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민족

역사학자들이 보는 티베트 봉기 강제합병에 대한 저항운동으로 봐야

한부울 2009. 3. 11. 13:09
 

역사학자들이 보는 티베트 봉기 강제합병에 대한 저항운동으로 봐야

[한국일보] 2009년 03월 11일(수) 오전 03:04

 

 

1959년 3월 10일 중국 지배하에 있던 티베트인 280만명이 주권회복을 위해 봉기했다. 그러나 50년이 지난 지금도 티베트의 주권회복과 양측의 역사적 관계에 대한 상충된 해석은 결론 없는 논란거리로 남아있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10일 티베트와 중국의 역사적 관계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를 소개하면서 문제 해결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로버트 버넷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티베트가 중국의 일부라는 사실을 달라이 라마가 인정했지만 중국은 그의 발언에 신빙성이 없다고 생각한다"며 "이는 국제법 상 티베트가 언제든 독립을 요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중국 정부가 인식하고 있으며 지난해 유혈사태에서 그 가능성을 확인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멜빈 골드스타인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 교수는"중국은 원(1279~1368), 청(1644~1911) 당시 티베트가 중국의 일부였다고 주장하면서 특히 청나라 때 작성한 '티베트 관리를 위한 29개 규율'등을 근거로 제시한다"며 "그러나 장제스(蔣介石) 국민당 정부 당시 티베트는 사실상 자치주권을 가진 변방이었고 1950년 10월 21일 마오쩌둥(毛澤東)의 공산군이 강점하고서야 티베트는 중국의 일부가 됐다"고 지적했다. 결국 티베트의 봉기는 강제합병에 대한 저항운동으로 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배리 소트만 홍콩대 교수는 "중국이 주장하는 '29개 규율'은 나라와 나라간 협정으로 봐야 하며 그것이 티베트가 중국의 국토라는 것을 증명하지는 못한다"고 주장했다. 엘리엇 스펄링 미 인디애나대 교수 역시 "원나라 당시 티베트가 중국의 일부로 포함되면서 티베트가 새로운 역사를 시작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했다.


신문은 중국과 티베트의 관계가 1,400년에 걸친 양측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중도적 타협 없이는 풀릴 수 없다고 지적하면서 특히 중국 정부에는 철권 통치보다는 티베트의 전통과 문화를 끌어안는 통합의 지혜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베이징=장학만특파원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