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장승,
韩国人的民间信仰“守护神”-長丞
長丞
旧时韩国作为界标、路标和洞里守护神而立在道边、路口、村庄附近的人像叫“长丞”,或者叫“长桩”、“长生”,“长承”、“将丞”。
长丞分松木制和花岗岩制两种,中部地区多为木制。
男性长丞身上一般刻有“天下大将军”,女性长丞身上刻有“地上女将军”字样。
“长丞”作为村庄的“守护神”, 人们供奉它期望消灾, 避邪,同时还用来标志村落之间的里程。
幡杆与长丞一起立在村前, 是希望的象征其垂直结构(Vertica lStructure)
解释为天地人合一的通路, 以祈求村庄的安宁、修好以及丰收. 长丞起源很早,与古代民族信仰有关,朝鲜时代末期仍很盛行,现只个别地方保留这种风俗。
한국의 마을 또는 절 입구, 길가에 세운 사람 머리 모양의 기둥.
돌 로 만든 석장승과 나무로 만든 목장승이 있으며, 전국에 분포한다. 장승의 기원에 대해서는 고대의 성기(性器) 숭배에서 나온 것, 장생고(長生庫)에 속하는 사전(寺田)의 표지(標識)에서 나온 것, 목장승은 솟대[蘇塗]에서, 석장승은 선돌[立石]에서 유래한 것이라는 등의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확실한 기원은 알 수 없다. 장승의 명칭도 여러 가지인데, 조선시대에는 한자로 '후(堠)', '장생(長栍)', '장승(長丞, 張丞, 長承)' 등으로 썼고, 지방에 따라 장승·장성·벅수·법수·당산할아버지·수살목 등의 이름이 있다.
장승의 기능은 첫째 지역간의 경계표 구실, 둘째 이정표 구실, 셋째 마을의 수호신 역할이다. 길가나 마을 경계에 있는 장승에는 그것을 기점으로 한 사방의 주요 고을 및 거리를 표시하였다. 수호신으로 세운 장승에는 이정표시도 없으며, '천하대장군'류의 표시도 없고 마을의 신앙 대상으로서 주로 액병(厄病)을 빌었다. 장승은 보통 남녀로 쌍을 이루며, 남상(男像)은 머리에 관모를 쓰고 전면에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 '상원대장군(上元大將軍)'이라 새겨 있으며, 여상(女像)은 관이 없고 전면에 '지하대장군(地下大將軍)', '지하여장군(地下女將軍)', '하원대장군(下元大將軍)' 등의 글이 새겨 있다.
장소에 따라 채색·형상·크기 등이 다르나 모양이 괴엄(魁嚴)한 점만은 일치한다. 장승에 쓰는 장군명에는 민속적인 신명(神名)이 등장하는데 동쪽에 있는 장승에는 동방청제축귀장군(東方靑帝逐鬼將軍), 서쪽에는 서방백제축귀장군(西方白帝逐鬼將軍), 남쪽에는 남방적제축귀장군(南方赤帝逐鬼將軍), 북쪽에는 북방흑제축귀장군(北方黑帝逐鬼將軍)이라고 써서 세워, 축귀하는 민간 신앙의 성격을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장승을 서낭당·산신당·솟대와 동등한 것으로 인정하며, 액운이 들었을 때나 질병이 전염되었을 때에는 제사를 지냈다.
1.장생(長生;jangsaeng)기원說
통일신라~고려 불교의 사찰 경제의 기구로 장생고(長生庫)가 있고
사찰의 땅에 대한 경계표지를 長生標라 하였다.
장승의 유래
장승의 기원은 솟대, 선돌, 신목, 등과 함께 신석기, 청동기 시대의 원시 신앙 물로서 유목, 농경, 문화의 소산으로 파악된다. 일종의 수호신앙으로서 씨족, 부족민의 공통적 염원을 담은 시기 지배이념의 표상으로서 기능 하다가 삼국 시대 들어 중앙 집권적 국가 기틀이 마련되고 불교, 도교, 유교, 등의 통치 이대올로기가 체계화됨에 따라 불교의 습합되어 전승하게 된다.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에 이르는 기간 동안 장승은 만간 신앙의 저변으로 흘러들었을 뿐 불교라는 제도권에 안착되지는 않았다. 외래 신앙이 토착화하는 과정에서 전래의 민속신앙과의 타협이 불가피한 가운데 이처럼 불교와 무관한 장승이 사찰에 등장한 것이다. 이는 장승이 민중의 삶과 정서 속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음을 반증해 준다.
(과거의 山神壇에 현대에 만들어진 jangsung이 추가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오면 사회의 통치 이념인 유교가 현세적 도덕규범의 성격이 강함에 따라 생산, 죽음이나 질병, 고통 등의 문제와 연관되어 장승 신앙이 부활할 소지가 생겨난다. 궁중에서도 일정하게 역할을 한 무속적인 금 장군, 갑 장군이라 불리는 세화의 등장이나 용호 그림등의 유행도 그 기운을 익게 하는 또 다른 사례이다. 이는 지배층 문화에서 소외된 불교, 도교가 민간 신앙과 결합하여 신석기 이래의 민속적 장승신앙이 부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조선 후기의 새로운 장승문화에서 그 이름이 지하여장군, 방어대장군, 지서대장군, 상원주 장군, 하원당 장군 등으로 붙여진 것이다. 이처럼의 한 형태로 면면히 이어온 장승은 16∼17세기 임진, 병자 양란을 거치면서 공동체 문화의 중심으로 부상하게 된다.
해학적인 표정으로 손님들의 구경꺼리가 돼주고 있는 장승들
장승의 기원 :
장승은 우리 조상들의 원시신앙의 대상으로 장승을 비롯, 솟대, 선돌, 돌탑, 신목 등 과 함께 민중의 삶속에 전승되어 왔다. 그 기원은 고대에 남근숭배 사상에서 세웠다는 설, 선돌에 의한 솟대 유래설, 사찰의 경계를 표시하는 장생고 표지설 등이 있지만, 마을의 편안과 모든 재액을 막기 위해 세웠다는 설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여기고 있다.
[아리랑월드]
*******************
민간신앙의 한 형태로 마을 입구나 길가에 세운 목상이나 석상을 장승이라고 한다. 마을의 수문신(守門神)·수호신·경계표·이정표(里程標) 등의 구실을 하며,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나무나 돌기둥의 상부에 인면(人面)을 그리거나 조각하고, 하부에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 지하대장군(地下大將軍) 등의 글씨를 새기고 거리를 표시하기도 한 신상(神像)으로, 보통 남녀 한쌍이 세워져 있다. 장승은 동제(洞祭)의 주신 또는 하위신으로서 신앙의 대상이며, 솟대·돌무더기·신목(神木)·서낭당·선돌 등과 함께 동제복합문화를 이룬다.
신라이후 고려·조선시대에 걸쳐 장승의 다양한 명칭이 문헌에 전하고 있으며 또 지역에 따라 다르게 전승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장승·장성·장신으로 부르는 곳이 많고 그 다음은 벅수·벅시 등으로 불린다.
(1) 장승의 기원
장승의 기원은 남근숭배(男根崇拜)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사찰의 경계표에서 나온 것이라는 장생고표지설(長生庫標識說), 솟대·선돌·서낭당에서 유래된 것이라는 고유민속기원설이 있으며 또한 퉁구스기원설·남방벼농사기원설·환태평양기원설 등과 같은 비교민속기원설 등이 있다. 장승에 대한 기록으로는 전라남도 장흥 보림사의 보조선사창성탑비(普照禪師彰聖塔碑)의 비명(碑銘)에 통일신라시대인 759년 장생표주(長生標柱)가 가장 최초의 것이며, 그 뒤의 기록으로는 1085년 경상남도 양산 통도사(通度寺)의 국장생석표(國長生石標), 전라남도 영암 도갑사의 국장생과 황장생, 1689년의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의 석장릉, 1725년의 전라북도 남원군 실상사의 석장승 등이 보인다. 또한 《용재총화 용齋叢話)》 · 《해동가요(海東歌謠)》 등 조선시대 문헌에서도 장승에 관한 기록이 찾아진다.
(2) 장승의 종류와 형태
장승은 사용된 재료에 따라 목장승과 석장승, 그리고 복합장승으로 분류된다. 목장승은 주로 소나무와 밤나무가 사용되지만, 비바람에 10년을 넘기지 못하고 부식되므로 매년 또는 2,3년마다 새로 만들어 세우곤 한다. 장승은 하나만 서 있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남녀 한쌍을 세우며, 다섯 방위 또는 경계표시마다 1기씩을 세우기도 한다. 목장승의 형태는 나무 장대에 새를 조각하여 올려놓은 솟대형과, 통나무에 먹으로 인면(人面)을 그리고 글자를 써 놓은 목주형(木柱形), 인태신(人態神)을 조각한 신장조상형(神將彫像形)이 있다.
석장승의 형태는 선돌형·돌무더기 또는 석적형(石蹟形)·석비형(石碑形)·신장조상형이 있고,
복합장승은 흙무더기나 돌무더기에 솟대와 석인(石人) 등이 복합된 형태이다. 장승의 생김새는 인면형(人面形)·귀면형(鬼面形)·미륵형(彌勒形)·남근형(男根形)·문무관형(文武官形) 등으로 나뉜다. 인면형의 경우 남장승은 머리에 관(冠)을 쓰고 눈을 부릅뜨고 덧니와 수염을 단 형상이며, 더러는 몸체가 붉게 채색되기도 한다. 반면 여장승은 관이 없고 얼굴에 연지와 곤지를 찍고 몸체를 청색으로 칠하기도 한다. 귀면형은 왕방울눈과 주먹코에 송곳니를 드러내고 있다. 미륵형은 불상(佛像)과는 달리 질박(質朴)하며 자비스럽고 친밀감이 있다. 이밖에도 석비형·입석형·석적형 등이 있다. 그리고, 장승의 명문(銘文)으로는 천하대장군·지하여장군류,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 · 하원당장군(下元唐將軍)과 같은 도교의 장군류, 동방청제장군(東方靑帝將軍)·서방백제장군(西方白帝將軍)·남방적제장군(南方赤帝將軍)·북방흑제장군(北方黑帝將軍) 등의 방위신장류, 불교의 영향을 받은 호법선신(護法善神)·방생정계(放生定界)·금귀(禁鬼)·수소대장(受昭大將) 등의 호법신장류, 풍수도참과 결부된 진서장군(鎭西將軍)·방어대장군(防禦大將軍) 등의 비보(裨補)장승류, 기타 두창(痘瘡)장승류가 있는데,
이 가운데 천하대장군 · 지하여장군의 명문이 가장 많다.
(3) 장승을 세우는 위치와 기능
장승은 그 소재에 따라 마을 입구나 동제당(洞祭堂)에 세워진 마을장승과 사찰 입구에 세워진 사찰장승, 그리고 경계나 성문·병영·해창(海倉)·관로(官路) 등에 있는 공공장승으로 구분된다.
마을 장승은 동제의 신으로서 주로 마을 수호의 기능을 지닌다. 사찰장승은 사찰 수호와 함께 절의 경계표시·비보의 기능을, 공공장승은 이정표 겸 노신(路神)으로 성문과 병영, 길과 해운의 안전을 지킨다. 이러한 기능 외에도 남성성기를 상징하여 잉태를 시켜주기도 하고, 반대로 코나 눈을 갉아서 감초와 섞어 삶아 낙태의 비방약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밖에 소원에 따라 풍년·풍어·건강·소원성취 등의 포용력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이 장승은 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기능을 지니고 있지만 흔히 수호신으로 또는 개인의 소원성취를 기원하는 대상으로서 신앙적인 성격을 지니는 것이 일반적이다.
장승은 마을 수호신이기는 하지만 산신·서낭·당산 등 마을의 주신에 부수된 하위신일 경우 동제의 일부로서 행하여지기도 한다. 마을의 주신인 산신과 서낭신은 당집에나 산정(山頂)에서 제관만이 참여하여 엄숙한 유교식으로 지내지만, 장승제는 전 주민 참여하에 축제적인 분위기로 지내곤 한다. 일반적으로 동제의 목적과 기능이 동네의 평안을 빌고 결속을 다지는 데 있다면, 장승제는 주민들이 힘을 합하여 마을의 액을 밖으로 내몰아 마을을 정화시키는 데 주력함으로써 이런 목적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같은 민중문화의 한 상징으로 장승문화는 속담이나 수수께끼·설화·지명 등에도 반영되어 있다. 장승에 관한 속담으로는 키가 멋없이 큰 사람을 ‘구척장승같다’라든가 멍청하게 서있는 사람을 ‘벅수같이 멍하니 서 있다’든지, 터무니없는 소리를 할 때 ‘장승 얼굴에다 분가루 발라놓고 분값 내라고 한다’ 등이 있다. 또, 장승에 관한 설화로는 장승을 치죄하여 도둑을 잡은 <명관치장승설화(名官治長丞說話)>가 있고 판소리로는 <변강쇠가>가 유명하다. 이외 장승 관련 지명으로 전국에 771개소가 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화재로는 통도사의 국장생석표가 보물 제74호로 지정되었으며,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장승은 충무시 문화동 벅수(제7호), 통영 삼덕리 벅수(제 9호), 나주 불회사 석장승(제 11호), 남원 실상사 석장승(제15호), 부안 서문안 장승(제 18호), 동문안 장승(제19호), 남원 서천리 석장승(제20호), 순창 충신리 장승(제 101호), 순창 남계리 장승(제102호) 등이 있다. 1970년까지 조사된 장승유적지로는 200여개소 있으나, 이 중에는 현재 소멸된 곳도 있다.(참고 : 한국민족문화사전)
'세계삼한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삼한, 조선고려, 조선엽전(葉錢) (0) | 2008.12.14 |
---|---|
계양산성 논어 목간은 400년대 백제 작품 (0) | 2008.11.24 |
바다의 한국사 (0) | 2008.11.23 |
抱朴子원본 (0) | 2008.11.22 |
만가(輓歌)-국왕장례식 (0) | 2008.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