다. 토산(土産)은 이 부의 서쪽 40리쯤 되는 소곶리(所串里)에서 난다. 도기소(陶器所)가 1이니, 부의 남쪽 13리 창로리(倉老里)에 있다.【하품이다.】

 

용화산 석성(龍華山石城)이 부의 북쪽 60리에 있다.【둘레 4백 52보 4척이며, 작은 샘이 셋 있는데, 가물면 마른다.】소양정(昭陽亭)【부의 북쪽 봉산(鳳山) 아래에 있는데, 강물에 굽어 임한다.】역(驛)이 5이니, 보안(保安)·원창(原昌)·안보(安保)·인람(仁嵐)·부창(富昌)이다.

관할[所領]은 현(縣)이 3이니, 낭천(狼川)·양구(楊口)·인제(麟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