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리스트/국가우주무기

아시아 ‘우주개발’ 전쟁 불붙었다

한부울 2007. 4. 16. 01:59
 

아시아 ‘우주개발’ 전쟁 불붙었다

[경향신문] 2007년 04월 15일(일) 오후 06:22


아시아에 본격적인 우주개발 경쟁시대가 열리고 있다. 중국과 일본, 인도가 올해 안에 달 탐사선을 발사할 계획이다. 각국에서 우주개발 예산을 늘리고 있는 추세이다. AP통신은 “과거 냉전 시대 이후 최대의 우주개발 경쟁이 아시아에서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우주개발 경쟁이 촉발되고 있는 배경에 대해서는 “우주개발은 더 이상 국력의 상징이 아니라, 국가안보와 직결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아시아 우주개발 경쟁의 선두 주자는 단연 중국이다. 2003년 세계 3번째로 유인 우주선 ‘선저우(神舟) 5호’ 발사에 성공한 중국은 달 탐사위성 발사에서 우주인 달 착륙, 화성 탐사뿐만 아니라 위성항법장치(GPS)용 인공위성 발사에 이르기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은 14일 쓰촨(四川)성 시창(西昌) 위성발사기지에서 항법위성 ‘베이더우(北斗)’ 5호 발사에 성공했다.

2000년 이후 5번째 정지궤도 항법위성이다. 처음으로 자체 개발한 창정(長征) Ⅲ-A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는 데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GPS에 맞서 독자적인 GPS시스템(COMPASS)을 구축하려는 계획의 일환이다.

저우루신(周儒欣) 베이더우 위성항법기술 총재는 “전세계 위성항법 시스템은 절대다수 미군이 개발한 GPS와 연결되어 있다”며 “전쟁이 일어났을 경우 미국이 일방적으로 GPS 연결을 끊으면 결정적인 타격을 입게 되는 만큼 독자개발의 필요성이 한층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내년 말부터 1단계로 자국과 주변국가 고객들을 대상으로 위성항법장치 서비스를 제공한 뒤, 전 세계로 확대할 계획이다. 내년 말에는 첫 비 정지 궤도위성을 발사해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간다. 달 탐사 계획도 가시화하고 있다.

올해 안에 달 탐사 위성 ‘창어(嫦娥) 1호’를 발사할 계획이다. 2020년에는 우주인을 달에 보낼 계획이다. 2009년엔 러시아와 공동으로 화성 탐사도 계획하고 있다. 중국이 우주개발에 쓰고 있는 예산은 미국의 160억 달러에는 크게 못 미치지만 12억 달러에 이른다.

한편 중국은 지난 1월 탄도미사일을 이용해 인공위성 요격 실험에 성공했다. 이는 잠자고 있던 우주무기 개발(스타워스) 경쟁 우려를 증폭시켰다. 아직까지는 ‘스타워스’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파괴된 인공위성 파편이 우주공간을 떠돌고 있어 국제우주정거장(ISS)이나 수많은 인공위성에 또 다른 위협 요소가 되고 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일본 =일본의 우주개발 계획도 만만찮다. 일본은 1972년 세계 4번째로 인공위성을 지구 궤도에 올린 바 있다. 일본은 그 후 98년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발사에 자극받아 본격적인 우주개발에 나섰으나, 2003년 상업용 인공위성 발사에 실패하는 등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그러나 오는 8월 달 궤도 탐사선 ‘셀레네’ 발사를 계기로 다시 우주개발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AP통신에 따르면 320억엔(약 2500억원)이 투입된 달 탐사선 셀레네는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되며, 앞으로 1년 동안 2기의 소형 위성을 이용해 달의 자기장 분포와 중력장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일본은 앞서 지난 2월 지구상의 모든 곳을 감시할 수 있는 4개의 정찰위성 배치를 완료한 바 있다. 일본은 매년 정찰위성 사업에만 5억 달러의 돈을 쓰고 있다.


◇인도=인도의 달 탐사 계획도 손에 잡히고 있다. 지난 1월 유인 우주선을 겨냥해 우주캡슐을 개발, 12일간 궤도 비행에 성공한 바 있는 인도는 늦어도 내년 초까지 자체 개발한 달 탐사선 ‘찬드라얀 1호’를 발사할 계획이다.

우주과학 전문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무게 525㎏인 이 우주선에는 무게 20㎏의 착륙기도 탑재돼 우주선에서 이탈한 뒤 달 표면에 충돌, 탐측 자료를 수집한다.

찬드라얀 1호는 달 상공 100㎞ 궤도에서 최소한 2년간 비행하면서 달 사진과 측량 자료를 지구로 전송할 예정이다. 인도는 또 2012년까지 화성 무인 우주선 발사, 2020년 우주인 달 착륙을 목표로 장기적 우주개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베이징/홍인표특파원·조찬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