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삼한역사

대륙 소수민족 현황

한부울 2007. 1. 18. 20:02

 

*******************************************************************************************

 

1. 나시족(naxi zu)

 

 

 

현재 인구 : 308,839명이며, 주로 윈난성(雲南省) 려강(麗江) 나시족자치현과 그 주변 구역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으며 쓰촨성(四川省)의 이안위엔(鹽源), 이안삐엔(鹽邊), 무리(木里)등의 현과 티벳의 망캉현(茫康縣)에도 분포하고 있다. 나시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 이어에 속한다. 한족과 교류해왔기 때문에 대다수가 한문어를 사용할 수 있다. 나시족에는 원래 2종류의 문자가 있었다. 하나는 표의상형문자로 동빠웬(東巴文)이라 불리고 있으며 또 하나는 표음음절문자로 즈빠웬(哥巴文)으로 불리고 있다. 1957년에 로마자를 기초로하는 나시 표음문자가 만들어졌다. 나시족은 보편적으로 많은 신을 제사 지내는 동빠교(東巴敎)를 신봉 해 왔다. 소수는 라마교, 도교 혹은 크리스트교를 신봉 하고 있다. 나시족은 중국의 긴 역사를 가지는 민족중의 하나로, 남쪽으로 이주한 고대 치앙족(羌族)의 일파이다. 나시라고 하는 민족명은 고대 마오런이 살던 부락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한(漢)시대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마오누이(有큇爐), 모샤이(摩沙夷)가 나시족의 조상이다. 지역에따라 나시족의 명칭이 틀려진다. 이들은 지역에 따라 나시(納西), 나(納), 나루(納汝), 나리(納日) 등으로 불렸는데 신중국 성립후 나시로 통칭됐다. 나시족은 자민족 스스로의 노력으로 빛나는 민족 문화를 만들어 냈다. 서기 7 세기에 나타난 동빠웬은 현재, 세계에 얼마 남아있지 않고 아직까지도 사용되고 있는 상형문자이다. 동바웬으로 쓰여진 「동빠 경서」는 나시족 사회 발전의 역사를 연구하기 위한 귀중한 자료이다. 나시족은 농업을 주로 하며 수도, 옥수수, 고구마, 밀, 두류, 면화, 삼을 재배하고 있다.

*********************************

2. 누족(nu zu)

 

   

현재 인구 : 28,759명이며, 주로 윈난성(雲南省)의 삐장(碧江), 푸공(福貢), 공산산현(貢山三縣)에 거주하고 있으며 가까이의 란핑(蘭坪), 웨이시(維西)에도 누족이 집중 거주하고 있다. 누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족에 속하며 어파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지방마다 방언이 크게 달라 서로 의사소통을 하기 힘들다. 자민족의 문자가 없고 대부분 한문어를 사용하고 있다. 누족은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원시 종교를 신앙한다. 일부의 사람들은 라마교 혹은 카톨릭, 크리스트교를 신앙하기도 한다. 누족은 누강(怒江), 란창강(瀾滄江)의 양안 일대에서 생활하고 있다. 푸공, 공산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그 지역에 제일 먼저 거주한 토착민으로 아누(阿怒), 아룽(阿龍)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삐장, 루쑤이(瀘水)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은 리강(麗江), 장촨(劍川)의 동쪽으로부터 이주해와 누루(怒蘇)라고 불리고 량산의 이족과 깊은 관련이 있다. 누족 사회는 경제 발전이 늦어져 20 세기 중반에 이르러서도 일부 지구의 누족은 여전히 원시 공동체의 잔존을 유지하고 있었다. 근 몇십 년간 누강에 대철교가 가설되고 현대식 도로가 건설되어 누족의 경제/사회는 빠른 발전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 관련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누(怒)강이라는 이름은 '[만슈(蠻書)]'라는 책에서 처음 발견된다. 이러한 이유로, 누족은 당나라때 이미 누강 유역에서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꽁샨(貢山)' 북부의 누족은 천년전부터 그곳에서 살아왔기에 인근에 있는 두롱(獨龍)족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 누강에서 누족처럼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민족이 없다. 이들은 누족 언어 외어, 바이(白)족, 리쑤(LiSu)족, 장(藏)족 언어를 할 줄안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러한 민족들과 같이 살며, 통혼하고, 생활의 여러부분을 함께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이 성격이 명랑 쾌활하고 문화가 다채롭다. '푸꽁'누족과 리쑤족이 연관을 맺은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으나, 이들은 서로 통혼하며, 종교에 있어서도 리쑤족의 무당인 '니빠(尼Ba)'를 신봉한다. 까오리꽁샨(高黎貢山)과 삐루(碧羅)설산의 험준한 줄기, 심심유곡의 누강 양안에 있는 약간의 충적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양안은 절벽의 대협곡으로 되어있다. 이곳에서의 건축방식은 '치엔쟈오루어띠(千脚落地)'라고 불리우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누족의 거주지 및 누쟝(怒江) 양안의 협곡은 해발 4천여미터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로써, 한대 온대 열대등 다양한 기후를 보이는데, 강변 계곡은 덥고 겨울이 짧다. 산중턱의 기후는 온화하고 겨울에 그다지 춥지 않으며 여름에는 건조하고 덥다. 산 위는 춥고 일년에 6개월 이상 눈으로 덮힌다. 이러한 입체적 기후는 풍부한 동식물 및 약재를 제공한다.

****************************************

3. 더앙족(de'ang zu)

 

 

현재 인구 : 17,935명이며, 윈난성(雲南省) 더홍(德宏)타이족 징포족(景頗族)자치주 및 빠오산(保山), 린창(臨滄), 사이마오(思茅)지구에 분산해 거주하고 있다. 그 중 루시현(潞西縣) 산대산(三台山)과 쩐캉현(鎭康縣) 준농(軍弄) 등은 더앙족이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구역이다. 더앙어는 남아시아어계, 와/더앙어파에 속하며 나앙, 뿌레이(布雷), 뤄마이(若買) 등 3개의 방언으로 나누어진다. 더앙족 대부분이 타이어, 한어, 징포어에 능통하고 이들은 자민족의 문자가 없기 떄문에 많은 사람들이 중국어와 타이어를 사용한다. 더앙족의 종교는 소승불교와 원시 종교이다. 미얀마에 거주하는 뻥롱(崩龍)족의 전설에 의하면 그들과 와(Wa)족, 커무(克木)인은 모두 루이리(瑞麗)강 유역에서 기원하였으며, 참차 비옥한 토지를 향해 이동하였다고 한다. 중국 더앙족은 자신의 선조가 살았던 지역을 두 곳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나는 그들의 발원지가 더홍(德宏)주의 망(芒)시 일대이고, 다른 하나는 미얀마의 따샨(大山)이다. 이러한 주장이 모순되지 않는 것은 두군데 모두 루이리(瑞麗)강 유역에 있어서 같이 이어지는 곳이기 때문이다. 역사상 이주로 인해 다른 지역에서 다른 족속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오늘날 더홍(德宏)주에 있는 따이(Dai)족, 징포(景頗)족은 더앙족이 이곳에 비교적 초기에 거주하였으며 넓은 지역에서 살았다는 것을 인정한다. 현재에도 따이(Dai)족, 징포(景頗)족에는 아직도 더앙어의 지역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더홍(德宏)주 내의 각 현에는 지금 더앙족의 거주지가 없다. 하지만 뻥롱샨(崩龍山), 뻥롱칭(崩龍Qing), 뻥롱싸이(崩龍塞)등의 지역이 있는 것을 보면, 이 지역에 분명 더앙족의 조상들이 거주했음을 추측할 수 있다.그 외에도 더홍(德宏)일대에는 더앙족 및 그 선조들이 남긴 유적과 유물들이 발견되는데, 촌의 흔적, 돌판으로 만든 길, 돌다리, 마을 입구에 세워놓은 돌문, 탑 기초, 차 마시는 곳 등이다. 더홍(德宏)주 롱촨(Long川)현에서 북쪽으로 약 5키로정도 가면 빵와빠따(邦瓦巴達)향이 있다. 그 동편에 "나샨꽁"이라는 뻥롱(崩龍)왕성이 있다. 성벽은 돌로 쌓았으며, 성 안에는 주거지 유적이 있다. 부근에는 군대가 주둔한 흔적, 우물등이 있다. 징포(景頗)족 주민들은 "나샨꽁은 전설가운데 있는 뻥롱(崩龍)족 왕자의 이름이다. 이들은 기원 전 2 세기무렵 , 누강(怒江) 양안 일대에 거주하며 일찍부터 빠오산(保山), 더홍(德宏) 일대의 개발(開發)에 종사한 민족이다. 더앙족의 지도자는 만약 민심을 얻지 못할 경우, 군중은 그 직무를 해임할 수 있다. 오직 '따깡(達崗)'만은 각 촌의 지도자들이 선발하여 투쓰(土司)에게 보고한다. 현 중국정부가 세워진 이후로 이와같은 제도는 없어졌다. 더앙족은 고유의 성문법이 없고, 오직 관습법이 있다. 이는 촌락구성원간의 약속에 의해 보존된 좋은 전통이라 하겠다.

*****************************************

4. 동족(dong zu)

  

현재 인구 : 2,960,293명이며, 귀저우성(貴州省), 후난성(湖南省)과 광시쫭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에 인접한 지역에 분포하며 그 중 귀주성 치안동난(黔東南) 먀오족 통족 자치주가 주된 거주지역이다. 통어는 한/티벳어계, 쫭통어파, 통수이어족에 속한다. 남, 북 두개의 방언이 있다. 원래 통족은 자민족의 문자가 없어 그동안 한자를 사용해왔다. 그러나1958년, 통족의 남부 방언과 귀저우성 롱강(榕江)의 말을 기초로 두고 로마자를 채용해 통족의 문자를 창출했다. 통족은 다신과 자연물을 숭배하는 원시 종교를 신봉한다. 통족은 중국 고대 빠이위에(百越)의 일파로부터 갈라져 나왔다. 진/한(秦漢)시대에 뤄위에(駱越)라고 불렸고 위(魏)/신(晋) 시대 이후에는 랴오(僚)로 불렸다. 고대 문헌에서는 역사상 통족은 동런(洞人), 통런(消人), 통만(洞찬)등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신중국 성립후 이 민족의 명칭은 통족으로 통일되었다. 동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는데, 고대의 루어위에(駱越)가 발전해 내려온 토착민족이라고도 하고, 송대의 걸링(佶伶)에서 나누어졌다고도 한다. 《리핑후지(黎平府志)》에 의하면 명 홍무(洪武)때 쟝시성 지안후 타이허현(吉安府太和縣)의 3만여 명의 군민(軍民)이 광시자치구 우저우(梧州), 류저우(柳州)를 거쳐 귀주로 들어 와 주둔하면서 현지의 동족과 결혼하며 동화되었다고 한다. 또한 동정호(洞庭湖)의 평원지대에서 옮겨왔다고 한다. 족은 주로 농업과 임업에 종사한다. 삼나무와 유다(油茶)의 재배가 유명해서 통족은 유다(油茶)를 내어 손님을 대접하곤 하는데 이것은 손님을 소중히 여기는 통족의 습관이다. 통족의 여성은 솜을 기르고 옷감을 짜거나 물을들인다. 또 통족이 사는 마을의 고루(鼓樓)과 풍우교(風雨橋)는 독특한 풍격을 가지는 통족의 건축 예술 양식을 나타낸다.

***************************************

5. 두롱족(dulong zu)

 

  

현재 인구 : 7426명, 윈난성(雲南省) 공산두롱족(貢山獨龍族) 누족자치현(怒族自治縣)의 두롱강 유역의 계곡 지대에 살고 있다. 두롱어는 한(漢)/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에 속하며 이 민족은 문자를 가지지 않는다. 두롱족은 만물(萬物)에 영혼이 있다고 믿고 자연계의 사물을 숭배한다. 두롱족의 호칭은「따위엔통찌(大元一統志)」의 리장루(麗江路) 풍속을 따라「챠오」라고 불렸다. 명(明)/청(淸)시대에「치우」또는「(추曲)」라고 불렸으나 신중국 성립후 두롱을 민족 호칭으로 사용하게 됐다. 연간 생산량이 낮았기 때문에 채집과 어획/수렵으로 생산을 보완했다. 두롱족의 생활은 매우 궁핍하고 상품의 교환도 없었다. 그러나 신중국 성립후 이러한 뒤떨어진 생활양상을 철저히 바꾸기 시작했다. 두롱족은 근면하고 손님을 소중히 하고 우의(友誼)를 중시여겨 마을에 한 집이라도 무슨 일이 생기면 마을 전체가 나서서 돕는다. 또 이들은 신의를 존중하며 검소한 도덕의식을 가지고 있다.「밤에 문단속을 하지 않고 길에 떨어뜨린 것을 줍지않는다」라는 것이 두롱족의 전통적인 미덕이다. 두롱족은 과거에 옷 없이 천으로 왼쪽 어깨를 가리면서 몸을 둘러 옷을 대신했고, 밤에는 이 천으로 이불을 대신했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외부의 영향을 받아 현대의 간편한 옷을 입기 시작했다. 이들은 술을 좋아해서 음식을 해먹는 만큼의 곡식으로 술을 만들기 때문에 식량은 절대적으로 부족해 하루에 두끼를 먹는다. 자료에 의하면 두롱족은 과거에 동굴 생활도 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두롱(獨龍)족 방의 특징은 장방형이다. 한 가정이 늘면 방을 하나 더 늘려 붙여서 크게 확장해 나가는 방식으로 대가족 생활을 한다. 결혼은 가족 밖에서 배우자를 찾는다. 젊은 남녀들은 꽁팡(公房; 마을 공동의 방)을 찾아 자유롭게 연애를 한다. 성생활이 질서가 없어서 혼전에 아이를 낳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 이들의 무질서한 혼전 성생활 때문에 유산은 막내에게 물려주는 습관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결혼을 한 이후에는 엄격한 통제를 받는다. 젊은 남녀가 자유로운 연애를 통해 자기의 배우자를 찾는데 부모는 거의 간섭을 하지 않는다. 금기사항은 사람이 죽은 후 다음날, 곧 매장하는 날에는 모든 마을의 사람들이 노동에 참가하지 않고 아이를 낳을 때에 절대로 방에서 낳지 않고 밖에서 낳은 후에 몸을 씻겨서 방으로 데리고 들어온다. 또 친정집에 가서 아이를 낳는 것도 금하고 있다. 무당이 혼이 있다고 말한 지역에서는 누구도 농사를 지을 수 없다. - 노동 중에 뱀을 보고 죽였으면 바로 일을 멈추고 쉰다. 그렇지 않으면 더 많은 뱀이 온다고 생각한다. - 남녀를 불문하고 이성의 앞을 지나가면 안 되고 뒤로 돌아서 지나가야 한다. 카취에와지에(KaQueWa節)(음력 11월 또는 12월)두롱(獨龍)족의 유일한 절기로 신년의 의미에 해당하지만 고정된 날이 없고 각 마을에서 스스로 기간을 정하여 지낸다. 이 절기 기간에는 각 가정마다 친구들과 친척들을 초청해서 함께 즐긴다. 절기 기간에는 모두가 자기의 옷 중에 제일 좋은 옷을 입고 술과 고기로 잔치를 한다. 절기의 활동 중에 절정에 해당하는 것은 '퍄오니우(剽牛)'로써 소를 묶어 놓고 대나무 창으로 소의 급소를 찔러 죽이는 것인데, 이 활동에 많은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여 소를 찌르기 전에 노래와 춤으로 즐긴다. 이들은 이러한 활동이 가정의 평안과 농사의 풍년을 보장하고 가축도 번성하게 한다고 생각한다.

*******************************************

6. 라후족(lahu zu)

 

 

현재 인구 : 453,705명이며, 주로 윈난성(雲南省) 란창현(瀾滄縣), 멍리안현(孟連縣)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소수는 그 외의 민족과 함께 윈난성 남서의 국경 일대의 현에 거주하고 있다. 라후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 이어에 속한다. 라후나와 라후시(拉祜熙)등 2개의 방언이 있다. 라후족은 유구인 역사를 가지는 민족이다. 이들은 이족, 나시족(納西族) 등의 민족과 같이 고대의 치앙족(羌族)과 조상이 같으며 칭하이(靑海) 티벳 고원에서부터 남쪽으로 이주하는 도중에서 형성된 민족이다. 청(淸)대 사적에 러프족은뤄헤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라후는 민족의 자칭이다. 라후라는 뜻은 범(虎)의 고기를 익혀 먹는다 라는 의미이다. 라후족이 즐겨 다루는 악기로는 주로 '루셩(芦笙; 갈대로 만든 피리종류의 악기)', '싼시엔(san xian; 현이 세 개인 기타종류의 악기), 퉁소, 피리 등이 있다.' 남자는 이미 많은 마을들에서 전통복장을 찾아볼 수 없고, 절기 때에나 조금씩 보게 되는데, 대개 옷섶이 둥글고 깃이 짧은 적삼을 입고, 하의는 품이 넓고 큰 긴 바지를 입으며, 머리에는 검은 수건을 쓴다. 여자들은 옷솔기가 터진 긴 두루마기를 입는데, 옷깃 주위와 솔기가 터진 양쪽에는 모두 붉은색이나 파란색으로 몇 가지 무늬를 넣는다. 옷깃과 옷섶에는 은빛의 거품모양을 새긴다. 아래에는 검은색으로 긴 바지를 입고, 머리에는 검은천으로 된'빠오토우(包頭)'를 쓴다. 어떤 지역의 라후족은 중국전통 복장과 따이족 복장을 입기도 한다. 라후족은 매운 것을 좋아하며 특히 고추를 즐겨 먹는데 매 끼니마다 반드시 있어야 한다. 이들은 말하기를 "라후족에게 있어서 고추는 한족들에게 있어서 기름과 같다"고 한다. 이들은 음식을 먹을 때 가장이 먼저 밥을 뜨고 손님이 다음으로 뜬다. 그리고 나이순으로 가족들의 밥을 뜬다. 귀한 손님이 왔을 때에는 닭을 잡아서 닭죽을 끓여 손님을 접대하는데, 절대로 하얀 닭을 잡아서는 안된다. 만약 하얀 닭을 잡아서 손님을 대접하면 절교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담배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가 즐겨 피우며, 자기들이 재배한 '란옌(藍烟)'이라는 담배를 사용하는데, 특별하고 진한 맛이 있어서라고 한다. 다른 민족과 통혼하는 경우는 아주 적다. 어떤 지역에서는 동성과 근친의 결혼도 금하고 있다. 라후족의 남자가 결혼할 연령에 이르면 결혼할 대상을 자신이 찾는다. 대상을 찾는 방법은 구혼가(求婚歌)를 불러서 찾는다. 만약 청년이 연애할 대상을 찾게 되면 이들은 강가나 숲 속에서 사랑의 노래를 부르며 사랑을 다져간다. 서로의 사랑이 깊어지게 되면 서로 선물을 교환하면서 서약을 한다. 서약을 한 후에 어느 한쪽에서 위반하는 경우 모든 마을 사람들로부터 외면을 당하기 때문에 서약하기 전에 신중하게 생각한다. 주요명절에는 쿼타지에(擴塔節)(음력 1월 1일), 훠바지에(火把節)(음력 6월 24일), 신미지에(新米節), 빠위에위에위안지에(八月月圓節)(음력 8월 15일)등이 있다.

********************************************

7. 루오빠족(luoba zu)

 

 

  

 

현재 인구 : 2,965명이며, 주로 티벳 자치구 남동부의 뤄위지구 및 시앙린의 차위(察隅), 모투오(墨脫), 미린(米林)등의 현에 분포하고 있다. 모투오현 북부에 살고 있는 로파족은 티벳어를 사용하고 다른 로파족은 로파어를 사용한다. 로파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에 속한다. 로파족의 방언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자민족의 문자가 없다. 로파족 중 소수가 티벳어에 틍통하다. 로파족은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원시 종교를 신봉 한다. 로파라는 말의 어원은 티벳어로 남부 사람이라는 의미로 티벳족이 부르는 그들에 대한 호칭이다. 지역마다 로파족의 명칭이 다른데 예를 들면 뽀까얼, 뻥니(崩尼), 뻥누(崩如) 등이 있다. 로파족은 예전부터 히말라야에서 생활해왔기 때문에 외부와의 교류가 차단되어 사회발전이 늦었다. 1950년대에도 로파족은 원시 사회 말기의 가부장 노예제도 단계와 티벳 봉건 농노주의 통치하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각 부락은 원시적인 화전 농법이었으며 옥수수, 밭벼 및 그 외의 잡곡을 재배했으나, 식량 수확량이 낮아 채집과 수렵으로 생활을 유지하고 있었다. 신중국 성립후, 로파족은 민족 평등의 권리를 누리며 국가와 각 민족의 지원을 받아 경제/문화의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다.

**********************************************

8. 리수족(lisu zu)

  

현재 인구 : 634,912명이며, 주로 윈난성(雲南省) 누강(怒江) 리쑤족자치주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며 소수는 부근의 주/현과 쓰촨성(四川省) 얀위엔(鹽源), 얀삐안(鹽邊), 무리(木里)에 분산해 거주하고 있다. 리쑤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 이어에 속한다. 이들에게는 3종류의 문자가 있었는데 구미의 선교사가 만든 표음문자, 웨이시현(維西縣)의 리쑤인이 만든 음절 문자, 신중국 성립후에 만든 로마자와 같은 새로운 문자이다. 이것은 지금 리쑤족 사이에 보급되고 있다. 리쑤족은 이전부터 원시 종교를 신봉 했으나 20 세기 초, 구미의 선교사가 들어오고 나서는 소수의 사람들이 기독교와 카톨릭을 신봉하게 되었다. 리쑤족의 주식은 환경의 원인으로 인해 자연히 가장 쉽게 농사지을 수 있는 옥수수와 감자이다. 옥수수로 죽을 많이 끓여 먹는데 옥수수로 먼저 술을 담그고 난 후에 걸러진 것으로 끓여 먹기도 한다.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소나 돼지 등을 길러 잡아먹는 일은 많지 않지만 때로 산속에서 산짐승들을 잡아 양식을 대신하기도 한다. '리쑤(LiSu)'족은 술 마시기를 즐기는 민족으로 '니즈(nizhi)'라고 부르는 곡주를 담가 마신다. 그리고 이 '리즈'는 손님접대를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담배를 피우는 습관이 마약류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조건이 되는 것 같다. 이러한 술과 담배에 대한 이들의 습관 때문에 기독교 강령을 세울 때 제 1과 2를 술과 담배를 하지 않는 것으로 정했던 것 같다. 리쑤족은 사는 지역이 광범위하고 지형과 기후의 차이가 커서 가옥의 구조도 많이 다르고, 인근에 다른 민족들이 있을 때에는 그들의 영향을 받아 전통가옥이 변화가 생기기도 한다. 1988년 8월 4일, 누쟝(怒江)주에 기독교삼자애국운동위원회와 협회가 성립되었고, 모든 현에도 하부조직이 들어서게 되었다. 1989년 12월, 통계에 의하면 개방된 교회가 21,441곳이고, 목사 4명, 전도인 290명, 장로 37명, 관리인 545명, 예배장 535명이었으며, 1994년 3월 신자의 통계는 84,345명으로 되어있다. 현재 리쑤족을 위한 성경학교는 리우쿠(六庫)등 4곳으로 어떤 곳에서는 다른 민족도 함께 공부하기도 한다.
따오깐지에(刀杆節)(음력 2월 8일), 훠바지에(火把節)(음력 6월 24일, 25일), 신미지에(新米節)(음력 음력 9, 10월)등이 주요 명절이다.

**********************************************

9. 먼빠족(menba zu)

 

 

현재 인구 : 8,923명이며, 주로 티벳 자치구 남동부의 먼위(門隅) 지구에 살고 있으며 일부는 모투오(墨脫) 지구에 살고 있다. 먼빠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안 어족, 티벳어파에 속한다. 티벳 지구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티벳어가 통용되고 있다. 자민족의 문자가 없고 티벳 문자를 사용한다. 먼빠족 상당수는 라마교와 원시 종교를 신앙한다. 먼파족은 티벳 고원의 먼위지구에 살고 있으며 티벳족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기원 823년에 라사의 다짜오시앞에 지어진 셩지우허멍뻬이(甥舅和盟碑―기념비) 에는 멍족(孟族)은 먼빠족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당시 투판(吐蕃)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13 세기에 먼위는 티벳의 일부로서 정식으로 중국에 귀속되어 17 세기 중엽 이후 먼빠족은 티벳의 정교일치 지방정부의 통치를 받는다. 먼빠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목축과 수렵도 겸하고 있었다. 봉건 농노 제도하에 화전 농업이라는 뒤떨어진 생산으로 생산력 수준이 매우 낮아 궁핍한 생활을 해왔다. 1959년, 티벳 지구에 민주개혁이 실행되어 먼빠족도 티벳족과 함께 개혁/개방에 힘쓴결과 먼빠족은 경제와 문화에 큰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

10. 묘족(miao zu)

 

 

 

  

현재 인구 : 8,940,116명이며, 주로 귀주성(貴州省), 윈난성(雲南省), 쓰촨성(四川省), 광시(廣西), 후난성(湖南省), 후베이성(湖北省), 광둥성(廣東省) 등에 거주하고 있다. 먀오어는 한/티벳어계, 먀오/야오어족, 먀오어파에 속한다. 먀오어는 후난(湖南)의 서부, 꾸이저우(貴州)의 동부와 쓰촨(四川), 꾸이저우(貴州), 운난(云南)등 3종류의 말이 있다. 다양한 민족이 함께 거주하는 지구의 먀오족들은 한어, 통어, 쫭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전에 먀오족에게는 통일된 문자가 없었지만 1956년에 4 종류의 방언이 있는 표음문자를 만들었다. 먀오족은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원시 종교를 신앙한다. 먀오족은 중국에서 긴 역사를 가지는 민족 중의 하나이며 이미 4000년 전의 사적에 난만(南蠻)으로 기록되어 있다. 먀오족은 수도와 옥수수 재배를 주로 하며 오오아브라기리, 유채 등의 경제 작물과 사철나무등의 귀중한 한방약재도 재배하고있다.
화샨지애 : 화샨지에는 먀오족의 전통 축제이다. 아주 옛날에 먀오족이 싸움에 패하여 사방으로 도망치게 되어 고향을 떠나 타향에서 서러움과 아픔을 달래야 했다. 어느 해 6월6일에 조상이 현령하여 너무 슬퍼하지 말라고 달래면서 높은 산정에 올라가 민속피리를 연주하며, 춤과 노래로 조상들을 위로하라고 말한 후 사라졌다. 현령(顯靈)이 사라지자 하늘로부터 꽃 한송이가 내려와 나뭇가지에 걸렸다. 사람들은 이 나무를 둘러싸고 춤과 노래로 축복을 했더니 이 해에는 풍년이 들었다. 이후 매년 6월6일이면 먀오족은 민속복장을 차려입고, 고산에서 꽃나무 한그루를 잘라서 노래와 민속악기를 연주하고 소싸움, 사자춤, 꽃나무 오르기 등 행사를 하며 경축한다. 그 중 나무 오르기가 제일 중요한데 가장 높이 오르는 자에게 돼지머리와 술이 상으로 내려진다. 생산 및 생활 중에 지키는 금기를 간략히 소개하면
(1) 봄에 첫 번째 번개소리가 나면 3일 동안 밖에 나가서 일을 하지 않거나, 양력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는 밭에다 거름을 주지 않는다.
(2) 집안에 아기를 낳은 산모가 있으면, 대문 위에다 풀로 만든 모자를 걸어놓고 외부인의 출입을 막는다. 만약 집안으로 들어갔을 경우, 반드시 나올 때는 발을 씻어야 하며, 한 컵의 냉수를 마셔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산모의 젖이 말라 버린다는 것이다.
(3) 길을 가다가 샘물이나 도랑물을 만났을 때 목이 마르다고 마음대로 마셔도 안 된다. 반드시 먼저 풀줄기를 물 속에 집어넣고 물을 마셔야 한다. 이것은 물을 지배하는 용왕에게 통보한다는 일종의 표시이다. 만약 그렇지 않고 물을 마시면, 곧 바로 배가 아프다고 생각한다.

********************************************

11. 빠이족(bai zu)

 

  

현재 인구 : 1,858,063명이며, 주로 윈난성(雲南省) 따리바이족 자치주에 거주하고 그 외는 윈남성 각지와귀주성(貴州省)의 비찌에지구(畢節地區), 사천성(四川城)의 리앙샨이족 자치주, 후난성(湖南省)의 상쯔현에 분포하고 있다. 바이족은 바이족 언어를 사용하고 이 언어는 한(漢)/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 이족어분지에 속하며 남부, 중부, 북부 등 3개 지구의 방언이 있다. 대다수의 바이족의 사람들은 자민족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한문어도 능통다. 바이족 사람들은 당(唐)대의 무렵부터 한자를 기초로 하는 사각형의 바이족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한민족과 바이족의 왕래로 바이족은 한민족의 문화를 배었고, 그 결과 바이족의 언어에는 수많은 한문 어휘가 흡수되어 바이족 사이에 통행 하는 문자가 되었다. 바이족은 촌사(마을의 수호신을 모신 당) 신에 해당는 소유주를 숭배하고 불교를 신앙하고 있다 바이족은 문화가 발달한 민족이다. 바이족의 선조는 신석기시대 이전부터 생활하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석기를 사용해, 간단한 농업, 목축업, 어업에 종사하고 집단 혈연 생활을 했다. 2000여 년 전부터 금속 도구를 사용하기 시작해 농업, 목축업을 발전시켰다. 바이족 중 90%이상이 농업에 종사 한다.

****************************************

12. 뿌랑족(bulang zu)

 

  

현재 인구 : 91,882명이며, 주로 윈난성 쓰쓔앙빤(云南省西雙版)/타이족자치주의 멍하이, 징홍(景洪),린캉(臨滄)지구의쓔앙강(雙江),용더(永德),운현(云縣)、겅마(耿馬),시마오(思茅)지구의 란캉(臨滄), 헤이강(墨江)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뿌랑족은 부랑어를 사용한다. 뿌랑는 남부아시아어계, 방글라데시/캄보디아어파, 브란어분지에 속하며 뿌랑(布朗), 아얼와라는 방언이 있다. 일부 뿌랑족들은 타이어와 와어를 사용하며 이들에게는 자민족 문자가 없다. 대다수의 뿌랑족은 소승불교 믿는다. 뿌랑족은 긴 역사를 가지는 민족이다. 당(唐)대에 「푸찌만(朴子蠻)」,원(元), 명(明), 청대에 「푸만(蒲蠻)」으로 불렸으나 신중국 성립 이후부터 이들은 뿌랑족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신중국 성립 이전 뿌랑산(布朗山)에서 생활하던 이들 뿌랑족은 어느 정도 원시 공동체의 잔존을 유지하고 있었다. 핑빠지구에서 생활하던 뿌랑족은 경제, 문화의 발전 수준이 높은 한족, 타이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뿌랑족이 생활하고 있는 지구는 기후가 온난해서 이들은 주로 농업에 종사 하고 차를 재배하는데, 대표적으로는 유명한 프알차가 있다. 뿌랑산에 사는 뿌랑족들은 모자연명제를 실시하기 때문에, 태어난 아이는 생후 3일 내에 아이의 이름 뒤에 어머니의 이름을 붙인다. 음력 5월 5일은 말 경주를 하는 축제일이다. 최고의 기수가 참가하게 된다.

*****************************************

13. 뿌이족(buyi zu)

 

   

현재 인구 : 2,971,460명이며, 주로 꾸이저우성(貴州省) 남부, 남서부의 뿌이족, 먀오족자치주(苗族自治州)에 거주하고 꾸이저우성 이 외에 윈난성(雲南省)의 루오핑(羅平), 쓰촨성(四川省)의 닝난(寧南), 후이리(會理)에도 분포하고 있다. 뿌이족이 사용하고 있는 뿌이어는 한/티벳어계, 쫭동, 장/타이어에 속하며 3개의 방언이 있다. 예전에 뿌이족은 한자를 사용했었으나 신중국 성립 후 로마자를 기초로한 뿌이족의 문자가 만들어졌다. 소수의 뿌이족은 카톨릭과 크리스트교를 신앙하고 있다. 뿌이족과 쫭족(壯族)은 조상이 같고, 바이위에(百越)-고대의 장수(江蘇), 쩌장(浙江), 푸첸(福建), 광둥(廣東)-일대에 일부가 분포하고 있다. 지금도 뿌이족은 고대 위에런(越人)의 풍속 습관을 가지고 있다. 뿌이족은 이전에「뿌이(布依)」,「뿌위에(布越)」,「뿌만(布曼)」이라고 불렸는데 신중국 건국 후「뿌이(布依)」로 호칭이 통일되었다. 뿌이족의 거주 지구는 계곡과 평원 지대가 많고 산수 경치가 아름답다. 뿌이족은 수도(무논에 심는 벼)의 재배 역사를 가지는 농경 민족이다. 뿌이족이 만든 공예품과 수장품은 도안이 아름답고 국내외에 많이 알려져 있다. 부이족의 전통 수놓기, 염색제품은 전국에 유명하다. 부이족은 입쌀을 주식으로 하며 개고기와 매운 음식을 즐기고 청색, 흑색 또는 백색의 옷을 좋아한다. 여성은 언제나 은 장신구를 하고 수놓기와 매듭염색에 뛰어나다. 부이족은 섬세하고 다채로운 독특한 수공예품을 만드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예술에 있어서 값진 유적으로 평가된다. 주식은 쌀, 옥수수, 밀, 좁쌀이고 찹쌀을 특별히 좋아 해 명절에는 물론 특별한 행사에 찹쌀을 이용한 음식을 만들어 먹는다. 츠바(찹쌀로 만든 떡)와 찹쌀밥,특히 검은 찹쌀밥은 별미이다. 음력 6월 6일에는 살구과절(殺狗過節) 즉, 개를 잡아 명절을 지낼 정도로 개고기를 즐겨 먹는데 귀한 손님이 올 때 대접한다. 뿌이족의 의목은 특히 부녀자들의 의상의 변화가 커서 20여 가지에 이를 정도로 다양하고 화려하다. 옷 색깔은 청람색 위주이고 短衣大領(단의대령; 짧은 단에 큰 옷깃)과 장군대고, 긴치마에 큰 바지)로 특징 된다. 전통 명절에 따라 복장을 달리 하는데 부녀자들은 결혼 전후의 복장이 명확히 구분된다. 지역 환경에 따라 옷의 형태가 차이가 많은데 깊이 폐쇄된 지역일수록 전통이 잘 보존되어 있다. 옛 부터 자수와 나염(臘染; 염색기법의 한 종류로 녹인 황랍을 천의 무늬에 붓고 염색 후 제거하여 그 부분만 백색으로 남김)이 발달해 꽃무늬 도안을 즐겨 나염해 화려한 의상을 자랑한다. 부이족의 나염은 중국 역사상 3대 인염공예(印染工藝)에 속한다. 염색 무늬는 원시 토템숭배 사상에서 유래해 용, 원앙, 물고기, 새 등 위주였으나 오늘날은 독특한 예술 경지까지 이르렀다. 몸, 도자기, 동고(銅鼓; 구리북)에도 토테미즘의 영향을 받은 무늬를 수놓았다. 정월 초하루, 보름에 땅을 쓸지 않고, 옷을 방 앞뒤에서 말리지 않는다. 부뚜막 위에 발을 올려놓지 않고, 개고기를 삶지 않는다.

*******************************************

14. 수족(수이족:shui zu)

 

  

현재 인구 : 406,902명이며, 주로 귀저우성(貴州省) 산도우(三都) 수이족(水族)치현에 집중 거주하고 있으며 그 외는 근처의 리뽀, 두샨(獨山), 도우윈(都勻), 롱강(榕江), 총강(從江)등의 현 및 광시(廣西)의 롱안(融安), 난단(南丹), 환강(環江), 허치(河池)등의 현에 분포하고 있다. 수이어는 한/티벳어계, 쫭/통 어파, 통/수이어에 속한다. 양안(陽安), 판동(潘洞), 산동(三洞)등 3종류의 방언이 있다. 수이족은 한문어(中國語)를 사용한다. 수이족은 다신과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원시 종교를 신앙한다. 청(淸)대 말기에 카톨릭교가 전해졌으나 카톨릭교를 믿는 사람은 적다. "봉황의 깃털처럼 아름답다"라고 불리는 위에량산(月亮山) 기슭에 집중 거주하고 있는 수이족은 고대 뤄위에(駱越)이 뿌리이다. 명(明)대의 사서에는 수이족의 명칭이 있는데 수이족은 자신들을 하이수이(海水)로 부르는데 그 말은 "물속의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청(淸)조 이후 한민족이 룽강(龍江), 도우류강(都柳江) 상류 지역으로 이주해 와 수이족과 함께 거주한 이후로 수이족 지구의 경제, 문화는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다. 신중국 성립후, 수이족의 생활은 크게 개선되었는데 특히 문화/교육/의료/위생 사업의 발전이 두드러진다. 1957년에 산도우수이족 자치현이 설립되어 국가의 원조하에 수이족은 각 민족들과 함께 거주지역을 도우류강 부근에 구축했다. 산두(三都) 물소(水牛)가 체형은 작지만 힘이 좋고 번식력이 강하다. 수이가(水歌; 수이족민요)는 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으로 언어가 소박할 뿐만 아니라, 폭 넓은 뜻을 반영하고 있고 형식은 (1)쌍가, (2)단가, (3)두가, (4)조가, (5)힐가 등 5가지로 분류한다. 은세공은 오랜 동안 이어져 내려온 공예로 부녀자의 허리띠는 정교하고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어렸을 때부터 자수와 종이공예를 배우는데 이를 통해 민족의 품격을 더욱 예술적인 가치로 높여 주는 효과를 얻고 있다. 집이 견고해 200년 이상된 고옥(古屋)도 많이 남아 있다. 장례를 굉장히 엄숙하게 지내 사람이 죽으면 장례가 끝날 때까지 출가한 여인까지도 고기를 일체 못 먹는다. 음력 9월이 수이족의 세수(歲首)인데 명절 중에 단절(端節)은 수이어(水語)로 “ 借端(jie duan) ”으로 최대의 명절이다. 매년 수이족역법(水曆)으로 12월부터 다음해 2월 상순까지 매(每) 해일(亥日)이 “ 단(端) ”의 명절이다. 각 지역이 습관에 따라 순서대로 행한다. 이외에 손님을 초대해 5,6백년의 역사를 지닌 민속술인 구천주(九阡酒)를 대접하며 지내는 묘절(卯節)이 있다. 구천주는 찹쌀을 주원료로 해서 풀과 나무뿌리를 채집해 발효시켜 만든 향기와 맛이 좋고 영양이 풍부하며 건강에 좋기로 소문난 술이다.

*******************************************

15. 아창족(achang zu)

 

 

현재 인구 : 33936명, 주로 윈난성(雲南省) 더홍(德宏)타이족/징포(景頗)족 자치주의 롱촨현, 량허현에 분포하고 소수가 양짱현, 루시현, 루이리현과 보샨지구(保山地區)의 롱링현, 통충현에 분포하고 있다. 아창족은 중국운남 경내에서 최초로 살아온 민족으로 고대 한문사의 기재에 따르면 이 민족은 峨昌, 娥昌,莪昌,阿昌,棋昌(모두 아창으로 발음)등의 이름을 갖고 있었는데 이는 모두 각각 다른 시기에 불려진 이름들이다. 신중국 성립 후 아창족이라 명명했다. 아창족은 아창족만의 언어를 사용한다. 아창어는 한(漢)/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 미얀마어분지에 속하고 3개 지구의 방언이 있으며 문자는 없다. 이들은 보편적으로 소승불교를 신봉하고 있다. 아창족은 칼을 만드는 기술이 뛰어나며, 유구한 역사를 갖고 있는 阿昌刀는 날카롭고 아름다우며 견고하다. 은으로 만든 칼집은 꽃무늬를 도안해 정교하며 아름다운 공예품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은장식, 은학, 쟁반 등의 조각도 매우 정교하다. 대부분의 주택마다 뜰이 있고, 집은 말(斗)에 구멍을 뚫은 모양의 목재 대에 양쪽으로 경사면의 꼭대기에 기와를 얹은 집이다. 아창족은 벼농사를 지으므로 쌀을 주식으로 하고, 부식으로는 옥수수와 감자를 먹는다. 신 음식을 좋아하며 빈랑 열매를 씹는 습관이 있다. 남자는 일반적으로 남색, 백색, 흑색의 맞섶저고리와 검은색의 긴 바지를 입는다. 결혼한 여자들은 치마와 소매가 좁은 맞섶저고리를 입으며 미혼 여성들은 긴 바지를 입는다. 명절이 되면 여자들은 모두 은장식을 하고, 미혼 여성들은 단 4개의 단추 위에 나란히 4가닥의 긴 은사슬을 걸고, 허리까지 이어진 은사슬에 작은 은회색의 합을 달고, 은목걸이, 은귀걸이를 장식한다.

************************************

16. 와족(wa zu)

 

  

현재 인구 : 396,610명이며, 주로 윈난성(雲南省)의 시멍(西盟), 창위엔(蒼源), 멍리엔(孟連)등의 3현과 주변의 산간부에 집중 거주하고 있다.  와어는 남부아시아어계, 와 더앙어에 속한다. 빠라오커(巴饒克), 와, 아와등 3종의 방언이 있다. 원래 문자는 없었지만 1957년에 라틴어 문자를 원형으로서 와족만의 문자를 만들었다. 와족은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자연 종교를 신앙한다. 와족은 중국 윈난성 남서부의 긴 역사를 가지는 민족 중 하나이고 2000년 전에 뿌랑족, 더앙족등의 민족과 함께 까오리공산과 란창강 지구의 개발에 기여했다. 빠라오커, 와, 아와등은 「산에 거주한다」라는 의미이다. 현지의 타이족은 와족을 카와, 인웨이, 카라고 불렀는데 카는 '노예'라는 의미의 타이어로 모욕적인 호칭이었다. 신중국 성립후 각 민족의 평등을 구현하기 위해 와족이라는 호칭이 정해졌다. 와족은 기복이 많은 아와 산간지대에 살고 있어 교통 불편으로 인해 외부와의 교류가 적어 경제 발전이 뒤떨어져 있었다. 그러나 차츰 그들의 생활에 큰 변화가 일어나 지금은 현대화의 발전을 이루고 있다. 와족은 남자나 여자나 지역마다 다른 복장을 하고, 지금은 전통복장과 일반 복장을 겸해서 입는다. 남자는 머리를 짧게 자르고 머리에 남색, 검은 색, 붉은 색, 흰색 등의 천으로 두른다. 상의는 옷깃이 없는 옷을 입고, 바지는 넓고 짧은 바지를 입는다. 손에는 은팔찌를 귀에도 귀걸이를 대나무로 엮은 목걸이와 은목걸이를 하며 발에는 아무것도 신지 않는다. 외출시에는 어깨에 장식용 천을 두르고 긴칼과 사냥용 총, 활 등을 지니고 다닌다. 남자들이 이런 모습을 하지 않고 다니면 용기 없는 사람으로 보여 진다고 한다. 칼과 활, 총은 남자들의 용맹스러움을 표시하는 것이라고 한다.
라무구지에 : 라무구지에는 와족의 축제이다. 첫날밤 북을 만들기 위해 온 마을 사람들이 산에 가서 나무를 구하여 힘을 모아 마을로 가져온다. 여자의 생식기를 의미하는 작은 구멍을 북위에 판다. 북이 만들어지면, 젊은 남녀들이 북을 북 집으로 옮긴다. 이때가 친구를 사귈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북 집에 안치가 되면 모두가 박자에 맞추어 북춤을 춘다.

*****************************************

17. 이족(yi zu)

 

 

  

현재 인구 : 7,762,286명이며, 윈난성(雲南省), 쓰촨성(四川省), 꾸이저우성(貴州省), 광시(廣西) 쫭족(壯族) 자치구 등, 4개의 지역에 분포한다. 이어는 한/티벳어계의 티벳/미얀마 어족, 이어에 속하며 6종류의 방언이 있다. 한민족과 자주 접하는 이족은 한문어(中國語)에 능통하다. 예전에 이족들 사이에서는 다신숭배가 유행했으나 청(淸)조 초기에는 도교가 번성했다. 19세기 말에 카톨릭, 크리스트가 전래되었지만 신앙하는 이가 적었다. 이족은 중국에서 비교적 거주지역이 넓고 유구한 역사를 가진 소수민족 중의 하나이다. 예전부터 이족의 조상은 중국 남서지구에 거주했는데 이들의 조상은 샤시(陝西), 간쑤(甘肅), 칭하이(靑海)에서 거주하다가 치앙족(羌族)의 분파가 남하하자 남서 지구의 원주민 부락인들과 융합해 이족을 형성했다. 이족은 오랫동안 노예제도를 유지해왔다. 20세기에도 일부지역에는 여전히 노예제도가 남아있었으나 신중국 성립후 민주개혁을 단행하여 구제도를 타파했다. 이족은 거주지역에 따라 불리는 호칭이 다른데, 그 예로 누오수(諾蘇), 나수(納蘇), 뤄우(羅武), 뤄뤄(羅羅), 미사포(米撒潑), 사니(撒尼), 아시(阿細, 阿西)등이 있다.
훠바지에 : 음력 6월 24일이면 윈난의 모든 이족들은 햇불 축제를 연다. 이날은 이족 달력으로 새해 첫날이다. 주요 행사는 밤에 열리는데 내년의 행운을 기원하는 새해의 제물로 횃불에 불을 붙인다. 또한 모닥불을 지피고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춘다. 축제 기간 동안에는 소 싸움, 씨름, 말 경주 등이 벌어진다.
차와/따거지에 : 자연의 정원이라 이름 붙여진 윈난은 어디를 가나 사계절 꽃이 지지 않는 곳이다. 이족이 사는 해발 3,600m에 위치한 따야오에서는 대지가 신선하고 아름다운 꽃으로 뒤덮이는 음력 2월 8일에 꽃 축제가 열린다. 모든 종류의 꽃을 따 모아 꽃 기둥과 오두막을 만들고, 집과 농지 심지어는 행운과 수확 그리고 번영을 뜻하기 위하여 소와 염소의 머리에도 꽃을 꽂는다. 이족은 건강과 행복의 기원으로 서로 꽃을 선물 한다. 3일 동안 이 날을 기념하며 친구를 사귀고 우정을 증진한다.
싸이이지에 : 윈난성의 따야오에서는 매년 음력 3월 28일에 옷 자랑 축제가 열린다. 전설속의 미보롱이라는 이족 소녀를 기념하기 위한 축제라고 한다. 그녀는 자신을 희생하여 사악한 사람을 제거하고 는 죽은 후에 아름다운 새가 되었다 한다. 축제기간동안 이족 소녀들은 여러 벌의 옷을 준비하여 샨따이지역에 모여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른다. 둥글게 모여 서서 땅위에 소나무 가지를 던지며, 젊은 남자들이 연주하는 악기 반주에 맞추어 손에 손을 잡고 춤을 춘다.

*****************************************

18. 장족(zang zu)

 

 

 

현재 인구 : 5,416,021명이며, 주로 티벳자치구 및 칭하이성(靑海省)의 하이뻬이(海北), 황난(黃南), 하이난(海南), 뤄루오(果洛), 위쑤(玉樹) 등 몇개의 티벳족자치주와 하이시멍구족(海西蒙古族)티벳족자치주, 간쑤성(甘肅省)의 간난티벳족자치주(甘南藏族自治州)와 톈쭈티벳족(天祝藏族)자치현, 쓰촨성(四川省)의 아빠 간찌량저(甘孜兩個自治州) 및 무리티벳족(木里藏族)자치현, 윈난성(雲南省)의 디칭티벳족자치주(迪慶藏族自治州)에 모여 살고 있다. 티벳어는 한어(中國語)/티벳어계의 티벳/미얀마어족 티벳어에 속한다. 웨이창(有衛藏), 창(康), 안두오(安多)등 3종류의 주요 방언이 있다. 티벳 문자는 서기 7 세기무렵에 산스크리트를 참조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쓰기하는 표음문자이다. 티벳족은 대부분이 라마교를 신앙하고 있다. 티벳족의 조상은 먼 옛날부터 야루창뿌강(雅魯藏布江)중류 일대에서 생활하며 자손을 늘려 왔다. 고고학 조사에 의해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및 철기 시대의 고대 문화 유적이 발견되었다. 서기 6 세기, 티벳 산난(山南)지구의 야루(雅隆)부락의 수령(首領)이 부락 동맹의 지도자가 되어 이후부터 노예제 사회에 들어갔다. 서기 7 세기에 이르러 송짠/간뿌(松贊干布)가 티벳 전역을 통할해 이때부터 티벳이라고 불렸다. 송짠/간뿌와 당(唐)조의 웬쩡공주(文成公主)와의 성혼은 티벳족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청조(淸朝)에 는 정식으로 달라이 라마와 판첸/올드니가 티벳 지방 정부를 마련하고 티벳 주재 대신을 임명했다. 1950년대, 티벳 지구에서는 여전히"정교합일(政敎合一)" 이라는 봉건적인 농노 제도가 실시되고 있었다. 1959년에 민주 개혁이 전면적으로 행해져 티벳족은 새로운 생활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 티벳족의 노력으로 티벳 지구는 사회주의 혁명과 건설을 이룰 수 있었다

*********************************************

19. 지누오족(jinuo zu)

 

    

현재 인구 : 20,899명이며, 주로 윈난성 시쓔앙빤나/타이족자치주 경홍현(景洪縣)의 치누어현과 근처의 산간부에 분포한다. 치누어는 한/티벳어계의 티벳/미얀마어파, 이어에 속하며 자민족의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
치누어라는 것은 이 민족의 자칭이며 고서에는 이어우러(攸樂)로 기록되어 있다. 치누어족들은 모두 윈난성 시산판나주의 산에 거주하는데, 이들의 생활 습관, 축일 풍속, 복식, 민족 기원과 연혁 등 각 방면에 근거해 중국의 소수민족 중 하나로 인정되었다. 치누어족의 조상 관한 기록은 없다.
치누어족은 신중국 성립 당시까지도 정형화된 계급 사회가 형성되어있지 않았다.
신중국 성립후, 중국이 사회주의 단계에 들어가자 화전 농법과 물물교환, 영혼을 제사 지내 병을 고치던 시대의 지연 양상은 철저히 바뀌었다. 현재 치누어족 사이에는 공무원, 대학생, 의사, 상인을 비롯한 기술자들이 많다.

**************************************

20. 징포족(jingpo zu)

 

현재 인구 : 132,143명이며, 주로 윈난성(雲南省) 더홍타이족징포족자치주 서쪽의 루이리(瑞麗), 롱강, 잉강, 량허(梁河) 등의 현(縣) 산간부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으며 부근에 있는 주/현의 산간지대에는 소수의 징포족들이 분산해 거주하고 있다.

징포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 징포어에 속한다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징포문자는 로마자를 기초로한 표음문자이다 . 징포족은 이전부터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하는 원시 다신교를 신봉해왔다. 소수이지만 크리스트교도를 신봉하는 징포족도 있다. 징포족은 윈난더홍지구의 원주민족은 아니다. 고대 징포족은 쫭족/티벳 고원의 남부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그 후 헝두안(橫斷) 산맥에 근처의 란창강(瀾滄江), 진샤강(金沙江) 일대로이주했고 명(明)대 말 청(淸) 대 초에 더홍지구로 옮겨 더앙족(德昻族), 리쑤족, 아창족(阿昌族), 한족(漢族) 등의 민족과 함께 산간지대에 살았다 . 징포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곡물은 수도(水稻), 옥수수를 재배한다 . 징포족은 순박하고 솔직하며 용감한 민족이다. 징포족 아이들은 어릴때부터 어른과 함께 산에 들어가 수렵을 한다 . 징포족 여성은 뜨개질을 잘한다 . 수백종의 칼라 도안을 잘 짜는데 도안중의 대다수는 동식물 모양으로 매우 아름답다 .
무노우쭝거 : 더홍의 징포족은 음력 1 월에 본 축제를 연다. 전통적인 이 축제는 역사적 기원을 가지고 있는데, 땅에 세워진 네 개의 나무 기둥 주위에서 이루어진다. 기둥의 도안은 태양과 달 그리고 징포족의 기원 발생지 경로가 그려져 있다. 총 발포는 축제 자체를 의미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원형으로 돌며 춤을 추는데 이는 조상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을 의미한다. 지도자는 긴 칼을 들고 원형의 춤의 경로를 나타낸다 . 모든 여자들은 똑같이 검은 옷과 빨간 치마를 입고 있다. 어깨 위에는 둥근 은장식이 태양 아래 빛난다. 시간이 지날수록 사람들의 대열이 길어지고 , 더 많은 사람이 이 축제에 모이게 되는데 마치 용이 지나가는 것처럼 장대하다.

***********************************

21. 치앙족(qiang zu)

 

 

현재 인구 : 306,072명이며, 주로 쓰촨성(四川省) 아바창족, 치앙족(羌族)자치주 및 그 부근에 거주하고 있으며 특히 마오웬치앙족(茂汶羌族)자치현에 집중하고 있다. 그 외는 한, 티벳, 후이등의 민족과 함께 살고 있다. 치앙어는 한/티벳어계, 티벳, 미얀마 어족, 장 어파에 속한다. 남, 북등 2 종류의 방언이 있으며 하나의 방언은 5개로 나누어진다. 치앙족 대부분은 한문어에 능통하다. 이들은 자민족의 문자가 없기 때문에 한문어를 사용한다. 치앙족은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원시 종교를 신앙하지만 티벳족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소수의 치앙족은 라마교를 신앙한다. 치앙족은 중국에 있어서 유구인 역사를 가지는 민족중의 하나이다. 갑골 문자에는 치앙족이 이미 3000년 전 은(殷)나라 시대에 중국 서북부와 쭝위엔(中原)지구에 거주했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당(唐)나라 시대에 치앙족의 일부는 티벳족에 동화되거나 한족에게 동화되었다. 현재 쓰촨성 서북부에 살고 있는 치앙족은 고대 치앙족의 일부이다. 치앙족이라는 명칭의 뜻은 본지인(本地人)이라는 의미이다. 치앙족은 옥수수, 대두를 주로 재배하는 농업에 종사 하고 있다. 치앙족이 생활하고 있는 곳은 팬더와 금실원숭이의 생식지 이기도하다. 신중국 성립후, 민주개혁, 사회주의 개조 및 개혁 개방을 지나 치앙족의 농업 생산과 그 외 다양한 업종은 큰 발전을 이루었다. 특히 수리 시설, 상수도와 전력 등의 사업이 큰 발전을 이루어 그들이 살고 있는 산간지대에는 소형 수력 발전소가 도처에 건설되었다.

***************************************

22. 태족(dai zu)

 

  

현재 인구 : 1,158,989명이며, 타이족은 주로 윈난성(雲南省) 시쑤앙빤나 타이족자치주, 더홍타이족/징포(景頗)족자치주와 겅우(耿馬) 타이족/와족(冕族) 자치현, 멍렌타이족, 라후족(拉祜族)/와족자치현에 살고 있다. 그 외에 소수가 부근의 현에 분산해 거주하고 있다. 타이어는 한/티벳어계, 쫭통어파, 장(壯)타이어에 속한다. 덕굉방언과 시쑤앙빤나 방언이 있다. 타이족은 표음문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각지에서 사용되는 문자는 약간씩 차이가 있어 4종류로 나누어진다. 4종류의 타이문은 고대의 인도자모(印度字母)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타이족의 상당수는 소승불교를 신봉 한다. 타이족은 유구한 역사를 가지는 소수민족으로 먼 옛날부터 타이족의 조상은 중국(中國) 서남부에서(西南部)에서 자손을 늘리면서 살아 왔다. 서기 1 세기의 기록에 의하면 타이족의 조상은 띠엔위에, 샨 혹은 샨(擅), 랴오(僚), 지우랴오라고 불렸다. 당(唐) 송(宋)시대에는 진치(金齒), 헤이치, 화만, 빠이이(白衣) 등으로 불렸으며 원(元) 명(明) 시대에는 빠이이(白夷), 빠이이(百夷), 뽀이(伯夷)등으로 불렸다. 신중국 성립후 이들의 호칭은 타이족으로 개칭되었다. 타이족에게는 오래된 패다라 불경, 자민족의 역법(曆法)―기력과 서사시등이 있고 풍부하고 다채로운 음악과 춤도 있다. 이것은 타이족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 독특한 풍치를 마음껏 구현한 것이다. 타이족이 거주하는 아열대 지역에는 사탕수수, 커피, 바나나, 고무 등의 열대 경제 작물의 재배가 발달해 있다. 시쑤앙빤나의 밀림에는 귀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하기 때문에 동물의 왕국으로 불리며 지금은 중국의 유명한 관광지가 되었다.

**************************************

23. 푸미족(pumi zu)

 

 

 

현재 인구 : 33,600명이며, 주로 윈난성(雲南省)의 란핑(蘭坪), 리강(麗江), 웨이시(維西), 용싱등의 현과쭈랑 이족자치현에 거주하며 그 외에는 쓰촨성 무리(木理) 티벳족(藏族)자치현과 얀위엔현(鹽源縣)에 거주한다. 푸미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족, 치앙어파에 속한다. 남, 북 등 2종류의 방언이 있으며 차이가 매우크다. 이전에 푸미족은 티벳문자를 사용했었지만 그다지 널리 보급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에는 한문어(中國語) 문자가 통용되고 있다. 푸미족 대부분은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원시종교를 신앙하며 이외에 라마교와 도교를 신앙한다. 푸미족은 어느 지역에 거주하는냐에 따라 호칭이 다르다. 윈난성의 란핑, 리강, 용싱에 사는 사람들은 푸잉미(普英米)라고 불리고 쭈랑에 사는 사람들은 푸리미(普日米) 혹은 페이미(培米)라고 불리며 그 명칭은 백인(白人)이라는 의미이다. 한문어로 기록된 사적에 푸미족은 시판(西番) 혹은 파주라고 기록되어있다. 신중국 성립후 1960년에 민족명칭은 푸미족으로 통일됐다. 푸미족은 원래 칭하이/ 티벳고원에 사는 칭하이(靑海), 간쑤(甘肅) 및 쓰촨(西川)주변의 유목부락 이었으나 서기 7세기 이전에 현재 쓰촨남서부 지구로 이주해와 시창(西昌)지구의 주요 민족이 되어 한족/티벳족 등과 긴밀히 왕래하 고 있다. 원(元)대에 푸미족 중의 일부가 몽고군과 함께 윈난성의 디안시지구로 이주해 성장/발전을 이루었다. 푸미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푸미족 거주지의 90%이상이 산간지대이기 때문에 생산양식이 뒤떨어져 생산은 그다지 발달하지 못했다. 신중국 성립후, 특히 1988년에 란핑 방이족/푸미족자치현이 설립된 후 푸미족은 각 방면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다.
좐샨후이 : 윈난에는 수많은 산들이 있다. 푸미족은 매달 15일 산신에게 제물을 바치는데 음력으로 7월 15일 열리는 좐샨후이가 가장 중요하다. 매년 좐샨바라라고 불리우는 지역에 모든 신들이 모여 사냥대회를 연다는 것이다. 그 중 한 신이 사냥 경기에서 승리하게 되고 그 신이 달린 지역은 그 해에 풍년을 이루게 되고, 경기에 패한 신이 달린 지역은 큰 재앙을 만나게 된다. 마을 사람들은 아침 일찍 일어나 자신들의 신을 경기에 내보내고 향을 피워 행운을 빌며 절을 한다.

************************************

24. 하니족(hani zu)

 

 

현재 인구 : 1,439,673명이며, 주로 윈난성(雲南省) 남서부의 리써강(禮社江) 하류, 홍허(紅河) 서쪽의 아이라오(哀牢)산악 지대에 분포하고 있다. 하니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 이어에 속하며 하이아(哈雅), 삐아까, 하오바이(豪白)등 3개의 방언으로 나누어진다. 하니족은 대부분 해발800m 내지 2500m에 달하는 산지역에 거주하며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데 특히 계단식으로 된 밭을 잘 다룬다. 그들은 부동한 지형, 토질에 따라 자연조건을 이용해 백여계단에 달하는 "제전문화(梯田文化)"를 창조했다. 이밖에 먹강의 자교(紫膠)산량은 전국에서 으뜸으로 간다. 하니족은 자연과 조상을 숭배한다. 하니족은 거주지역에 따라 하니(哈尼), 아이니(愛尼), 하오니(豪尼), 까두오, 삐위에(碧約), 바이홍(白宏)이라고 불린다. 사서에는 하만(和蠻), 하니(和泥), 워니(窩泥), 워니(俄泥), 하니(哈泥), 아니(阿泥)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신중국 성립 이후 이 민족의 호칭은 하니로 통일 되었다. 하니족은 고대의 강가에 거주했는데 점차 남쪽으로 옮겨와 서기 7 세기 무렵에는 지금의 아이라오산, 우리앙량산(無量山) 일대에 거주하게 되었다. 당(唐)나라의 남소(南詔) 무렵엔 남동쪽에 집중해 홍허, 위엔강(元江) 일대로 이주해와 이 지대의 개발에 힘써 발전을 이루었다. 지금의 위엔강 남쪽 기슭의 높은산과 험한 산봉일대에는 끝없는 밭이 있는데 이것은 하니족이 일구어놓은 결정체이다. 이들은 높은 산, 긴 강이라는 지리적 이점을 잘 살려 계곡의 물을 밭으로 끌어들여 천연 관개망을 만들어냈다. 주로 논벼를 재배하고 여러종류의 경제림, 차밭 재배에도 힘쓰고 있다. 하니족은 부자연명제를 유지하고있어 아버지 이름의 마지막 한자나 두자를 아들 이름의 첫자에 붙인다.
하니족 민족 축제 신미지에 : 중국 고대의 경제는 농업에 의존한 것이었다. 그래서 농업을 주관하는 신에게 재물을 바치는 의식은 중요한 축제로 생각 되었다. 음력 8월용의 날에 햅쌀 축제를 연다. 하니족 말로 롱(龍) 발음은 ‘더욱 더’ 또는 ‘증가하여’ 라는 의미이다. 올해에 더 많은 햅쌀을 수확하여 닭과 고기를 사고 풍미로 신선한 야채를 돌려받는다.
쿠짜짜 : 하니족의 쿠짜짜 명절은 매년 5월의 첫 원숭이일에 시작하여 3일에서 5일간 지속된다. 풍년과 건강을 기원하는 명절이다. 마을은 명절 분위기에 젖어있고 신년 복장을 입고 삼삼오오 떼를 지어 탈곡장에 모여서 돌림그네의 방식으로 경축한다.
꾸냥지에 : 여자의 인생에 있어서 처녀시절은 가장 화려한 시간이다. 음력 2월 2일은 하니족의 미혼여성의 날이다. 젊은 여성들은 이 날 하얀 스카프를 두르고 전통의상 저고리와 짧은 바지를 입는다. 가슴이 살짝 보이고 다리는 노출되어 보이는데, 젊음과 건강을 보여주게 된다.

***************************************

25. 따우얼족(dawo'er zu)

 

현재 인구 : 132,394명이며, 다우얼족은 주로 내이멍구(內蒙古)자치구의 모리다우와 다우얼족자치구와 근처의 기현(旗縣), 헤이룽장성 치치하얼시 교외지구와 가까운 현에 집중하고 있고, 소수가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의 타쩡현(塔城縣)에 거주하고 있다. 다우얼족이 사용하는 다우얼어는 알타이어계, 몽고어파에 속하고 2개의 방언이 있다. 다우얼어는 어휘가 풍부하고 그 중에서도 어업/목축/수렵/농경을 나타내는 것들이 많은데, 그 중에는 한어(中國語), 만주족어, 어원커어(鄂溫克語)로부터 흡수한 어휘도 있다. 다우얼족은 자민족의 문자가 없어 주로 한어를 사용한다. 다우얼족 중 소수만이 만주족어, 몽고어, 카자흐어를 사용한다. 이들은 자연숭배, 토템 숭배, 조선숭배를 포함한 원시 종교와 라마교를 신앙하고 있다. 다우얼의 이전 명칭인 따후얼(達胡爾)이란 단어가 최초로 등장한 것은 원(元)나라 때로 '따후얼(達呼爾)', '다구얼(達古爾)', '다우후리(達糊里)' 등으로 음역되어 중국의 각종 문헌에 등장한다. 이들의 언어, 혈통, 습관 등으로 보아 다우얼족은 요(遼)나라 때의 거란(契丹)족의 후예로 판명되고 있다 다우얼족은 중국 북부 지구의 유구한 역사와 농경문화를 가지는 민족이다. 다우얼은 「경작(耕作)」이라는 의미이고 원대 말기, 명(明)대 초기에 나타났다. 연구에 의하면, 청(淸)대에 다우얼족은 팔기(八旗)제도(만주의 호적제)에 편입되어 변경의 요충을 지키기 위해 신장에 출정 한적도 있다. 그 때문에 동북지구외 신장의 타쩡에는 아직도 수천명의 다우얼족이 살고있다. 다우얼족은 다른 민족들과 함께 중국의 북부 변경 지대를 개발하고 영토를 지키며 러시아의 침입에 대항하기도 했다.

*****************************************

26. 만족(man zu)

 

 

 

현재 인구 : 10,682,263명이며, 만족은 전국 각지에 분포하는데 그 중에서도 랴오닝성이 가장 많이 거주한다. 만어는 알타이어계, 만주/퉁구스 어파, 만주어에 속하며 남, 북 2종류의 방언이 있다. 한민족과 함께 생활해왔기 때문에 지금의 만족은 중국어를 사용하고 있다. 소수의 만족이 모여 거주하는 마을에서는 만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만어는 16 세기말 몽고어를 기초로 한 만어가 만들어졌다. 현재 만족은 모두 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만족의 조상은 여진을 이루어 12 세기에 금(金) 왕조를 창건 했다. 1583년 누얼(努爾)이 여진족 각파를 통일하고 팔기제도(八旗制度)를 창설해 만어를 만들고 1635년에 민족의 호칭을 만으로 고쳤다. 팔기제도는 정치, 군사, 생산이라는 3개 면의 직능을 가진 만족 사회의 근본적인 제도가 되었다. 1636년 황타이지가 황제가 되어 국호를 청(淸)으로 고쳤다. 1644 청 왕조는 중국의 통일중앙집권의 마지막 봉건 왕조가 되었다. 1911년의 신하이혁명(辛亥革命) 이후 만족으로 개칭되었다. 16세기 중엽에 이르러 경제 문화적으로 신속한 발전을 이룩하였던 건주여진과 해서여진은 그들 부락 사이의 빈번한 전쟁으로 서로를 침탈하고 살육하는 참혹한 국면에 처하게 되었으며, 이로써 도탄에 빠진 백성들은 평화와 통일을 갈망하였다. 건주여진 좌위(左衛)의 수령 노이합적(努爾哈赤)은 역사적 조류에 부응하여 군대를 일으켜 여진의 각 부를 점령하고 통일의 대업을 완수하였다. 통일 과정 중에 노이합적은 군사 정치와 생산기능을 갖춘 팔기제도(八旗制度)를 창건하였는데, 이것은 청대(淸代)의 기본적인 사회제도가 되었다.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으로 만족은 다른 소수민족과 함께 사회주의 시대로 진입하였다.

*******************************************

27. 몽고족(menggu zu)

 

  

현재 인구 : 5,813,947명이며, 주로 내이멍구(內蒙古) 자치구와 신장, 칭하이, 간쑤, 헤우룽강, 지린, 랴오닝 등의 성/자치구의 몽고족(蒙古族)자치주와 현에 집중 거주하고 있으며 그 외는 닝샤, 후베이(河北), 쓰촨(四川), 운난(云南), 베이징(北京) 등의 지구에 거주하고 있다. 몽고어는 알타이어계, 몽고어파에 속한다. 중국의 몽고어는 내이멍구 방언, 빠얼후/뿌리아트(巴爾虎-布里亞特)방언, 웨이라트방언(衛拉特)등 3 종류의 방언과 몽고 문자가 있다. 13 세기 초에 후이구 문자를 기초로 몽고 문자가 만들어졌으며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쳐 오늘날의 몽고 문자가 되었다. 몽고족의 대다수는 라마교를 신앙한다. 몽고라는 민족의 명칭은 당(唐)대에 처음 사용된 것으로 그 당시 몽고에서 다수의 촌락 중 1 부락의 호칭을 일컫는 것이다. 이 부락의 발상지는 아르콘강의 동해안 일대에서 점차 서쪽에 옮겨졌는데 이때부터 부락간에 사람과 가축, 재산등을 약탈하고 끊임없는 전쟁이 전개되게 되었다. 1206년에 티에므쩐이 몽고의 다한(大汗)에 추대되어 호를 징기스칸으로 하고 몽고를 건국했다. 이후 몽고족은 중국 북부에서 강대해져 안정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징기스칸은 몽고족의 각 부락을 통일하고 중국을 통일해 국호를 원(元)으로 하고 대규모 정벌 활동을 통해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갔다. 원대부터 몽고족은 중국의 정치, 군사, 경제, 과학기술, 천문력산, 문화 예술, 의학 등의 각 면에서 큰 공헌을 해왔다.

*********************************

28. 어룬춘족(elunchun zu)

 

 

현재 인구 : 8,196명이며, 내이멍구(內蒙古)자치구와 헤이룽장성(黑龍江省)이 접하는 곳에 있는 다샤오신앙린, 특히 내이멍구자치구 후룬뻘멍(呼倫貝爾盟) 어룬춘족(鄂倫春族)자치주에 살고있다. 어룬춘어는 알타이어계, 만주/퉁구스어파, 퉁구스어에 속한다. 이 민족은 문자가 없으며 공용어로 중국어를 사용한다. 어룬춘족은 샤머니즘을 신앙하고 자연계 사물을 숭배해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으며 조상을 숭배를 한다. 어룬춘이라는 말은”리안펑(連峰)에 사는 사람들” 혹은 “순록을 사육하는 사람들”이라는 의미이다. 이 호칭은 청(淸)조 초기의 사료에 기록으로 남아있다. 어룬춘족은 오랜 기간 동안 수렵과 채집생활을 주로 해왔다. 그렇기 때문에 어룬춘족의 남자들은 사냥을 잘하고 풍부한 수렵의 경험으로 여러종류의 야수의 습성과 생태의 법칙에 능통하다. 사냥감은 부족 내에서 균등하게 할당하고 일부 원시 사회의 공동소비를 했다. 신중국 성립후 중국이 사회주의에 들어가게 되자 수렵생활을 청산하고 현재와 같은 정주생활을 하며 삼림과 야생동물을 보호하게 되었다. 어룬춘족은 머리 회전이 빠르고 손재주가 있어 자작나무 껍질로 아름다운 수예품과 의복, 바구니, 상자등을 만드는데 이러한 수예품들은 도안이 아름답고 작고 정교하며 튼튼하다.

**********************************

29. 어원커족(ewenke zu)

 

 

현재 인구 : 30,505명이며, 주로 내이멍구(內蒙古)자치구 후룬빼이멍어원커자치기)와 주변의 일부의 기 (旗), 헤이룽장성의 너허현 등에 살고 있다. 어원커족의 어원커족의 말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말은 알타이어계, 만주/퉁구스어파, 퉁구스어에 속한다. 하이라얼(海拉爾), 천파얼후(陳巴爾虎), 아오누어구야(敖魯古雅)의 3개의 방언이 있다. 어원커족은 자민족의 문자를 가지지 않고, 방목 지구에서 사용하는 공용어는 몽고어이고 농업지구와 산악지대에서 사용하는 공용어는 중국어(한문어)이다. 어원커족의 상당수는 샤머니즘을 신봉 하고 있으며 목축민은 동시에 라마교를 신봉 하고 있다. 어원커족는 이들 스스로가 사용하고 있는 호칭이며 의미는「큰 산림에 사는 사람들」이다. 역사상 이향(異鄕)에 살고 있던 어원커족들은 일찌기 각각 「수오룬(索倫)」,「퉁구스(通古斯)」,「야쿠트」등으로 불렸다. 1957년 이 민족의 소원에 근거해 민족의 명칭은 어원커로 통일되었다. 어원커족의 조상은 원래 바이칼호수와 헤이룽강 상류의 산림에서 어업/수렵 생활을 하며 순록을 사육하고 있었다. 이후 동쪽으로 옮겨와 현재 어원커족의 인구는 적지만 분포는 넓어져서 몽고족(蒙古族), 다우얼족, 한족, 어룬춘족 등 여러 민족들과 함께 다이씽안링(大興安嶺) 서쪽의 완만한 경사면과 초원 지구에서 살고 있다. 신중국 성립 이전 어얼구내쭈워기에 살던 소수의 어원커족 은 원시사회 말기의 부계 가족제도를 유지하며 원생림 내의 허술한 텐트에서 생활하고 공동으로 수렵을 채집해 물건을 균등하게 할당하는 원시 사회의 생활을 하고 있었다. 또 순록을 사육했기 때문에 「순록을 사육하는 어원커인」이라고 불렸다. 신중국 성립 후 새로운 주택구를 짓기 시작해 어원커족의 생활방식은 한 곳에 정주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어원커족의 주요 교통수단은 말이며, 수렵과 목축을 위주로 살고 있다. 노래와 춤을 즐기는 민족이며, 그들은 고기를 먹고 가죽옷을 입을 뿐 아니라 과거에는 수렵문화로 인해 창조된 '신인주'라는 곳에 거주하였다. 그것은 우산과 비슷한 형식으로 펼치는 주택으로 겨울에는 짐승의 털을 덮어 보온을 했다. 그러나 1953년에 와서 정착생활을 하게 되면서 이와 같은 주택은 점점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

30. 조선족(chaoxianzu)

 

 

주로 지린성(吉林省)에 분포하고, 1,923,842명의 조선족이 있다고 한다. 헤이룽장성(黑龍江省), 랴오쭈성(遼寧省), 내이멍구자치구에 분산 거주하기도 한다. 지린성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조선족의 최대의 집중 거주 지구이다. 중국조선족은 18세기 초반부터 19세기 말 사이에 한반도로부터 이주해온 민족이라 하지만 그것은 일부이며 정통적으로 하북과 동북방전역에서 생활한 토착민이다. 대다수의 조선족은 조선어(朝鮮語)와 조선 문자를 사용한다. 조선어는 알타이어계-아직 정설은 없음(환국어, 고조선어가 바로 한문이다)-에 속하며 많은 방언이 있다. 조선 문자는 1444년 조선(朝鮮) 세종(世宗) 때 창출된 표음문자이나 현재 중국어도 본래 조선어다. 조선족은 대다수가 농업생산에 종사하며 특히 벼 재배에 장기가 있다. 연변지역은 우리나라 동북의 주요 벼 생산지이다. 조선족은 돌과 나무구조의 온돌 집에서 생활했으며 김치와 시고 매운 음식을 즐겨 먹는다. 노래하고 춤추기를 즐기며 여성들은 널뛰기, 그네뛰기를 즐기고 남성들은 씨름과 같은 운동을 즐긴다. 조선족 사이에서 종교를 신앙하는 사람은 적다. 극소수의 사람들이 불교, 크리스트교 혹은 카톨릭을 신앙하고 있다. 다른 민족에 비해 문화, 교육, 위생의 수준이 높다는 것으로 인해 자부심이 대단하며, 조선어의 출판이나 신문, 잡지, 방송 등 활동이 활발하다. 중국 소수민족의 하나인 조선족은 1990년 현재 총 1,920,579명으로, 주로 길림성(1,181,964명) 흑룡강성(452,398명) 요녕성(230,378명)에 분포되어 있으며, 그 나머지는 내몽고자치구와 북경 천진 상해 항주 성도 제남(濟南) 서안 무한(武漢) 등지의 대도시에 흩어져 살고 있다. 이미 환국시대때 1억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민족으로서 인성이 강한 주민만이 하북과 만주와 한반도에 걸쳐 종족을 유지하였으나 나머지 종족은 많은 세월 속에서 중국내 타민족과 자연스럽게 동화되었으며 하북과 동북방지역에 정착하던 주민은 정통적 동이족이다. 현재 전 중국 조선족 40%이상이 길림성 연변(延邊) 조선족자치주(朝鮮族自治州)에 집중이 되어 있으며 중국 내 조선족의 최대 거주 지역으로 약 80만 명의 조선족이 살고 있다. 조선족은 대부분 알타이어계에 속하는 한국어와 한글을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지역에 흩어져 사는 극소수의 조선족들은 중국어와 중국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중국의 조선족은 10,000전부터 본래 하북, 하남, 산둥지방과 북방지역전역을 걸쳐 전통적으로 정착하여 왔으며 이동성이 강한 주류는 한반도를 터전으로 잡고 살았다. 조선족은 중국의 소수민족 중에서도 교육 수준이 비교적 높고 경제의 발전이 빠른 민족이다. 중국의 조선족은 19 세기 중엽에 한반도에서 이주한 사람도 일부 있지만 대다수는 하북, 하남, 산둥지방, 동북방지역에 걸쳐 정착하던 민족이며  일제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만주북방지역과 간도지방에 집중 이주되었던 것이 바로 현재에 조선족이다. 1910년 일본 제국주의가 조선을 합병한 후 제국주의의 잔혹한 억압과 착취를 견딜 수 없게 된 조선인들이 중국의 동북지구(東北地區)로 이주한 한반도 주민의 숫자가 1918년엔 36 만여 명에 이르렀다하나 전체로 보았을 때 아주미미하다. 그러나 조선족을 강제적으로 이주 하게 한 후 생긴 공백을 메우기 위하여 같은 시기에 화족들은 국민당과 공산당의 통일된 공공연한 이주정책에 일환으로 무주공산이 된 동북방지역으로 동시에 이주하게 하여 정착지화 하였으며 현재처럼 화족(동화된 고려족)과 조선족이 함께 살게 되었다. 일제로 인하여 지배권에서 밀린 조선족은 전통적 정착민임에도 불구하고 요서 쪽보다는 요동 쪽으로 밀렸으며 이들은 한반도와 인접한 동북지구 간도에 한정되게 정착해 중국의 소수민족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중국 북부의 수도(무논에 심는 벼) 마을」이라고 불리는데, 창바이산(長白山) 삼림 지대의 특산물인 조선인삼, 모피, 녹용은 「동북의 세 가지 보물(東北三寶)」이라고도 한다. 노인을 존경하는 것은 조선족의 미덕이다. 통계에 의하면 1910년 9월부터 1911년 말까지 이주해 온 사람만 19000 여명이라고 하지만 한반도에서 넘어 온 숫자 치고는 무척 적은 수의 이주민이라고 하지 않을 수가 없다. 여하튼 하북 지방과 동북방지역은 조선족의 전통적 고유 정착임에 틀림이 없다.

***************************************

31. 허쩌족(hezhe zu)

 

  

현재 인구 : 4,640명이며, 허쩌족은 주로 헤이룽장성(黑龍江省)의 통장현(同江縣), 라오허현(饒河縣), 푸위엔현(撫遠縣)에 집중 거주하고 소수는 부근의 현에 흩어져 살고있다. 허쩌족이 사용하는 허쩌어는 알타이어계, 만주/퉁구스어파, 만주어에 속하고 치릉(奇楞), 허쩐등 2개의 방언이 있다. 지금은 50, 60대 이상만이 허쩌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외의 사람들은 한민족과 교류로 한문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허쩌족은 자 민족의 문자가 없으며 한자를 사용한다. 이들은 예전에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는 샤머니즘을 신봉했으나 지금은 샤머니즘을 신봉 하지않는다. 허쩌족은 중국의 긴 역사를 가지는 민족 중 하나로, 그 조상은 일찍부터 헤이룽강(黑龍江), 송화강(松花江), 우쑤리강(烏蘇里江) 유역에 거주했다. 허쩌족은 이전부터 물고기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고 개를 거느렸기 때문에 위피뿌(魚皮部), 씨촨뿌(使犬部)라고 불렸다. 문헌에는 청(淸)대 무렵부터 헤이진(黑斤), 헤이치(黑其), 허쩐, 허릉(奇楞), 허쩌(赫哲)등의 호칭으로 기록되었고 신중국 성립 이후부터는 허쩌로 불리기 시작했다. 20 세기 초, 허쩌족은 여전히 원시사회 말기 부계중심의 씨족단위 생활을 하고있었다. 나무를 깎고 가죽을 찢어 줄을 맺는 방식으로 사물을 기록했다. 일본제국주의의 침략 때 허쩌족, 어룬춘족(鄂倫春族) 등을 비롯한 소수민족은 일본의 야만적인 인종 멸종 정책으로 인해 인구수가 상당량 격감되었고, 항일 전쟁 종결 전에는 인구 멸종의 위기에 놓여 신중국이 성립 당시 불과 300 여명만이 남아있었다. 신중국 성립 후, 허쩌족은 새로이 수산업에 종사하여 풍부한 어업 경험을 축적하고 동시에 농업, 양식업 등의 다각 경영을 전개하여 풍요로운 생활을 누리게 되었다.

**************************************
32. 한족(hanzu)

 

  

인구는 대략 전체 중국 인구의 91.59%이다. 한족은 중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이다. 한족은 중국 고대 화하족과 그밖의 수많은 민족이 서로 동화되고 융합되어 형성 되었다. 한漢왕조 시기에 그 역사가 시작되었기에 '漢族'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한족은 거의 4000년에 가까운 문자 기록의 역사를 지녔으며, 인구는 중국 각지에 널리 퍼져있고 공용어는 한어漢語이다. 한어의 역사는 매우 길고 어휘는 풍부하다. 지금 사용하는 네모꼴의 한자는 갑골문과 금문이 발전하고 변화된 것이다. 한족은 부지런하고 소박하며 진취적 정신이 강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고대 문명을 창조하였다. 일찍이 춘추시기, 한족은 농업을 위한 대규모의 수리시설을 건설하기 시작하였다. 전국 시기 초에 사천도강의 방죽에 만든 수리시설은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한족은 양잠, 비단 직조, 도예 등의 기술로 일찍이 해외에 이름을 떨쳤다. 또한 제지술과 인쇄술, 지남침과 화약의 발명은 세계의 문화와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이루었다. 한족은 문학예술 방면에 있어서도 괄목할 만한 성취를 이루었다. 초사, 한악부, 당시, 송사, 원잡극, 명청소설등은 한족의 문학이 각각의 시기마다 이루어 놓은 대단한 성과이다. 또한 계통적으로 완전한 역사 저작에서는 중화민족의 성장과 발전의 여정을 충실히 기록해 놓았다. 그리고 긴 역사를 지닌 서예, 회화, 건축예술은 독특한 매력을 지녔으며, 다음 세대에 전할 만한 수많은 걸작을 남겼다. 또한 한족은 국내외로 유명한 사상가, 과학자, 문학가, 예술가, 정치가, 군사전문가등을 상당수 배출하였다. 한족은 종교적 관념이 비교적 깊어서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 대를 있는 일을 훌륭한 일로 여겼으며, 부모에게 효도를 하였다. 한족이 제일 중시하는 명절은 춘절이다. 이밖에도 원소절, 단오절, 중추절등의 명절이 있다.
오랜 역사 발전의 과정 속에서 한족과 기타 소수민족 사이에는 정치적, 경제적 연계와 문화적 교류가 있었다. 아울러 수많은 소수민족의 뛰어난 문화는 한족의 그것과 융합하게 되었다. 역사와 인구 때문에 한족은 국가 운영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한족은 성격이 관대하고, 우정을 귀하게 여기며, 덕성의 수양을 중요시한다. 현재 한족과 소수민족은 서로 화합하고 단결하여 함께 자신들의 국가 건설을 위해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중국 본토 재래(在來) 의 종족. 한민족(漢民族) 이라고도 한다. 그 발생 및 이동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중국 동부와 연안 여러 섬들 및 동북 지구에 이주하여 생활하고 , 해외에서는 화교(華僑) 로서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세계 각지에 거주한다.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으로 약 11 억 3 천만 명의 중국 인구 가운데 94 % 정도를 차지한다.

*******************************************

33. 거로족(gelao zu)

 

인구는 438.192(1990) 이며 언어와 문자 는 거라오어(한장어계). 현재는 거라오어를 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문자도 없다. 종교는 자연숭배다. 이들은 한족 및 기타 소수민족들과 오랫동안 같이 집거해 왔기 때문에 이들의 풍속습관은 한족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거라오'란 '사람'이란 뜻이 있고, 또 '대나무'란 뜻이 있다. 쌀과 옥수수를 주식으로 한다. 주로 귀주성 경내 20여개의 현, 지구에 거주하고 일부가 운남성 중부 문산 일대의 부녕, 경남, 문산과 마관 등 현시에 분산돼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한족 및 기타 소수민족들과 오랫동안 같이 집거해 왔기 때문에 이들의 풍속습관은 한족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

34. 고산족(gaoshan zu)

 

  

현재 인구 : 400,000만명 좌우이며, 주로 대만성(台灣省) 대만섬(台灣島)의 산간부, 동부 이엔하이(沿海) 지대와 란위섬(蘭嶼島)에 살고 있다. 까오산족은 까오산족 자신들의 언어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난다오(南島)어계, 인도네시아어족에 속한다. 타이이야(泰雅), 샤오(曹), 파이만(排灣) 등 3개의 어군이 있으며 20가지 이상의 언어를 가지고 있는데 지금 사용되고 있는 것은 13종류이고 문자는 가지고 있지 않다. 다른 호칭으로 불리는 까오산족들은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까오산족은 천상의 신, 자연의 신, 정령/요괴를 비롯한 원시 종교를 숭배한다. 까오산족이라는 민족의 호칭은 1945년 이후 대만의 소수민족에 대한 중국인민의 총칭이다. 거기에는「이야메이(雅美)」,「아메이(阿美)」,「사이샤(賽夏)」,「타이이야(泰雅)」,「뿌농(布農)」, 「샤오(曹)」,「파이만(排灣)」,「뻬이난(卑南)」,「핑뿌(平 土+甫)」등으로 불리는 사람들이 포함된다. 까오산족은 거주 지구가 서로 다르기때문에 언어, 습관, 복식 등에는 큰 차이가 있다. 대만에 사는 까오산족은 불과 2%에 지나지 않지만 가장 일찍부터 대만에서 생활을 해왔다. 기원 전 3만년에서부터 1.5 만년까지, 구석기시대에 대만의대난(台南)「쭈오쩐런(左鎭人)」이 대만 전역에 이주 해왔고 그 무렵부터 까오산족의 조상은 보물의 섬이라고 불리는 대만에서 생활 하게 되었다. 까오산족은 대개 대륙 남동부 이엔하이 일대의 구위에런(古越人) 일파이고 이 후 필리핀 군도와 리우치우(琉球)군도에서 온 소수의 주민과 융합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지금도 까오산족은 얼굴에 문신을 하고 이빨에 구멍을 뚫거나 귀에 뼈를 다는 습관 등 자민족의 특색을 유지하고 있다. 까오산족은 주로 농업, 임업, 수렵에 종사 하고 있는데 그 중 이야메이인들은 수렵에 종사하고 있다. 까오산족은 대만 당국의 지배하에「샨빠오(山胞)」(평지와 산지로 나뉨)로 불리고 있다. 도시에 들어가 사는 일부의 샨빠오들의 생활과 문화에는 큰 변화가 생기고 있다.

***********************************

35. 리족(li zu)

 

  

현재 인구 : 1,247,814명이며, 주로 하이난성(海南省)에 분포하고 있다. 리어는 한/티벳어계, 쫭/통 어파, 리어에 속한다. 거주지역에 따라 방언에 차이가 있다. 한족과 밀접하게 교류 해 왔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한문어에 정통하다. 1957년 로마자를 기초로 리어를 만들었다. 리족은 이전부터 원시 종교를 신봉 해왔다. 근대에 와서는 소수의 사람들이 크리스트교를 신봉 하고 있다. 리족은 중국의 긴 역사를 가지는 민족 중의 하나로 시위에족(昔越族)에서부터 발전했기 때문에, 쫭족(壯族), 뿌이족(布依族), 통족, 수이족(水族), 타이족 등의 민족과 뿌리가 비슷하다. 이미 진(秦)/한(漢) 이전에 뤄위에(駱越)의 일부가 중국의 광둥성(廣洞省), 광시(廣西) 쫭족(壯族)자치구등의 지역에서 잇달아 하이난도로 이주해 왔다. 리족의 여성은 방직술이 뛰어나다. 송(宋) 말 원(元)초에 방직 공장의 황다오(黃道)노파가 일찍이 하이난도에서 리족 여성에게 방직 기술을 배워 선진적인 방직 도구와 기술을 만들어 내 중국 고대의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했다. 리족이 거주하고 있는 하이난도는 아열대에 위치하고 있어 기후가 온난하고 습윤이다. 경치가 아름답고 사계절이 푸르르며 자원이 풍부하다. 농업이 발달해있고 고무, 사탕수수, 과일, 식물유 등의 열대 경제 작물도 비교적 발전 수준이 높다.

**************************************

36. 마오난족(maonan zu)

 

현재 인구 : 107,166명이며, 주로 광시(廣西) 쫭족자치구 북서부 환장현(環江縣)의 샹난(上南), 쭝난(中南), 샤난(下南)의 산간부 및 하천 지대, 남단, 의산, 도안(南丹、宜山、都安)등의 지구에 분포하고 있다. 마오난어는 한/티벳어계, 쫭/통 어족, 통/수이 어파에 속한다. 오랜 세월동안 한족, 쫭족과 교류해 왔기 때문에 마오난족 대다수가 한문어(中國語)와 쫭어에 능통하다. 자민족의 문자는 없으며 한문어의 문자가 통용되고 있다. 마오난족은 도교를 믿는다. 벼를 재배한다. 마오난족의 조상은 원(元)/명(明) 무렵에 산둥(山東), 후난(湖南), 푸젠(福建)등에서부터 광시 쫭족자치구로 이주해 왔다. 마오난족 이라는 명칭은11 세기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외에 마오탄, 마오탄(茅灘), 마오난(茅難), 마오난(冒南)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신중국 성립후 1986년 6월 마오난족으로 개칭되었다. 마오난족은 용감하고 힘이 세고 진취정신이 뛰어난 민족이다. 또한 향학열도 높아 자녀들의 취학에 힘쓰기 때문에 교육과 문화의 수준이 비교적 높고 자민족의 문화인, 지식인들이 많다. 마오난족지구에는 고구마, 식용소, 화죽모(花竹帽)등 3개의 특산물이 있다. 마오난족은 500년 동안 식용소를 사육해온 역사를 가지고 있기때문에"스용니위이(食用牛식용소) 마을"로 불린다. 마오난족은 대나무 세공, 석각, 목각 등의 공예품 제작에 뛰어나다.
훠바절(火把節); 마오난어로“ Wei tin(維停) ”이라 하는데 매년 섣달 그믐날 부락마다 거행하는 행사로 저녁 식사 후 몇 어른이 주축이 되어 소뿔을 불고 북을 치며 집집마다 불을 들고 모이라고 외친다. 지정한 장소에 모여 포로잡기를 하는데 누가 포로로 잡히든 간에 강제로 술과 고기를 권하고 취해야 끝난다.
챠오절(橋節); 마오난어로“ we qeu(勿喬) ”라고 하는데 음력 3월 복숭아꽃이 만발할 때에 중년의 유부녀들이 모두 모여 길을 보수하고 음덕을 기리며 아들이 없는 사람은 아들을 구하고 건강을 기원한다 많은 금기사항이 있었으나 모두 미신으로 차츰 사라져 가고 있고 개략하면
(1) 정월 초하루 이틀에는 푸른 채소를 먹지 않는데 먹으면 경작할 때 잡초가 무성 한다고 생각한다.
(2) 정월 보름까지는 밖에서 세탁을 안하고 땅을 쓸거나 옷을 말리거나 하면 재산이 함께 쓸려 가는 것으로 생각해 금한다.
(3) 옥수수를 처음 거두어들일 때에는 외부인이 와서 먹으면 양식이 부족하게 된다고 삼가게 하고 양식 창고는 외부인이나 어린아이가 보면 쥐가 훔쳐 먹는다고 생각해 못 보게 한다.
(4) 중병인이 집안에 있을 때 외부인이 오면 더 심해진다고 못 들어오게 한다.
(5) 처녀가 시집갈 때 뒤돌아보면 집만 생각하게 된다고 못 돌아보게 한다.

***************************************

37. 무라오족(mulao zu)

 

현재 인구 : 207,352명이며, 주로 광시 치원(廣西壯族)자치구의 루오청무라오족 자치현에 살고 소수가 근처의 현과 시에 분산해 거주하고 있으며 한족(漢族), 쫭족(壯族), 먀오족(苗族), 야오족(瑤族), 통족, 마오난족(毛南族), 수이족(水族) 등의 민족과 함께 살고 있다. 무라오어는 한/티벳어계, 쫭/통 어족, 통/수이어에 속하고 마오난어, 통어, 수이어와 비슷하다. 대다수의 무라오족은 한문어에 능통하며 일부는 쫭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무라오족은 자민족의 문자가 없고 평소에 한문어를 공문서의 수단으로 사용한다. 무라오족 대다수는 도교를 신앙하는데 소수는 불교를 신앙한다. 무라오족은 중국의 긴 역사를 가지는 민족중의 하나로 위(魏), 진(晉) 이후 사서에 무라오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랴오(僚), 링(伶) 등 넓은 의미에서의 호칭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신중국 성립후 이 민족의 요청으로 무라오라고 총칭되었다. 역사 기록에 의하면 무라오족은 원(元) 혹은 명(明)기 초에 광시의 루오청에 거주했다. 모라오족의 거주하고 있는 지구는 바위와 산이 많은 지대이다. 토지가 척박해 경지 관개와 교통은 극히 열악하고 경제의 발전은 어려웠다. 수십 년간 수리 시설을 건설하고 관개 면적을 꾸준히 늘려 곡물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무라오족의 거주하는 산간부에는 석탄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기 때문에 석탄의 마을이라고도 불리는데 석탄의 채굴은 무라오족의 경제에 중요한 지주가 되고 있다. 무라오족은 죽은 후 목관 토장(木棺土葬)을 하는데, 죽은 사람의 입에 은제품을 넣어 주며 입관할 때에 손에 종이로 만든 돈을 쥐어 준다. 귀사(鬼師)가 죽은 자의 길을 열 때(開路) 닭이나 개를 잡는다. 특별한 종교는 없지만 집집마다 선칸(神龕)을 두고 조상을 섬기며 산신(山神)과 귀신을 믿는다. 전설에 호랑이가 조상을 구했다고 해서 호랑이를 숭앙하기도 한다. 정월 초하루에서 사흘까지는 문밖에 나가 물을 뿌리거나 땅을 쓸지 않고 음식을 익히지 않고 생식한다. 지역에 따라, 성씨에 따라 각기 습속이 다른데 문씨 성은 말고기를 먹지 않고 김씨 성은 닭을 잡아 기르지 않는다. 일부 지역에서는 사람이 죽은 후 벼락이 치는 경우에는 3일 동안 땅을 파지 않는다.
※ 스물네가지의 속담(諺語)이 있어 삶의 지표 역할을 한다.

**************************************

38. 셔족(she zu)

  

현재 인구 : 709,592명이며, 주로 푸젠(福建), 광둥의 2성 및 광시(廣西)자치구의 경계 지대와 푸젠, 쩌장(浙江) 2성의 경계 지대에 거주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푸젠, 쩌장 2성에 86%가 거주하고 있다. 셔어는 한/티벳어계, 먀오/야오 어족에 속하며 2 종류의 방언이 있다. 셔족끼리는 셔어를 사용하고 외부 사람들과 교류 할 때는 한문어를 사용한다. 자민족의 문자는 없고 한자가 통용되고 있다. 셔족은 조상숭배를 한다. 셔족은 중국 남동부의 산간에 사는 민족이다. 서기 7 세기무렵, 셔족의 조상은 푸젠, 광둥, 장시 3성이 인접한 지역에서 생활했다. 이들은 예전에 만(蠻), 만랴오(蠻僚), 통만으로 불렸으나 남송 무렵에 "셔"로 민족 명칭을 바꾸었다. "셔"는 화전 농법으로 개간해 경작 한다는 의미이다. "셔"라는 이들 셔족의 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후 정식 명칭이 되었다. 셔족은 소수가 함께 거주하거나 주변의 한족과 함께 살기도 한다. 셔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수도의 재배외에도 차, 사탕수수 등의 경제 작물을 재배한다. 이들은 경제, 문화 등 각방면에서 한족과 함께 현대화를 목표로 큰 발전을 이루었다. 5월 단오절, 8월 15일의 중추절 등 한족과 비슷한 절기가 많고 오랜 동안 Ke jia인(客家人)과 통혼해 복건성(福建省) 무평(武平)현, 상항(上杭)현의 람(藍), 종(鍾)씨성에는 Ke jia(客家)문화의 특징이 나타난다.
(1) 나이냥절; 음력 정월 15일, 서족의 신(神)인 “ 나이냥 ”의 생일에 집집마다 홍등을 밝히고 음식을 출연해 나이냥궁(娘宮)에서 제사지내며 3일 동안 즐거이 지낸다.
(2) 후이친절(會親節); 또는 가회(歌會)라고 하며, 음력 2월 2일 반중서족향(坂中 族鄕) 후문평后門坪)일대의 뢰(雷)씨 한 종파가 지내는 명절로 원근 각처의 친척들이 모두 모여 전통 가무를 즐긴다.
(3) 츠우미환(吃烏米飯); 음력 3월 3일, 남녀 모두 산에 올라가 조상을 기리며 지내는데 근래에는 시(市) 주관 하에 성대히 치른다.
(4) 뉴시에절(牛歇節); 음력 4월 8일, 농경문화의 산물로 소에 대한 감사의 마음으로 아침 일찍 소를 산으로 끌고 가 이슬 머금은 풀을 뜯기고 물가에 데려 가 깨끗이 씻긴 후 하루를 편히 쉬게 한다.
(5) 원수절(元帥節); 음력 8월 22일, 티엔궁원수(田公元帥)의 생일에 술을 담고 닭을 잡아 그를 제사하며 지낸다.

************************************

39. 야오족(yao zu)

 

 

현재 인구 : 2,637,421명이며, 주로 광시 쫭족(廣西壯族) 자치구에 분포하고 있는데 일부는 후난(湖南), 윈난(云南), 광둥(廣東), 귀저우(貴州) 등의 성에 분포해 있다. 야오족의 언어는 복잡하고 많은 방언으로 다양하다. 문자는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표준중국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야오족은 원시종교를 숭배한다. 마을신, 조상신, 산신 그리고 바람신에게 제물을 바친다. 그들의 일상생활과 생산활동에 있어서 항상 신을 숭배하기 위한 길일을 정하여 제를 행한다. 일부는 도교를 믿는다. 야오족은 중국의 긴 역사를 가지는 민족 중의 하나로 그들의 뿌리는 고대의 링만(荊蠻), 짱샤우링만(長沙武陵蠻), 모야오, 만야오로 보고 있다. 지역마다 자연 환경이 차이나기 때문에 야오족의 사회경제의 발전은 매우 언밸런스하다. 인구의 대부분은 농업과 임업에 종수하고 자급자족의 자연 경제를 주로 한다. 야오족 여성들은 천을 짜고 염색하고 수놓는 기술이 뛰어나다. 무늬는 아주 우아하고 변화무쌍하다. 지파에 따라 복장과 장식이 다르다. 디방야오족은 판자로 머리장식을 지탱한다. 홍투야오족은 붉은 천으로 머리를 두르고 란디안야오족은 쪽빛 청색 옷을 입는다.

************************************

40. 징족(jing zu)

 

현재 인구 : 22,517명이며, 주로 광시(廣西) 쫭족(壯族)자치구 팡청그족(防城各族) 자치현의 샨신(山心), 완웨이(万尾), 우토우(巫頭)라는 3개의 작은 섬과 그 부근 지역에 분포하며「진족산다오(京族三島)」라고 불린다. 이들은 징어를 사용하고 광동방언을 쓰기도 하는데 징어는 베트남어와 거의 흡사하다. 자민족 문자가 없고 한자를 사용한다. 징족은 조상을 숭배하거 신을 믿는데 이들이 신봉하고 있는 신들의 상당수는 바다와 관계가 있다. 징족은 이전에 위에족(越族)으로 불렸었는데 1958년 징족으로 개칭되었다. 징족의 조상은 서기 16 세기 초기에 베트남의 샨신, 완웨이, 우토우, 이 3개의 작은 섬에 표류해 왔다. 그 때 그 섬들에는 한 채의 인가도 없는 황폐한 곳이었다. 그러나 징족은 이후에 섬에 잇달아 정주해온 한민족, 쫭족과 함께 개발에 힘썼다. 11개의 총연장 10여킬로의 댐 제방에 의해 3개의 섬은 반도가 되었고, 대륙에서 담수를 빼 와 전답을 관개하고 농업을 발전시키는 등 간척에도 힘을썼다. 징족이 거주하는 섬은 아열대에 위치 해 습기가 많고 덥다, 섬 북부만은 유명한 어장이기 때문에 징족은 주로 해양 어업에 종사한다. 그리고 해 양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 남성은 누구나가 물고기를 잡는 데에 능숙하다. 또 어류 가공업, 해산물 양식업, 해마양식업과 인공진주양식업을 발전시키고 있다. 징족 대부분이 문맹자여서 「문맹섬」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나 신중국 성립후, 정부는 징족에게 교육을 강화해 섬에 초등학교, 중학교 뿐만 아니라 많은 대학생을 육성하여「문화마을」로 바꾸었다.

*********************************

41. 쭈앙족(zhuang zu)

 

 

현재 인구 : 1,6178,811명이며, 쭈앙족은 소수민족 중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이다. 주로 광시(廣西) 쫭족(壯族) 자치구, 윈난성(雲南省)의 웬산(文山) 쫭족(壯族) 먀오족(苗族) 자치주에 모여 살고 있으며 일부는 광둥성(廣東), 후난(湖南), 귀저우(貴州), 쓰촨(四川省)등에 흩어져 거주하고 있다. 쫭어는 한/티벳어계의 쫭/통어족 쫭/타이어에 속하며 남북2대 방언으로 나누어진다. 남송(南宋) 시대에 한자를 기초로 독자적인 문자가 만들어졌으나 표준어로 되지 않아 1955년에 로마자를 기초로 한 문자가 만들어졌다. 쫭족 대부분은 한문어(중국어)를 사용하고 있다. 예전에 쫭족은 자연숭배와 다신숭배등의 원시 종교를 믿고 있었다. 당/송 이후, 불교, 도교가 전해졌고 근대에 들어와 크리스트교와 카톨릭도 치원족지구에 들어 왔으나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쫭족은 중국의 소수민족 중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이고 중국 링난지구 (광둥/광시를 가리킴)의 원주민족으로서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수만년 전 무렵부터 쫭족의 조상들은 중국의 남방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춘추전국 무렵에는 빠이위에(百越)의 일부에서 거주했다. 송(宋)왕조 이후 쫭족의 명칭은 통, 투(土)로 사서에 기재되었고, 신중국 성립 이후에 '통'으로 통일했으나 1964년, 쪼은라이(周恩來) 총리의 제안으로 국무원(國務院)의 인가를 얻어 '통' 을 '쫭'으로 바꾸어 쫭족의 정신적 양상을 한층 더 높이 나타내었다. 1958년 3월 15일, 광시 쫭족 자치구가 발족했다. 쫭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쌀이나 옥수수를 주로 재배한다. 쫭족의 전통 공예품은 내외에 많이 알려져 있다.

****************************************

42. 토가족(투지아:tujia zu)

 

 

현재 인구 : 8,028,133명이며, 후난(湖南), 후뻬이(湖北), 쓰촨(四川) 3성의 인접 지구에 집중 거주하고 있다. 투지아어는 한/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에 속하며 남, 북 2종류의 방언이 있다. 오랫동안 한민족과 함께 생활해 왔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문어(中國語)를 사용하고 투지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라도 한문어에 능통하다. 투지아족은 조상을 숭배하고 다신을 신앙한다. 투지아족은 긴 역사를 가지는 민족으로 그 조상은 이미 2000년 전부터 지금의 후난성 서부, 후뻬이성 서부 일대에서 생활했는데 이외의 소수민족과 같이 우링만(武陵蠻), 우싱만(五溪蠻)등으로 낮추어 불렸다. 송(宋)대 이후 투딩(土丁), 투민(土民), 투삥(土兵) 등으로 불렸으나 한민족이 다수 이주해 오자 투지아라는 민족 명칭을 갖게 되었다. 투지아는"현지사람" 이라는 의미이다. 1957년에는 후난성 서부 투지아족 먀오족자치주가 설립되었고, 1983년에는 후뻬이성 서부의 투지아족 먀오족자치주가 설치되었으며 이후에 우양(酉陽), 시샨(秀山), 시쭈(石柱), 창양(長陽), 우펑(五峰), 인장(印江), 양장(沿江)등 민족 자치현이 설립되었다. 투지아족은 한민족의 영향을 받아 농업이 발달했고 빠른 경제 발전과 함께 문화 교육이 진행되었다. 투지아이 살고 있는 무릉근원은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삼림공원이다.

*************************************

43. 동향족(dongxiang zu)

  

현재 인구 : 9,816,802명이며, 주로 닝샤후이족(寧夏回族)자치구에 집중 거주하는데 간쑤성(甘肅省), 칭하이성(靑海省), 허난성(河省), 허뻬이성(河北省), 산둥성(山東省), 윈난성(云南省) 등지에 규모는 다르지만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구역이 있다. 회족은 폭넓게 전국 각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분포지역이 가장 넓은 소수민족이다. 후이족은 한민족과 함께 생활해왔기 때문에 한문어를 사용하고, 그 외의 민족과 생활하고 있는 후이족은 그 민족의 말을 사용한다. 후이족 중 소수는 아라비아어와 페르시아어에 능통하다. 후이족은 이슬람교를 신봉 하고 있다. 윈난성의 후이족은 원조 초기에 이주하여 왔다. 원조시대에 운남에서 권력을 잡고 있었던 후이족 관리인 샤이 디안친쟌시딩이 운남의 소수 민족들에게 쿤밍지역의 수자원 보호를 위하여 관계시설을 건설하라고 명령하였다. 운남에서 출생한 황실의 환관인 대회족항해사 젱허(Zhenghe)는 7차례 이상이나 대서양을 여행하기 위하여, 그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선단을 이끌었었고, 국제적으로 경제와 문화의 교류를 촉진하기 위하여 30여개국 이상을 방문하였다. 후이족은 농업과 무역을 중시했으며, 수공예품의 질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

44. 러시아족(어루오스: eluosi zu)

 

  

현재 인구 : 15,609명이며, 러시아족은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의 이리(伊犁), 타청(塔城), 알타이(阿勒泰)와 우르무치(烏魯木齊) 등에 분산해 거주하고 있는데 대부분은 이리(伊犁) 지구에 살고 있으며 나머지는 헤이룽장성(黑龍江省)과 내이멍구(內蒙古)자치구에 분산해 있다. 이들은 공용어로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러시아어는 인도/유럽어계, 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에 속한다. 러시아족은 상당수가 그리스 정교를 신봉하고 있다. 중국의 러시아족은 근 200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중국에 거주하는 러시아족은 18 세기초 제정러시아에서 이주해 온 사람이인데, 19 세기부터 러시아의 10월혁명 전후까지 많은 수의 러시아인들이 잇달아 신장일대에 이주해왔다. 당시에는 러시아족을 귀화족(歸化族)이라고 불러 러시아족이 사는 마을을 귀화촌(歸化村)이라고 불렀다. 이들 민족의 명칭은 신중국 성립 후 러시아족으로 개명되었다. 러시아족의 생활, 복식, 축제 등은 거의 러시아에 거주하는 러시아인과 같다. 러시아족의 생산기술, 경제, 문화, 생활 등은 발전수준이 높으며, 도시지역의 러시아족은 수리업(修理業), 수공업(手工業), 운수업(運輸業) 등 다양한 직종에 종사 하며 농업(農業) 부업(副業)도 겸하고 있다. 농촌의 러시아족은 대부분이 함께 모여 살고 있는데, 이들은 독자적으로 하나의 마을을 형성해 농업/축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이들은 원예와 양봉 경영 능력이 뛰어나다. 러시아족이 중국에 이주해 온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신중국 성립후 러시아족의 일부는 가족들과 함께 살기위해 러시아에 돌아가기도 했다. 또 호주나 캐나다 등지에 친적을 따라 이주하기도 해 이러한 이유로 중국의 러시아족은 그 수가 많지 않다.

********************************************

45. 빠오안족(bao'anzu)

  

현재 인구 : 16,505명이며, 주로 주로 간쑤성(甘肅省) 찌쯔산(積石山)의 빠오안족(保安族)/통샹족(東鄕族)/사라족(撒拉族)자치현에 분포하고, 일부는 간쑤성(甘肅省) 닝샤회족(寧夏回族) 자치주와 칭하이셩(靑海省) 순화현(循化켮)에 분포하고 있다. 빠오안족은 빠오안족 언어를 사용하고 있고 이 언어는 알타이어계, 몽고어파에 속한다. 대다수의 빠오안족은 한어(中國語)에 정통하고 한어를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은 이슬람교를 신앙하고있다. 빠오안족은 비교적 적은 소수민족이다. 빠오안 이라는 것은 지명(地名)에서 유래된 것이고, 명(明)대에 빠오안이라고 지어졌다. 이전의 빠오안족은 후이족(回族)과 비슷한 풍속을 가지고 있어「빠오안후이(保安回)」라 불렸었다. 이들은 13세기 이슬람교를 믿는 몽고족이 청해에 와서 회족, 동향족, 사라족 등과 통혼을 한 결과로 생겨난 민족이다. 비록 여러 가지 민족과 여러 종교신앙이 융합되어 생긴 문화지만 역시 독특한 부분이 있다. 특히 이들은 산지에 거주하고, 농경과 축목업을 위주로 살아간다. 빠오안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 하지만 소수는 목축업과 수공업에 종사 하고 있다.

************************************

46. 사라족(sala zu)

 

현재 인구 : 104,503명이며, 주로 칭하이성(靑海省)의 순화사라족(循化撒拉族)자치현, 간쑤성(甘肅省)의 지씨산(積石山) 빠오안족(保安族) 통샹족 사라족(撒拉族)자치현 및 그 부근의 지구에 거주하고 있다. 그 외에 칭하이, 간쑤, 신장(新疆)등의 지구에 분산해 거주하고 있으며 한족/티벳족/후이족, 위구르족, 카자흐족과 함께 살고 있다. 사라어는 알타이어계, 투르크어족, 서분어파에 속한다. 대다수의 사라족은 한문어를 구사할수 있으며 이들에게는 자민족의 문자가 없어 한문어가 통용되고 있다. 사라족은 이슬람교를 신앙한다. 사라족의 조상은 원(元)대에 중앙아시아의 사마르칸트에서 칭하이성 동부의 순화 지구로 이주해왔다. 이들은 주위의 한, 티벳, 후이등의 민족과 서로 융합하는 가운데 점차 독자적인 민족을 형성했다. 사라족의 명칭은 사적에 사치얼, 사라족(沙喇族), 사라후이(撒拉回)등의 음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사라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목축업과 원예에도 종사하고 있다. 신중국 성립후 1954년에 순화사라족자치현이 설립되어 1980년에는 지씨산 빠오안족 통샹족 사라족 자치현이 설립되었다. 이들은 민족구역의 자치권리를 충분히 살려 생산의 발전에 힘쓰고 경제, 교육, 문화, 의료/위생 보건 등 다양한 사업을 끊임없이 발전시켜 생활수준을 크게 개선시켰다.

**********************************

47. 시보족(xibo zu)

 

 

현재 인구 : 188,824명이며, 시보족은 주로 랴오닝(僚寧), 지린(吉林), 헤이룽강(黑龍江)등의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나 일부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의 차뿌사얼 시보자치현과 그 주변 지구에도 거주하고 있다. 시보족 중,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에 거주하는 이들이 사용하는 시보어는 알타이어계의 만주어-퉁구스 어족의 만주어에 속한다. 동북지구에 거주하고 있는 시보족은 한어(中國語)를 사용한다. 시보 문자는 1947년에 만주 문자를 기초로 만들어진 것이다. 대다수의 시보족은 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시보족은 이전에 샤머니즘, 라마교 등을 신앙했으나 현재 종교를 신앙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시보족의 시보(錫伯)라는 명칭은 다양한 음역과 쓰는 법이 있다. 예를 들면 시삐(犀毗), 씨삐(師比), 시안뻬이(鮮卑), 씨삐(矢比), 시빠이(席百), 시투(席吐), 시보(錫伯)등이 있다. 시보족은 고대 북방의 시안뻬이의 자손이며 초기에 다싱안링의 동루(東麓) 일대에서 유목 생활을 해온 민족이다. 서기 4 세기를 전후로 남쪽의 황하(黃河) 유역까지 이주해와 한민족에게 동화되었다. 넨강(嫩江), 송화강(松花江), 추오얼하류지역에 남은 시안뻬이인들은 동북지방에 거주해 오늘날의 시보족이 되었다. 1764년에 1016명의 시보족이 모여 신장(新疆)의 이리(伊犁)지구에서 둔전을 시작했다. 오늘날 신장의 시보족들은 그 때 모인 사람들과 2000명 남짓한 종군 가족의 자손들이다. 시보족은 예부터 수렵으로 생계를 유지해왔다. 신장으로 이주한 시보족들은 수도(水稻)를 주로 재배하며 목축업도 겸해 이리강 계곡 일대의 개발에 큰 공헌을 했다.

****************************************

48. 우지비에커족(wuzibieke zu)

 

 

현재 인구 : 12,370명이며,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에 분포하고 이쭈, 타청(塔城), 우르무치(烏魯木齊)등의 도시에 집중 거주하고 있다. 우즈베크어는 알타이어계의 투르크어족 서흉어(西匈語)에 속한다. 문자는 아라비아어를 기초로한 표음문자이며 대다수의 사람이 위구르어에 능통하다. 우즈베크족은 대부분 이슬람교를 신앙한다. 우즈베크족의 조상은 먼 옛날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으로 이주해 왔다. 14 세기 전반, 몽골리아 제국에 속한 키프체크/한국(汗國)은 우즈베크/한의 지배하에 국력이 강대해졌기 때문에 우즈베크/한국으로 불렸고 그에 속한 백성들도 우즈베크인으로 불리게 되었다. 원(元)대에 키프체크/ 한국의 우즈베크인들은 실크로드를 따라 신장을 경유하여 중국 내륙부에 이르러 상업을 시작했다. 1750년대에 청(淸)이 신장을 통일하자 중국으로 이주해 오는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인(특히 상인)들이 나날이 증가했다. 이러한 이주는 20 세기 초까지 계속되었다. 이주자들은 대부분이 상인, 수공업자, 지식인과농민들이었다. 우즈베크인은 대부분이 마을에 거주했기 때문에 교육의 기회가 많아 지식인과 교사가 많았으며 신장 지구의 문화/교육 사업에 큰 공헌을 했다.

****************************************

49. 위구르족(웨이우얼 : weiwuer zu)

 

  

현재 인구 : 8,399,393명이며, 주로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에 분포하며 텐산(天山) 이남의 각 오아시스와 후난성(湖南省) 타오위안현(桃源縣), 창더현(常德縣)등에도 거주하고 있다.  위구르어는 알타이어계, 돌궐 어파에 속한다. 쭝신(中心), 허티안(和田), 뤄뿌(羅布)등 3종류의 방언이 있고 아라비아 문자를 표음문자로 사용하고 있다. 대다수의 위그루족은 이슬람교를 신앙하고 있다. 위그루족은 중국 북서부의 긴 역사를 가지는 민족 중의 하나로 위그루라는 명칭은 단결, 연합이라는 뜻이다. 위구르족은 농업 민족으로서 주로 오아시스 관개 농업위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의 거주지는 칸얼징을 중심으로 하는데 , 칸얼징이란 산 위로부터 산아래 밭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우물을 파고 그 바닥이 서로 통할 수 있도록 물길을 파서 산 위에서 눈이 녹은 물과 지하수를 흘러 들 게 하여 관개에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위그루족은 면을 주식으로 먹으며 고기를 좋아한다. 우유차와 홍차를 즐기며 특히 과일을 많이 먹어 심지어 겨울에는 미리 말려 놓은 과일을 먹는다. 그리고 유제품은 그들 생활에서 떼 놓을 수 없는 그들의 부식이다. 신중국 성립후 1955년 10월 1일에 신장 위구르 자치구가 설치되어 국가의 원조하에 위그루족과 각 민족은 자치구의 공업과 농업 및 각 분야에 큰 발전을 이루었다.

**********************************

50. 위구족(yugu zu)

 

  

현재 인구 : 13,719명이며, 주로 간쑤성 쑤난의 위구족(裕固族)자치현에 거주하나 일부는 쥐우취엔시(酒泉市)의 황니빠오위구족 마을에 거주하기도 한다. 위구족은 현재 알타이어계의 돌궐 어족에 속하는 동부 위구어, 알타이어계의 몽고어족에 속하는 서부 위구어, 및 한어(中國語)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은 자민족의 문자가 없어 일반적으로 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위구족의 대부분은 라마교를 신앙한다. 위구족은 중국 북방의 긴 역사를 가지는 소수민족이며 그 조상의 뿌리는 기원 전 3 세기의 투르크계 민족, 4 세기의 투르크(鐵勒)계 유목민 및 몽고 인민공화국에 거주하고 있는 량저우(袁紇)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8 세기에는 후이허인(回紇人--당대 북방의 터키계 부족)들이 간저우(甘州--지금의 짱이:張掖)와 량저우(凉州--지금의 우웨이:武威)의 근처로 이주해 유목 생활을 하여 한(汗)을 건설했다. 9 세기, 한이 멸망하자 이들 위구족 중 일부가 허시후이랑(河西回廊)으로 이주하고 먼저 살던 위구족과 합류해 오늘날 위구족의 전신이 되었다. 사서(史書)에는 이들을 황판(黃番), 시판(西番), 사리웨이우얼등으로 기록하고 있으나 이들 사이에서는 야오후얼, 시나야오후얼로 불렀다. 1953년, 자치현 창립과 함께 민족의 명칭을 위구로 통일하였다. 위구족은 치리안산(祁連山)의 산간부에서 생활하며 목축업을 주로 한다. 국가의 지원 하에 목초지대와 인공 목초지대, 사료 용지의 건설, 수리 시설의 축조등으로 목축업은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 위구족의 생활수준도 크게 향상되었다.

*******************************************

51. 하사커족(hasake zu)

 

  

현재 인구 : 1,250,458명이며, 카자흐족(하사커(哈薩克族))은 주로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 이리카자흐(伊犁哈薩克)자치주, 무레이카자흐(木壘哈薩克)자치현, 빠리쿤카자흐(巴里坤哈薩克)자치현에 분포하고 소수가 간쑤성(甘肅省) 아크싸이카자흐(阿克賽哈薩克)자치현에 분포하고 있다. 카자흐어는 알타이어계, 투르크 어파, 시쑝어(西匈語支)에 속한다. 남서, 북동 등 2개의 방언이 있다. 카자흐 문자는 표음문자로 19 세기 후반에 형성된 것이다. 구소련 무렵인 1954년에 2차례나 개정됐다. 이 문자는 아라비아 문자를 기초로 한다. 카자흐족 대부분은 이슬람교를 신봉 하고 있다. 카자흐족은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카자흐족의 조상은 한(漢)대에 톈산(天山) 남북에 살고 있던 우쑨(烏孫-기원 전 2세기~서기 2 세기) 사람들로 한대 이후의 돌궐(6 세기 중엽), 거루오루(葛邏祿), 후이구(10~12 세기), 하츠치단(哈刺契丹-12 세기), 커리에(克烈), 나이만(乃蠻), 친차(欽察-13 세기) 등과도 관계가 있다. 이 민족의 명칭은 15 세기 중엽에 최초로 사용되었다. 그 때의 카자흐족은 카자흐한구오(哈薩克汗國)를 세웠다. 카자흐족의 민간 전설에 의하면 카자흐라는 말은「흰 거위」라는 뜻이다. 카자흐를 중국 고대의 허싸(曷薩), 아싸(阿薩), 크싸(可薩)라고 보는 사람도 있고 전사(戰士), 자유인(自由人), 이탈자(離脫者)라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카자흐족은 소수만이 농업에 종사 하며 그 외의 대부분은 목축업에 종사 해 1년 내내 아름다운 초원에서 생활한다. 그들에게 있어 방목이나 운송, 멀리 이동하는데 있어 말을 빠뜨릴 수는 없다. 카자흐족은 누구나 준마를 타는 것을 명예로 여기며 「기마민족」인 것을 자랑으로 삼는다. 카자흐족에게 있어 이리말은 그들의 자랑이며, 2000여년전 이리말은 강함과 아름다움으로 한(漢) 무제 때에 「천마」라고 불렸다.

**************************************

52. 커얼커지족(ke'erkezi zu)

 

  

현재 인구 : 160,823명이며, 주로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 커얼커지족자치주에 분포하고 소수는 신장 각지와 헤이룽장성(黑龍江省)의 푸위현(富裕縣)에 분산해 거주하고 있다. 칼카스어는 알타이어계, 투르그어파에 속한다. 남, 북 2 종류의 방언이 있다. 남쪽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위구르어, 북쪽으로 살고 있는 사람들은 카자흐어, 헤이룽장성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한문어, 몽고어에 각각 능통하다. 아라비아 문자를 기초로 하는 문자가 있다. 대부분의 칼카스족은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소수가 라마교 혹은 샤머니즘을 신앙한다. 칼카스는 투르크어로「40명의 소녀」,「40의 촌락」혹은「40명의 초원인」이라는 의미이다. 칼카스족의 조상은 역사상 저쿤, 잔쿤(堅昆), 허구(紇骨), 샤자시, 샤자시, 리리지시(吉利吉思), 치얼지시, 뿌루떠(布魯特) 등의 호칭으로 불렸다. 원래는 예니사이허(葉尼塞河) 상류 지역에 거주했으나 점점 남서의 텐산(天山)지구로 이주해와 현지의 돌궐, 몽고의 촌락과 융합되었다. 주로 목축업에 종사 하며 수렵, 농업, 수공업과 상업도 영위하고 있다. 신중국의 성립까지 칼카스족의 유목 생활은 씨족 부락의 조직 형태로, 부락아래에는 그 말단 생산 조직을 둔 가정이 있었다. 당시는 조방적인 생산과 원시적 관리의 기초단계에 있었으므로 생산력이 낮았다. 지금은 큰 성과를 얻어 칼카스 초원에는 번영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칼카스족의 문화는 매우 풍부하고 다채롭다. 유명한 민간력사시《마나스(瑪納斯)》는 그 웅대한 규모와 생동한 언어로 민간문학의 진품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세계전통 민족 문화가운데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끼르끼즈족의 특유한 악기로서 음조가 풍부한 삼현금 "코무즈(考姆玆)", 수놓기, 조각, 금은장식품 등 전통공예는 모두 자기의 특색을 갖고 있다.

***************************************

53. 타지크족(tajike zu)

 

  

현재 인구 : 41,028명이며, 주로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의 남서부에 분포하며 타썬쿠얼간(塔什庫爾干) 타지크(塔吉克自治縣)자치현에 집중 거주하고, 그 외는 수오처(莎車), 이푸(譯普), 이예청(葉城)에 분포하고 있다. 수천년을 지나오면서 따지크족은 동서방문화의 정화를 부단히 흡취해 자체의 특색이 있는 역사와 문명을 창조했다. 타지크족의 주요 집거구인 타스쿠르깐은 세계지붕 파미르고원 동부에 위치해 있다. 산 정상은 일년내내 빙설로 덮여있고 산비탈 하천양안에는 초원과 경작지가 있다. 견강한 타지크족은 세세대대 이곳에서 생활해왔다. 타지크어는 인도/유럽어계, 이란어파, 파미르어에 속하며 수오처 지구에 거주하는 타지크인들은 위구르어를 사용하고 위구르 문자를 사용한다. 타지크족은 대부분이 이슬람교를 신앙하고 있다. 타지크족은 17 세기 후반 파미르 서부와 남부에 살고 있던 타지크인들과 합류해 중국의 소수민족이 되었다. 이전의 타지크족은 축산업과 농업을 겸업한 반유목, 반정주의 생활을 했으나 신중국 성립후 1954년, 타썬쿠얼간 타지크 자치현이 설치되어 국가의 지원하에 타지크족의 경제는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 이들의 물질생활과 문화생활 수준은 향상되었다.

**************************************

54. 타타얼족(tata'er zu)

 

  

현재 인구 : 4,890명이며,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에 분산해 거주하고 있으며, 거주 지구는 이쭈, 타청(塔城), 우르무치(烏魯木齊)등의 도시이다. 타타르어는 알타이어계, 투르크어파,시숑어(西匈語)에속한다. 타타르어는 일부 노인들 사이에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은 카자흐어나 위구르어를 사용하고 있다. 타타르족은 아라비아 문자를 원형으로 한 문자를 가지고 있지만 카자흐족, 위그루족과 함께 서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기 때문에 이들민족의 문자도 타타르족사이에서 통용되고 있다. 타타르족에는 이슬람교를 신앙하는 사람이 많다. 타타르족의 조상은 당(唐)대에 중국 북방 돌궐국의 타타르족(몽고족) 부락에서 이주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단(達旦), 다다는 모두 타타르의 음역이다. 13 세기, 몽고인이 서쪽으로 정벌을 떠나자 서양 사람들은 그들을 타타르로 부르기 시작했다. 몽고인이 세운 유럽과 아시아의 양대 육지에 걸친 킴차크한국(金帳汗國)이 멸망한 후, 15 세기에 보르가강 일대에 건국된 카샨한국(喀山汗國)은 16 세기에 러시아에 합병되었다. 이 시기에 타타르는 이미 하나의 민족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19 세기 초부터 소수의 타타르인들이 러시아에서 중국의 신장으로 이주해왔으며, 제2차 대전이 끝난 후에는 더 많은 수의 타타르인들이 중국으로 건너왔다. 타타르족 중 축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마을에 거주하지만 지식인을 비롯한 교육 관계자들은 일부 도시지역에 살고 있다. 타타르족의 교육 관계자들은 신장의 교육 사업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로 인해 타타르 지구의 교육 사업은 발달하기 시작했다.

**************************************

55. 투족(tu zu)

 

  

현재 인구 : 241,198명이며, 주로 칭하이성(靑海省) 동부의 황쑤이(湟水)이북, 황하(黃河)양안 일대와 인접한 지역에 집중해 거주하고 있다. 그 중 대부분이 칭하이성 후쭈투족(互助土族)자치현과 다통(大通), 통렌(同仁) 등의 현에 살고 있으며 소수가 간쑤성(甘肅省) 텐쭈 티벳족(天祝藏族)자치현에 거주하고 있다. 투어는 알타이어계, 몽고어족에 속하며 후쭈와 민허(民和)등 2종류의 방언이 있다. 이전부터 투족은 한문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라틴 문자를 원형으로 하는 투족의 문자를 새롭게 만들었다. 투족은 중국의 북서부에서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 민족이며 멍구인(蒙古人), 빠이멍구(白蒙古), 투쿤(土昆), 투후지아(土戶家)로 불렸다. 근처에 거주하는 티벳족은 후오얼(티벳 북부의 유목민족에 대한 통칭)이라고 불렀으며 한민족, 후이족은 투런(土人), 투민(土民)이라고 불렀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후 투족으로 명칭이 통일되었다. 투족의 민간 전설에 의하면 그들의 조상은 멍구인과 현지의 후오얼인이다. 전설속의 후오얼인은 티벳의 유목민족이었으므로 연구자들은 투족을 고대 티벳의 유목민족의 자손으로 보고 있다. 투족은 옛날부터 목축업에 종사해왔기 때문에 지금도 양을 기르는 습속이 있고, 대부분의 가정이 양을 사육하고 있으며 양을 소중히 여긴다.

***********************************
56. 회족(hui zu)

 

현재 인구 : 9,816,802명이며, 주로 닝샤후이족(寧夏回族)자치구에 집중 거주하는데 간쑤성(甘肅省), 칭하이성(靑海省), 허난성, 허뻬이성(河北省), 산둥성(山東省), 윈난성(云南省) 등지에 규모는 다르지만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구역이 있다. 회족은 폭넓게 전국 각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분포지역이 가장 넓은 소수민족이다. 후이족은 한민족과 함께 생활해왔기 때문에 한문어를 사용하고, 그 외의 민족과 생활하고 있는 후이족은 그 민족의 말을 사용한다. 후이족 중 소수는 아라비아어와 페르시아어에 능통하다.  후이족은 이슬람교를 신봉 하고 있다. 윈난성의 후이족은 원조 초기에 이주하여 왔다. 원조시대에 운남에서 권력을 잡고 있었던 후이족 관리인 샤이 디안친쟌시딩이 운남의 소수 민족들에게 쿤밍지역의 수자원 보호를 위하여 관계시설을 건설하라고 명령하였다. 운남에서 출생한 황실의 환관인 대회족 항해사 젱허(Zhenghe)는 7차례 이상이나 대서양을 여행하기 위하여, 그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선단을 이끌었었고, 국제적으로 경제와 문화의 교류를 촉진하기 위하여 30여개국 이상을 방문하였다. 후이족은 농업과 무역을 중시했으며, 수공예품의 질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