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삼한역사/SINA-신중국

Javanese 과 Japanese 는 같다.

한부울 2009. 6. 23. 20:07

세계인종분류 http://blog.daum.net/han0114/17018071 

************************************

Javanese 과 Japanese 는 같다.

Javanese는 자바인이고 Japanese 일본인이다.

무엇이 다른가?

V 와 P 다.

P

p

 ㅂ과 ㅍ의 중간음

V

v

영어의 V 발음과 동일

동양에서 소리내는 음이 V와 P가 다르지 않는다.

그래서 V와 P는 같다고 해야 한다.

 

자바(Java)가 자판(Japan)의 어원에 해당되려면, 자바(Java)의 원음인 자와(Jawa)의 “Wa” 발음이 무슨 원리에 의해 “Pa”로 변화되었는지 음운학적 근거제시
***************************
[대륙조선사연구회 : 윤주영]

 

Java

Djawa, Jawa라고도 씀.
인도네시아의 섬.

 

말레이시아와 수마트라 섬의 남동쪽, 보르네오(칼리만탄) 섬 남쪽, 발리 섬의 서쪽에 자리 잡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4번째로 큰 섬이지만 정치적·경제적으로는 가장 중요한 곳이다.  동서거리는 약 1,000㎞이고, 남북거리는 섬 중앙에서 약 96㎞, 동서 양단 근처에서는 160㎞가 넘는다. 자바의 주도는 자카르타(옛 이름은 바타비아)로서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수도이기도 하다. 동서방향으로 산맥이 뻗어 있으며, 그 측면은 석회암의 능선과 저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산맥 안의 112개 화산 가운데 35개가 활화산이다. 화산들이 서쪽으로 많이 몰려 있어서 자바 섬 중부와 동부 지방의 공간 지면은 훨씬 넓다. 가장 높은 화산은 해발 3,676m인 세메루 산이다. 일련의 불연속적인 고원들이 화산지대 남쪽에 자리 잡고 있고, 고원의 높이는 약 305m이다. 가장 긴 강인 솔로 강을 비롯하여 대부분의 강들이 관개수의 원천이...[브리태니커]

 

웹스터에 Djawa 로 나옵니다. 소리로는 정확히 자바입니다. 바와 파가 서로 쓰일 가능성이 많은데요. 더구나 Javanese란 말은 Japanese란 말과 뭐가 다른 지 구분하기가 더 어려울 지경입니다. 전에는 일본이라는 소리가 저팬과 관계가 있을 거라고 추측했었는데, 그건 전혀 다른 말 같습니다.

 

Djawa를 자와로 발음해야 하는 이유가 w를 우로 발음하니까 wa는 와로 되어야 할 것이라는 것 말고 다른 것이 있습니까? 추측 컨데 원주민들이 또는 관계하는 놈들이 자바라고 발음하면서 철자로는 Djawa로 쓰니까 현대어에서는 다른 철자로 Java로 한 것이 아닐까요? 영어발음에서도 wa로 되는 말을 와로 발음하지 바라고 발음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웹스터가 영어권이라고 Djawa가 원 발음은 자와인데 그걸 영어식으로 자바로 발음되니까 Java라고 했다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그리고 웹스터에서 발음기호로 분명히 자바라고 합니다. 그런데 Djawa 또는 Jawa를 자와라고 소리 내야 한다는 곳이 있나요?

 

본문에 Japan에 대한 답을 해주셨네요. 적어도 본문에 의하면 Japan은 일본의 다른 소리입니다.

 

The English word for Japan came to the West from early trade routes. The early Mandarin or possibly Wu Chinese (呉語) word for Japan was recorded by Marco Polo as Cipangu. In modern Shanghainese, a Wu dialect, the pronunciation of characters 日本 'Japan' is Zeppen [zəpən]; in Wu, the character 日 has two pronunciations, informal (白讀) [ni] and formal (文讀) [zə]. (In some southern Wu dialects, 日本 is pronounced [niʔpən], similar to its pronunciation in Japanese.) The old Malay word for Japan, Jepang (now spelled Jepun in Malaysia, though still spelled Jepang in Indonesia), was borrowed from a Chinese language, and this Malay word was encountered by Portuguese traders in Malacca in the 16th century. It is thought the Portuguese traders were the first to bring the word to Europe. It was first recorded in English in a 1565 letter spelled Giapan.

 

The modern Shanghainese(a Wu Chinese dialect 呉語) pronunciation of characters 日本(Japan) is still Zeppen[zəpən].

 

상해말로는 지금도 저팬이고, 본문에 말코폴로가 Cipangu로 했다고 했고, 또 이 소리는 말레이어니 인도네시아어니 한 걸로 보아 Japan은 그쪽일 걸로 봅니다. 그러면 지역으로 볼때 Djawa와도 겹쳐질 수 있겠군요. 모두 바로 했다고 하시던데요. 독일어 발음 '야바, 耶婆提, Java, Djawa 등등요. 저는 va에 겁니다.

**************************************

자와족 (Javanese)

 

 

 

 

 

자와어 분포도자와족(인도네시아어: Suku Jawa, 자바어: Wong Jawa)은 인도네시아의 자와 섬에 사는 다수 민족으로 섬의 중부와 동부에서 주류를 이룬다. 2004년 기준 약 9천만명으로 추산되며,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이다. 자와어를 사용하며 대부분 이슬람교를 믿는다.


기원


인도네시아의 민족의 대부분은 오스트로네시아 어족으로 분류되어 쟈와 인도 이 어족에게 속한다. 대만을 기원으로 하여, 필리핀을 통하여, 쟈와에 기원 전 1,500년~1,000년에 이주했다고 생각되고 있다.


원래 쟈와인은 동쪽 쟈와주, 중앙 쟈와주, 및 욕야카르타(인도네시아어: Yogyakarta) 부근에 집중하고 있었지만, 인도네시아 국내의 이주 정책에 의해 현재는 인도네시아의 모든 주에 분포하고 있어, 그 인구밀도도 높다. 서 쟈와주 만 아직도 순다인(Sundanese:인도네시아 국내에서 두 번째에 인구가 많은 민족)이 많다.


가족제도


쟈와인은 전통적으로 아버지쪽의 가계인 부계사회이다. 특히 자손이 아버지 쪽 왕족의 칭호를 이용할 권리의 유무를 판정할 때에 이 제도를 사용한다. 통상의 쟈와인은 아버지쪽의 성을 따르는 습관은 없다.


종교


쟈와인의 상당수는 이슬람교도이다. 크리스트교도(Protestant, 카톨릭)도 있지만, 대다수 중앙 쟈와주에 집중하고 있어, 특히 카톨릭은 스라카르타, 마게란, 욕야카르타(인도네시아어: Yogyakarta)에 많다. 소수이지만 쟈와인안에 불교도나 힌두교도도 존재한다.


또, 쟈와인의 상당수는 민족 종교인 케쟈웬(kejawen)을 신앙하고 있다. 이것은, 힌두교, 불교와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은 현지 애니미즘이다. 쟈와인은 다양한 종교의 신들이나 교의등의 일부가 혼동내지는 동일시하는 습합의 개념을 받아들이는 일례라고 할 수 있다. 외부의 문화를 쟈와의 전통적 가치관으로 번역·흡수하여 독자적인 새로운 종교 개념을 낳고 있다.

 

  The Castle of Batavia, seen from West Kali Besar by Andries Beeckman circa 1656-58

 

                                        Early 18th Century Dutch Map of Java

*******************************

자와어(Javanese language)


자와어(자바어: Basa Jawa)는 인도네시아 자와 섬 중부 및 동부에 사는 자와족이 쓰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Austronesian)에 속하는 언어이다. 화자수 약 7천5백만명으로 공용어 지위를 갖고 있지 않은 지역어이지만, 인구수로 봤을 때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모어로 쓰는 언어로서 세계적으로도 대언어이다.(한국어 사용자수보다 약간 많다) 자와어는 인도네시아어, 순다어, 마두라스어등과 가까운 관계에 있으며, 많은 자와인들은 비 자와출신 인도네시아인과 의사소통을 위해 인도네시아어도 말할 줄 안다. 말레이시아에도 자와어 사용자 커뮤니티가 슬랑고르, 조호르 주등에 산재해 있다. 자와어는 말레이어와도 가깝지만, 말레이어와 말이 통하지는 않는다. 또, 남미 수리남에도 자와어 사용자가 있다. 자와어는 한국어,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까다로운 경어법이 있어서, 자와어를 모어로 하지 않는 사람에게 습득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Austronesian languages)은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여러 언어들의 어족이다.

 

45.오스트로네시아계제족(Austronesians) 


오스트로네시아어계 언어를 모어로 하는 여러 종족. 뉴기니섬 대부분과 오스트레일리아를 제외한 오세아니아 전부 및 동남아시아의 타이완·필리핀·인도네시아 등의 여러 섬들, 말레이 반도의 해안부, 또한 멀리 인도양을 지나 아프리카의 마다가스카르섬에 이르는 넓은 영역에 분포해 있다. 사람들의 외관은 다양하나 폴리네시아어나 말레이어·말라가시어 사이의 뚜렷한 유사성은 대항해시대의 항해자들에 의해서 지적되었다. 오스트로네시아어가 쓰이는 지역은 광대하지만 파푸아어·오스트레일리아어 등과 비교해 볼 때 유사성이 강한 언어이다. 이것은 본래의 오스트로네시아어를 썼던 민족이 짧은 시기에 광대한 영역으로 이동, 확산한 결과로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오스트로네시아계 여러 종족은 이 지역의 역사적 재구성을 목표로 하는 선사학(先史學)의 중요한 개념이 되어 있다. 이설(異說)도 있기는 하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본래 고향은 동남아시아로 여겨진다. 오늘날 이곳에서 이 언어를 쓰는 사람들은 옛 몽골로이드로 몽골로이드대인종(大人種)에 속하는데, 동아시아계에서 발달한 내안각(內眼角)의 특징은 약하며 피부색도 다른 몽골로이드보다 약간 짙고, 머리카락도 직모(直毛) 외에 파상모(波狀毛)도 있다. 폴리네시아인·미크로네시아인도 형질적인 특징은 이 범위에 들지만 폴리네시아인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체구가 크고, 또 양쪽 모두 머리카락은 파상모이거나 고수머리이다.


46.오스트로아시아계제족(Austroasiatic peoples)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모어(母語)로 하는 여러 종족 및 민족집단. 미국의 민족학자 F.M. 르바르에 따르면 동남아시아대륙의 오스트로아시아계제족은 몬크메르족·베트무옹족·세노이세망족 등으로 분류되고, 이것을 다시 세분하면 거의 100여 종에 가까운 종족·민족집단으로 나뉜다. 인종적으로 오스트로아시아계제족의 핵을 이루는 몬크메르족과 베트무옹족 등은 넓은 뜻의 몽골로이드에 들어가지만 변이(變異)가 크다. 세망족 등의 니그리토계, 세노이족 등의 원(原)말레이계, 이 밖에 드라비다계와 베다계 종족도 포함된다. 대체로 몬크메르족은 논농사를 짓는데, 그들 가운데는 인도차이나반도의 바나르·무농족·세당족·로벤족과 같이 산지민족이라 일컬어지는 종족도 포함되어 있다. 이들 산지민족은 베트남에서는 모이, 캄보디아에서는 프농, 라오스와 타이 및 동부 미얀마에서는 카 등으로 일컬어지는데, 이러한 명칭은 미개인을 뜻하는 일종의 경멸적인 호칭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이러한 명칭도 서서히 바뀌기 시작하여 캄보디아에서는 크메르루, 베트남 남부에서는 동바오투옹, 베트남북부에서는 노이킨이라고 하고, 라오스에서는 카족을 푸텡 또는 푸팅, 즉 <고지주민(高地住民)>이라 일컫는다. 몬크메르족은 이른바 몬크메르어족의 중핵(中核)이며, 넓은 뜻의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어족군의 하나이고 이것을 다시 방언(方言)이나 민족적 특징에 따라 구별하면 몬크메르·팔라웅와·카시·버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Austronesian languages 분포지


고산어파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1.보르네오필리핀어군

2.중부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역사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 중에 가장 오래되고 풍부한 문어를 보유해 왔으며, 시대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고 자와어(9세기~)

중세 자와어(13세기~)

신 자와어(16세기~)

현대 자와어(20세기~ )


문자


자와 문자는 짜라칸이라고 부르며 900년 이후부터 20세기 초까지 쓰였다. 남 인도계열의 팔라바문자에서 발전된古 카위문자가 발전된 것으로, 인도계 문자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17세기경의 일이다. 자와어 외에 이웃의 순다어나 말레이어를 표기하는 데도 쓰였다. 또한 자와어는 이슬람 전래이후에 일부지만 아라비아문자로 쓰이기도 하였으며, 네덜란드 식민지배이후에는 로마자가 도입되어 점점 자와 문자의 사용이 줄어들었다. 일본이 인도네시아를 점령한 1942년부터 1945년 사이에는 자와 문자의 사용이 금지되었다.

무엇 때문일까?

숨겨야 하는 동질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는 로마자 사용이 일반적이며, 자와 문자는 장식용, 도로표지판, 학술용도 등에 국한되어 있다. 발리섬의 발리어를 표기하는 발리 문자는 자와 문자에서 발전한 것으로 자와문자가 좀 더 곡선화 된 형태이다. 경어법이 발달한 자와어를 표기하는 문자답게 문자 중에서 경어에만 쓰이는 문자가 따로 있다. 자와 문자의 배열순서는 ha, na, ca, ra, ka da, ta, sa, wa, la pa, dha, ja, ya, nya ma, ga, ba, tha, nga 인데 일본어의 이로하 노래처럼 노래에 뜻이 담겨져 있다. 의미는 다음과 같다.


두 명의 전사가 있었다.

둘은 (서로에게)적의를 품었다.

둘다 막상막하로 싸웠다.

둘다 죽어버렸다


어휘


자와어는 고유어와 외래어를 통틀어 매우 풍부한 어휘를 보유하고 있다. 자와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외래어는 산스크리트어로 자와어의 약 25%에 해당하는 어휘가 산스크리트어 계열이라고 한다. 어휘뿐 아니라 자와인의 이름 또한 산스크리트어 기원이다. 현대 자와인은 보통 고 자와어 어휘와 산스크리트어계열 어휘를 통틀어 카위라고 부른다. 기타 아랍어,네덜란드어, 말레이어로부터도 어휘를 흡수했으나, 이들은 산스크리트어만큼 자와어에 강하게 동화하거나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자와어는 말레이어에 비해 아랍어의 영향이 덜하며, 그 대부분은 이슬람교와 관련된 것들이다. 네덜란드어계 어휘는 보통 인도네시아어의 네덜란드어계 어휘와 같으나, 약간의 예외가 있다.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가 각각 국가 공용어가 되면서 이들 언어의 어휘가 자와어에 흡수되었는데, 특히 정치 및 행정관계 용어가 많다.


경어법


자와어 경어법은 상대의 사회적 지위, 신분 고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경어법의 잘못된 사용은 상대에게 큰 실례가 된다. 각각의 경어법 체계를 체(體)라고 하며, 어휘, 문법규칙 및 운율이 관여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다른 언어에도 경어법이 존재한다. 경어법에 대한 심리적 부담은 비 자와인은 물론 자와인들도 공적인 업무수행에서 경어법에 구애받지 않는 인도네시아어를 더 선호하는 경향으로 이어지며, 자와인들 스스로도 경어법을 완전히 익히지 못한 경우도 많다.


응고코체: 통상체, 비격식체로서 친한 친구, 아랫사람, 연장자가 연소자에게,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사용한다.

마댜체: 응고코 체와 크라마체의 중간체이다. 예를 들어 길에서 만난 낯선 사람과 말을 주고  받을 필요가 있는 경우나, 너무 높이지도 낮추지도 않는 말씨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

크라마체: 격식체. 같은 지위에 있지만, 서로 말을 놓고 싶지 않을 때나, 공적인 연설, 연소자가 연장자에게 지위 낮은 사람이 높은 사람에게 말할 때 사용한다.


단어는 또한 경어와 겸양어로 나뉜다. 화자가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할 때는 겸양어(자신을 낮추는 표현)를 써야 하며, 자신보다 높은 신분이나 지위, 연령인 사람에게는 경어를 써야 한다. 경어는 크라마 잉길, 겸양어는 크라마 안드합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자녀가 부모에게 말할 때, 보통 비격식체인 응고코체를 쓰지만, 단어에 있어서는 특정단어를 경어 또는 겸양어로 말한다. 즉, 체와 별도로 단어로서의 경어와 겸양어도 잘 구분해서 써야 한다.


방언


지역에 따라 크게 서부방언, 중앙방언, 동부방언으로 나뉜다. 이들 간의 차이는 주로 발음의 차이이며, 약간의 어휘적 차이도 있다. 이들 방언 사이에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상호의사소통이 가능하다.

 

 

Indonesian province

 % of the pop.

Javanese speakers (1980)

1.

Aceh province

6.7%

175,000

2.

North Sumatra

21.0%

1,757,000

3.

West Sumatra

1.0%

56,000

4.

Jambi

17.0%

245,000

5.

South Sumatra

12.4%

573,000

6.

Bengkulu

15.4%

118,000

7.

Lampung

62.4%

2,886,000

8.

Riau

8.5%

184,000

9.

Jakarta

3.6%

236,000

10.

West Java

13.3%

3,652,000

11.

Central Java

96.9%

24,579,000

12.

Yogyakarta

97.6%

2,683,000

13.

East Java

74.5%

21,720,000

14.

Bali

1.1%

28,000

15.

West Kalimantan

1.7%

41,000

16.

Central Kalimantan

4.0%

38,000

17.

South Kalimantan

4.7%

97,000

18.

East Kalimantan

10.1%

123,000

19.

North Celebes

1.0%

20,000

20.

Central Sulawesi

2.9%

37,000

21.

Southeast Sulawesi

3.6%

34,000

22.

Maluku

1.1%

16,000


                                     Javanese alphabet and special characters


                                              하나차라카  Hanacaraka-jawa

 

           Hiragana 히라가나 (平假名) 가타카나와 함께 일본어 표기에 쓰이는 표음문자이다.

 

                                  A bilingual text in Portuguese and Javanese

 

                                                        日本人 대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