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역변절

한국전쟁 개전 첫 신호탄은 고려인 장성이 명령

한부울 2008. 6. 25. 12:01
 

한국전쟁 개전 첫 신호탄은 고려인 장성이 명령

[연합뉴스] 2008년 06월 24일(화) 오전 09:49


고려인 출신 인민군 부국장 "작전국장 발언 직접 들어"(알마티=연합뉴스) 유창엽 특파원 = 한국전쟁 당시 북한 수뇌부의 개전 계획에 따라 첫 신호탄 발사 명령을 내린 인물은 소련 국적 고려인인 북한 인민군 작전국장 유성철(柳城鐵)이라는 당시 북한 문화선전성 부상의 증언이 나왔다.


1945년 소련군 장교로 김일성 부대와 함께 북한으로 들어가 한국전에 참전한 고려인 정상진(鄭尙進.90.문학평론가)씨는 한국전쟁 발발 58주년을 하루 앞둔 24일 카자흐스탄에서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자신이 당시 유 국장으로부터 이 같은 말을 직접 들었다고 말했다.


연해주에서 태어나 1937년 스탈린에 의해 강제 이주됐다는 정씨는 또 김일성이 1949년초 모스크바를 방문해 스탈린에게 남침을 위한 지원을 요청했으나 거부당하자 다음해 4월 다시 소련을 비공식 방문, 끈질긴 설득 끝에 승인을 받아낸 사실도 아울러 공개했다.


한국전쟁 종전후 소련파 숙청으로 쫓겨간 정씨는 북한은 '평화통일'을 외치면서도 1946년부터 소련군의 지원을 받아가며 남침을 준비했고 이승만 정부가 이끄는 남한도 '무력통일'을 외치고 있었다"면서 그러나 1950년 6월25일 막상 전쟁이 일어난 직후 북한은 라디오 방송을 통해 '이승만 도당이 북침해 인민군이 2시간 만에 격퇴한 것으로 선전했다고 털어놨다.


한반도에서 일제를 몰아내야 한다는 부친의 평소 소원 때문에 소련군에 자원입대했다는 정씨는 한국전쟁 발발 당시 자신은 김일성종합대학 러시아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었다며 "전쟁발발 이전 남북한 상황으로 미뤄 당시 북한 당국의 라디오 방송내용을 그대로 믿었다"고 말했다.


정씨는 북한당국이 전쟁 발발 직후 러시아어에 능통하다는 이유로 자신을 소련제 병기구매 및 전선배치 업무를 맡기고 인민군 병기총국 부국장(여단장급)에 임명해 참전하게 됐다면서 1952년 12월초 김일성이 불러 찾아갔더니 "그동안 수고가 많았다. 이젠 전쟁이 거의 끝났으니 문화선전성 제1부상을 맡아달라"고 해 이를 수락했다"고 말했다.


그는 "문화선전성 제1부상에 임명된 직후 고려인 동료인 유성철(柳城鐵. 1995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작고) 인민군 총부참모장 겸 작전국장(중장)이 나를 평양의 한 술집으로 불러 '전쟁은 북한이 시작했다. 내가 1950년 6월25일 오전 4시 (공격개시를 위한) 신호탄을 쏘라고 직접 지시했다'고 밝혀 깜짝 놀랐다"고 회상했다.


그러면서 "1950년 6월25일에 직접 들은 라디오 방송에서 '인민군이 국방군을 2시간 만에 격퇴했다'고 전한 데 대해 '국방군이 북침했다면 사전에 막강한 무기력을 갖추었을텐데 2시간만에 패퇴 당했다는 것은 좀 미심쩍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당시 정황상 큰 의심을 품지는 않았다"고 부연했다.


소련파 숙청 당시 '퇴폐적' 월북 문인들이 대거 희생되면서 북한 정권수립에 일조한 정씨와 유씨 등 소련국적 고려인 428명도 쫓겨났다. 이들 고려인중 상당수는 북한의 각 부처 등에서 2인자로 재직했지만, 현재 북한 정권내 고려인 출신은 한명도 없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씨는 특히 "김일성은 1949년초 모스크바를 공식 방문해 스탈린을 만나 '남침을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가 스탈린이 '2차대전이 끝나 복구중인 만큼 지금은 곤란하다'며 거부했다"면서 그러나 김일성은 다음해 4월 모스크바를 비공식적으로 방문해 '1~3개월이면 통일시킬 수 있다고 설득해 승인을 받아냈다고 말했다.


또 "김일성은 '서울만 함락시키면 이승만 정권이 백기를 들고 나와 통일이 된다'고 판단했지만 서울 함락은 전쟁의 시작이 되고 말았다"며 "북한 정권의 특성상 이러한 전쟁관련 기밀을 공개하지 않아 북한 사람 대부분이 아직도 한국전쟁은 '남한에 의한 북침'으로 알고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옛 소련지역 50여만 고려인들에겐 한반도가 조국일 뿐"이라며 "역사상 한반도 최대 비극인 전쟁의 아픔을 하루 빨리 털고 남북이 통일의 길로 나아갔으면 여한이 없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일성의 '정체'와 관련해 정씨는 "1945년 소련군 장교로 북한 원산에 들어가 원산시 인민위원회 문화부 차장을 맡게 됐다"면서 "북한에 진주한 소련군 사령부으로 부터 같은해 9월말 '김일성 부대가 원산항에 도착하니 마중 나가라'는 명령을 받아 다음날 나갔더니 30대의 김일성이 배에서 부대원 60여명과 함께 내리면서 내게 '김성주입니다'라고 자신을 소개했다"고 밝혔다.


그는 "다음날 소련군 사령부에 전화를 걸어 '김일성 장군은 없더라'고 하자 사령부에서 '김성주가 바로 김일성'이라고 말해줬다"며 "만주지역에서 항일유격대원으로 활동한 이들 중 15명이 김일성이란 이름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김일성 장군의 존재 여부는 역사가들이 파헤쳐야 할 과제"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