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부

불가촉천민 달리트 퀸의 꿈

한부울 2009. 4. 12. 17:32
 

불가촉천민 달리트 퀸의 꿈

[경향신문] 2009년 03월 25일(수) 오후 02:59


인도 총리 후보 거론되는 최 하층민 출신 정치인 쿠마리 마야와티 

카스트에조차 들어있지 않은 천민 달리트. 지금 한 여성이 가장 낮은 곳에서 가장 높은 곳을 향한 꿈을 쏜다


인도는 ‘카스트 제도’가 1000년 이상 지배해 온 계급사회였다. 지금은 공식적으로 폐지됐지만, 위에서부터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로 구성되는 카스트 제도의 피라미드형 계급구조는 지금도 인도인들의 관습 속에 뿌리 깊이 박혀 있다. 하지만 인도의 카스트 제도에는 이 같은 공식적인 4개의 카스트만 존재한 것이 아니었다. 계급의 바깥, 즉 아웃 카스트의 계급도 존재한다. 불가촉천민(不可觸賤民)이 바로 그들이다.

 

 

힌디어로 ‘달리트’라 불리는 이들은 현재 인도 전체 인구의 약 16%를 차지한다. 이들은 아직도 인도 전역에서 차별을 받고 있다. 달리트는 신성한 힌두교 사원에 들어갈 수 없다. 차별의식이 심한 지역에서는 달리트가 길거리를 지나가면 그곳이 오염되었다며 청소를 한다. 오염을 막는다는 명분으로 마을의 공동우물도 사용하지 못하게 해 이들 전용의 우물을 만들기도 한다. 심지어 ‘불가촉’이라는 단어가 그대로 적용되는 일도 일어난다. 달리트가 다른 카스트 사람과 신체접촉을 하게 되면 이를 이유로 집단폭행을 당해 죽는가 하면, 브라만이나 크샤트리아처럼 고급 카스트와 신체접촉이 발생할 경우 총에 맞아 죽는 일도 벌어진다.


그런데 이 ‘달리트’ 계급 출신의 한 여성이 지금 인도 총리를 꿈꾸고 있다. 카스트 제도가 잔존하는 인도에서 이 같은 이야기는 허무맹랑하게 들릴 법하지만, 실제 이 여성의 ‘대권 도전’은 터무니없는 얘기가 아니다. 인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인 우타르프라데시의 주 총리이기 때문이다.


‘달리트 퀸(천민의 여왕)’으로 불리고 있는 그녀는 쿠마리 마야와티(53). AFP통신은 지난 17일 “쿠마리 마야와티가 다음달부터 치러지는 인도 총선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불가촉의 여성이 인도를 이끌 꿈을 꾸고 있다”고 전했다.


마야와티의 인도 총리 도전이 아주 새로운 소식은 아니다. 그녀는 1995년 우타르프라데시 주 총리에 처음 당선된 이후 지금까지 4번이나 이 자리에 올랐다. 2007년 네 번째로 주 총리직에 오른 뒤 그녀는 “달리트 출신이라고 해서 인도 총리가 되지 말라는 법은 없다”며 올해 치러지는 총선을 겨냥해 자신의 포부를 미리 밝힌 바 있다.


인도 총선은 다음달 16일부터 실시된다. 총선을 한 달여 앞둔 시점에서 제3의 정치세력이 공식적으로 출범했다. 그간 좌파 성향의 정당과 소수 지역 정당의 느슨한 연합으로 묶여 있던 ‘제3전선(Third Front)’이 본격적으로 연합을 선언하고 나선 것이다.


인도에는 다양한 민족·종교 분포로 말미암아 수많은 정당이 난립해 있다. 지난 60년 동안의 인도 정치사가 증명하듯 인도에서는 대체로 연정을 구성해 선거에 나선다. 현재 인도 정치권은 중도좌파 성향의 통일진보연합(UPA)과 보수 성향의 전국민주연합(NDA)이 양분하고 있다. UPA는 집권당인 국민회의당이 이끌고 있고, NDA는 제1야당인 인도국민당(BJP)이 주축이다.


제3전선은 이 양분된 정치 구도에서 소외된 나머지 정당들이 연합한 것이다. 인도의 ‘정치 1번지’라 불리는 인구 1억8000만명의 우타르프라데시를 통치하고 있는 마야와티 주 총리의 대중사회당(BSP)도 제3전선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총리 후보로 NDA는 BJP의 L K 아드바니 총재를 지명했다. 여권인 UPA에서는 만모한 싱 현 총리를 지명할 가능성이 높고, 제3전선에서는 마야와티의 지명 가능성이 높다. 이변이 없는 한 6월 새로 취임하는 인도 총리는 이들 3명 가운데 1명이 된다는 얘기다.


마야와티는 최근 선거 국면에서만이 아니라 지난 몇년간 인도 여성계와 달리트계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지난해 경제전문 포브스는 ‘세계의 여성 파워 100인’을 선정하면서 그녀를 59번째로 꼽았고, 시사주간 뉴스위크는 ‘2007년을 이끈 여성 리더 8인’에서 그녀를 첫번째로 소개했다.


마야와티는 인도 인구의 6분의 1을 차지하는 달리트 계층의 전폭적인 지지와 함께 하루 1달러 이하로 살아가는 절대 빈곤층의 지지로 95년 우타르프라데시 주 총리에 처음으로 올랐다. 그녀가 전국적으로 주목받은 것은 지난해의 일이다. 그녀를 중심으로 형성된 ‘제3전선’이 지난해 7월 싱 인도 총리에 대한 불신임안을 가결 직전까지 몰고 가면서였다. 인도와 미국 간 핵협정 체결에 대한 반대와 총리의 사임이 그들의 주장이었지만, 결국 싱 총리는 자리를 지켰고 핵협정은 맺어졌다. 하지만 이 때의 정치 운동으로 그녀는 일약 ‘전국구’ 스타가 됐다. 당시 시사주간 타임은 “(달리트 출신이라는 이유로) 아직도 마야와티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인도의 정치 엘리트들은 하루빨리 변해야 한다”고 전했다.


전신직 하위 공무원이었던 아버지와 문맹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마야와티는 집안이 대대로 가죽 세공업에 종사했던 달리트 출신이다. 하지만 그녀는 카스트 제도가 공식적으로 폐지되면서 생긴 ‘천민우대정책’으로 대학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델리의 칼린디 대학에서 교육학과 법학을 복수전공한 그녀는 교사로 사회 생활의 첫발을 내디뎠다. 낮에는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밤에는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던 그녀는 천민계급을 위한 정치를 주창하던 칸시 람과 77년 만남을 갖게 되면서 정치에 눈을 떴다. 그녀는 84년 람이 창당한 대중사회당에 합류하면서 정치 인생을 시작한다. 이후 마야와티는 특유의 배짱과 재치, 감동적인 연설을 무기로 정치인으로서 인기를 얻으며, 대중사회당이 전국 정당으로 발돋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2007년 5월 주 총선에서 인도 최고의 정치 명문가 ‘네루-간디 가문’의 라훌 간디를 제치고 승리, 4선의 주 총리가 됐다. 그녀는 당시 ‘BMW정책’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최상위 카스트인 브라만(B)은 물론 소수자인 무슬림(M)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W)를 모두 포용하는 정책이었다. 달리트뿐 아니라 차별을 받아왔던 하층 계급 사람들에게 인도 최대 주의 총리직에 오른 그녀는 자랑이자 희망이다. 그녀의 이름에 붙는 ‘쿠마리’는 힌두교에서 살아있는 여신을 일컫는 말이다. 인도의 사회적 약자들은 미혼의 불가촉천민 여성인 마야와티를 ‘여신’으로 여기고 있다.


하지만 그녀에 대한 비판여론도 만만찮다. 우선 그녀는 인도 정치인 가운데 세금을 가장 많이 내고 있는 최고 부자다. 부자라는 사실 자체가 문제될 것은 없지만, 뇌물이나 횡령에 의해 부를 축적했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는다. 이 때문에 2003년부터 140여건의 크고 작은 소송에 휘말렸다.


하지만 이런 비판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그녀는 한 해 경호 비용으로 600만달러를 쓰며 전용 헬리콥터를 이용한다. 대중 앞에 설 때는 온 몸에 다이아몬드와 진주를 휘감고 나타난다. 우타르프라데시 주의 주도 러크나우에 자신의 업적을 기리는 높이 4m짜리 동상까지 세워놨다.


그녀는 또 ‘무원칙의 정치가’라는 비판도 자주 받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마야와티는 공산주의자나 힌두 민족주의자나 가리지 않고 필요에 따라 연합을 맺어왔다”면서 “그녀는 정치적 영향력을 원할 뿐 신념이 없는 정치인”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이런 저런 비판에 그녀는 당당히 맞선다. 그녀는 “불가촉천민 출신이라는 이유로 제기되고 있는 터무니없는 음해일 뿐”이라며 비판을 일축한다. 실제로 주 총리 4선이 말해주듯 그녀를 지지하는 계층의 결집력은 공고하다. 이에 대해 타임은 “천민과 가난한 사람들은 사치로 무장한 마야와티의 차림새에서 오히려 대리만족을 느끼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도 국민들이 이번 총선에서 그녀를 총리로 뽑을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하지만 악습인 카스트 제도가 실질적으로 허물어지지 않는다면, 인도의 경제 성장은 상위 계급만이 향유하는 ‘그들만의 성장’일 뿐이다. 인습을 무너뜨리는 제2, 제3의 마야와티가 계속 나와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인도총선


7억 1400만 - 유권자수

400만명 - 선거관리요원

한달 - 투표기간

‘세계 최대 규모의 선거.’


인도에서 다음달부터 치러지는 총선을 일컫는 말이다. 7억1400만여명의 인도 유권자들은 이번 총선에서 543명의 하원의원을 선출한다. 크기로는 둘째 가라면 서러울 미국의 지난해 대선 당시 유권자 수는 1억3100만명이었다. 인도 유권자는 미국의 5.5배에 달한다.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중국은 직접선거를 동시에 치르지 않기 때문에 인도 총선이 규모면에서 세계 최대의 선거다.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선거를 치르다보니 투표소가 82만8804개나 마련되고, 전자투표 기계가 136만대나 설치된다. 선거관리요원은 400만명, 질서 유지를 위해 경찰과 군 병력도 210만명이 투입된다.


세계 최대 규모의 유권자와 넓은 국토에서 치러지는 만큼 선거 기간도 길다. 단 한 번 투표로 끝나는 것도 아니다. 총선은 다음달 16일부터 5월13일까지 한 달여 실시되며, 최대 5회에 걸쳐 투표가 진행되는 곳도 있다. 1차 투표는 다음달 16일 17개주, 124개 선거구에서 시작된다. 23일에는 141개 선거구, 30일에는 107개 선거구에서 투표가 시작된다. 5월7일에는 수도 뉴델리를 포함한 8개 지역의 85개 선거구에서 투표가 실시되고, 13일 9개 지역 86개 선거구 투표를 마지막으로 인도 총선은 마감된다. 개표는 5월16일 시작되며, 6월2일부터는 5년 임기의 15대 인도 의회가 막을 연다.


인도의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우타르프라데시 주와 잠무카슈미르는 5차례에 걸쳐 투표가 이뤄지며 비하르 주는 4차례, 마하라슈트라, 웨스트벵갈은 3차례에 걸친 투표로 대표를 뽑는다. 또 안드라프라데시, 아삼, 마니푸르, 자르칸드, 카르나타카, 마드야프라데시, 오리사, 펀자브 등 8개주는 2회 투표를 치르고, 인구가 적은 나머지 15개 주와 7개 정부직할지는 하루 투표로 총선 일정이 마감된다.


선거를 불과 보름여 앞두고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는 가운데 인도에서는 영화 <슬럼독 밀리어네어>와 정보기술(IT) 바람이 선거운동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인도 뭄바이의 빈민가를 무대로 제작된 <슬럼독 밀리어네어>는 지난달 아카데미상 8개 부문을 휩쓸며 인도 국민의 사랑을 한몸에 받고 있다. 이 영화의 주제가를 인도 집권여당인 국민회의당이 선거운동에 독점적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슬럼독 밀리어네어>의 열풍을 선거에 활용하겠다는 집권당의 전략이다.


여당이 영화를 이용한다면 야당에서는 온라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제1야당인 인도국민당(BJP)의 L K 아드바니 총재(81)는 팔순의 고령임에도 아이폰을 들고 다니고 블로그에 글을 꾸준히 올리는 등 ‘사이버 정치’에 밝다. 아드바니 총재는 최근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최신 기술 덕택에 정치 인생 60년 중 가장 열정적인 시기를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인터넷과 기술에 쏟는 관심은 총재뿐만 아니라 인도국민당 전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뉴델리의 BJP 선거운동본부는 모니터를 응시하고 있는 젊은 자원봉사자들로 가득하다. 유튜브에 올려 놓은 당후보들의 홍보 동영상에 대한 반응을 체크하기 위해서다.


정치인들이 이처럼 영화와 인터넷을 선거운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은 25세 이하의 젊은 유권자가 1억명에 육박하기 때문이다. 인도의 젊은층은 어느 나라보다 IT가 발달한 환경에서 자라났고 세계 최대의 영화 생산지인 볼리우드의 영향 아래서 성장했다. 또한 이 같은 선거운동 전략은 면적이 넓은 인도의 지리적 특성상 바람을 일으키기에 적합하다. 미국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온라인 공략을 통해 젊은층의 지지를 폭넓게 이끌어내며 승리했던 것도 이 같은 선거운동 전략의 변화 요인이다. 하지만 2004년 총선에서 25세 이하 유권자들의 투표율이 10%에 불과했던 것처럼 저조한 선거참여는 극복해야 할 과제다.


<정환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