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삼한역사

수메르(Sumer)

한부울 2009. 8. 23. 16:21

 

수메르(Sumer)


수메르(Sumer)는 메소포타미아의 가장 남쪽 지방이다.


수메르 문명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으로 그들이 어디서 왔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대략 기원전 3500년부터 수메르 지방에서 살기 시작하였다. 그 후 기원전 2000년쯤에 메소포타미아 북쪽의 아카드지방에 살던 셈족 계통의 아카드 사람들이 수메르 지방을 점령하고 바빌로니아를 세웠다.


수메르의 어원


"수메르인"이란 말은 그들의 뒤를 이은 아카드인이 메소포타미아 남부 지방에 사는 사람을 부르던 말이었다.


수메르인들은 자신들을 웅 상 기가(ug sag gíg-ga, 음성학적으로 uŋ saŋ giga) "검은 머리 사람들"이라고 불렀고, 그들의 땅은 키엔기르(Ki-en-gir) "수메르말을 쓰는 사람들의 땅"이라고 불렀다. 아카드어 "슈메르"는 아마도 이 것의 방언이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왜, 아카드인들이 이 남쪽 땅을 "슈메루"라고 불렀는지는 알 수 없다. 성경의 "시날"(Shinar), 이집트의 "신그르"(Sngr), 히타이트의 "산하르"(Sanhar)는 모두 "수메르"의 서방 방언으로 볼 수 있다.


배경


수메르인은 솀어족이 아니고, 언어학자들이 수메르어의 바탕이 된 기저 언어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한 때 침입자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고고학적 기록은 초기 우바이드기(기원전 5200년~4500 또는 6090~5429)에 남부 메소포타미아에 정착한 이후에 문화적 단절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 지방에 정착한 수메르 사람들은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의 풍푸한 충적토로 비옥해진 땅을 경작하였다.


당시에는 강우량이 현재 보다 적었기 때문에, 척박한 남부 메소포타미아에 거주하려 한 모든 인종들의 도전은,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을 잘 관리하여 농업용수와 식수를 공급하는 것이었다. 수메르어에는 운하, 제방, 저수지등에 관련된 단어가 많이 발견된다. 수메르 인들은 북부지방에서 농업 기술을 습득한 뒤에 남쪽으로 내려온 농부들이었다.


남부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우바이드 토기는, 북부의 사마라 유적(기원전 5700년~4900)의 토기와 연속성이 발견된다. 사마라 사람들은 티그리스 강 중류 지방에서 최초로 원시적인 형태의 경작을 시작한 부족들이다.


우바이드 유적과 사마라 유적의 유사성은 라르사 근처의 텔 아웨이리 (1980년에 프랑스 발굴단에 의해 발굴됨)에서 발견된 사마라 토기와 유사한 전기 우바이드 토기에서 더욱 분명해진다. 북부 지방의 농부들은, 신전 중심의 사회구조를 만들어 내고, 수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면서, 보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게 되자 남쪽으로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도시국가

 

                                                              Map of Sumer

 

기원전 4세기후반 까지, 수메르는 10여개의 독립된 도시국가로 나뉘어져 있었다. 도시국가들은 대체로 수로와 경계석으로 둘러싸여 있고, 중앙에는 도시의 수호신이나 수호여신을 모시는 사원이 위치하였다. 도시는 엔시라고 불리는 성직자나 루갈이라고 불리는 왕이 통치하였다.


다음은 수메르의 주요 도시들 위치순서대로(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나열한 것이다. 괄호 안은 현재의 도시 이름이다.


1.Eridu (Tell Abu Shahrain) 에리두


에리두( 또는 에리두그/우루두그, 수메르어 에르이둑, 먼 곳에 지어진 집)는 우르의 남서쪽으로 7마일 떨어진 고대도시이다. 수메르 전설에 의하면 에리두는 후에 아카드 인들에 의해 에아로 알려진 수메르 신 엔키에 의해 설립되었다.

 

                                                      E-abzu temple of Eridu


2.Bad-tibira (probably Tell al-Madain) 바드-티비라


바드티비라는 움마 근처에 위치한 고대 수메르 도시였다. 그 곳은 아마도 현재의 텔 알마다인이다. 이름은 수메르어로 대장장이를 의미한다. 그것은 그리이스 작가(Abydenus,

Apollodorus, Berossus)들은 판티비블로스(Παντιβίβλος)라 하였다. 성경의 투발에 해당한다. 수메르 왕목록에 따르면 바드티비라는 에리두그 다음으로 두번째로 왕제도를 실습한 도시였다. 도시의 주신은 루갈이였으며 도시의 사원은 에무시칼라마였는데 이난나의 지하세계 하강의 이야기에 언급되었다.


3.Larsa (Tell as-Senkereh) 라르사


라르사 (현대의 텔 아스-센케레, 성경의 엘라사르(Ellasar)로 추정됨)는 고대 수메르의 중요한 도시 중의 하나이다. 우루크(성경의 에렉) 유적에서 남동쪽으로 25km, 샤트-엔-닐 수로 (현대의 남부 이라크)의 동안 근처이다. 라르사는 수메르의 석판 기록에서 기원전 2800년~2700년경의 우르-구르(Ur-Gur)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샤마시(Shamash) 사원이라고 불리는 에-밥바의 지구라트를 세웠거나 복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라르사를 숭배하는 사람, 함무라비를 위해서 아무루(Amurru) 신에게 바쳐친 기념 조각상, 기원전 2000년 초기 , 루브르


4.Sippar (Tell Abu Habbah) 시파르


시파르(현재의 텔 아부 하바, 수메르어 짐비르, 새들의 도시)는 고대 바빌로니아 도시로 유프라테스 강의 동쪽 제방위에 있으며 바빌론의 북쪽으로 60Km 떨어져 있다. 시파르는 여러 부분으로 나뉘는데 1881년 바그다드에서 남동쪽으로 16마일 지점의 아부-하바에서 찾을 수 있는 태양신의 시파르와 여신 아누니트의 시파르가 그것이다. 시파르는 고대 문헌에는 세파르바임으로 불리었는데 그것은 도시의 두부분을 언급한다. 두가지 또 다른 시파르가 있는데 그중의 하나는 에덴의 시파르이다. 또하나는 최초의 셈계 바빌론 제국의 수도인 아가데 또는 아카드로 확인되었다. 도시의 주신은 태양신인 우투(아카드어로는 샤마슈)이다. 수많은 설형문자 점토판과 다른 기념물이 샤마슈 사원의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그것을 수메르인들은 에바바라, 셈족은 비툰이라고 불렀다. 이 사원은 기원전 1831년에도 사용된 세계의 최고 오래된 은행으로 언급된다.

 

                                       Hammurabi clay cone from Sippar at Louvre


5.Shuruppak (Tell Fara) 슈루팍


슈루팍(Shuruppak)은 고대 수메르의 도시로 쿠루팍(치유 장소)이라고도 불렀다. 슈루팍은 현대의 텔 파라인데, 현재 이라크 알라디시야 만의 유프라테스 강 제방위의 니푸르의 남쪽에 위치한다. 그것은 1902년 독일 오리엔트 주식회사에의해 처음 발굴되었는데 1931년에는 펜실베니아 대학이 에릭 슈미트를 감독으로 추가의 6주동안의 슈루팍을 발굴하였다. 슈루팍은 수드(Sud)에 바쳐졌으며, 곡식과 공기의 여신인 닌릴이라 불렸다. 슈루팍은 곳간과 분배의 도시가 되었고 다른 수메르 도시보다 더 많은 창고(사일로)를 지녔다.


Other principal cities:


6.Kish (Tell Uheimir & Ingharra) 키시


키시(Kish 수메르어 KIŠKI, 현재의 Tall al-Uhaymir)는 수메르의 고대 도시이다. 바빌론에서 동쪽으로 12km 현재 바그다드에서 남쪽으로 80km 의 이라크의 바빌 주에 있다. 델루게(Deluge) 다음으로 집권한 도시이다. 도시의 수호신은 자바바(Zababa)다.


7.Uruk (Warka) 우루크


우루크 (Uruk, 수메르어:UNUG, 구약성서: 에렉(Erech), 고대그리스어: Ορχoη or Ωρύγεια, 아랍어 وركاء Warkā’)는 수메르와 바빌로니아 시대의 고대 도시로, 유프라테스 강 동쪽으로 고대의 닐 수로를 따라 이어지는 습지대(이라크 알-무탄나 (Al-Muthannā)지구 아스-사마와흐(As-Samawah)에서 남쪽으로 30km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현대 이라크라는 이름이 우루크에서 파생되었다는 이론이 있으나 검증되지는 않았다. 전성기에 우루크의 인구는 5~8만 명, 성벽 내의 크기는 6 평방km 정도로, 당시로서는 가장 큰 도시였다. 현재까지 우루크는 밀집된 인구를 가진 세계 최초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우루크는 또한 전문 공무원, 군인등으로 계층화된 사회를 이루며 메소포타미아 도시 국가 시대를 열었다.

 

                                                우루크의 황조 조각, 기원전 3000년경

 

                                                                    Uruk

 

8.Ur (Tell al-Muqayyar) 우르


우르(아랍어: أور, 히브리어: אור כשדים, Ur)는 메소포타미아지역 남부에 수메르문명 시기에 세워진 도시이다.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이 페르시아 만으로 흘러들어가는 하구에 위치하였으며 인근에 에리두가 있었다. 우르는 역사상 가장 오래된 도시의 하나이다. 우르의 유적은 해안선의 상승으로 인해 많은 부분이 사라졌으며 오늘날에는 일부 유적이 이라크 남부의 텔엘무카야 근처에 남아있다. 수메르 신화에서 달의 신으로 기리는 난나를 위한 거대한 지구라트가 현재에도 우르의 유적으로 남아있다. 이 지구라트는 벽돌로 건축되었으며 두개의 층으로 구분된다. 아랫층의 벽돌은 역청으로 이어 붙였으며 윗층의 벽돌을 잇는데는 회반죽을 사용하였다. 우르는 수메르어로 우림이라 불렸다.

 

                                 Archeological excavations at Tell el-Mukayyar, Iraq

 

                                                     The Royal Tombs of Ur

 

                                                          Cuneiform writing


9.Nippur (Afak) 니푸르


Nippur 남 바빌론의 고대도시, 니푸르운하는 그발강과 동일시된다.


바벨론의 동남동 80km, 유브라데와 티그리스의 양 강 중간의 평원에 발달했던 성읍으로서, 지금의 누파르(Nuffar)의고지(古址)로 동정된다. 전 400년경에 흥하고, 슈메르인의 종교 및 문화의 중심지로서 번영하여, 하무라비시대에 미쳤는데, 바벨론의 주권이 확대되기에 이르러 쇠해졌다. 니푸르의 신(神) 엔릴(Enlil)은 슈메르의 신신 중의 주신(主神)이고 그 신전에 쿠르(E-kur, 山의 집)는 가장 유명했다. 이 성읍은 주로 종교도시이고, 정치적으로는 그리 중요성을 가지지 못했다. 발굴에 의해 니푸르는 전 4000년경우바이드(Ubaid)의 백성에 의해서 창설된 메소포타미아문명의 가장 고성읍중의 하나인 것이 판명되었다. 3만에서 4만 매의 토판이니푸르에서 출토되고, 그것들은 많은 귀중한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다. 그 하나로 대홍수의 슈메르어 토판이 있는데 아카드어로 기록된 길가메슈 서사시보다도 훨씬 오랜 전승을 전하고 있다. 또 천지창조 설화의 슈메르어 토판도 보여진다. 또한 고지의 일부에서 전 5세기의 토판700매가 출토되어, 니푸르에 있어서의 유대식민(植民)의 생활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것은 바빌로니아의 금융업 무라슈 회사(Murashu So-ns)의 서고(書庫)에서 출토된 것으로서, 바사(폐르샤)왕 아르타크세르크세스1세 Artaxerxes I 전464-423)및 다리오(다레이오스 2세 Dareios Ⅱ 전 423-404)의 치세에 유대인 통상활동이 세력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이고 있다. 니푸르에서 출토된 토판(전 1500)에는 니푸르의 지도가 있고, 거기에는 대운하가 기록되어 있다. 바빌론의 상류(上流)에서 유프라테스강을 떠나, 니푸르를 지나 다시 유프라테스강과 합하는 운하이다. 니푸르 출토의 상업 토판의 하나에는 이 운하를 나리 카바리(Nari-kabari)란 이름의 흐름으로서 기록하여, 이것이 겔 1:1,3의 [그발강]과 동일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발강: 하폭 36m에 달하고 고대 닙불의 운하의 하나이며, 선박이 자유로이 항행할 수 있었다. 바벨론 상류에서 유프라테스강에서 갈라져 티그리스 동쪽으로 다소 떨어져 이와 병행하여 제리레의 중앙부를 적시면서 닙불 성읍을 양분하고 남하하여 오늘날의 나스리에에서 다시 유프라테스강과 합치는 길이 150㎞의 대운하이다.


The Chebar (nari Kabari, “great river”) was probably a canal that flowed out of the Euphrates north of Babylon, passed Nippur


구약성서 창세기 2장 10절 이하의 말씀에 의하면 인류역사가 출발한 '에덴동산에는 네 강 즉 비손강(鴨綠江)‧기혼강(大同江)‧힛데겔강(漢江)‧유브라테스강(洛東江)이 있었다'고 명시되어 있다.

 

비손(pishon)강은 ‘넘치다’는 의미
기혼(Gihon)강은 ‘전진한다’는 의미
힛데겔(Hiddeke 大河 티그리스강)강은 ‘빠르게 흐른다’는 뜻 by the side of the great river, which is Hiddekel [Tigris]
유프라테스(Euphrates)강은 ‘풍요의 열매’라는 뜻

 

 

 

 

                                             Babylonia in the time of Hammurabi


10.Lagash (Tell al-Hiba) 라가시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이 만나는 곳의 북서쪽에 있는 라가시(아카드어 lagas) 또는 시르풀라(수메르어 SIR.BUR.LAI; 현대의 텔 알-히바(Tell al-Hiba))는 수메르와 뒤의 바빌로니아의 옛 도시 중의 하나이다. 근처의 기르수(현대의 텔로흐(Telloh))는 라가시의 종교 중심지였다. 텔로흐에서 발견된 비문 기록에 따르면, 라가시는 수메르 지역에서 기원전 3000년경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도시였다. 우르-니나(Ur-Nina)(기원전 2400년경)와 그의 후계자들은 동쪽의 엘람인들, 북쪽의 켄지(Kengi)와 키시의 왕들과 겨루었다.


11.Ngirsu (Tello or Telloh) 기르수


기르수는 (현대의 이라크, 디카르주,텔로)는 라가시의 북서쪽 25에 있었던 고대 수메르의 도시였다. 구데아 왕 시절에 그곳을 사실 라가시 왕국의 수도였다. 그리고 정치적인 권력이 라가시로 이동하였을 때, 그 종교적인 중심이었다. 그곳에서 약 5만 장의 설형문자 점토판이 발굴되었다. 기르수는 우르 제3 왕조가 끝난 뒤에 모든 중요성이 사라졌지만 기원전 2세기까지 사람들이 살았다.


12.Umma (Tell Jokha) 움마


움마(현재의 텔 족하)는 라가시와의 오랜 국경 분쟁으로 잘 알려진 수메르의 고대 도시였다. 도시는 기원전 2350년 루갈자게시의 지배하에 그 절정기에 도달하였다. 슐기의 움마 달력은 바빌로니아 달력의 원본이다. 그리고 히브리 달력으로 이어진다.

 

                                                Umma at the time of Lugal-Zage-Si


13.Hamazi 하마지


하마지 (또는 카마지) 는 고대 왕국 또는 도시국가로 기원전 2500년에서 2400년에 그 절정에 도달하여 약간 중요하였다. 그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엘람과 아시리아사이의 서 자그로스 산맥에 위치하며 누지 또는 현재의 하마단 근처이다.


14.Adab (Tell Bismaya) 아다브


아다브는 현대의 비스마야로 수메르의 고대도시로 현재 이라크의 텔로와 니푸르사이에 있다. 아다브은 도시의 이름이기도 하지만 중세 아랍에 사용된 중요한 용어이다. 의미는 문화라는 뜻으로 예의(에티켓)과 흡사하다.


15.Mari (Tell Hariri) 마리


마리(Mari)는 텔 하리리에 위치한 시리아의 고대 도시이다. 유프라테스강 서쪽 제방의 현재의 아부 카말에서 북서로 11km떨어져 있으며 시리아의 데이르-에즈조의 남동쪽 약 120km에 위치한다. 기원전 5천년부터 거주자가 있었다고 생각되나 기원전 2900년에서 1759년까지 홍수에 잠겼다. 마리가 함무라비에의해 약탈되었을 때, 아브라함은 우르에서 마리를 통과하여 하란으로 갔다.


16.Akshak 악샤크


악샥 은 아카드의 북쪽 경계에 위치한 고대 수메르의 도시였다. 때로 바비론의 우피(그리이스어 오피스)로 확인된다. 그 정확한 위치는 불명이지만 그것은 에쉬눈나근처였다. 수메르 왕목록은 운지(Unzi), 운달룰루(Undalulu), 우루르(Urur), 푸주르니라(Puzur-Nirah), 이슈일(Ishu-Il)과 슈신(Shu-Sin)을 악샥의 왕으로 기록하였다. 기원전 25세기경, 악샥은 라가시와의 전투 후에 에안나툼에의해 함락되었다. 기원전 2350년에는 움마의 루갈자게시의 수중에 떨어졌다.


17.Akkad 아가데


아카드는 수메르어로는 아가데라고 불리며, 중앙 메소포타미아의 도시와 그 주변 영역이다. 아카드는 아카드 제국의 수도가 되었고 후에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의 북부의 주요 도시가 되었다. 시파르와 키시(현재 이라크 바그다드의 중앙에서 남서쪽 50km) 사이이다. 연장된 검색에도 정확한 위치는 결코 발견되지 않았다.


18.Isin (Ishan al-Bahriyat) 이신


이신( 현재의 이샨 알바리야트)는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도시였다. 그곳은 기원전 20세기에 홍수가 났었다. 수메르 시기의 이신왕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리고 이신 왕조는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아모리트 도시국가를 말한다. 이신은 우르 제3 왕조의 쇠퇴와 함께 독립을 얻었다. 이신 왕조는 기원전 1730 년에 끝났다.


Minor cities (from south to north):


1.Kuara (Tell al-Lahm) 키시가


키시가(또는 쿠아라, 현재의 텔알람)은 이라크의 고대 수메르 문명의 도시로 우르에서 남동쪽으로 30km의 유프라테스 강 입구의 서쪽 제방위에 위치한다. 도시의 수호신은 메슬람테아로 여겨졌다. 쿠아라는 엔키의 아들인 신 마르둑(아사를루히)의 출생지로 믿어진다. 마르둑과 니네하마의 믿음은 쿠아라에 중심한다. 쿠아라는 우르의 칼데아 인들에의해 키시가로 명명되었다. 또, 쿠아라는 어부 신으로 여겨지는 두무지의 도시이다. 아시리아 왕 사르곤 2세는 마르둑아팔이디나를 체포하려고 하였는데 그는 쿠아라로 달아났다. 기원전 709년 그곳을 사르곤의 군대가 장악하고 파괴하였다. 쿠아라는 수메르 초기 2왕조인 기원전 2700년에 세워졌다. 그 곳은 페르시아 만으로가는 바다 항구였으며 딜문과 교역하였다. 유프라테스 강에 의해 운반되는 토양이 충적되어 페르시아만에 충적평야를 이루었다. 그리하여 4700년 전에는 항구가 있었지만, 현재의 위치는 평범한 육지이며 근처 항구까지는 예전보다 멀어졌다.


2.Zabala (Tell Ibzeikh) 자발라


자발라(또는 자발람, 현대의 텔 이브제이크)는 이라크의 수메르 문명 고대 도시로 혀내 디 과르 주 내에 위치한다. 설형 문자 문헌은 함무라비가 자발라의 지구라트 에지칼람마를 세워 여신 이난나에 바쳤다. 수메르가 합병된 후 자발라는 근처의 도시 국가 움마에 의해 운영되었다.


3.Kisurra (Tell Abu Hatab) 키수라


키수라 (현재의 텔 아부 하타브 는 이라크의 고대 수메르 도시로 슈루팍의 북쪽 유프라테스강 중류의 서쪽 제방에 위치한다. 키수라의 주신은 닌우르타이며 후에 이샤라의 주요 메소포타미아 종교 중심이 키수라에 있었다. 그러나 키수라는 시리아,가나안과 히타이트의 넓은 영역에 걸쳐 숭배되었다고 생각된다. 키수라는 수메르 초기 2왕조인 기원전 2700년경에 세워졌다. 이시니툼 운하의 남단은 키수라에서 유프라테스 강으로 합류한다.


4.Marad (Tell Wannat es-Sadum) 마라드


마라드 (수메르어: 마르다, 현재 텔 와나트 에사둠 은 이라크의 고대 수메르 도시였다. 마라드는 니푸르의 서쪽 유프라테스강 상류의 서쪽 제방위에 있다. 마라드는 124 헥타아르이하이며 인구는 최대 5000명정도이다. 도시의 지구라트 에이기칼라마는 나람신의 왕자에의해 건설되어 풍신 닌우르타와 수호신 루갈마라다에게 봉헌되었다. 마라드는 기원전 2700년 세워졌다.


5.Dilbat (Tell ed-Duleim) 딜바트


딜바트(현재의 텔 에둘레임)는 이라크에 있으며 수메르 문명 고대 도시로 바빌론에서 남동쪽의 유프라테스 강 서쪽 강의 동쪽 제방 위에 존재했으며, 현재의 알콰디시야이다. 지구라트 에이베아누는 여신 우라슈에 바쳐졌으며 도시의 줌심에 위치하고 길가메시 서사시에 언급되었다. 딜바트는 기원전 2700년경 수메르 초기 2왕조에 세워졌다. 면적은 124헥타르이며 주민은 5천여 명이 거주한다. 그 곳은 농업이 중심이며, 대부분 갈대 제품과 밀을 재배한다.


6.Borsippa (Birs Nimrud) 보르시파


보르시파는 (현대의 이라크, 비르스 님로드) 는 고대 수메르의 중요한 도시였으며 바빌론 남쪽 17.7km에 있는 호수 변에 유프라테스강의 동쪽 제방에 건설되었다. 혀탑이라 불리는 지구라트는 가장 생생하게 확인되는 남아 있는 지구라트 중의 하나이다. 탈무드와 아랍 문화에 바벨탑으로 인식된다. 도시의 신 나부는 바빌론의 마르둑의 아들이었다.


7.Kutha (Tell Ibrahim) 쿠타


쿠타(수메르어 구두아, 현재 텔 이브라힘)는 이라크에 있는 수메르 문명의 고대 도시로 니푸르의 북쪽, 유프라테스 강 상류의 동쪽 지류의 오른쪽 제방에 위치한다. 그 곳은 네르갈의 종교도시로 네르갈은 지하세계의 신을 뜻하였다. 쿠타는 또 수메르의 지하 세계 이르칼라의 수도였다고 전해진다.


8.Der (al-Badra)

9.Eshnunna (Tell Asmar) 에쉬눈나


에쉬눈나(현대의 이라크의 텔 아스마르)는 고대 수메르의 남부 메소포타미아 도시국가였다. 비록 도시가 수메르의 북동쪽 디얄라 강에 위치하였지만, 도시는 수메르 문화권 내에 속하였다. 도시이 신은 티쉬팍(또는 티스팍)이었다. 에쉬눈나는 결국 함무라비에 의해 정복되었다.

 

                                         함무라비(1792-1750BC) 시대의 메소포타미아


10.Nagar (Tell Brak)


나가르(현대의 시리아 텔 브락)는 카부르 강의 고대 수메르 도시였다. 그것은 북 메소포타미아의 최대 도시 유적 중의 하나이다. 기원전 600년경에 이미 작은 정착이 존재하였고 신석기 시대(할라프 문화)에와 다음 우바이드문명의 소재들이 발견되었다. 나가르의 초기 단계 유적은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더 잘 알려진 도시 우루크등과 동시대인 기원전 네번째 천년에서 개발된 도시를 드러내었다. 브락(나가르)에서 발겨된 우루크 유물중에는 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에서 널리 퍼진 교육된 기록을 위한 표준 교재가 있었다. 기원전 2번째 천년의 그곳은 미탄니의 유적을 제공한다.


아완 Awan


아완 왕조는 엘람의 첫 왕조로 건국자는 펠리이다. 아완 왕조는 초기에 수메르에서 문화적인 영향을 받았다. 키시의 엔메바라게시와의 다툼이 있었는데 패하였으며 라가시의 에안나툼에게도 패하였다. 아완은 엘람의 고대 도시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수사의 북쪽으로 추정된다.


역사


Ubaid period: 5300 – 4100 BC (Pottery Neolithic to Chalcolithic)

Uruk period: 4100 – 2900 BC (Late Chalcolithic to Early Bronze Age I)

Uruk XIV-V: 4100 – 3300 BC

Uruk IV period: 3300 – 3000 BC

Jemdet Nasr period (Uruk III): 3000 – 2900 BC

Early Dynastic period (Early Bronze Age II-IV)

Early Dynastic I period: 2900 – 2800 BC

Early Dynastic II period: 2800 – 2600 BC (Gilgamesh)

Early Dynastic IIIa period: 2600 – 2500 BC

Early Dynastic IIIb period: ca. 2500 – 2334 BC

Akkadian Empire period: ca. 2334 – 2218 BC (Sargon)

Gutian period: ca. 2218 – 2047 BC (Early Bronze Age IV)

Ur III period: ca. 2047 – 1940 BC


수메르의 도시국가들은 선사시대의 우바이드기와 우루크기에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기원전 29세기경 초기 왕조 시대부터 역사적 기록들이 드물게 발견되기 시작하여, 기원전 26세기경 라가시기부터는 많은 자료들이 발견되고 있다. 고대 수메르는 기원전 24세기에 아카드 제국이 들어서면서 막을 내린다. 이후 구티인 지배 시기를 지나, 기원전 22세기 "수메르 부흥기"를 맞았다가, 20세기경에 아모리인이 침입한다. 아모리인의 이신 왕조는 기원전 1730년, 메소포타미아가 바빌로니아 지배하에 들어갈 때까지 유지된다.


우바이드기Ubaid period


우바이드기(期) 동안에 특징적인 양식을 갖는 양직의 도기류들이 메소포타미아와 페르시아만 영역에 분포되고 있다. 당시 수메르인의 종교적 중심지는 에리두였으나, 인근의 도시인 우루크가 점진적으로 성장하여 에리두를 추월하게 된다. 고고학적으로 우바이드기에서 우루크기로의 이동은 느린 물레에서 만들어진 채색 토기에서, 빠른 물레에서 양산하여 만든 비채색 토기로 바뀌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제4우바이드기에서 초기우루크기로의 이러한 변화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대략 기원전 45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우루크기Uruk period


우루크기 (기원전 4500년~3100년)에 이르러, 대량의 물품이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운하와 수로를 통해서 거래되면서, 거대한 신전중심 도시들이 많이 세워졌고, 집권화된 관료층이 전문화된 일꾼들을 고용하였다. 이 시기에 노예 제도가 시작되었다는 많은 증거가 발견되고 있다. 많은 공예품과 우루크의 식민지들이, 터키의 타우루스 산맥과, 지중해 서안, 이란 중부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수메르 상인들과, 이민자들에 의해서 우루크기의 문명은 모든 주변세력에게 영향을 미쳤고, 점차 주변세력들도 경제적으로네 문화적으로 비교될 만큼 성장하였다. 그러나 수메르의 도시들은 먼 거리의 식민지를 무력으로 제압할 만한 군사력은 갖추지 못했다.


우루크기의 끝은 기원전 3200년~2900년 경의 기후 변화 시기와 일치한다. 이 시기에 홀로세 최적기후(Holocene climatic optimum)라고 불리는 따뜻하고 습도가 높은 기후가 끝나고, 건조한 기후가 지속되었다.


역사적 기록들은 대체로 수메르인이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한정되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루갈안네문두(Lugal-Anne-Mundu)와 같은 왕은 지중해, 타우루스, 자그로스까지 영역을 넓혔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그보다 조금 전에, 에리두 문화가 우루크 문화로 넘어가는 역사적 과정의 신화와 관련되어 있는 엔메카르와 길가메시와 같은 왕들도 넓은 지역을 통치하였다.


초기 왕조Early Dynastic Period


ca. 2500 – 2270 BC


고대 수메르의 왕들의 목록이 초기 왕조들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많은 고대 왕명표와 마찬가지로, 전설적인 이름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목록에서 다른 문서에서 찾을 수 있는 첫번째 왕은 에타나(Etana)로, 키시의 첫번째 왕조의 13번째 왕이다. 고고학적으로 발굴된 첫번째 왕은 키시의 엔메바라게시(Enmebaragesi)로 왕조의 22번째 왕이자, 끝에서 두번째 왕이며, 길가메시 서사시에서도 이름이 언급되고 있다. 당시 패권이 키시에서 우루크로 넘어갔던 것으로 미루어, 길가메시가 우루크의 전설적인 왕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움마의 제사장-왕, 루갈자게시(Lugal-Zage-Si)는 라가시 왕조를 전복시키고, 우루크를 정복하여 새로운 수도로 삼고, 페르시아 만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제국을 세웠다. 그는 솀어족의 아카드왕 사르곤이 등장하기 이전의 마지막 수메르인 왕이었다.


라가시 왕조 1st Dynasty of Lagash


ca. 2083 – 2050 BC (short chronology)

 

                                           Fragment of Eannatum's Stele of the Vultures


라가시 왕조는 많은 유적들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중 기록상 최초의 제국은 에안나툼의 제국으로, 그는 수메르의 키시, 우루크, 우르, 라르사 등 모든 도시들 실질적으로 지배하였고, 경쟁 도시였던 움마로부터는 조공을 받았다. 또한, 그의 영토는 페르시아 만을 따라 엘람의 일부까지 미쳤다. 그는 통치를 위하여 공포(terror)정치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 발굴된 독수리 석비에서 적을 무자비하게 대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아카드 왕조Akkadian Empire


ca. 2270 – 2083 BC (short chronology)


솀어족의 아카드어는 기원전 2800년경부터 사용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기원전 2500년경부터는 완전히 고대 아카드어로만 씌어진 책을 찾을 수도 있다. 고대 아카드어가 가장 널리 사용된 기간은 사르곤왕 때에(기원전 2270 – 2215 ) 경이지만, 그 기간에도 대부분의 행정관련 서판에서는 서기들이 주로 사용하던 수메르어로 씌어져 있다. 겔브(Gelb)와 베스텐홀츠(Westenholz)는

세가지

고대아카드어 방언--

사르곤이전, 사르곤시대와 아가데지방, 우르 제3 왕조기--

을 구별해 냈다.


아카드어와 수메르어는 대략 1000년정도 (기원전 2800년~1800년) 지속되다가 결국에는 수메르어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소르킬드 야콥슨(Thorkild Jacobsen)은 사르곤 이전 시대와, 이후 시대의 역사적 연속성의 단절이 거의 없다고 보고, 솀어족과 수메르어의 충돌이 너무 많이 강조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적어도 사르곤이 엘람을 정복했을 때 엘람인들에게 아카드어를 잠시 동안이나마 강요했던 것은 분명하다.


구티족 지배 Gutian period


ca. 2083 – 2050 BC


아카드 제국이 구티족에 의해 무너진 뒤, 새로운 수메르의 지도자, 라가시의 구데아(Gudea)가 부흥하기 시작하였고, 예술이 발달하고, 사르곤을 따라 신권 정치를 표방하였다.


2nd Dynasty of Lagash

 

                                                             Gudea of Lagash


ca. 2093 – 2046 BC (short chronology)


Following the downfall of the Akkadian Empire at the hands of Gutians, another native Sumerian ruler, Gudea of Lagash, rose to local prominence and continued the practices of the Sargonid kings' claims to divinity. Like the previous Lagash dynasty, Gudea and his descendents also promoted artistic development and left a large number of archaeological artifacts.


수메르 부흥기Sumerian renaissance


ca. 2047 – 1940 BC

 

                                          Great Ziggurat of Ur, near Nasiriyah, Iraq


그 후로, 우르-남무 왕, 슐기 왕 등의 우르 제3 왕조가 북부 메소포타미아 까지 영향력을 미치면서 마지막 수메르 부흥기를 맞았다. 그러나 이미 수메르 지역은 아모리족이 대거 유입되면서 솀어족의 성격이 더욱 진해져 있었다. 아모리족은 후에 바빌로니아 제국을 건설한다. 중세에 라틴어가 계속해서 사용되었던 것처럼, 설형문자가 계속해서 쓰이는 동안에는 수메르어도 여전히 학교에서 종교적 언어로 가르쳐졌다.


생태학적으로는, 수메르 땅의 염분의 증가로 인하여 농업 생산력이 감소하였다. 농업용수의 증발량이 많아지면서 토양에 녹아있는 염분이 증가한 것이 농업을 어렵게 만들었다. 기원전 2000년경부터는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규모가 작은 도시부터 서서히 수메르 문화가 와해되어 간다.


쇠망


엘람인의 침략과, 이비-신 지배 하(기원전 2004년)에서의 약탈 이후, 수메르는 다시 아모리 족의 지배하여 들어간다.(이 때 청동기시대로 접어든다.) 기원전 20세기~18세기의 아모리족 도시국가는 수메르의 왕명 목록에 "이신 왕조"로 기록되어 있고, 기원전 1730년 함무라비왕의 바빌로니아로 넘어간다.


이 시기는 일반적으로 토양의 염분 증가로 인한, 남부 이라크 지방으로부터 북부 지방으로 의 인구이동 시기와 일치한다. 이 지방에서 토양 염분 증가 문제는 아주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 경작된 토지에 배수가 잘 되지 않은 상황에서, 건조한 기후로 인한 수분의 증발은 토양 속에 소금 결정을 축적시키고, 결국은 수확량을 결정적으로 줄어들게 만들었다. 아카드 왕조와 우르 제3 왕조 동안, 밀 보다 염분에 더 강한 보리를 많이 경작하기 시작했으나, 그것으로는 부족하여, 기원전 2100년~1700년 사이 인구는 거의 3/5로 줄어들었다.


인구 주민 Population

 

        First farmers from Samarra arrive in Sumer, and build shrine and settlement at Eridu


문화


수메르인은 매해 봄마다 수태 준비를 마친 대지에 씨를 뿌린 뒤 탐무즈의 부활제를 올렸다. 그들은 탐무즈를 성장의 신으로서, 대지의 여신이 탐하는 남성적인 힘의 상징으로서 숭배했다. 이러한 풍년제 기간에는 모든 아내들이 자신의 남편뿐 아니라, 좋아하는 다른 남자와도 잘 수 있는 권리를 남편에게 인정받고는 자유롭게 사랑의 상대를 선택할 수 있었다. 그렇긴 하나 남편 이외의 연인의 정액은 밖으로 흐르게 하여 임신하지 않도록 스스로 주의해야 했다. 그렇지 않으면 결혼의 의무를 저버리기 때문이다.


언어

 

                          This page may contain IPA phonetic symbols in Unicode.


Archaic Sumerian — 3100 – 2600/2500 BCE

Old or Classical Sumerian – 2600/2500–2300/2200 BCE

Neo-Sumerian — 2300/2200 – 2000 BCE

Late Sumerian — 2000 – 1800/1700 BCE

Post-Sumerian — 1800/1700 – 100 BCE


수메르어는 메소포타미아 남쪽의 고대 수메르족이 쓰던 언어이다.


수메르인들은 기원전 3000년대 말 경에 점토에 문자를 새기기 시작하였다. 이때에는 상형문자에 가까웠으며 단순한 행정기록만을 남길 수 있었다. 이후 수 세기 동안 문자체계를 수정하고 형성하여 아주 양식화된 순수한 표음문자 체계로 발전하여 기원전 2500~2000년 사이에는 가장 복잡한 역사적, 문학적 작품도 어렵지 않게 표현할 수 있는 충분한 감각과 유연성을 갖춘 쐐기문자(설형(楔形)문자) 체계가 되었다. 기원전 2000년대가 끝나기 전에 수메르 인들이 점토판, 기둥, 원주 등에 당시까지 구전되어 내려오던 문학적 창작물들을 새겼다.


기원전 2000년 말기에 셈 족인 아카드 인들이 점진적으로 수메르를 정복하면서 수메르 문자를 받아들이고 수메르어가 구두언어로 사멸한 지 오랜 뒤에도 그들은 그것을 공부하고 모방했다. 따라서 수메르의 단어와 어구를 아카드어로 번역한 인류에게 알려진 가장 오래된 사전이 편찬되어 수메르어의 단어 의미, 문법, 소리를 알아내는 데 절대적인 도움이 되었다.

 

Letter sent by the high-priest Lu'enna to the king of Lagash (maybe Urukagina), informing him of his son's death in combat, c. 2400 BCE, found in Telloh (ancient Ngirsu).


종교 Sumerian religion

 

                                         Tell Asmar votive sculpture 2750-2600 B.C

 

A cuneiform temple hymn from the 19th Century BCE; the hymn is addressed to the Lugal Iddin-Dagan of Larsa.


군사 Military

 

                                  우르의 군기(軍旗)에 그려진 초기 전차, 기원전 2600년

 

                                Battle formations on a fragment of the Stele of Vultures.

************************

참고문헌

↑ W. Hallo, W. Simpson,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1,page 28

↑ 가 나 다 K. van der Toorn, P. W. van der Horst <<Nimrod before and after the Bible>>, The Harvard Theological Review, Jan 1990, volume 83, issue 1, pp 1-29

↑ John Nicholas Postgate, <<Early Mesopotamia: Society and Economy at the Dawn of History>>, Routledge (UK), 1994

↑ 가 나 Sumerian Questions and Answers

↑ History of Sumer

↑ T. Jacobsen, <<Toward the Image of Tammuz and Other Essays on Mesopotamian History and Culture>>

↑ William R., Thompson <<Complexity, Diminishing Marginal Returns and Serial Mesopotamian Fragmentation>>, Journal of World Systems Research, 2004

↑ 파울 프리샤우어 [1968] (1991년 1월 15일). 《세계풍속사(상)》, 이윤기 번역, 서울: 도서출판 까치, 35쪽.

[위키백과]

'세계삼한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河)중부!   (0) 2009.08.24
하서주랑(河西走廊)   (0) 2009.08.23
신교총화[神敎叢話]   (0) 2009.07.30
세계 국가명 한자표기  (0) 2009.07.28
漢長城圖 (만리장성)  (0) 2009.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