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긴 江은 아마존강..논쟁 끝!
[연합뉴스] 2008년 05월 07일(수) 오전 08:30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 세계에서 가장 긴 강은 남미대륙의 아마존강으로 확인됐다고 AFP 통신이 페루 수도 리마에 있는 리마 지리학회 발표를 인용,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리마 지리학회는 이날 "페루 남부 안데스 산맥에서 시작돼 페루와 브라질을 지나 대서양으로 흘러드는 아마존 강의 전체 길이는 7천62㎞로 조사됐다"면서 "아마존강이 아프리카의 나일강보다 391㎞가 길다"고 밝혔다.
아마존강이 처음 시작되는 지점은 페루 아레키파 주 네바도 케후이샤 산기슭의 해발 5천150m에 위치한 아파셰타 계곡 웅덩이인 것으로 조사됐다. 나일강의 길이는 조사 주체에 따라 6천614~6천670㎞로 조금씩 다르게 발표되고 있으며, 리마 지리학회는 6천671㎞라고 말했다.
리마 지리학회의 조사는 세계 과학자 단체들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이번 조사 결과는 그동안 아마존강과 나일강을 놓고 전개돼온 '세계에서 가장 긴 강' 논쟁에 마침표를 찍을 수 있을 것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이에 앞서 브라질 국립환경연구소(INPE)는 지난 2005년 인공위성 사진을 통해 관측한 결과 아마존강의 길이가 6천627~6천992㎞라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아마존강은 워낙 굴곡이 심해 정확한 길이를 측정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별개의 강으로 알려졌던 줄기가 아마존강 굴곡의 일부분이라는 사실이 확인되기도 했다.
연합뉴스
**************************************
The Amazon River
아마존강 (-江 Amazon)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에서 발원하여 적도를 따라 동쪽으로 흘러 대서양으로 들어가는 강. 포르투갈어로는 Rio Amazonas, 에스파냐어로는 Río Amazonas라 한다. 총길이 6300㎞로 나일강보다 짧지만, 유역면적(토칸틴스강 유역은 제외)은 약 650만㎢로 세계 제1위이며 제2위인 콩고강(자이르강)의 2배에 가깝다.
하류역(전체 유역의 약 2/3)은 브라질 영내에 있지만 상류역은 볼리비아·페루·에콰도르·콜롬비아·베네수엘라·가이아나 등 여러 나라에 걸쳐 있다. 페루 영내에서는 마라뇬강과 우카얄리강이 합류하여 아마존강 본류가 된다. 그러나 강을 내려가 브라질 영내에 들어가면 한동안 술리몽스강이라고 하다가 마나우스에서 네그루강과 합류한 그 아래는 다시 아마존강이라고 한다.
주요 지류로는 북쪽에서 유입하는 나포강·푸투마요강(이사강)·카케타강(자푸라강)·네그루강, 남쪽에서 유입하는 마데이라강·푸루스강·주루아강·타파조스강·싱구강등이 있다.
1541년 에콰도르의 키토에서 아마존강 상류부의 탐험에 들어간 G. 피사로 휘하의 F. 오레야나가 상류에서 하구까지 항행에 성공하여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도중에 인디오를 이끌고 습격해 온 백인 여전사 집단이 있었다고 하는데, 이것이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여자 무인족(武人族) 아마존과 비슷하다 하여 아마존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자연
아마존강 본류의 강 나비는 술리몽스강 구간에서는 1∼4㎞, 마나우스의 하류부에서는 평균 4∼5㎞, 최대일 때는 10㎞ 정도이다. 강물이 불어날 때에는 강을 따라서 저지대가 물에 잠겨 강 나비가 두드러지게 넓어지는데 곳에 따라서는 50㎞에 달하는 곳도 있다.
본류의 수심은 깊은 곳은 60∼90m, 곳에 따라서는 120m에 달한다. 수면의 경사는 매우 완만하며, 수면고도는 하구에서 약 1450㎞ 상류인 마나우스에서 22m, 3450㎞ 상류인 이키토스에서는 약 100m이다.
유역의 중심부에는 해발고도 200m 이하인 아마존평원이 동서로 펼쳐져 있다.
유역 북부에는 기아나고지가, 남부에는 브라질고원이 있다. 아마존평원은 주로 신생대 퇴적물에 의해 이루어진 데 비해 기아나고지와 브라질고원은 선캄브리아대의 결정질암으로 이루어진 오래된 지괴이다.
아마존평원은 유역 서부에서는 남북으로 폭이 늘어나 불명료한 분수계(分水界)를 가지며 북쪽의 오리노코평야와 남쪽의 라플라타강 유역의 평야와 접한다. 특히 지류인 네그루강으로는 오리노코강 상류의 일부가 카시키아레수로(水路)를 통해 유입되고 있는데, 두 수계 상류부의 분수계는 명확하지 않다.
유역의 서단부에는 해발고도 6000m 이상의 고봉이 즐비한 안데스습곡산맥이 가로놓여 본류의 원류부를 이루고 있다. 아마존강유역 중 네그루강·푸루스강 서쪽 안데스산록까지는 연중 고온다습한 전형적인 열대우림기후 지역이지만, 그 밖의 지역에는 약간의 건기가 있다. 건기가 2∼3개월 이하인 지역은 열대우림으로 덮여 있다.
브라질고원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유역 남부와 기아나고지의 일부(로라이마지방)는 건기가 4∼5개월에 이르는 사바나기후이며, 세라두라는 사바나 식생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유역 주변의 우기와 건기의 교체로 아마존강의 수위는 계절에 따라 두드러지게 변한다.
5∼6월이 최증수기, 10∼11월이 최갈수기이며, 중류인 마나우스의 수위변화는 평균 10.8m이다. 아마존강의 유량은 1963년과 1967년의 증수기에 오비두스 부근에서 실제로 측량했는데 매초 21만 6340㎥와 22만 7075㎥였다.
따라서 하구부에서 증수기의 평년 유량은 매초 25만㎥ 전후로 추정된다.
아마존강의 본류·지류를 따라 증수기에는 수몰되는 바르제아라는 충적저지가 이어져 있다. 바르제아에는 무수한 호수와 늪, 수로가 있고 이들은 지역 주민의 교통로로서 중요하며 수산자원의 보고이기도 하다.
특히 세계 최대의 담수어라는 피라러쿠는 동물성 단백질원으로서 이용가치가 높다.
바르제아의 나비는 하구부에서는 200㎞ 이상 되는 곳도 있으나 그 밖에는 그다지 넓지 않고 곳에 따라 수백m에서 약 50㎞인 것까지 있다. 아마존강의 지류에는 본류와 마찬가지로 다량의 진흙이 포함되어 황색으로 흐려진 강(그 고장에서 <흰 강>이라 한다)과 유기물이 분해된 콜로이드를 함유하여 간장과 같은 색을 띠는 맑은 강 <검은 강>이 있다.
<검은 강>으로는 이키토스강·마나우스강·나나이강·네그루강·타파조스강 등을 들 수 있다.
<검은 강>에는 강을 따라 퇴적되어야 할 진흙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바르제아나 모래톱은 발달하지 않았다. 때문에 강은 항상 물에 잠긴 삼림 속을 구불구불 흐르거나 또는 <리아스식 해안>과 같은 후미가 많은 하안을 가진 폭넓은 수면을 이루는 곳도 많다.
바르제아의 뒤쪽에는 테라피르메라는 낭떠러지와 물이 불었을 때에도 잠기지 않는 대지가 가로놓여 있는데, 이것이 아마존평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대지는 강의 수면보다 10∼30m 정도 높고 신생대 제3기 육성퇴적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대지 위에는 테라피르메림(林)이라는 전형적인 열대우림이 자라고, 그 밑에 황색 라토졸을 비롯한 각종 라토졸 및 적황색 포드졸 등의 산성토양이 발달해 있다.
산업·교통
아마존강유역 전역의 보편적인 생산활동으로는 카사바·옥수수·쌀을 중심으로 하는 자급적 농업과 자생하는 고무·브라질너트·야자·목재 등 식물 자원의 채집이다. 특히 유역의 천연고무는 파라고무라 하여 20세기 초까지는 세계에서 독점적 위치에 있었으며 그 적출항이었던 벨렘·마나우스·이키토스 등은 당시 고무붐으로 번성했다.
상품작물로는 벨렘 주변에서 재배되는 검은 후추와 중류부 바르제아에서 재배되는 황마(黃麻)가 있다. 또 같은 지역의 바르제아, 마라조섬의 저습초원, 로라이마지방과 벨렘 주변에서는 목축이 행해지고 있다. 광산물은 하구부 북안 아마파 직할령의 망간, 마데이라강유역 포르투 벨류 부근의 주석채광이 중심을 이룬다.
하구부 남안 싱구-토칸틴스 수계 사이에는 막대한 매장량을 가진 카라자스 광산이 있는데 개발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타파조스강 중류, 구루피강, 자리강 상류 등에서는 사금채취 붐이 일어나곤 한다. 상류의 안데스산맥 동쪽 기슭을 따라서는 20세기 후반에 유전이 잇따라 발견되었다.
주요 유전지역으로는 콜롬비아와 에콰도르 국경 부근의 푸투마요강·나포강유역, 페루의 마라뇬강 북부유역과 푸카이파 부근, 볼리비아의 산타크루스 등지이다.
아마존강유역은 전반적으로 인구가 희박하며 브라질의 아마존지방(북부지방) 전체에서 1㎢당 1.66명(1980), 페루의 아마존저지대(셀바지방)에서 1.3명 내외인데, 원류부인 안데스산 속에서는 1㎢당 10∼30명으로 인구밀도가 높다.
아마존저지에서는 수상교통이 유일한 교통수단이기 때문에 취락은 모두 강을 따라 분포해 있다.
그러나 최근 주요 도시 사이에 항공로가 발달하고 도로교통망도 정비되고 있다. 브라질은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벨렘·산타렘·마나우스의 3대도시를 브라질 남부의 중심지역과 도로로 연결하였고 아마존강 남쪽에 동서로 페루 국경 근처까지 잇는 아마존횡단도로도 완성했다.
페루에서는 우카얄리강 연안의 푸카이파에서 안데스산맥을 넘어 태평양연안에 이르는 도로를 완성하였다.
식물
아마존의 식생은 온난한 기후와 풍부한 강우로 인하여 질적·양적으로 모두 풍부하다. 삼림의 고목층을 이루는 수종은 미국이나 유럽의 낙엽활엽수림의 14배 이상에 달한다.
마나우스지방에서 1m 이상인 식물을 조사했을 때 초본종을 제외하고 100㎡에 935종의 개체가 자라고 있었으며 21과 61종의 식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마나우스지방의 식물상은 77.6%가 목본종이며 초본종은 6.7%에 불과하였다.
아마존강유역을 하늘에서 보면 삼림은 청록색의 물결과 같이 보이고 그 속에 회색(잎이 떨어진 수목), 노랑과 보라(꽃이 피고 있는 수목)의 점을 볼 수 있고, 상관적으로는 매우 비슷한 임상이지만 구성종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아마존의 다우림은 독일의 자연과학자 A. 훔볼트에 의해 <히라에아 아마조니카>라고 명명되었는데, 높이 90m, 둘레가 12m를 넘는 거대한 나무도 있다.
덩굴식물 중에는 과러나 Paullinia cupana와 같은 유용식물(종자로 다량의 카페인을 함유하는 과러나음료를 만든다)도 있다. 야자의 일종인 Mauritia flexuosa는 열매는 식용으로, 열매즙은 술, 속[髓(수)]은 빵의 대용으로, 섬유는 어망·밧줄·해먹으로, 잎은 지붕을 이는 재료로, 줄기는 건축재로 사용된다.
저지의 다습지에는 카카오 Theobroma cacao, 브라질너트 Bertholletia excelsa를 비롯해 고무원료가 되는 식물도 있다. 현재 아마존에는 원시림이 조금밖에 남아 있지 않으며 그나마 인간의 손에 의해 계속 파괴되고 있다.
동물
아마존강에는 아마존매너티·아마존강돌고래 등의 포유류와 피라러쿠 등의 어류, 담수산인 거북 등이 살고 있다. 피라러쿠는 이 강에 사는 포유류인 왕수달, 설치류인 카피바라, 큰 뱀인 애나콘다뱀과 함께 각각의 무리에서 세계최대의 종으로서 유명하다.
이 밖에 파충류로는 악어류인 카이만과 거북류인 마타마타거북, 양서류에서는 피파개구리, 폐어인 레피도시렌, 사나운 물고기인 피라냐, 열대어인 네온테트라 등의 테트라류, 물새인 넓은부리해오라기·뱀눈새 등을 볼 수 있다. 강 주위의 삼림에는 거미원숭이·짓는원숭이 등 30종 이상의 꼬리감는원숭이류, 3종의 느림보, 애기개미핥기, 금강앵무새 등 40종 이상의 앵무새류, 큰부리새, 뱀류인 에메랄드보아뱀 등 수관층(樹冠層)에서 생활하는 것이 많다.
땅에서 생활하는 유제류는 브라질맥, 사슴류인 마자마사슴과 흰꼬리사슴, 2종의 페카리로 다른 지역에 비해 적고, 큰 것은 볼 수 없다. 그 밖에 파카·왕개미핥기·아르마딜로·작은귀개·오셀롯·재규어, 흡혈박쥐 등 100여 종의 박쥐류, 유대류인 어포섬류, 원숭이를 포식하는 하르피아수리·기름쏙독새, 벌새·개미새·마나킨새·호애친, 거대한 독뱀 부시마스터, 화려한 모르포나비 등이 있다.
원주민
아마존분지의 원주민은 여러 방면에 걸쳐 있다. 언어의 분포만을 보더라도 큰 어족으로 투피·과라니·제·아라와크·카리브·투카노·파노·타카나 등을 들 수 있고, 그 밖의 언어를 사용하는 부족이 다수 있다. 제오족은 브라질 중앙고원, 투카노어족은 콜롬비아, 파노어족과 타카나어족은 페루·볼리비아로 비교적 지역적으로 통일되어 있는데 그 밖에는 넓은 지역에 분산하여 다른 어족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또 사회구조나 종교관념도 부족마다 달라서 아마존 원주민이라는 하나의 틀을 추출하는 것은 꽤 어렵다.
그러나 아마존 원주민에게 어떤 공통성이 있다는 것은 분명하고, 범람원(바르제아)이나 높은 지대(테라피르메) 또는 열대우림이나 사바나와 같은 거주지의 지세, 식생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동질성을 지적할 수 있다.
첫째는 생업이 화전경작·수렵·어로, 야생식물의 채집이라는 점이다. 토지의 조건이 좋은 바르제아에서는 화전경작의 비중이 높고, 숲이 강 옆의 좁은 범위에 한정되어 있는 사바나지역에서는 수렵채집이 중요하지만 위의 4가지 생업을 모두 병행해야 비로소 생활이 이루어진다. 특히 많은 지역에서 중요한 작물인 쓴 카사바는 성분이 거의 순수한 전분이기 때문에 단백질은 수렵이나 어로에서 얻는 것으로부터 섭취해야 한다.
또한 쓴 카사바에는 다량의 시안화수소(靑酸)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갈아내어 말리는 절차가 필요한데 이 기술도 쓴 카사바를 재배하는 부족 사이에서는 거의 공통된 것이다.
둘째는 부족을 통합하는 큰 정치조직이 없다는 점이다. 생산력이 높은 바르제아나 해안부에서는 취락인구가 1000명을 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인구 500명 이하의 작은 집단이다. 촌락끼리는 자주 적으로서 맞서고 습격이나 약탈행위도 일어난다. 따라서 아마존 원주민의 인구밀도는 낮고 생태계를 파괴하는 토지이용은 행해지지 않았다. 아마존 원주민은 백인침입 이후의 외압에 대해 저항력이 매우 약했다.
조직적인 큰 저항은 일어나지 않았으며 제각기 격파되고 백인들이 옮긴 전염병 때문에 많은 원주민이 죽었다. 현재는 아마존 원주민의 대부분이 고유의 문화를 잃어가고 있으며 라틴아메리카 혼혈사회의 최하층을 이루고 있다.
아마존지대의 훼손
고온다습한 기후의 아마존지대에는 세계 최대의 열대우림이 생육하고 있어 <지구의 폐>라고 불리며, 대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채광사업, 목장계획, 댐건설에 따른 간선도로 등의 건설에 의해 특히 도로 주변의 삼림이 급격히 파괴되기 시작하여 브라질 등 개발당사국과 원주민 및 환경보호단체와의 이해가 충돌하기도 하고 세계 각국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의하면 1980년 이후 5년간 이 지역 열대림의 560만㏊가 소멸된 것으로 추정되었고, 위성관측에 따르면 아마존 열대림이 1987년 한해 동안 800만㏊가 소실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파괴의 주원인은 화전경작과 과다한 방목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아마존지대는 야생생물의 <종의 보고>로도 유명한데, 국제자연보존연맹(IUCN)에 따르면 2000년에는 아마존지대를 중심으로 한 라틴아메리카에서 약 300∼1000종의 동·식물이 절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사정에 비춰 볼 때 아마존지대의 개발에는 주변 국가들의 신중한 검토와 선진 각국의 협조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Mouth of the Amazon River
Tributaries | |
- left |
Marañón, Japurá, Rio Negro |
- right |
Purus, Madeira, Tapajós, Xingu, Tocantins |
Source |
Apacheta cliff |
- location |
Nevado Mismi, Arequipa, Peru |
- elevation |
5,170 m (16,962 ft) |
- coordinates |
15°31′05″S 71°45′55″W / -15.51806, -71.76528 |
Mouth |
|
- location |
Atlantic Ocean, Brazil |
- elevation |
0 m (0 ft) |
| |
Length |
6,400 km (4,000 mi) approx. |
Basin |
7,050,000 km² (2,720,000 sq mi) approx. |
Discharge |
mouth |
- average |
219,000 m³/s (7,734,000 cu ft/s) |
List by length
1. 6,259.2 km (3,889.3 mi) to 6,712 km (4,171 mi) – Amazon, South America
2. 3,250 km (2,020 mi) – Madeira, Bolivia/Brazil
3. 3,211 km (1,995 mi) – Purus, Peru/Brazil
4. 2,820 km (1,750 mi) – Yapura, Colombia/Brazil
5. 2,639 km (1,640 mi) – Tocantins, Brazil
6. 2,627 km (1,632 mi) – Araguaia, Brazil (tributary of Tocantins)
7. 2,400 km (1,500 mi) – Juruá, Peru/Brazil
8. 2,250 km (1,400 mi) – Rio Negro, Brazil/Venezuela/Colombia
9. 1,992 km (1,238 mi) – Tapajós, Brazil
10. 1,979 km (1,230 mi) – Xingu, Brazil
11. 1,900 km (1,200 mi) – Ucayali River, Peru
12. 1,749 km (1,087 mi) – Guaporé, Brazil/Bolivia (tributary of Madeira)
13. 1,575 km (979 mi) – Içá (Putumayo), South America
14. 1,415 km (879 mi) – Marañón, Peru
15. 1,370 km (850 mi) – Teles Pires, Brazil (tributary of Tapajós)
16. 1,300 km (810 mi) – Iriri, Brazil (tributary of Xingu)
17. 1,240 km (770 mi) – Juruena, Brazil (tributary of Tapajós)
18. 1,130 km (700 mi) – Madre de Dios, Peru/Bolivia (tributary of Madeira)
19. 1,100 km (680 mi) – Huallaga, Peru (tributary of Marañón)
Map showing the course of the Amazon, selected tributaries, and the approximate extent of its drainage area
A satellite image of the mouth of the Amazon River, looking south
A NASA satellite image of a flooded portion of the river.
Confluence of the Rio Negro and the Amazon near Manaus, Brazil
Manaus-Amazon-NASA
Source of the Amazon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日 정상회담-양국 위상 격상 새 밀월시대 개막 (0) | 2008.05.09 |
---|---|
히틀러 암살단, 최후의 생존자 타계 (0) | 2008.05.07 |
옛 중동 지고 새 중동이 뜬다 (0) | 2008.05.06 |
이스라엘 건국 60년..빛과 그림자 (0) | 2008.05.04 |
이스라엘, 시리아에 골란고원 반환용의 통보 (0) | 2008.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