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강-ASIA RIVER
[This a list of the thirty-two Asian rivers over 1,000 miles (1,600 km) in length]
******************
Aldan River
20위.Aldan River - 2,273 km - 1,412 miles
알단 강(러시아어: Алдан, 야쿠트어: Алдан)은 레나 강의 지류로, 동시베리아에서 두번째로 긴 강이다. 유역 길이가 2,273 km (1412 mi)이고, 이중 1,600 km (994 mi) 구간이 항행할 수가 있다. 스타노보이 산맥에서 발원을 한다. 네륜구리, 토모트, 우스티마야, 옐디칸, 한디가가 알단 강에 접해 있다. 알단 강의 주요 지류는 암가 강, 우추르 강, 마야 강이다.
알단강(Aldan, 러시아어: Алдан)은, 러시아·시베리아 동부를 흐르는 강이다. 레나강의 오른쪽 지류로, 길이는 2,273 km, 유역 면적은 72만 9,000 km2 있다. 레나강의 지류 중에서는 비류이(Vilyuy)강에 뒤이어 두번째에 길고 레나강의 수량의30%이상을 모은다. 알단강은 스타노보이 산맥의 북쪽 경사면에 출발한다. 수원의 북동에는, 남 야크트 탄전의 중심지가 되는 사하 공화국 유수한 탄광 도시 네류그리가 있다. 알단고지의 서쪽을 북서에 흘러 알단 및 톤모트(Tommot)
의 마을을 흐른 후 남동 방향을 바꾸고 완만하게 키타니시카타면에 돌아 우스치=마야(Ust-Maya)로 마야강을 맞춘다. 우츄르강으로부터 마야강의 사이는 산과 산의 사이가 열려 넓은 충적평야가 형성 되어 강은 蛇行・分流해 많은 초승달 호수가 주위에 남아 있다.
마야川合流 후는 북쪽에 방향을 바꾸고 에리디칸(Eldikan)을 흘러 한두이가(Khandyga)로 암가(Amga)강을 합하고. 여기로부터는 북서에 방향을 바꾸어 바타마이(Batamay) 부근에서 레나강에 합류한다. 항행 가능한 길이는 레나 合流点으로부터 1,600 km에 및, 최상류의 항구 톤모트는 철갑상어 (Acipenser sinensis) 등 알단강의 풍부한 수산자원을 반출하는 주요항이 되어 있다. 강은 5월부터 6월에 걸쳐얼음이 녹아 눈섞임물로 수면은 7 m에서 10 m상승한다. 또 8월과 9월은 홍수도 일어난다. 10월말에 강은 동결하고, 한해 7개월은 얼음이 언다.
주된 지류는, 왼쪽 지류 암가강, 오른쪽 지류는 우츄르(Uchur)강, 마야강등에서, 길이 10 km 이상 지류는 275개 있다. 알단강 기슭기슭의 평야에는 강이 남긴 5만 이상의 호수가 점재한다. 암가강은 알단강의 서쪽으로 병행해 같은 커브를 그리면서 흐른다. 우츄르강과 마야강은 동쪽의 오호츠크해 가의 쥬그쥬르(Dzhugdzhur Mountains)산맥으로부터 흐르고 동 시베리아의 레나강유역으로부터 오호츠크해로 빠지는 길에서 조우한다.
유역은 永久凍土지대에서, 얕은 위치에 암반이 있다. 암반은 수정을 많이 포함하고, 금, 석탄등의 광물자원이 풍부하여, 캄브리아기(Cambrian Period)의 화석도 다수 발견되고 있다. 또 유역에서는 대규모 수력 발전용 댐 계획도 있다.
Amu Darya
- Turkmenistan, Uzbekistan - Aral Sea14위.Amu Darya - 2,540 km - 1,578 miles
아무다리야강(Amu Darya, 러시아어: Амударья, 페르시아어: آمودریا, Darya (바다를 의미함))은 파미르 타카하라 고원에서 발원을 하여, 힌두쿠시 산맥을 빠져서 투르크메니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국경 지대의 북서쪽에서 흐르는 강이다. 원래는 아랄해로 흘러서 들어갔지만, 현재는 사막쪽에서 사라지고 있다. 연장 1450km (원래는 2400 km)."다리야"는 터키어로 "강"바다(바꾸어 대하)의 의미 페르시아어의 테르크어 이므로 "아무강"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그리스어 문헌으로 오크사스 Οξας Oxas 의 이름으로 기록되고 있는 강에서, 소그드어에서는 와후슈 (wxwšw)로 불리고 神格이 있는 대하에서 만났다. 또 사산왕조(Sassanid)시대에는 동방 경계인 후와라서( 後의 호라서) 지방과 소그드 지방을 명확하게 나누는 중요한 경계나 되어, 이슬람 시대가 되어도 호라서와 마와라안나훌을 나누는 경계가 되었다. 페르시아어의「아무-(·다르야)」외에 아라비아어에서는 쟈이훈강 حون Jayūn 라고도 칭해지고 있었다.
상류역에는 바다후샤나 트하리스탄 지방이 있어, 중류역은 자라후살 강水系의 브하라가 인접하고 있다. 그 외 하천 유역에는 대소 여러가지 도시가 점재하고 있어, 고대의 소그드 지방은 원래 중앙 아시아를 대표하는 중요한 하천이다.
카라쿰 사막과 키지르쿰 사막을 나누듯이 흘러 Aral 카이난기슭에 비옥한 델타 지대를 형성했다. 4~5 천년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해 농업을 했던 것이 점재하는 유적의 조사에서 판명하고 있다. 아무다리야강은 몇번인가 현저하게 流路를 바꾸고 있어 그 때문에, 사람들은 강이 흐름을 바꿀 때마다 성을 새로 만들었기 때문에, 그 하류의 동쪽만으로도 1000을 세는 都城자취가 남아 있다. 河畔沿의 주된 도시는, 우르겐치와 히바가 알려져 우르겐치는, 10 세기~13 세기까지 호라즘 왕국의 수도로서 14 세기까지 호라즘 지방의 중심으로서 돋보여 높이 67 m에 이르는 중앙 아시아에서 가장 높다고 하는 쿠트르그·티무르·미나렛트가 쌓아 졌다. 17 세기에 아무다리야의 流路가 바뀌면서, 남동 150 km의 히바에 번영의 중심이 옮겨짐. 호라서 지방에 남하하려고 하는 북방 유목민족에 대한 방위선으로 기능했다.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우즈베키스탄과의 국경이다.
Amur - China (Manchuria), Russia (Siberia) - Sea of Okhotsk
11위.Amur River - 2,824 km - 1,755 miles
Angara
30위.Angara River - 1,779 km - 1,105 miles (1,778 km)
Aras -Turkey
아라스강(영어: Aras River, Araks, Arax, Araxi, Araxes, Araz 또는 Yeraskh와도, 아르메니아어: Արաքս, 페르시아어: س、, 터키어: Aras, 아제르바이잔어: Araz, 쿠르드어: Aras 또는 Araz, 러시아어: Аракс)는, 터키, 아르메니아, 이란 및 아제르바이잔의 각국을 흐르는 전체 길이 1,072 km의 강이다. 크라강에 합류해, 최종적으로 카스피해에 흘러 들어간다. 카후카스를 흐르는 주요한 하천이 되고 있다.
아라스강은 트르코에르즈룸현의 에르즈룸 근교에 근원을 발한다. Kars 현에서 Akhurian강과 합류하여, 터키와 아르메니아의 국경을 따라 흘러 터키와 아제르바이잔의 나히체바 자치공화국을 잇는 回廊地帯의 근처를 통과한다. 아라스강은 한층 더 동쪽을 향해, 이란과 나히체바의 국경을 흐른다. 그리고 이란과 아르메니아, 이란과 아제르바이잔의 국경을 흘러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아제르바이잔 국내에 들어간다. 사비라바드로 크라강 강에 합류해 그 후 카스피해에 흘러든다.
아르메니아의 전언에 의하면, 아라스강의 유래는, 아르메니아의 전설상의 家長인 하이크의 증손의 이름, Arast로부터 왔고 이것이 희랍어화하여 Araxes가 되었으며 크라강이나 아라스강유역에 역사적 번영으로 인하여 크라=아라크세스 문화의 명칭을 따른 것이다. 그러나 헤로드트스의「역사」제1권쿠레이오에서의 기술에는 보르가강이 아라크세스강으로 불리고 있다.
근대에 와서는 아라스강은 정치적 경계를 나타내는 지리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있었다. 1813년의 고레스탄 조약, 1828년의 트르코만챠이 조약에서 아라스강은 러시아 제국과 가쟈르왕조와 국경으로서 설정 그 후 이란과 소련이 포르다슈트 지역에 댐을 건설하였다.
Argun River
32위.Argun River - 1,620 km - 1,007 miles
아르군강(Argun, 러시아어: Аргу́нь, 중국어: 额尔古纳河/額爾古納河, 만주어: Ergune bira)는, 유라시아 대륙의 북동부를 흐르는 강에서, 시르카강과 나란히 서는 아무르강의 큰 원류의 하나이다.
상류는 하이랄강(Hailar, 海拉尔河/海拉爾河)으로 불린다. 길이는 708km. 내몽고 자치구의 대흥안령 산맥의 西麓로부터 출발해, 내몽고 북단의 호론바일을 서쪽에 흐른다. 하이랄구로 伊敏河를 맞추어 아극석시(牙克石市)에서보다 하류에서 흐름은 완만하게 되어 강폭도 넓어져 호론바일 초원을 사행한다.
만주리시 부근에서 중국령의 호륜호(呼倫湖후룬·노르)로부터의 흐름을 맞추어 아르군강이 된다. 북동에 방향을 바꾸어 900 km 이상에 걸쳐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을 흘러 黒龍江省漠河県부근에서 시르카강과 합류해, 아무르강이 된다.
만주마을의 하류에 있어 항로의 중국 측에 있는 阿巴該図島는 1929년에 소련군이 점령한 이래 오랜 세월 중소·중로의 국경 분쟁의 촛점이었지만, 2004년의 국경 협정으로 중국에 귀속하게 되었다.
아르군 강물계에는, 하이랄강 외에 이민하, 근하, 패이자하(伊敏河、根河、貝爾茨河)등의 지류를 포함한다. 이것들은 대흥안령산맥의 서쪽으로부터 흘러 온 강이다. 또 호륜호는 통상은 강이 흘러드는 것만으로 출구가 없는 호수이지만, 수량이 많은 해에는 호수가 북부의 습지대로부터 넘쳐 나와 아르군강에 유입한다. 호륜호에는, 몽고 북동부의 헨테이 산맥(Khentii Mountains)을 원류로 해 몽고 국내를 흘러 온 케르렌강(克鲁伦河/克魯倫河) 중국·몽고 국경의 패이호(貝爾湖:보일·노르)로부터 흘러 온 오이손하(烏爾遜河)가 유입한다. 패이호의 상류는 중국·몽고 국경을 이루는 헐하강(哈拉哈河)이다.
Ayeyarwady River - Burma
22위.Ayeyarwady River - 2,170 km - 1,350 miles
에이야와디강(Ayeyarwady)은, 미얀마 중앙을 흐르는 강. 옛이름 이라와디강(Irrawaddy).
미얀마에서 가장 중요한 강이며, 접착제 인외 많은 하천항을 껴안는 水運의 요충지이다. 유역은 411,000평방 킬로미터(158,700평방 마일)를 가려, 전체 길이는 2,170 km(1,350마일)이다. 최대의 지류는, 에이야와디데르타 중앙부에서 합류하는 틴드윈강에서, 미얀마 북동부의 나가 구릉을 水源이 되고 있다.
히말라야 산맥의 남단을 원천으로서 미얀마를 북쪽에서 남쪽으로 종단하여, 9개로 나누어져 광대한 델타 지대 형태를 만들어 몰타 밴만에 흘러든다. 철도나 도로가 정비되기 전의 식민지 시대에는「만다레이에의 길」이라고 불리고 있었다.
어원은, Sanskrit어로 코끼리의 강을 의미하는 airavati 로부터 와 있다고 추정되고 있다. 1989년에 연방 정부는, 이 하천의 영어 표기를 낡은 버마어의 발음에 유래하는 Irrawaddy 로부터 현대 버마어의 발음에 가까운 Ayeyarwady 로 개칭했다. 거기에 맞추어 이라와디강으로부터 에이야와디강으로 바뀌고 있고 병기 되고 있다.
Buriganga River - Bangladesh
The Buriganga River (Bangla: Buŗigônga "Old Ganges") is the main river flowing beside Dhaka city, capital of Bangladesh. The average depth is 39 feet (12 m) and maximum depth is 93 feet (28 m).
Büyük Menderes( Maeander) - Turkey
멘데레스강 (Menderes)은, 터키 남서부, 아나트리아 타카하라의 산지에서 서쪽으로 흘러 사모스섬의 남쪽에서 에게해에 흘러 들어가는 강. 고명 마이 앤드 로스 (Maiandros). 전체 길이 584킬로미터. 대멘데레스강이라고도 불린다. 왼쪽 멘데레스강, 오른쪽 멘데레스강, 치네강, 류코스강은 그 주된 지류이다. 유역은 관개화가 진행되어, 또 지중해식 기후에 속하기 때문에 곡물, 면화, 담배, 무화과나무등을 산출하여 터키에서 유수한 농업 지대를 형성한다. 또 산지를 멀리하면서 북쪽을 평행 하여 흐르는 강을 소멘데레스강이라고 부른다.
Brahmaputr- 브라마푸트라 강 (雅鲁藏布江)China (Tibet), India (Assam), Bangladesh - Bay of Bengal 10위.Brahmaputra River - 2,900 km - 1,800 miles
흑수인가?
길이 2,900 km. 유역면적 93만 km2. 브라마푸트라는 산스크리트로 ‘성자(聖者)의 자식’이라는 뜻이며 티베트어로는 창포라 하고, 중국어로는 야루짱부라 한다. 히말라야산맥 북쪽, 중국 티베트 고원 남부에 있는 카일라스산맥에서 발원하여 인도의 아삼 지방을 지난 다음 방글라데시에 들어가 갠지스강과 합류하면서 광활한 삼각주를 형성하는 아시아 굴지의 큰 강이다. 카일라스산맥과 히말라야산맥 사이에 기다란 종곡(縱谷)을 만들며 동류하다가, 히말라야 최동단의 남차바르와산(7,756 m)의 동쪽에서 남쪽으로 꺾여 깊은 협곡을 이루며 아삼으로 흘러내린다. 아삼의 사디야 부근에서 루히트강(江) 및 디방강과 합쳐지며, 그 다음부터 브라마푸트라강이라고 부른다. 처음에는 서쪽으로 흐르다가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방글라데시에 들어가서는 자무나강이 되며, 갠지스강과 합류한 다음 파드마, 메그나강을 거쳐 벵골만에 흘러든다.
티베트에서는 계곡 바닥의 고도가 4,000 m 이하, 특히 동부에서 3,000 m 안팎이 되어 티베트의 가장 중요한 농업지역을 이룬다. 또 동부지구는 대원시림이며, 티베트 중부의 라쯔[拉孜]로부터 라싸[拉薩] 동쪽의 쩌당[澤當]까지 목선과 가죽뗏목이 통한다. 하구로부터 1,300 km 상류에 있는 아삼 동부의 디브루가르까지 항행이 가능하며 하류 유역에서는 쌀과 황마가 산출된다. 티베트의 창포강과 브라마푸트라강이 같은 강의 상류와 하류라는 사실이 확인된 것은 1884년이었다. [두산백과]
雅鲁藏布江,下游称布拉马普特拉河(英语:Brahmaputra River),亚洲主要大河之一,全长2900公里以上,被藏族视为“摇篮”和“母亲河”。以长度来说为中国第5大河(仅次于长江、黄河、黑龙江和珠江)、西藏地区第一大河,以水量来说是印度和孟加拉国的第二大河(仅次于恒河)。它的上游是世界海拔最高的大河,也是中国坡降最陡的大河。在藏语中雅鲁藏布江意为“高山流下的雪水”,梵语中布拉马普特拉河意为“梵天之子”。雅鲁藏布大峡谷为世界第一大峡谷。
The Yarlung Zangbo or Yarlung River, or Yalu Zangbu River (simplified Chinese: 雅鲁藏布江; traditional Chinese: 雅魯藏布江; pinyin: Yǎlǔ Zàngbù Jiāng), or Yarlung Tsangpo (alternative transcription) originates upstream from the South Tibet Valley and Yarlung Zangbo Grand Canyon, in Tibet.
Yarlung Zangbo River, whitewater
Yarlung Zangbo River, sediment
Cagayan - Philippines (Luzon)
Chao Phraya
- Thailand - Gulf of Thailand체오프라야강(타이어:แม่น้ำเจ้าพระยา, 라틴 문자 전사:Chao Phraya)는, 타이의 방콕등을 중심으로 흐르는, 태국내의 큰 하천의 1개이다.
체오프라야강은 난강과 핀강이 교차하는 지점, 나콘사원현에서 시작된다. 체오프라야강의 수량의 크게를 공급하는 지류는 핀강이다. 체오프라야강계통의 강은 16,000 km2의 방수량을 가진다.
체오프라야강유역의 현은 방콕의 밖 우타이타니현, 체이나트현, 신브리현, 안토현과 아유타야현이다. 체오프라야강은 370 km에도 미치지못하지만 체이나트현에서 타틴강과 체오프라야강에 2분되어 타틴강은 체오프라야강과 평행에 흐른 후 삼트서콘현으로부터 체오프라야강은 삼트프라칸현으로부터 태국만에 이른다.
방콕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 습지대에서는 농업용 혹은 운반용으로 운하가 파져 세계에서도 유수한 벼농사 지대로 발전했다. 이것을 체오프라야·델타(삼각주)라고 한다.
덧붙여 이전에는 메남강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것은 현지에서「메이남·체오프라야」(메남은 강의 의미)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을「메남」이 강의 이름이다고 오인한 것에 의하는 것이어 분명하게 부적절한 호칭이다. 그 때문에 현재는 메남강이라고 불리는 경우는 거의 없어졌다.
Euphrates River
12위.Euphrates River - 2,800 km - 1,740 miles
(아)Furāt (그)Euphrates (라)Euphrates. 터키어로는 Firat, 수메르어로는 Buranunu, 아카드어로는 Purattu, 고대 페르시아어로는 Ufrat, 성서에서는 Perath. 서아시아 최대의 강.
유프라테스강(Euphrates)은 터키 북동부의 산지를 원류로서 시리아를 통과해, 이라크에서 티그리스강과 합류해 샤트알아랍 강이 되어, 최종적으로 페르시아만에 흘러 들어가는 국제 하천이다(하구 부근은 이란과 이라크의 국경이 되어 있지만, 국경선의 위치를 둘러싸고 분쟁이 되고 있다). 전체 길이 2780킬로미터. 그렇지만 유프라테스강 水系 本流의 전체 길이는 샤트알아랍 강과 합친 2980 km가 된다. 유프라테스Ευφράτης Euphrátēs 는 유래하는 라틴어명의
Euphrates에 연관되어 아라비아어에서는 후라트 الفراتal-Furāt 터키어에서는 후라트 Fırat 라고 한다.
터키의 아르메니아 고원에서 발원하여 시리아를 가로질러 남동쪽으로 흐르다가 이라크 남부에서 티그리스 강과 합류, 알아랍 강을 형성한 후 페르시아 만에 도달하기까지 총 2,700여km를 흐른다.
유프라테스 강은 지형학상 3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① 유프라테스 강 상류:북쪽 지류인 카라('혼탁하다') 강과 동쪽 지류인 무라트('맑다') 강으로 시작한다. 두 지류는 아르메니아 고원의 좁고 깊은 협곡들이 이어진 다소 넓은 계곡을 흐르다가 엘라 남서쪽 50km 지점에서 합류한다. 이곳에서부터 유프라테스 강이 되어 터키 남부의 타우루스 산맥의 주요지맥 사이로 험준한 굴곡부를 계속 흘러 터키의 시리아 고원에 있는 삼사트 마을에 다다르면 그 낙차가 300m에 이른다.
② 유프라테스 강 중류:시리아 고원의 삼사트에서 이라크 저지대의 히트까지 약 1,500km 구간을 포함한다. 강은 고원을 수십m로 깎아지른 가파른 계곡을 흐르며 너비 3~6km의 범람원을 형성한다. 알카부르 강을 비롯한 유프라테스 강의 주요지류는 대부분 이곳 중류에서 합류한다.
③ 유프라테스 강 하류:시리아 고원에 있는 히트의 침식계곡에서 시작되어 이라크의 평원으로 흘러들며 그곳에서 유량과 속도가 감소한다. 그 이유는 이 지역의 기후가 건조하여 지표수가 많은 부분 증발해버리거나 늪지대로 스며들거나 관개수로 이용되기 때문이다.
삼각주에서는 광범위한 퇴적작용이 일어나며 여러 갈래의 수로와 늪지, 얕은 호수들로 물이 빠지는 바람에 강의 흐름이 느려진다. 이들은 유프라테스 강의 유량을 상당 부분 흡수하는데, 흡수량은 계절에 따라 변동이 심하다. 히트에서 알무사이이브까지는 한줄기로 흐른다. 이 두 지점 사이의 알팔루자에서 유프라테스 강은 티그리스 강에 가장 근접하게 된다. 알무사이이드 바로 아래에서 옛 주요수로였던 동쪽의 알힐라 강과 현재의 주요수로인 알힌디야 강으로 갈라진다. 두 지류는 그곳에서부터 175km 떨어진 앗사마와야 근처에서 합류하여 안나시리야까지 계속 흐른다. 안나시리야에서 강은 다시 수많은 수로로 나누어지고 늪지로 스며든 후 알함마르 호 동쪽에서 마침내 티그리스 강과 만난다. 이곳부터는 합류한 두 강이 아라비아 강이라는 이름으로 페르시아 만까지 193km를 흐른다.
유프라테스 강은 계절에 따라 유량이 일정지 않기 때문에 그 범람을 통제하기가 힘들며 특히 이라크에서는 알맞은 관개시설을 마련하지 못해 큰 어려움을 겪었다. 수세기에 걸쳐, 특히 오늘날에 와서는 둑·제방·저수지·댐·운하를 비롯해 각종 배수시설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유프라테스 강 유역은 수메르 시대부터 아바스 시대에 이르기까지 남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배경이 되었다. BC 1000년경부터 강의 남쪽 유역에서는 바빌로니아가, 중류 지역에서는 아람이, 북쪽 유역에서는 히타이트가 일어났다. 아람 일대에는 후에 아시리아 제국이 형성되었다. 나중에 시리아 쪽 유프라테스 강은 로마와 파르티아의 국경이 되기도 했다.
유역 인구 500만명. 연안 지역에서는 농업·유목이 많이 영위되고 있다. 이라크 국내에서는 매우 완만하게 흘러 뗏목과 같은 원시적인 배로도 꽤 상류까지 항행할 수 있다. 수천 년전 이 강과 근처의 티그리스강의 물은, 이른바 [비옥한 초승달 지대]를 형성하여 중동 최초의 문명을 구축하는 것에 공헌했다. 하류지역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발상지로서 알려져 고대 로마와 파르티아 및 사산왕조(Sassanid)의 경계선(리메스)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던 강이다. 이 2개의 강은 이라크 국내에서 같이 흐르고 있다.
이 강은 이라크 국내에서는 다습 초원을 만들고 있었지만, 1990년대에 대통령 사담 후세인에게 비협력적인 민족(머쉬·아랍)을 배척하기 위해서, 다습 초원을 간척 해 버렸다. 배수 장치는 2003년의 이라크전쟁으로 파괴되었지만 다습 초원대가 부활할지는 불분명하다. 구약 성서에도 나오고 있어 그 근원은 에덴 동산이라고 된다.
고대 로마의 시인 마르크스·마니리우스는, 사랑의 여신 웨누스가 괴물 테폰으로부터 피하기 위해 이 강에 몸을 던져 물고기로 변신했다고 전하고 있다. 이 전설에는 뛰어든 강을 Nile강이나 에리다누스강으로 하는 경우도 있지만, 어쨌든 물고기자리와 연결시키고자 했다고 보여진다.
Ganges River - India
15위.Ganges River - 2,510 km - 1,560 miles
갠지스 강(Gandhi강 Ganges, 힌디어: गंगा 강가)은 인도 북부를 흐르는 큰 강이다.
전체 길이는 2506km, 유역 면적은 840000km 이다. 히말라야 산맥의 간고토리 빙하에서 발원하여 인도 북부를 동쪽으로 흐 르다가 비하르 주 동쪽 경계에서 남동으로 방향을 바꾸어 벵골 평야를 지나 벵골 만에 흘러든다. 갠지스 강은 힌두인에게 성스러운 강이며, 바라나시나 하리드와르와 같은 힌두 성지를 거쳐 흐른다. 하류의 삼각주에는 슌도르본('아름다운 숲'이란 뜻)이라 불리는 매우 큰 홍수림이 있다.
Gandhi(간지즈)는 영어로 본래는 강은 붙이지 않는다. 힌디어나 Sanskrit에서는 간가 (गंगा Gangā) 간가는 강의 여신의 이름이기도 하다. 한명항하(漢名恒河)(황하).
히말라야 산맥의 남 산기슭 간고트리 빙하를 수원으로 하여 상류부에서는 바기라티(भागीरथी)의 이름이 있다. 데이오프라야그 부근에서 지류 아라크난다강과 합류해, 거기로부터 간가로 불리게 된다. 북쪽 인도의 평원 지대(Gandhi 평야의 이름이 있다)를 흘러 많은 분류를 만들어, 방글라데시에 들어가, 뱅갈만으로 흘러든다. 하류역에서는 브라후마프트라강과 합류해, 브라후마프트라강 및 분류되어 광대한 삼각주 지대를 형성한다. 分流의 대표적인 것은 콜카타(Kolkata) 부근을 흐르는 후그리강, 방글라데시에 흐르는 파드마강이 있다. 전체 길이는 2506 km, 유역 면적은 1730000(브라마프트라강 水系를 제외하면 840000) km2. 뱅갈만에 가까운 델타 지대는 술드르본(벵골어로 아름다운 숲의 뜻. 술다반즈)로서 알려진 세계 최대급의 홍수림숲에서 벤가르트라의 생식지의 하나이다. 세계 자연 유산에 등록되어 있다.
강가에는 워라나시(배너 라스)등의 수많은 성지가 있어, Gandhi강 그 자체도 성스러운 강으로 간주해진다. 사망자를 그 강가에서 화장하여 재를 이 강에 뿌리는 것은 사망자에 대한 최대의 경의로 여겨진다. 또 신앙에 의해 이 강에서 목욕 하기 위해서 순례 오는 신자도 많다. 그 반면 매년 이 강에서 익사하는 사람의 수도 많다고 한다.
불전에서는, Sanskrit-의 간가보다 恒河(황하)라고 적는다. 10.52의 단위인 恒河沙는 Gandhi강의 모래라고 하는 의미이다.
현재 Gandhi강은, 인도 정부에 의해 고도 성장의 전력을 확보하기 위한 댐의 건설이 주민에게 무단으로 진행되어 소멸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더욱, 수력을 늘리는 것으로 수력 발전의 효율을 올리는 목적으로, 상류의 도중에 지하로 향해 터널을 파, Gandhi강 지하에 통할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이 댐의 건설은 이미 여러가지 피해를 낳고 있다. 다이너마이트로 산을 폭파하기 때문에 길이 막힐 수 있어 왕래를 할 수 없게 되며(아이들을 학교에 가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집벽에 균열이 생겨 아이가 다치며 유일한 생활 용수·농업용수의 오염, 고갈 등이 발생하고 있다. 또 이 근처의 지역은 과거에 큰 지진 재해를 경험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영향이 걱정되고 있다. 시멘트가 강에 흐르기 시작하여 용수로를 지나 논에 흘러들어, 일면의 논이 굳어져 불모의 땅이 된 토지도 있다. 또 자연 경관의 손상에 의해 관광업에도 지장이 많다.이상과 같이, 갠지스강의 소멸 자체의 문제와 주민의 생활에 관한 다대한 영향, 자연 파괴·동물의 영향, 문화나 신앙의 대상으로 한 Gandhi강의 소멸이 위구심이 되고 있다.
현재, 인도국내에서 아직 국민에게 거의 이 계획이 알려지지도 않으면서 진행되고 있고 세계의 다른 나라들로부터 그 계획을 중지 할 것을 요구하는 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Ghaggar-Hakra River
가가르-하크라강이란, 현재의 파키스탄 북부 펀잡 지방에서 인도 북동부 그쟈라트주 까지를 유역으로 한 고대에 인더스강과 병행해 흐르고 있었다고 여겨지는 하천의 명칭.
리그·베다 (인도의 성전)에 사라스바티 되는 강의 기술이 있어 그 소재는 오랫동안 불명했지만 옛 河道 추적이 인공위성으로 확인되어 리그·베다 (인도의 성전)의 기술과도 잘 합치하기 때문에, 환상의 강 사라스바티이라고 분류하고 있다.
인도 측의 호칭이 갓갈 로, 파키스탄의 연구자는 하곳간 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가가르-하크라강으로 불린다. 기원 전 2000년경 지각변동으로 토지가 융기하여, 인더스강의 流路가 바뀌는 것과 동시에 가가르-하크라강이 바싹 말라 학강이 되었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인더스 문명의 수상 교통망이 토막토막 끊겨 거듭되는 인더스강의 홍수와 염해에 의해 경지가 거칠어져 결국 인더스 문명 멸망의 주된 요인이 되었다고 생각되고 있다.
가가르-하크라강의 상류에 해당하는 인도, 라쟈스탄주 북단부에는, 칼리 밴 암의 대도시가 번영하고 있던 것을 시작해 현재는 건조해 사막과 같이 된 지역은, 고대에는 환상의 강 가가르-하크라강 흐르고 있어 옛河道 가에 인더스 문명의 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근년 발굴된 드라비라 유적은 그 하구 부근에 있어 멀게 메소포타미아와의 해양 교역의 거점으로 만났던 것이 밝혀지고 있다
Godavari - India
고다바리강(,గోదావరి, Godavari), 혹은 고다바리강(गोदावरी)은 데칸 高原을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횡단해 뱅갈만에 이르는 강. 하구는 크리슈나강의 북측, 동쪽 가트 산맥의 남쪽에 있다. 상류는 마하라슈트라주 북동부, 하류는 오릿사주와 안드라·프라데이슈주의 주 경계 부근에 위치한다.
테르그어에서는, 표기대로 고다바리(గోదావరి)라고 발음된다. 타밀어에 대해도 같이
(கோதாவரி)이다. 한편 북쪽 인도계의 Sanskrit어, 힌디어나 마라티어등으로는, 고다바리라고 말끝이 장음이 되고 있다(गोदावरी).
인도의 서쪽의 아라비아해로부터 80 km의 곳에 근원을 발하지만, 동쪽의 뱅갈만에 이르고 있다. 그 연장은 1465 km이며, 유역 면적은 313000 km2 이다. 댐이 다수 설치되고 있어 관개나 발전에 이용되고 있다. 하류는 비옥한 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Habur (Khabur) Turkey, Syria
하브르강(하불강, 카불강, Khabur, Habor, Habur, Chabur, 아람어:ܚܒܘܪ, 쿠르드어:Ceme Xabur, 아라비아어:نهر الخابور Bahr al-Chabur)는 유프라테스강의 큰 지류의 하나. 터키 남동부의 마르딘현의 구릉지대 투루·아브딘 지방(Tur Abdin)에 출발해, 남쪽으로 흘러 시리아 영내에 들어간 후 건조한 쟈즈라 지방의 평원을 관철하고, 지류 쟈그쟈그강을 맞추어 동국동부의 아브·세라이(Abu-Serai, 데리조르보다 하류, 고대의 키르케시움/카르케시온 Circesium )로 유프라테스강에 흘러 들어간다. 서쪽으로 병행하여 흐르는 물이 많은 바리후강과는 달리 하브르강은 한해 대부분 와디(Wadi)가 되어 물은 거의 흐르지 않는다.
지류에는 아웨이지강(Aweidj), 다라강(Dara), 지르지브강(Djirdjib), 쟈그쟈그강(Jaghjagh), 랏드강(Radd), 제르간강(Zergan)등이 있지만, 이것들도 이와 같이 한해 상당수는 물이 흐르지 않았다. 이러한 지류의 대부분이 흐르는 하브르 上流유역은, 북쪽은 터키 남동부의 산지, 남쪽은 쟈즈라의 평원안에 우뚝 솟고 동서 방향에 치우치는 아브다르아지즈 산지(Abd Al-Aziz Mountains) 및 신쟈르 산지(Sinjar Mountains)에 끼워진 지역이며, 메소포타미아 남부보다 우량이 많다. 신석기시대에는 야생의 콤기 등 곡물의 채집이 시작되어, 현재는 시리아의 곡창지대가 되고 있는 지역이다. 이러한 지류는 Al-Hasakah의 거리의 근처에서 합류해, 아브다르아지즈 산지와 신쟈르 산지의 사이를 지나 평야부로 나가, Al-Hasakah현을 관철하고 데리조르현의 아브·세라이로 유프라테스로 합류한다.
터키 남동부에 같은 이름의 강이 있다. 이 하브르강은 터키의 시르나크(Sirnak)에 발해 이라크 영내의 더호(Zakho)에 들어가 터키·시리아·이라크의 3개국이 접하는 지점에서 티그리스강에 합류하고 있다.
현재 발견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 최고급의 도시인 하모우칼(텔·하모우칼, Hamoukar)을 시작해 텔·하라후(Tell Halaf), 텔·엘·파하리야(Tell el Fakhariya, 미탄니의 수도 와슈칸니로 하는 설이 있다), 나갈(Nagar, 현재의 텔·브라크 Tell Brak), 시후나(Shekhna, 압사 리어의 삽시·아다드 1세의 왕도 슈바트·엔릴로, 현재의 텔·레이 런 Tell Leilan), 우르케슈(Urkesh, 현재의 텔·모잔 Tell Mozan) 등, 시리아의 최북동부에 있는 신석기시대에 거슬러 올라가는 중요한 고고학 유적은, 하브르강과 그 지류의 유역에 산재하고 있다.
이 주변은 야생의 콤기등의 채집이 시작된 땅이며, 후에 콤기는 레반트로 인위적으로 재배되게 되어, 메소포타미아 남부에서 관개 농업에 의해 대량으로 생산되게 되었다. 북쪽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에서 기원 전 2 천년기전반의 유적으로부터 발견되고 있는 채색 도기는, 이 강의 이름을 취해 하브르 토기(Khabur ware)로 불린다. 이 토기를 만든 후르리인은 하브르강유역을 거점으로서 국가를 건립하여 그 중에서도 미탄니 왕국은 기원 전 1500년대부터 기원 전 1300년대에 걸쳐, 오리엔트 세계에 강국으로서 군림했다.
고대의 기록에는, 하브르강은 카보라스강(Chaboras)으로서 등장한다. 구약 성서의 렬왕기나 역대잡지 하에서는 압사 리어의 왕 티그라트·피레셀 3세가 요르단강 동해안에서 잡은 이스라엘 왕국의 백성의 일부를 포로하여 하브르강유역으로 이주시켰던 사실이 쓰여져 있다. 제사장으로 예언자의 에제키엘은, 칼디아의 땅의 케발강(Chebar)의 부근에서 포로로 있었을 무렵, 하늘이 열려 신의 환상을 보았다고 한다(에제키엘서 1장). 이 케발강은 하브르강이라고 하고 있지만, 바빌로니아의 니플시 부근의 관개용 운하이며 하브르강과는 구별된다고 생각되고 있다. 렬왕기는, 압사 리어의 샤르마네셀 5세에 의해 사마리아로부터 연행된 이스라엘 왕국의 수장이 하브르강유역의 고잔(Gozan, 그자나 Guzana, 현재의 텔·하라후)에 이주 당했던 것에서도 설명하고 있다(렬왕기하 17장 6절…헤라, 하볼, 고잔강, 미디어의 마을들에 살게 했다, 동18장 11절 헤라, 하볼, 고잔강, 미디어의 마을들에 머무르게 했다).
1960년대에 시작한 하브르강계획에서는 많은 댐이나 관개용 운하가 만들어졌지만, 한편으로 유구의 수몰등도 염려되었기 때문에 발굴이 권유되었다. 현재 하브르강이나 그 지류의 상류역(터키 및 시리아에 걸치는 지역, 크루디스탄의 일부)은 16,000평방 km에 미치는 비옥한 농촌 지대가 되어 특히 시리아에 주요한 밀생산지대나 되고 있다. 또 하브르강유역 북동부의 카미슈리 부근은 시리아의 석유생산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Hai - China - Yellow Sea
해하(海河, 拼音: Hǎi Hé)는, 중공을 흐르는 큰 하천의 하나. 華北에서도 최대급의 강에서, 북경시와 天津市의 전역, 하북성의 대부분, 허난성·산둥성·산서성·내몽고 자치구의 각각 일부를 유역에 포함해, 발해에 유입된다.
天津市域에서 5개의 하천이 합류해 海河가 된다. 즉 북쪽운하, 北運河、南運河、大清河、子牙河 및 永定河이다. 남운하는 항주로부터 북경에 이르는 대운하의 일부로, 산서성의 太行山脈으로부터 흐르는 衛河의 하류 부분을 이용해 건설되고 있어 산山東省聊城・臨清市의 衛河 合流点으로부터 天津市까지의 524 km를 흐른다. 북쪽 운하도 대운하의 일부를 이루어, 북경시 北西쪽의 昌平区의 燕山山脈으로부터 흐르는 温榆강이 북경의 동남의 通州区(通県)로 북쪽 운하와 이름을 바꾸어 북경에서 청진까지를 묶는 대운하의 일부를 이룬다. 북쪽 운하는 북경으로부터 발해에 나오는 수로로서 중요하고, 도중에 북경 동부의 중요한 수로인 조수 白河(潮河와 白河의 합류로 형성된다)와도 합류하고 있었기 때문에, 근대 초기의 서양인에게는 海河전체가 白河(Bai He, 古자료에서는 Pei Ho)로 불리고 있었다.
최장의 지류·濁漳河의 원류에서 河口까지의 거리는 1,329 km에 이르지만, 天津(子牙河 北運河의 합류점, 청진시내의 金剛橋 三叉河口)으로부터 河口(塘沽区의 大沽口)까지의 海河本流의 길이는 불과 73 km, 직선 거리에서는 50 km미만이다. 三叉河口는 天津市의 紅橋区・河北区・南開区가 만나는 지점에 있어, 여기에서 하류에서는 右岸은 河東区와 東麗区、좌안은 和平区・河西区・津南区가 된다. 最下流部는 塘沽区에 속해, 큰 항만, 화학 공장, 조선소등이 집중한다. 유역 면적은 32만 평방 km 근처가 되어, 1억 2400만명이 생활한다.
海河는, 청진에서 더해지는 남운하를 통해서 대운하와 연락하고 있어 황하 수계나 장강 수계에도 연결되고 있다. 海河水系의 衛河・子牙河・永定河・海河는 이전에는 합류하지 않고 다른 하구에서 발해에 이르고 있었지만, 북경으로 향하는 대운하의 건설과 동시에, 水運으로 보다 많은 하천을 잇기 위해서 하류 부분을 새로 접하는 청진 부근에서 하나로 합류하게 된다.
토사와 치수
海河하류는 저지대이며, 만조시에는 강의 물은 하류에서 상류에 역류 해, 간조시에는 상류에서 하류에 흐른다. 바다의 조석과 강의 흐름이 일치하는 것이 「海河」의 이름의 유래이다. 명나라 말기의 과학자·농학자인 徐光啓는 화북에 수도를 도입했을 때, 우선 海河하류역으로 재배에 성공해, 생장기가 길게 품질도 좋은「소참도小站稲」(현재의 天津市津南区에 있는 소참진의 名에 연관된다)은 유명하게 되어 海河하류는 논지대가 되었다. 그러나 해수가 논에 역류 해 벼를 말려 죽이는 것을 막기 위해, 1959년에는攔河大壩 그렇다고 하는 河口堰이 만들어지고 있다.
황하 같이, 海河도 분말상의 황토가 많은 지역을 흘러 오기때문에, 유수안에는 상당양의 토사가 섞이고 있다. 하류에서는 자연제방이나 강바닥에 퇴적한 토사때문에 天井川이 되어 있어 홍수가 일어나기 쉽다. 게다가 5개의 큰 지류에 수심의 얕은 하구가 하나 밖에 없기 때문에 홍수는 보다 일어나기 쉽고 보다 커진다.
海河의 유역의 지형은, 높은 太行山脈으로부터 평탄한 화북평원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낙차가 격렬하다. 화북에서는 연평균 강수량은 적은 반면, 우량이 여름의 한시기에 집중한다. 7월이나 8월에 太行山脈의 산록으로 호우가 일어나면, 평원부에 들어가 하천의 흐름이 갑자기 완만하게 되기때문에 홍수가 발생하여 토사가 퇴적한다. 이 때문에 평원에서는 河道는 넓으면서 얕고, 流路도 몇번이나 변한다.
기록에 의하면, 明朝 성립해 북경에 천도 한 1368년부터 중공이 성립한 1949년까지 바다 하류역에서는 387회의 대규모 수해와 407회의 대규모 한해가 일어나고 있다. 지류의 하나 永定河는, 河道가 항상 정해지지 않아 아래는 無定河 라고 이름 붙여지고 있었지만, 황제가 큰 홍수가 일어나지 않게 기원해 영정하로 개명되었다.
1939년에는 대홍수로 津浦鉄道가 파괴되어 청진시가는 물에 잠겨 중심부의 평화구의 저지대에서는 수심이 2 m에 이르러 2개월 가깝게 물이 빠지지 않았다. 1963년에는 太行山脈으로 7일에 걸쳐 호우가 계속되어, 衡水市付近은 홍수로 바다와 같이 되었다. 청진의 공업지대를 지키기 위해 상류에서 제방이 부수져 샹하이나 꽝조우와 북경을 묶는 경광철도나 경호철도도 수몰했다. 이러한 피해가 잇따른 것으로부터, 모택동은 곡창지대인 하북성이나 북경·청진등의 대도시를 지키기 위해서 海河의 치수를 治水했다.
이것에 때문에 상류에는 많은 댐이, 하류에는 増水時에 물을 바다에 직접 흘리는 방수로가 건설되었다. 예를 들어, 潮白河에는 潮白新河이라고 하는 방수로가 만들어지고 현재 북쪽 운하로는 합류하지 않는다. 바다 하류역에서는 1963년 이후 홍수해는 일어나지 않았다.
물부족과 환경
영정하에 가설되는 노구교. 다리 아래에는 물이 전혀 흐르지 않은 海河의 유역 면적은 32만 평방 km 근처이지만 수량은 적고, 연간 수량은 황하의 반, 장강의 30분의 1에 지나지 않고, 해마다 물부족이 심각하다.
1970년대 이후, 海河의 상류에 있는 도시는 급속한 공업화·도시화에 의해 취수량이 증가해, 상수도 건설을 위해 지류에 다수의 중소의 댐이 건설되었다. 또 대형 댐도 차례차례로 건설되고 있다. 예를 들어 북경에 물을 공급하는 댐·관청댐·13능댐, 保定市에 물을 공급하는 서대양 댐·왕쾌댐, 石家荘市의 수원이 되는 黄壁荘댐·강남댐,邢台市의 수원이 되는 朱荘댐, 邯鄲市의 수원이 되는 岳城댐, 、安陽市林현에 물을 공급하는 紅旗渠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취수량 증가나, 상류에서의 砂漠化・雨量減少에 의해,海河의 유량은 급속히 감소하고 있다. 작은 지류가 많고나 일부의 큰 지류에서는 연간의 대부분의 기간은 물이 흐르지 않았다. 유량의 감소에 의해 하천의 오염도 심각하게 되어 있다. 화북평원에서는 지하수를 참작해 농업용수를 확보하고 있지만, 너무 퍼 올려 지하수도 고갈되고 있다.
물부족 해결을 위해, 1982년에는 華北平原의 제2의 大河 灤河의 물을 청진에 引水 할 계획「引灤入津工程」이 개시되었다. 1983년에 준공한 이 용수로에 의해 청진에는 매년 10억 입방 m의 물이 공급되고 물부족은 부분적으로 해소했다. 또 하구의 갑문閘門을 닫는 것으로, 引水 한 지점에서 하구까지의 사이는 큰 댐과 같은 상태가 되었다. 그러나, 海河와 灤河의 하구에서는 발해에 강의 물을 방류하는 것만으로 해수가 해소되지 않기 때문에, 汽水域의 생태계나 어업에 큰 타격이 되었다. 일찌기 청진의 三叉河口근처에서는「금안은어金眼銀魚」라고 불리는 은물고기가 잡혀 또 청진 교외의 勝芳에서는 게(螃蟹)가 많아, 태호나 陽澄湖등 장강 델타의 풍부한 수역에도 필적하는 품질의 높은 수산물이 유명했지만 현재는 어느것도 모습을 찾을 수 없게 되어 버렸다.
더욱더 海河의 지류에서는 바싹 마른 강이 많아, 맹렬한 도시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물부족은 화북의 발전의 방해가 되고 있다. 南水北調프로젝트에서는, 장강 수계의 물을 바다 하류역에 돌리는 것으로 문제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Han River - Korea - Yellow Sea
Hari River, Afghanistan - Afghanistan and Turkministan
하리 강 (페르시아어: Rudkhaneh-ye Hari Rud 혹은 Harirud)은 아프가니스탄의 강으로서 총 길이 1100km에 달하는 강이다. 투르크메니스탄으로 흘러들어갔다가 카라쿰 사막에서 물줄기가 사라지는 강이다. 자국어에서 나타나는 Rud라는 용어는 페르시아 어로 강이라는 뜻이다.
강의 발원지는 코이바바 산맥으로 알려져 있으며 크게는 힌두쿠시 산맥의 일원에 속한다. 강의 직선 경유로에서는 서쪽에 치우쳐 있는 곳이다. 아프가니스탄의 서쪽 지대에서 하리 강은 헤라트의 남쪽으로 흘러들어간다. 헤라트 근처에서의 계곡 지대는 토양이 비옥하기에 경작 지대로는 탁월한 조건을 갖고 있다.
헤라트 지역을 지나가면서 유로가 북(서)쪽 방면으로 틀어지면서 이란과의 국경지대로 접어든다. 하류 쪽으로 낼가면 남동쪽으로 흘러가면서 투르크메니스탄으로 유입된다.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테젠 강(Tedzhen river)으로 부르기도 하며 라틴어로는 아리우스로 불렸다.
Huai - China - Yellow Sea
회하(淮河, Huái Hé 화이어)는 중화인민공화국을 흐르는 강의 하나로, 창 강, 황허와 함께 3대하로 불린다. 옛날에 ‘하(河)’라는 용어는 ‘황하’를 가리키는 고유명사였기 때문에, ‘회수’(淮水)라고도 불렸다. 길이 1,078km에 면적은 174평방km에 이른다.
화이허는 황하와 장강의 사이를 동서로 흐르고 있다. 그 하류는 평탄한 저지대를 지나고 있어 물길이 복잡하기 때문에 홍수를 일으키기 쉽고 치수가 매우 어렵다. 이 때문에 ‘괴하(壊河)’라는 또 다른 이름이 있다.
화베이와 화난의 경계
화이허와 친링산맥을 연결하는 친닝·화이허선을 경계로 하여 중국의 남북으로 지리나 기상 조건 등이 달라 전통적으로 화베이와 화난의 경계선으로 여겨졌다. 친링·화이허선은 연간 강수량 1000mm의 선과 거의 일치해, 북쪽은 밀 중심의 밭농사 농사지대로, 남쪽은 쌀 중심의 논지대가 형성되고 있다. 또 화이허의 북쪽은 육로 중심의 교통이고, 남쪽은 하천 교통중심으로 남선북마라는 말이 생기기도 하였다.
옛날 제나라의 안자가 비유를 들어 인용했던 귤화위지(橘化爲枳)나 남귤북지(南橘北枳)라는 말은 귤이 회남에서 나면 귤이되지만, 회수를 넘어 회북으로 가면 탱자가 된다는 의미로 그 지리적 중심지인 회수가 등장함을 알 수 있다.(橘生淮南則爲橘 生于淮北爲枳)
이러한 농업 생산물이나 교통의 차이는 정책의 차이나 군사 부분에 많은 영향을 주어서, 중국이 남북으로 분열하고 있었던 시대는 화이허가 경계선이 되었던 것이 많았다.
물길
화이허는 허난성의 동백산, 로아차에 원류를 출발한다. 허난성, 안후이성, 장쑤성의 3개의 성을 통과하여, 중간에 장수성의 홍택호라고 하는 중국 네 번째의 거대한 담수호를 형성한다. 다시 일부는 여기서 갈라져 황해에 흘러 들어가고, 나머지는 산장영으로 장강에 유입된다. 원류에서 하구까지의 낙차는 불과 200m에 지나지 않는다. 허난성과 안후이성의 경계 홍하구까지가 상류에서 길이는 360km, 낙차 178m, 유역 면적은 30,600 평방km에 이른다. 홍하구로부터 홍택호의 출구인 중도까지가 중류에서 길이 49km, 낙차는 16m, 유역 면적은 158,000 평방km가 된다. 중도에서 산장영의 장강 유입 지점까지는 150km로, 낙차는 6m 밖에 되지 않는다. 또 워허(渦河), 샤허(沙河), 홍허(洪河) 등 화북평야의 황하에서 남쪽을 흐르는 강은 천정천인 황하에 합류할 수 없기 때문에, 남쪽으로 흘러 화이허의 지류가 되었다. 이러한 강에는 옛날 황하 주류였던 하도(河道)를 흐르는 강도 있다.
물길의 변화와 치수
화이허의 물길은 격렬하게 변화해 왔다. 일찌기 화이허는 오늘의 장쑤성 북부를 지나 황해로 흘러 들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1194년 발해만의 북쪽 흐르고 있던 황하가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화이허 하도에 합류하게 되어, 화이허는 황하의 흐름의 힘에 밀리다 되었다. 황하가 퇴적한 토사가 높게 쌓였기 때문에 화이허가 역류해 넘쳐 홍택호를 형성해, 많은 토지나 마을이 수몰되었다. 홍택호에 모인 물은 남쪽으로 천천히 흘러, 몇개의 호수를 만든 뒤 장강으로 합류하게 되었다.
1850년대에 황하는 다시 북쪽으로 흐름을 바꾸었지만, 화이허는 황하 옛 하도에 쌓인 토사로 형성된 자연제방 때문에 원래로 흘러 들어오지 못하고 남쪽으로 흘러 안후이성, 장수성 경계 부근에서 자주 범람을 반복했다. 1950년대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화이허 수계의 상류에 댐을 건설하고, 나무를 심어 하류의 배수로를 정비하였다. 특히 장수성 북부에 설치된 수로소북관개 총거는 화이허 옛 하도를 따라 화이허의 물을 황해에 내보내고 있다
Huangpu River
- China황포강(Huangpu River, 黄浦江)은 중공 샹하이 시내를 흐르는 길이 97 km의 강이다. 샹하이시가지의 하류의 오송구에서 장강에 합류해, 장강이 동중국해에 들어가기 전의 마지막 큰 지류이다. 강 폭은 평균 400 m정도로 깊이는 평균 9m. 연중 어는 일은 없다.
황포강은 태호로부터 흐른 강이 모이는 淀山湖에 근원을 발한다. 태호로부터는 蘇州河(呉淞江)도 출발하고 있어 황포강은 아래 蘇州河의 분류의 하나로 간주해지고 있었지만, 황포강이 커진 결과 蘇州河이 황포강의 지류가 되고 있다.
황포강의 이름은 楚国의 정치가인 春申君(황헐黄歇)이 봉쇄되었던 것에 연관되고 있다. 황헐포춘신강이라고 불린 강은, 나중에 황포강으로 불리게 되었다.
황포강은 샹하이시의 중앙을 흘러市域을 포서(浦西)와 포동(浦東)의 2개로 나누고 있다. 장강에 흘러드는 하구는, 오송구로 불리는 항구가 되어 있다. 황포강연안의 항만 도시로서 커진 샹하이에 있어, 황포강은 외양이나 내륙으로부터의 배가 출입하는 교통로이며 시민의 식수의 대부분을 공급하는 중요한 존재이다.
샹하이의 중심지에 외탄(外灘:Wàitān The Bund)은 黄浦江의 서쪽으로 퍼진다. 外灘의 북단에서 蘇州河이 황포강에 합류하고 있다. 황포강의 동쪽의 浦東은 일찌기 불편한 농촌에서 만났지만, 개혁 개방 이후, 浦東新区라고 하는 초고층 빌딩거리가 되어 샹하이 경제를 이끌고 있다.
황포강의 주요한 지류는, 蘇州河(오송강)외, 온조빈(薀藻浜), 천양하(川楊河), 침전물(澱浦河) 大治河,사당(斜塘), 園泄涇,大泖港등이 있다.
Wàitān、がいたん)あるいはバンド(英語名:The Bund)は、中国・上海市中心部の
***************
外灘(와이탄, 핑인:Wàitān) 혹은 밴드(영어명:The Bund)는 중국·샹하이시 중심부의黄浦区에 있는 샹하이 제일의 관광 에리어이다. 황포강서 기슭을 달리는中山東一路 가 따라, 전체 길이 1.1 km정도의 지역을 가리킨다.
이 일대는 19 세기 후반부터 20 세기 전반에 걸친 租界地区(上海租界)이며, 당시 건설된 서양식 고층건축이 늘어서 있다. 조계 시대의 행정과 경제의 중심인 것으로부터 현재도 관청과 은행이 많지만, 죠르죠·알마니나 카르티에등의 대형 기함점(旗艦店)이나, 조계시대의 레트르한 분위기를 바탕으로 한 바 나 레스토랑등이 건물가운데에 들어서게 되어, 세련된 거리풍경으로 변모되었다.
外灘의 건축물군은, 1996년에 중공 전국 중점 문물 보호 단위로 지정되었다.
영어명의 밴드는 축제·부두를 의미하는 "Bund" 에 유래한다. 이 "Bund" 는 원래 인도에서 축제를 가리키는 말(우르두어:band )에 유래하여 16 세기의 초에 영어로 도입 되었다. 한 때의 대영제국 식민지의 각지에 밴드라고 불리는 제방이나 부두가 있지만, 고유 명사로서 단지 밴드(The Bund)이라고 했을 경우에는 샹하이의 밴드를 가리킨다.
外灘는, 샹하이의 구시가(샹하이현성, 城内)의 북쪽에 위치한다. 처음은 영국 조계이며, 1854년에 영국·미국의 양조계가 합동 해 공동 조계가 되었다. 19 세기말에서 20 세기 전반에 걸쳐,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금융의 허브가 된 外灘에는, 건축 러쉬를 이루었다. 이러한 건물은, 영국·프랑스·아메리카 합중국·독일·일본·네델란드·벨기에 각국의 은행이나, 영국이나 러시아의 영사관, 신문사, 샹하이 클럽이나 Freemason의 클럽등으로 해서 사용되었다. 조계시대의 시정부도 이 장소에 있었다.
1940년대까지는, 중화 민국에서 활동하고 있던 은행의 대부분이 外灘에 본점을 두었다. 국공 내전의 결과 공산당이 승리한 것에 의하여 금융기관은 서서히 外灘로부터 이전하고, 호텔이나 클럽도 폐쇄되어 다른 용도에 전용되었다. 강변에 점재하고 있던, 식민지를 상징하는 것 같은 상이나 외국인의 상은 모두 철거되었다.
1970년대말부터 1980년대 초두에 들어 중국이 시장 경제를 도입해 나가는 과정에서, 外灘의 건축물은 점차 한 때의 같은용도로 사용되게 되었다. 행정 기관이 지역외에 이전하고 대신에 들어간 호텔이나 금융기관이 영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또, 이 시기에는 태풍에 의한 홍수도 몇차례 발생했다. 지방 정부는 제방을 높은비용을 들여 도로보다 10 m 높은 제방이 우뚝 솟는 현재의 경관이 되게 하였다. 1990년대에는, 中山路가 확폭공사에 의해 최대 10 차선까지 넓혀졌지만, 이전에는 도로 가에 차지하고 있던 공원 용지의 대부분이 도로에 의해 소멸했다. 또 이 시기에는 外灘와 포동을 연결하던 배도 없어졌다(유람선은 부근의 부두에서 발착하고 있다).
1990년대, 샹하이시 정부는 밴드(The Bund)가 지시하는 범위를 확대시켜 남쪽(延安路이남)을 신밴드, 북측(오송강이북, 갑북)을 북쪽 밴드라고 부르도록 했다. 식민지 주의의 잔재라고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의 관계를 조정하여 外灘주변의 지역의 관광적인 가치나 지가를 상승시키려고 꾀했던 것이다. 무엇보다 이러한 통칭은 관광 가이드에도 그다지 사용되지 않았다.
2008년부터는 外灘일대의 교통의 복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밴드와 옌안로의 합류점에 우뚝 솟아 있던 거대한 고가도로의 구조물이 해체되어 흰색도교의 이전과 복원 공사를 하였다. 이 복원은 2009년초에 종료할 예정이다. 그 후 현재 8 차선 도로를 입체화하고 1층 4 차선의 2층 구조로 하여 일찌기 존재한 공원 용지를 복원한다
Shanghai 1928_Bund Cenotaph
黄浦江沿岸 上海市街地 外灘 風景
Indigirka River
31위.Indigirka River - 1,726 km - 1,072 miles
베르호얀스크 산맥으로 연결되어 오호츠크해 북해안에 성장하는 산맥「슨탈=하야타(Сунтар-Хаята)」에 근원을 발한다. 북쪽의 오이먀콘 타카하라로 향하여 지구상에서 가장 낮은 기온을 관측한 오이먀콘의 마을을 흘러 북서에서 남동 방향에 성장하는 체르스키 산맥을 횡단한다. 북극권에 들어가, 같은 북서에서 남동 방향에 성장하는 몸스키 산맥을 우회 한 후, 북극해 연안의 넓은 저지로 나온다. 인디기르카강은 면적 5,500평방 km의 삼각주를 형성하면서 동 시베리아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항로는, 河口部分은 넓고 모마강주변까지는 배가 들어가지만, 체르스키 산맥을 횡단하는 계곡 부근으로부터는 흐름도 빠르고 작은 배 밖에 통과할 수 없다. 6월부터 10월까지의 여름의 한시기를 제외하면 일년의 대부분은 동결한다. 유역은 사금이나 금광등이 많다.
유역에는 스페셜 인터레스트 그룹, 옴리, 무크슨 등 시베리아에서는 일반적인 물고기외 연어등이 풍부하게 생식 한다. 상류는 타이가(시베리아의 침엽수림) 침엽수가 생육하지만, 하류의 북극권내에서는 영구 동토와 툰드라에 덮여 있다.
주된 지류에는, 우안은 모마강(Moma), 네라강(Nera), 바쟈리카강(Badyarikha), 좌안은 에르기강(Elgi), 우얀디나강(Uyandina), 세레니야크강(Seleniyakh), 베레레강(Berelekh), 아라이체강(Allaicha)등이 있다.
Indus - China (Tibet), Pakistan
9위.Indus River - 2,900 km - 1,800 miles
약수인가?
인더스강(힌디어, Sanskrit: सिन्धु, 우르두어: سندھ , 신드어: سندھو, 판쟈브어:سندھ, 페르시아어:حندو, 파슈토어:ّآباسن, 티벳어: Sengge Chu, 중국어: 인도 , 그리스어:Ινδός)은, 파키스탄 최대의 하천. 세계에서 19번째로 길고, 아세아대륙에서는 3번째로 길다. Manasarovar호수의 가까이에 티벳로부터 시작되어 잘무·카슈미르주를 지난다. 그리고, 파키스탄의 항구 도시 카라치의 가까이 아랍바다에 흘러 들어가고 있다. 강은 많은 중공업을 입지 파키스탄에서 식수의 주된 공급원이 되고 있어 중요한 라이프라인이다.
인더스강의 최종적인 수원은 티벳에 있고 Sengge강과 Gar강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라닥크, 바르티스탄을 통과 북서를 향해 흘러 Gilgit강과 합류, 남부 카라코룸으로 진행된다. Shyok강이나 Shigar강, Gilgit강은 빙하의 물을 인더스강으로 옮기고 있다. 그리고 서서히 流路를 남쪽으로 바꾸어 페샤왈과 라와르핀디의 사이를 흐른다. 난가·펄 버트 山塊의 가까이의 높이 4,500~5,200미터의 거대한 협곡을 이룬다. 그리고, 빠르고 하흔함을 흘러 Tarbela Reservoir 댐에 막힌다. 카불강은 Attock 부근에서 합류한다. 그 후 바다까지는 펀잡과 신드주를 통과, 강은 천천히 흐른다. Panjnad강이 Mithankot로 합류한다. 이 합류점의 저 편에서, 강은 5개의 펀잡강과 카불강, 인더스강의 물을 옮기고 있으므로, Satnad강(sat는 7, nadi는 강의 의미)으로 불리고 있었다. Jamshoro를 통과, 탓타(Thatta)의 동쪽의 큰 델타로 마친다.
인더스강은 해일이 일어나는 세계에서 드문 강의 하나이다. 인더스강의 물은 주로 카라코룸, 힌두 쿠쉬 산맥과 파키스탄의 티벳, 카슈미르 지방과 북쪽 Areas의 히말라야의 눈과 빙하의 물이다. 유량은 계절에 따라서 달라 겨울은 크게 감소하여 7월부터 9월까지의 몬순 시즌에는 강에 많은 물이 흘러든다.
Irtysh - China 에르티시강
5위.Irtysh River - 4,248 km - 2,640 miles
(Irtysh River, 러시아어로 Иртыш, 카자흐어로 Ertis/Эртiс, 타타르어로İrteş/Иртеш, 일본어로 이르티슈강, 일 tissue강, 이르티시강, 이르치시강과도 표기)는 아시아의 강에서 오비강의 주요한 지류의 하나. 주된 지류에 트볼강, 에심강, 오미강이 있다. 길이는 4,248km. 유역 면적은 1,643,000km2.
원류는 중국의 알타이 산맥 남서 경사면에서 우룽르호수(오륜고호烏倫古湖)를 퇴색할 수 있어 즐갈 분지(Dzungaria 准噶爾) 북부를 북서로 흘러 분지 북단을 나와 카자흐스탄의 자이산호수를 통과, 시베리아 서부의 한티·만시스크 부근에서 오비강에 합류한다.
11월부터 4월까지 동결되지만, 그 이외의 시기는 하천 교통에 이용되고 있다. 국영의 에르티시 하운회사의 본부가, 서시베리아에서 최대의 하항을 가지는 옴스크에 놓여져 있다. 카자흐스탄과 중국과의 국경 부근의 우스치·카메노고르스크와 버프 탈 민스크에 대규모 수력 발전소가 있다. 에르티시·카라간다 관개 수로가 카자흐스탄의 스텝 지역에 물을 공급하고 있다. 중국도, 에르티시 카와카미류에 운하를 만들어 新疆 위구르 자치구의 컬러 마이 유전 주변지역을 관개할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에르티시강에 수자원의 대부분을 의존하는 카자흐스탄은 이 계획의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의 파브로달 부근을 흐르는 에르티시강
러시아인이 점유하기 전 16 세기까지 유역은 중국, 몽고, 칼미크가 지배하고, 특히 킵자크·한국(金帳汗國)의 후예 시빌·한국(Khanate of Sibir)이 오비강으로 부터 에르티시 水系의 넓은 범위를 통치하고 있었다. 시빌·한국은 16 세기에는 러시아에 정복되어 19세기 초두까지 유역의 대부분이 러시아령이 되었다.
통과하는 주요한 도시는 카자흐스탄의 우스치카메노고르스크, 세미파라틴스크(세메이), 파브로달, 러시아 연방의 옴스크, 타라, 트보리스크, 한티·만시스크 등.
Ishim River
16위.Ishim River - 2,450 km - 1,522 miles
이심 강 (러시아어: Ишим, 다른 이름은 에실 강)은 카자흐스탄과 러시아를 경유해서 흐르는 강이다. 이르티슈 강의 좌안(左岸) 지류이다. 카자흐 고지 북쪽 니야스 구릉지대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첼리노그라드를 지난 후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고 페트로파블로프스크와 평평한 이심 스텝을 거쳐 우스티이심에서 이르티슈 강으로 흘러든다. 전체 길이는 2,450㎞이며 유역면적은 144만㎢이다. 눈이 주요 수원(水原)인 관계로 봄에는 범람하고 여름에는 수면이 내려간다. 어느 정도 항행도 이루어진다. 페트로파블로프스크 남서쪽에 있는 세르게예프카 저수지에서 길이 3,480㎞의 대형 수도관들을 통해 세베로카자흐탄·콕체타프·쿠스타나이 주의 농촌 부락들로 물을 공급한다.
Jordan - Israel, Jordan
서아시아의 요르단지구대(地溝帶)를 남쪽으로 흐르는 내륙하천. 전체길이 350㎞. 아라비아어로는 우르둔강, 헤브라이어로는 야르덴강이라고 한다. 성서에는 요단강으로 되어 있다. 시리아와 레바논 간의 국경을 따라 뻗어 있는 안티레바논산맥의 남쪽 끝, 헤르몬산 부근에 하스바니강·바니야스강 등에서 발원하여 이스라엘로 들어가 요르단강이 되고, 요르단지구대를 남류해 티베리아스호(湖;갈릴리호) 북쪽 끝으로 흘러 들어간다. 그리고 다시 티베리아스호 남쪽 끝에서부터 흘러 나와 왼쪽 연안 야르무크강 등과 합류하고, 이스라엘-요르단 국경을 사행(蛇行)하면서 남류하여 사해로 흘러 들어간다. 요르단강은 예수그리스도가 세례를 받은 강이라고 전해지며, 유역에는 유대교·그리스도교와 관계가 깊은 성지유적이 많다. 이스라엘은 티베리아스호로부터 요르단강의 물을 남부의 네게브지방으로 끌어와 수도·공업·관개용수로 이용하고, 요르단은 지류인 야르무크강·자르카강으로부터 관개용수를 얻고 있다. 국제하천이기 때문에 수자원 이용을 둘러싼 분쟁도 많다.
Kapuas - Borneo
Karakash river- China (Takla Makan)
喀拉喀什河 Karakash or Black Jade River, also spelled Karakax (Chinese: 黑玉河)
全长808公里,年径流量21.9亿立米, 发源于喀拉昆仑山南端的开拉斯山
Yurungkash River(Yorungqash or White Jade River)白玉河-玉龙喀什河
全长513公里,每年6-9月为洪水期, 发源于昆仑山北坡的冰川
Karnaphuli - India, Bangladesh
Karnaphuli는 방글라데시의 남동부에 있는 667m의 강이다.
Mizoram(인도)에서 Lushai 언덕으로부터 시원하여 벵골만 Chittagong Hill Tracts와
Chittagong를 통과하여 270km(170mile) 남서를 흘린다. Karnaphuli 강을 이용하는 큰 수력발전소는 1960년대 Kaptai 지역에 지어졌다. 강의 입구는 Chittagong 항구(방글라데시의 주된 항구)이다.
Karun river- Iran
카툰강 고대명은 Ulai, Eulaeus. 이란 남서부를 흐르는 강.
아랍 강(샤트알아랍)의 지류로, 에스파한 서쪽에 있는 바흐티아리산맥에서 발원하여 방향을 바꾸면서 구불구불 흐른다. 전체길이는 829㎞이지만, 발원지에서 아랍 강과 만나는 호람샤르까지의 직선거리는 290㎞밖에 되지 않는다. 아바즈까지의 유역면적은 5만7,059㎢이며, 그 가운데 1만8,130㎢는 주요지류인 데즈강의 유역면적이다. 강 유역은 대부분 산악지방으로서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자그로스산맥의 일부에 해당한다.
카룬강은 3부분으로 나뉜다. 발원지에서부터 산악지방을 벗어나는 지점인 가트반드까지가 상류이고, 가트반드에서 데즈강과 만나는 지점인 반드키르까지는 중류이며, 반드키르에서 아바즈를 지나 아랍강과 만나는 지점까지는 하류로 구분할 수 있다. 상류는 물살이 세며, 지류들과 잇달아 만나면서 수량이 늘어나고 높은 벼랑사이를 지나 긴거리를 빠른 속도로 흐른다. 반드키르에 이르러 주요 지류인 데즈강과 합류하면서 수량이 급격히 늘어나 아바즈 근처에 있는 3㎞가량의 급류를 제외하고는 어귀까지 선박이 항해할 수 있다. 아바즈 아래쪽은 특히 건기에 수심이 너무 얕아져서 항해할 수 없는 상태가 되기도 한다. 유수량은 계절에 따라 뚜렷한 변화를 보이는데 10월에 수위가 가장 낮고, 4월에는 강우량이 가장 많을 뿐 아니라 눈 녹은 물까지 합류하여 수위가 가장 높아진다.
옛날 카룬강의 하류는 아랍강과 합쳐진 후 아랍강 동쪽으로 진행하는 수로를 포함하고 있었다. 지금도 카룬강의 왼쪽에는 옛날의 강이 흘렀던 흔적인 3갈래의 강바닥(이 수로는 차례로 이용된 것이 분명함)이 남아 있다. 흔적만 남은 이 수로들은 각각 샤트알카디미(페르시아어로 고대의 강이라는 뜻)와 샤트알아메(페르시아어로 '막다른 강'이라는 뜻) 및 루드하네예바만시르라고 부른다. 루드하네예바만시르는 아바단 섬의 동쪽 가장자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1765년에 카룬 강은 하파르운하를 통해 오늘날과 같은 수로로 바뀌었다. 하파르운하는 지리학자인 알 마크디시에 따르면 아바즈와 바스라 사이의 수상교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 986년에 건설되었다고 한다. 카룬강의 흐름이 바뀌자 오스만투르크와 페르시아 사이에 국경분쟁이 일어났는데 이 분쟁은 아랍강의 동쪽 연안에 닿을 수 있는 통로와 그 수로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페르시아에 부여한 에르주룸조약(1847)으로 해결되었다.
아바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항로는 1888년에 국제항로로 개방되었고 그 후 아바즈에서 반드키르까지 소형기선이 정기적으로 왕복하게 되었다. 카룬강 하류의 항해는 석유 탐사와 정유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1971년 에스파한에 충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댐과 터널이 완공되었다.[네이트사전]
Kaveri River - India
카비리강(காவிரி : Kaveri)는 인도 남부를 흐르는 하천. 힌두교에 대해 성스러운 강의 하나로 꼽히는 대하이다. 카비리강은 지방에 의해 카베리강(காவேரி) 표기 발음되는 일이 있다. 로마자 표기에서는 Kaveri외에, Cauvery나 Kavery 등이 있다. 카비리강은 원류로부터 남동쪽향에 흘러 전체 길이는 약 765 km이다. 카르나타카 주내의 서가트 산맥에 출발하여, 데칸 타카하라 남부를 흘러 타밀·나두주를 통과 뱅갈만에 따른다.
강의 원류는 표고 1500 m정도의 산지에서 카르나타카주 코다그현의 타라카베리 부근이다. 타라카베리는 순례지가 되고 있고 카비리강의 수원으로 여겨지는 위치에 있는 사원에는 매일 수많은 순례자가 방문한다. 이 사원에서는 강의 물이 분수와 같이 솟아오르기 나온다고 여겨졌을 때 행해지는 트라·산크라마나라고 하는 제례가 행해지고 있다.
티룻치랍팟리를 중심으로 한 타밀·나두주 중부에 퍼지는 나카시타류의 평야는 카비리강의 거대한 삼각주이다. 옛부터 농업의 수원이 되어 농산물의 운수망이나 되어 강가에는 수많은 도시를 발달시겼고 쵸라朝, 판디야朝, 호이사라朝 등 남 인도의 諸王朝를 낳은 대동맥되었다. 삼각주 지대는 콧리담강을 시작으로 한 무수한 지류에 분기하여 뱅갈만에 이른다.
많은 지류를 가진다.
심사강
에 마바티강
아르카바티강
카피라강이, 카르나타카 주내에서 합류한다.
혼누호르강
라크슈마나강
티르타강
곰팡이 후타가와
틴나르강이, 카르나타카주와 타밀·나두주의 주 경계 근처에 있는 오답팟티 부근에서 합류한다.
파바니먯이, 타밀·나두주 이로두현의 파바니 부근에서 합류한다.
로카파바니먯
노이얄강이, 타밀·나두주 이로두현과 카르르현의 현 경계 근처에 있는 코두무디 부근에서 합류한다.
아마라바티강은 타밀·나두주 카르르현의 카르르 부근에서 합류한다.
콧리담강은 타밀·나두주 티룻치랍팟리현의 캇라나이 부근에서 분류한다.
베라르강은 타밀·나두주 티룻치랍팟리현의 캇라나이 부근에서 분류한다
카비리강은 타밀·나두주의 범위내인 나카시타류의 평야로 영위되는 농업의 수원이다. 상류의 카르나타카 주내에서는 댐이 건설되어 같은 주의 귀중한 전력원이 되고 있다. 카르나타카주에 댐이 건설된 이래 나카시타류의 농업 지대는 만성적인 물 부족에 고민하게 하여 주 정부끼리로 항상 대화가 갖게되면서 해결이 모색되고 있다. 그러나 오랜 세월에 걸쳐 물부족에 골치를 썩이고 있는 타밀·나두주측의 농민들은 카르나타카주에 대한 태도가 점차 경직되어 양주의 사이는 매우 험악하다.
갈라진 유로가 각각 이어 시바나삼드람폭포를 형성하고 있다(카르나타카주)
Kizilirmak Halys river- Turkey
키질이르마크강 (Kizilirmak:克泽尔河)
옛 이름은 할리스였다, 터키중앙 북부를 흐르는 강 길이 약 1150㎞.
터키의 아나트리아 동부의 산지로부터 아나트리아 중앙부를 북쪽 흘려 흑해에 흘러 들어가는 터키 최장의 강. 유역 면적 15만 평방킬로미터. 강의 이름은 붉은강을 의미한다.
시바스 동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서·서·북동쪽으로 크게 굽으며 삼순·시노프 사이에서 흑해로 유입된다. 주요 지류로는 동쪽에 델리제강과 서쪽에 괴크강이 있다. 河口의 델타 지역에서는 밀, 담배를 산출한다. 중류에서는 바이람하쥬르, 히르판르, 카프르카야등의 댐이 건설되어 가정용·공업용의 전력생산과 관개에 기여하고 있다. 또 유역에서는 점토를 이용한 도자기업도 행해지고 있다.
Krishna - India - Bay of Bengal
크리슈나 강[Krishna River] 마하라슈트라 주의 서고츠 산맥에서 발원한다. 인도 서해안에서 그리 멀지 않은 옛 도시 마하발레슈와르 근처에서 흐르기 시작한 이 강은 동쪽으로 흐르다가 와이에서 남동쪽으로 방향을 돌려 상글리를 지나 카르나타카 주 경계에 이른다. 여기에서 다시 동쪽으로 방향을 바꿔 불규칙한 수로를 따라 카르나타카 주를 가로지른 후 안드라프라데시 주로 들어선다. 이곳에서 다시 남동쪽으로 흐르다가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꾼 다음에는 삼각주 어귀에 있는 비자야와다를 향해 동쪽으로 흐른다. 전장 1,290㎞를 흘러 비자야와다에 이른 크리슈나 강은 벵골 만으로 유입된다.
크리슈나 강은 북동쪽의 고다바리 강 삼각주와 이어지는 넓고 비옥한 삼각주를 끼고 있다. 강을 따라 항행하는 것이 불가능한 대신 관개용수로 이용된다. 삼각주 지역에 물을 댈 때는 비자야와다에 설치된 관개·유량 측정용 둑에서 관개수로망으로 흘러드는 물의 양이 조절된다. 여름 장마철에 내리는 비가 이 강의 주요원천이기 때문에 크리슈나 강의 유수량이 계절에 따라 매우 유동적이어서 관개용수로 큰 역할을 하지 못할 때도 있다. 지류들 가운데서는 북쪽의 비마 강과 남쪽의 퉁가바드라 강이 가장 크다. 퉁가바드라 강 연안의 호스페트에는 1957년에 완공된 댐이 저수지를 형성하고 전력을 공급한다.[네이트사전]
Kolyma - Russia (Siberia)
23위.Kolyma River - 2,129 km - 1,323 miles
콜리마 강[Kolyma River] 러시아 연방 시베리아 북동부에 있는 강.
콜리마 산맥에서 발원하며, 길이는 2,129㎞, 유역면적은 64만 7,000㎢이다. 강의 상류는 좁은 협곡 사이를 흐르면서 많은 급류를 형성하나, 유로는 점차로 넓어지고, 지랸카 아래 지점에서 습지가 많은 넓고 편평한 콜리마 저지대로 흘러든다. 이곳에서 북동쪽으로 흘러 동시베리아 해(海)로 빠져나간다. 산맥 아래의 유로는 넓은 범람원을 가로지르며 많은 수로들로 인해 곡류한다. 강 하류에는 유카기르 고원이 높고 가파른 제방을 이루고 있다. 강어귀 쪽은 모래톱이 있어 항행이 불가능하며, 해빙기간이 짧기는 하지만 바하프차 강과 합류하는 지점까지는 항해가 가능하다. 하류의 결빙기간은 9월말부터 다음해 6월초까지이다. 보다 남쪽에 위치한 상류부터 얼음이 녹기 시작하기 때문에 해빙기에는 거대한 얼음조각들이 떠내려오고 넓은 지역이 범람한다. 연중 유량의 약 1/2이 늦봄과 초여름에 집중된다. 강유역은 툰드라 또는 가늘고 왜소한 나무들이 드문드문 자라는 숲으로 덮여 있다. 소수의 주민이 살고 있으며, 대부분 야쿠트족과 라무트족(에벤족)이다. 상류 유역에서 이루어지는 금 채굴이 강 일대의 유일한 경제활동이다.[네이트사전]
Küçük Menderes (Cayster) - Turkey
Cayster River (or Küçük Menderes, Little Maeander)
Lena - Russia (Siberia)
3위.Lena River - 4,400 km - 2,734 miles
Baical호수의 서20 km, 중앙 시베리아고원의 남부에 위치하는 Baical 산맥의 표고 1,640 m에 근원을 발해 북동으로 흘러 도중에 키렌가강, 비티무강을 맞댐 중류에 들어간 동쪽에 흐른다. 레나강의 골짜기는 광대한 범람원이 되어 있어 오료크마강을 맞추어 북쪽에 방향을 바꾼다. 야크트크로부터는 히라노에 들어와, 알 댄강을 맞추었더니 하류가 되어, 베르호얀스크 산맥을 따르도록 북서에 방향을 바꾸어 좌안의 대지류인 비류이강을 맞추어 서서히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河口部에 면적 10,800 km2의 삼각주를 형성해 북극해의 라프테후바다에 흘러 들어가고 있다. 레나강삼각주에서 바다에 들어가는 분류는 크고 7개 있지만, 가장 크고 중요한 것은 제일 동쪽의 바이코후강이다. 델타의 밑의 동쪽으로 연 티크시만에는 티크시의 항구가 있다.
유역 초동 시베리아에서는, 최종 빙기의 기간 공기의 건조하여 빙하가 형성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어 해안에는 빙하 유래의 fjord(峡湾、峡江)가 없고, 큰 강은 삼각강은 아니고 삼각주를 형성하고 있다. 레나강삼각주의 폭은 400 km에 이른다. 1년중 9월말부터 6 월초까지의 7개월은 동결하여 툰드라 상태가 되지만, 5월이 되면 일면의 습지대로 변모하여 여름의 사이는 많은 야생 생물의 무대가 된다. 레나 강물계의 전역도 10 월초순으로부터 5월경까지는 동결한다. 비티무강과 오료크마강에서는 사금이 얻어 델타의 지저로부터는 맘모스와 그 송곳니가 발견된다.
Lijiang River
이강(漓江 리 쟌)은 広西장족자치구 東北部에 위치하는 강. 혹은 漓水、灕江, 灕水. 계림시 자원현의 猫児山를 근원으로 하여, 남쪽의 계림, 양삭(陽朔)등의 시가를 흘러 여포(茘浦)를 지난 후에 계강(桂江)으로 들어와 계속 남으로 흘러 梧州, 西江과 합류한다. 전체 길이는 426킬로미터이다. 수질은 맑고 양안의 경치는 풍경 경치가 아름다움이며, 계림으로부터 양삭은 갑자기 유명해져, 국가 중점 풍경 명승구로 지정되고 있다. 漓江과 湘江에 秦代 있었던 령거(霊渠)의 도랑이 있다.
Lishui (Li)- China 澧水
중국 후난 성[湖南省] 북부에 있는 강.
솽즈 현[桑植縣] 북부 산지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다융[大庸]·츠리[慈利]·스먼[石門]·린리[臨澧] 등의 현을 거쳐 리 현[澧縣] 신저우[新州]에서 둥팅 호[洞庭湖]로 흘러들어간 후 양쯔 강[揚子江]으로 들어간다. 총길이는 372㎞이다. 대부분 산지를 지나기 때문에 바위와 암초가 많아 하류에서만 배가 통과할 수 있다. 다융 현의 장자제[張家界]는 유명한 자연보호구역이다.
중국 리장 강과 산봉우리
요하[랴오허 遼河, Liao River]
중국 랴오닝 성[遼寧省]과 네이멍구 자치구[內蒙古自治區] 둥베이 지구[東北地區:만주]의 남부를 흐르는 강.
랴오허 강 수계는 중국 둥베이 중부 지구의 랴오허 평야와 쑹화[松花] 평야 남부지역의 배수로이다. 강 유역은 완만한 융기작용을 받은 띠 모양의 고지대를 사이에 두고 쑹화 분지와 분리되어 있는 반면, 평야지역은 중생대부터 전체적으로 서서히 침강운동을 계속했다. 강 유역은 최근 지질시대에 격렬한 융기작용을 일으켰으며, 분수령의 남쪽 부분에서는 이 융기작용과 더불어 화산활동이 일어났다. 평야는 대체로 두꺼운 침전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매우 평평하며, 일부 지역은 늪지대를 이루고 있다.
랴오허 강은 상류에서 크게 2줄기의 수계로 나뉜다. 동(東)랴오허는 중국 둥베이 지구의 동쪽 산맥 기슭을 따라 흐르는 반면, 서(西)랴오허는 라오하[老哈], 잉진[英金], 신카이 강[新開河] 등의 상류 지류들과 함께 네이멍구 자치구 남동부의 메마른 청더[承德] 고원을 흐른다. 수량은 계절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는데, 여름에 최대로 늘어난다. 평야의 경사도는 아주 낮아서 랴오허 강 하류는 옛날부터 광범위한 제방을 쌓았는데도 불구하고 해마다 여름만 되면 홍수를 겪는다. 이 강은 또한 많은 양의 토사를 운반한다. 이 지역은 1년중 약 3개월 동안은 얼음에 갇히기 때문에 해빙기에도 홍수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랴오허 강의 길이는 1,345㎞, 유역 면적은 21만 5,000㎢에 이른다.
랴오허 강은 수로로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잉커우[營口] 항구 근처에 있는 강어귀는 항상 토사로 막혀 있지만, 작은 기선을 타면 동랴오허와 서랴오허가 갈라지는 싼장커우[三江口]까지 항해할 수 있다. 주요지류는 훈허 강[渾河]으로, 이 강은 랴오둥[遼東] 반도와 창바이 산맥[長白山脈] 기슭에서 흘러내려 랴오닝 성의 선양[瀋陽]을 지나 랴오허 강으로 흘러든다.
Marikina River - Philippines (Marikina City, Metro Manila)
Mekong - China, Laos, Myanmar, Thailand, Vietnam, Cambodia.
4위.Mekong River - 4,350 km - 2,703 miles
메콩강[Mekong River]란창강, 매남콩, 메남콩, 티엔지앙 강 Lancang Jiang Lan-Ts'ang Chiang Mae Nam Khong. 라오스어로 Mènam Khong, 베트남어로는 Sông Tiên Giang, 캄보디아어 Mékôngk.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긴 강.
전체 유역면적이 81만 600㎢가 넘는 메콩 강은 중국 칭하이 성[靑海省] 티베트 고원의 해발 4,900m가 넘는 곳에서 시작되며, 현지에서는 팜(Pam) 강 또는 지추(Dzi Chu) 강이라고 부른다. 전체 길이의 약 1/4을 차지하는 상류는 길고 좁은 골짜기들을 깊이 형성하며 윈난 성[雲南省] 고지대를 가로질러 남쪽으로 향한다. 이어 라오스와 타이의 국경, 미얀마와 라오스의 국경 일부를 흐르다가 라오스·캄보디아·베트남을 거친 뒤 베트남 호치민 시(옛 이름은 사이공) 남쪽 넓은 삼각주에서 남중국해로 흘러들어간다.
미얀마와 라오스 국경 남쪽에서 타이의 코라트 고원, 캄보디아의 대부분 지역, 라오스와 베트남의 안남 산맥 서쪽 경사면에서 흘러나오는 물줄기와 합쳐져 흐르는 메콩 강 하류부분은 삼각주 지역에서 메콩 강과 바사크 강으로 나누어진다. 메콩 강이 지나는 윈난 성 남쪽 대부분 지역은 지형·토양·수종(열대 활엽수) 면에서 비슷한 양태를 보인다.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비앙찬)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이 메콩 강 둔덕에 자리잡고 있다. 캄보디아 중부 크라체에서 측정한 메콩 강의 연평균 방출량은 1만 4,000㎥/s이다. 유량(流量)은 주로 하류에 내리는 비와 관계가 있으며 계절풍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철에 따라 강우량의 변화가 나타난다. 7~10월까지 습기찬 남서 계절풍이 불 때 수면이 최고로 높아지며 강 상류 쪽에서는 8월이나 9월에, 남쪽 유역에서는 느지막이 10월에 최고 수준이 된다. 11~5월까지 북동 계절풍이 불어 날씨가 건조해지는 동안 수면이 가장 낮아진다.
주민이 4,500만 명 이상인 메콩 강 하류 유역은 삼각주 지역과 코라트 고원에서 가장 인구가 조밀한 지역이다. 이곳에 사는 주민 80% 정도가 농업에 종사하면서 메콩 강 유역의 주요농작물인 쌀을 생산한다. 그러나 건기가 오랫동안 계속될 때는 관개를 하지 않고서는 쌀을 재배할 수 없다. 1957년 국제연합극동경제위원회(ECAFE)가 메콩 강 개발사업을 시작했으며, 수력발전시설, 관개, 홍수조절, 배수, 항행, 수질관리, 용수공급시설 설치에 라오스·타이·캄보디아·남베트남의 협조를 요청했다. 1980년대초 라오스·타이·베트남은 메콩 강 유역의 새로운 수자원 개발을 계획하고 추진하는 작업을 함께 했다.
Mindanao - Philippines
Narmada River India (Gujarat)
나르마다 강[Narmada River] 네르부다 강, 나르바다 Narbada, Nerbudda 라고도 함.
마디아프라데시 주 만들라 행정구에 있는 마이칼라 산맥에서 시작된다. 만들라 구릉을 가로지르는 꾸불꾸불한 경로를 따라 빈디아와 삿푸라 산맥 사이 마블록스 골짜기에 난 지구(地溝)를 지나며, 마디아프라데시와 구자라트 주를 가로질러 서쪽으로 흐른다. 그리고 바루치 바로 아래 폭 21㎞의 어귀를 통해 캄베이 만으로 흘러들어간다. 나르마다 강은 총 1,287㎞에 이르는 물길을 따라 흐르면서 삿푸라 산맥의 북쪽 비탈면을 지난다. 2세기에 활동한 그리스 지리학자인 프톨레마이오스는 나마데라고 불렀으며 아라비아 해와 갠지스 강 유역을 잇는 중요한 통로역할을 해왔다. 힌두교도들은 나르마다 강을 시바 신의 몸에서 솟아난 것이라고 믿으며 갠지스 강 다음가는 신성한 강이라고 여긴다. 태양이 지나는 방향으로 성스러운 강 주변을 순례하는 프라닥시나(pradakṣiṇa) 의식은 그 거리가 바루치에서 아마르칸타크까지 2,575㎞나 이어진다. 순례는 강의 한쪽 둑에서 다른 쪽 둑 방향으로 진행된다.
**********
우요[右繞, pradakṣinạ] 프라닥시나, 힌두교와 불교에서 신상·유적·사당 또는 다른 신성한 대상물을 시계방향으로 돌아 순례하는 의식.
신도는 동쪽에서 시작하여 신성한 대상물을 오른쪽에 두면서 남쪽으로 나아가 태양이 도는 방향을 따라 움직인다. 이러한 순례여행에는 58㎞의 여정인 바라나시(베나레스)와 같은 성도(聖都) 전체의 순례나, 수원지(水源地)에서부터 바다까지 왕복하는 데 도보로 몇 년이나 걸리는 갠지스 강 순례 등도 있다. 이 의식에 대한 설명으로는 어떤 특별히 성스러운 목적을 위한 한 지역의 묘사라는 설명에서부터 태양의 성스러운 여정을 따름으로써 사태의 추이에 영향을 주고 행운을 받으려는 노력이라는 설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왼쪽 어깨를 중심대상 쪽으로 향하게 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도는 의식은 좌요(左繞 prasavya)라고 불리며 장례식 때 행한다.
Nizhnyaya Tunguska River (Russia)
8위.Nizhnyaya Tunguska River - 2,989 km - 1,857 miles
니주냐야퉁구스카 강[Nizhnyaya Tunguska River] (영)Lower Tunguska River. Nizn'aja Tunguska라고도 씀. 예니세이 강의 오른쪽 지류로 러시아 연방 크라스노야르스크 지구와 이르쿠츠크 주에 걸쳐 흐른다. 총길이는 2,989㎞, 유역면적은 47만 1,300㎢이다. 예니세이 분지와 레나앙가라 분지 사이의 분수령 가까이에서 발원하여 중앙시베리아 고원을 가로지르며 서쪽으로 흐른다. 일림페야 강과 합쳐지기 전에는 모래톱이 많은 넓은 골짜기 사이를 흐르다가 합류점을 지나면서 좁은 골짜기를 흐르고 곳곳에 급류를 이룬다. 이 강 유역에 광활한 퉁구스카 탄전이 펼쳐져 있다.[네이트사전]
Ob - Russia (Siberia) - Gulf of Ob of the Arctic Ocean
7위.Ob River - 3,650 km - 2,268 miles
오브 강[Ob River] 중앙 아시아의 알타이 산맥에서 발원하며 서시베리아를 지나 북서쪽으로 흘러 오브 만을 통해 북극해의 일부인 카라 해로 들어간다. 오브 강의 길이는 2가지로 산출된다. 오브 강 수원지(비야·카툰 강의 합류점)에서 카라 해 만의 머리 부분까지 계산하면 3,650km이며 가장 큰 지류인 이르티슈 강 수원지에서 만의 후미까지는 5,410km이다. 다른 주요 지류들로는 출림·케트·바흐·바슈간·카짐·세베르나야소스바 강 등이 있다. 유역면적은 대략 297만 5,000㎢이며 유역 내에 1,900개 이상의 강들이 흐르고 있다.
오브 강 유역의 85%는 서시베리아 평원으로 이루어졌으며 나머지는 남쪽 계단식 투르가이 평원과 카자흐스탄 북단의 작은 구릉지대와 남동쪽의 쿠즈네츠키알라타우, 살라이르 산맥, 쇼리아 산맥과 그 뒤쪽의 알타이 산맥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북으로 뻗어 있는 이 강의 유역은 지리적으로 러시아를 양분한다. 최남단 자이산 호 근방은 메마른 반(半)사막지대이며 서시베리아 평원 중앙지대는 습지성 침엽수림인 타이가와 광활한 늪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에는 수목이 없는 빙설평원인 툰드라가 넓게 펼쳐져 있다. 오브 강의 연평균배수량은 초당 1만 2,700㎥에 달한다. 강우와 계절에 따라 녹는 눈이 하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중류 및 하류에서는 봄부터 여름철에 걸쳐 홍수가 4~5개월 지속되기도 한다. 11월 25일경 강 전체가 동결되는데 상류의 결빙은 150일 정도 지속되며 하류는 220일 정도 된다. 오브 강은 서시베리아의 주요교통로 가운데 하나로 얼지 않는 계절에 항행이 가능하여 수출입의 통로로 이용된다. 오브 강의 총잠재수력은 상당한 양으로 시간당 약 2,500억kW로 추산된다.
오브강은 주로 관개, 수도, 수력 발전, 어업, 수운 등에 이용되고 있다.
오브강水系에 있어서의 항행가능한 강은 총연장은 15,000 km정도로 달한다. 20 세기 초두에 시베리아 철도가 개통하기 전에는 하천이 얼지않는 계절의 시베리아 횡단의 여행에 오브강水系를 사용한 수운이 매우 중요했다. 오브강水系의 방향은 대개 남북 방향이며 물은 극한의 북극권으로 흘러 버리지만, 상류부에서는 수많은 지류가 유라시아 대륙 중앙부를 동서로 크게 퍼지고 있기 때문에, 지류로부터 지류로 항행하는 것으로 동서 방향에서 시베리아를 횡단하는 것이 가능했다. 20 세기의 초까지 보르가 강水系에 있는 모스크바등의 러시아 중앙부로부터 시베리아에는 보르가강지류의 솥강이나 베라야강을 거슬러 올라가 우랄 산맥의 근처까지 가 다시 배에서 내려 산을 넘고 에르티시강지류의 항구로 오는 것이 일반적인 루트가 되고 있었다.
1885년,솥강유역의 페르미와 우랄 산맥의 동쪽의 에카테린브르크를 묶는 철도가, 에르티시강의 지류 트라강 기슭의 항구도시 츄메니까지 연결되었다. 이것은 츄메니는 보르가강유역으로 향하는 철도 동단마을에서 오비 강水系의 서쪽에 위치하는 항구도시로서 중요한 위치가 있었다. 오브강水系의 동쪽에서는 트미강 기슭의 틈스크가 중요한 항구도시였다. 또 츄메니에는 1836년에 최초의 증기선이 등장하여 오브강의 중류로 1845년 이후 증기선으로 동서에 항행할 수 있게 되었다. 한층 더 오브강水系와 그 동쪽의 애니세이 강물계를 연결로 오브강의 동쪽의 지류 케티 (Ket)강으로부터 애니세이강으로 연결되는 운하가 19 세기말에 건설되었지만, 동시기에 건설되고 있던 시베리아 철도에 맞물려 하지 못하고 잠시 후 방폐되었다.
시베리아 철도의 완성에 의해 동서를 직결할 뿐만 아니라 연중 사용할 수 있는 교통로가 제공되었지만, 오브 강水系는, 시베리아 철도 가의 항구도시인 옴스크나 노보시비르스크와 츄메니주나 틈스크주의 넓은 범위를 묶는 물류의 중요한 경로로서 남았다. 20 세기 후반에는 유역의 한층 더 넓은 범위에 철도가 성장했지만, 수운은 철도가 없는 지역에의 수송이나, 중량물의 수송의 수단으로서 지금도 중요하다.
오브강유역에는 거대 댐이 많이 건설되었다. 1956년에는 오브 本流의 노보시비르스크 부근에 큰 댐이 완성되어 시베리아 최대급의 인공호수가 만들어졌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소련 과학자·기술자·관료들은 오브강이나 에르티시강의 물을 남쪽에 이끌어 Aral해를 적시고, 중앙 아시아의 스텝을 농장으로 바꾸는 대규모 자연 개조 계획을 발표하고 있었지만 이 계획은 차일피일하다가 1986년에는 경제적 사정과 환경 영향이 크다는 이유로 방폐되었다.
Olenyok River
19위.Olenyok River -1,424 miles 2,292 km
올레뇨크강 [Olenyok R.] 길이 2,292km. 유역면적 21만km2. 시베리아 중앙대지에서 발원하여 북동류하다가, 다시 북류함으로써 랍테프해(海)로 흘러든다. 긴 결빙기간(9월 하순∼5월 중순)이 지나면 강어귀에서 900km 상류까지는 기선도 다닐 수 있다. 물고기가 많으며, 상류유역에는 삼림자원도 풍부하지만 아직 개발이 되지 않고 있다. 하류지방은 석탄 ·석유 ·천연가스의 대규모 매장지로 알려져 있다.
중앙 시베리아고원의 북부, 에콘다(Ekonda)의 200 km북방으로 근원을 발해 북동에 흘러高原地帯에 출발한 많은 지류를 모으면서 올레뇨크의 마을을 지나 북극해 연안의 광대한 저지에 나온다. 레나강에 접근하지만, 레나강과의 사이에는 가는 구릉지대가 있기 때문에 합류는 하지 않는다. 레나강델타의 바로 서쪽에 위치하는 우스치=올레뇨크(Ust-Olenyok)의 항구의 부근에서 라프테후 바다에 흘러 들어간다
Om - Russia
The Irtysh River (Russian: Иртыш ; Kazakh: Ertis / Ертiс ; Tatar Cyrillic: Иртеш, Latin: İrteş ; Chinese: É'ěrqísī hé / 额尔齐斯河) is a river in Siberia and is the chief tributary of the river Ob. Its name means White River. It is actually longer than the Ob to their confluence. Irtysh's main affluent is Tobol River. The Ob-Irtysh form a major basin in Asia, encompassing most of Western Siberia and the Altay Mountains.
Kara-Irtysh (Black Irtysh) in the Mongolian Altay mountains in Xinjiang, China, Irtysh flows NW through Lake Zaysan, Kazakhstan until it meets the Ob near Khanty-Mansiysk in western Siberia, Russia after 4,248 km (2,640 mi).
에르티시강(Irtysh River, 러시아어로 Иртыш, 카자흐어로 Ertis/Эртiс, 일본어로 이르티슈강, 일 tissue강, 이르티시강, 이르치시강)와는 아시아의 강에서, 오비강의 주요한 지류의 하나. 주된 지류에 트볼강, 에심강, 오미강이 있다. 길이는 4,248km. 유역 면적은 1,643,000km2.
원류는 중국의 알타이 산맥 남서 경사면에서, 우룽르호수(오륜고호)를 퇴색할 수 있어 즐갈 분지 북부를 북서로 흘러 분지 북단을 나와 카자흐스탄의 자이산호수를 대로, 시베리아 서부의 한티·만시스크 부근에서 오비강에 합류한다.
11월부터 4월까지 동결하지만, 그 이외의 시기는 하천 교통에 이용되고 있다. 국영의 에르티시하운회사의 본부가, 서시베리아에서 최대의 하항을 가지는 옴스크에 놓여져 있다. 카자흐스탄과 중국과의 국경 부근의 우스치·카메노고르스크와 버프 탈 민스크에 대규모 수력 발전소가 있다. 에르티시·카라간다 관개 수로가 카자흐스탄의 스텝 지역에 물을 공급하고 있다. 중국도, 에르티시 카와카미류에 운하를 쌓아 올려 신쿄 위구르 자치구의 컬러 마이 유전 주변지역을 관개할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에르티시강에 수자원의 대부분을 의존하는 카자흐스탄은 이 계획의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의 파브로달 부근을 흐르는 에르티시강러시아인이 도달하기 이전, 16 세기까지 유역은 중국, 몽고, 카룸이크가 지배해, 특히 키프체크·한국의 후예 시빌·한국이 오비강으로부터 에르티시 강물계의 넓은 범위를 통치하고 있었다. 시빌·한국은 16 세기에는 러시아에 정복 되어 19 세기 초두까지 유역의 대부분이 러시아령이 되었다.
통과하는 주요한 도시는, 카자흐스탄의 우스치카메노고르스크, 세미파라틴스크(세메이), 파브로달, 러시아 연방의 옴스크, 타라, 트보리스크, 한티·만시스크 등.
Orontes ('Asi) - Lebanon, Syria
오론테스강(Orontes), 또는 아라비아어로 갈대강( نهر العاصي , Nahr al-Āsī、Nahr al-Asi , Nahr al-Asi, 나할·알=갈대), 터키어로 갈대강(아스강, Asi Nehri)은, 레바논에 출발하여 시리아와 터키를 흐르는 하천이다.
고대 오리엔트에서는 주요한 강의 한개이며, 드라코강(Draco), 티폰강(Typhon), 아크시오스강(Axius)이라고도 불렸다. 아크시오스는 현지의 통칭이며, 이것이 후에 아라비아어의 갈대(‘Asi)로 변화했다고 여겨진다. 갈대는 거역한다 의 의미이며, 아랍인은 이 이름의 유래를, 흐름의 격렬함이나 메카와는 역 방향에 흐르기 때문이라고도 설명해 왔다.
오론테스강의 유역
오론테스강은 레바논 산맥과 안티 레바논 산맥의 사이에 있는 골짜기·벡카 타카하라의 동쪽에 있는 라브웨(Labweh)의 샘에 출발한다. 샘의 가까운 곳에는 남쪽에 흐르는 리타니먯의 수원의 샘도 있다. 오론테스강은 북쪽에, 지중해기슭과 병행하여 낙차 600 m의 바위가 많은 계곡을 흘러 시리아에 들어간다. 계곡을 나오면 홈스서교의 댐 호수·홈스호수이다. 홈스의 댐은 현존 하는 세계 최고의 댐으로 여겨져 기원 전 1300년경에 건설되었다고 추정되며 수선을 거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강의 서쪽의 산상에는 십자군의 요새 크랙·데·슈바리에가 세워지고 있다.
홈스로부터 앞은 골짜기는 크게 퍼져, 하마 부근의 곡창지대에 들어간다. 그 하류는 넓은 목초지에서, 고대 도시 아파메아와 라릿사의 유적이 있다. 오론테스 강의 중앙류의 넓은 골짜기는 지술·알=하 디도(Jisr al-Hadid)인 바위 산으로 끝나, 강은 크게 서로 돌면서 터키령의 하 타이현에 들어가, 안타키야 부근의 평야를 흐른다.
터키 영내에서, 아후린강(Afrin)과 컬러·스강(Kara Su)이라고 하는 2개의 큰 지류가 북쪽으로부터 흘러 들어간다. 한 때의 안티오키아호수(현재는 인공의 수로 나할·알=코우시트 Nahr al-Kowsit 로 배수되고 있다)의 위치를 지나 현대의 안타키야(고대의 안티오키아)의 마을의 북쪽을 주는 미나미니시카타향의 계곡에 들어가, 15 km 정도의 사이에 50 m 내린다고 하는 급류따라 내려가 작은 항구도시 사만다(Samandag, 고대의 세레우키아·피에리아)의 남쪽에서 지중해로 흘러 들어간다.
Pasig River - Philippines (Pasig City and Manila, Metro Manila)
Pearl River - China - South China Sea
주장[珠江] Zhu Jiang, Chu Chiang (영)Pearl River. 옛 이름은 월강(粤江).
본래는 광저우[廣州]에서 후먼[虎門]까지 바다로 들어가는 물길을 가리켰으나, 현재는 시장 강[西江], 베이장강[北江], 둥장강[東江]을 통틀어 일컫는다. 강의 유역은 윈난성[雲南省], 구이저우성[貴州省], 광시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 광둥성[廣東省], 후난성[湖南省], 장시성[江西省]등에 걸쳐 있다. 유역면적은 베트남 지역의 1만㎢를 포함해 45만 2,000㎢에 달한다. 주장강 수계는 지류가 매우 많으며, 수로가 종횡으로 서로 얽혀 있다. 수계의 주류는 시장강으로 윈난성 잔이현[霑益縣]의 마슝산[馬雄山]이 발원지이다. 상류와 중류는 아래로 내려오면서 각각 난판강[南盤江], 첸 강[黔江], 쉰장강[尋江], 훙수이강[紅水河]으로 불리며, 우저우[梧州] 아래쪽을 시장강이라고 한다. 총길이는 2,129㎞이며, 유역면적은 35만 5,000㎢에 달한다. 주요지류에는 베이판강[北盤江], 류장강[柳江], 위장강[鬱江], 구이장강[桂江]이 있다. 총낙차는 2,130m이다. 베이판강에 있는 황궈수[黃果樹] 대폭포의 낙차는 70m나 된다. 베이장강의 주요수원은 전수이강[湞水]인데, 장시성 신펑현[信豊縣]에서 발원한다. 이 강은 사오관[韶關] 부근에서 우수이강[武水]과 합류하며 그곳에서부터 베이장강으로 불린다. 사오관 위쪽은 물살이 세지만 아래쪽은 물길이 순조롭다. 좀더 아래로 내려가면 웡장강[翁江], 롄장강[連江]이 유입해 들어오며, 그곳에서 위쯔[育仔]·페이라이[飛來] 협곡을 통과한 후 평원으로 진입한다. 평원에서는 강너비가 넓어지고 수심은 얕아진다. 그뒤 쓰셴[思賢]에 이르러 주장 강 삼각주로 들어간다. 주류의 길이는 582㎞이다. 둥장강은 장시 성 쉰우현[尋烏縣]의 다주링산[大竹嶺]에서 발원한다. 상류는 쉰우강[尋烏水]으로 불리는데 남서쪽으로 흘러서 광둥 성으로 들어간다. 상류에서는 강너비가 좁고 수심이 얕다. 양안은 산지이며, 주류의 길이는 523㎞이다.
둥장·시장·베이장강은 바다로 들어가기 전에 각기 작은 충적삼각주 하나씩을 만든다. 이것들이 서로 연결되어 주장강 삼각주를 이루고 있는데, 전체면적이 1만1,300㎢에 이른다. 지금도 작은 삼각주의 앞쪽 가장자리는 각기 매년 좌우로 약100m 정도씩 넓어지고 있다. 삼각주 위에는 수로망이 빽빽이 퍼져 있으며 크고 작은물길 100여개가 서로 연결되어 그물처럼 교차한다. 강들은 마지막에 다시 각기 나누어져 후먼·자오먼[蕉門]·훙치리[洪奇瀝]·헝먼[橫門]·모다오먼[磨刀門]·지티먼[鷄啼門]·후탸오먼[虎跳門]·야먼[崖門]등 8개 입구를 지나 남중국해로 들어간다. 주장 강의 수자원은 매우 풍부해 양쯔강[揚子江] 다음으로 많다. 수로교통도 매우 발달해 있다. 광저우의 황푸항[黃港하류에는 1만t급 선박이 항행할 수 있으며 1,000t급 증기선은 시장강을 거슬러 올라가 우저우까지 갈 수 있다. 소형 증기선은 류저우[柳州]나 난닝[南寧]까지도 갈 수 있다. 증기선과 거룻배가 항행할 수 있는 수로의 길이를 합치면 5,000㎞에 육박해 항운의 효과를 놓고 볼 때 양쯔강 다음 가는 중국 제2의 강이다. 구이장강의 원류는 리장강[江]인데 링취 운하[靈渠]를 통해 양쯔강 수계인 샹장강[湘江]으로도 갈 수 있다. 주장강 삼각주는 중국의 식량·설탕·누에·담수어의 주요산지이다.
珠江유역은 열대나 아열대에 속해, 4월부터 9월의 강수량은 비교적 풍부하기 때문에, 주강은 수량이 많은 시기가 길다. 봄의 마지막으로부터 초여름에 걸친 시기가 가장 강우가 집중하는 시기로, 홍수도 이 시기에 집중한다. 유역내의 연간 유량은 3,412억 입방 m에 이르러 그 중 최대의 西江의 유량이 2,670억 입방 m로 유역 전체의80%를 차지한다. 北江는 475억 입방 m, 東江에는 272억 입방 m로, 중국에서는 장강에 뒤이어 제2의 유량을 자랑하여, 황하의 僧流量의 배 이상이 된다
中国河流:珠江水系 编辑
西江:北盘江 - 南盘江 - 柳江 - 郁江 - 桂江 - 北流河 - 贺江 - 罗定江- 红水河 - 黔江 - 浔江
北江: 浈江 - 武江 - 南水 - 滃江 - 连江 - 潖江 - 滨江 - 绥江
东江:新丰江 - 秋香江 - 西枝江 - 增江
珠江三角洲河网:流溪河 - 潭江
*************************
주장삼각주[珠江三角洲] Zhu Jiang Sanjiaozhou, Chu Chiang Sanchiaochou
Pearl River Delta.
Hongshui River 紅水河 638km
각각 베이장강[北江], 시장강[西江], 둥장강[東江]에서 생긴 3개의 삼각주로 이루어져 있다. 면적은 대략 1만1,300㎢에 달하다. 그 가운데 시장강과 베이장강의 삼각주가 1/10을 차지한다. 삼각주 위에는 160개가 넘는 기암(基岩) 잔구가 있는데, 이것들은 지금부터
2,000~6,000년 전에 얕은 바다와 만(灣)에 떠 있던 섬들이었다. 주장강에 형성되는 토사의 양은 연간 총1억t을 넘지 않는 적은양이지만 바다와 만이 얕고 섬들이 많아 토사가 쉽게 쌓였다. 2,000여년 동안 삼각주가 비교적 빨리 발달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잔구의 높이는 해발300~500m이며, 시차오산[西樵山], 우구이산[五桂山], 야산산[崖山] 등과 같은 풍경이 수려한 지역이 곳곳에 있다. 현재 삼각주에는 비교적 큰 수로가 100개에 달하며 더 작은 지류는 더욱 많아 서로 그물 모양으로 얽혀있다. 주장강은 8개의 강어귀로 나누어져 바다로 들어간다. 강과 바다가 만나는 곳에는 모두 잔구가 사이사이에 우뚝 솟아 지형이 험준하여, '먼'[門]으로 부른다. 후먼[虎門]·모다오먼[磨刀門]·야먼[崖門]등이 유명하다. 강어귀마다 물 흐름과 토사 방출의 조건이 다르므로 토사가 퇴적되는 속도도 같지않다. 자오먼[蕉門]과 훙치리[洪奇瀝]사이에 매우 넓게 펼쳐진 모래톱은 해마다 바깥으로 평균110m씩 뻗어있으며모다오먼의 덩룽사[燈籠沙]는 80~100m가 커진다. 후먼과 후탸오먼[虎跳門]일대는10m도 채 커지지 않는다. 주장강 삼각주는 아열대 남쪽에 위치한다.
이 지역의 주민들은 '상기어당'(桑基漁塘:어당은 양어장을 뜻함)·'과기어당'(果基漁塘)·'자기어당'(蔗基漁塘) 등의 어업 경영방식을 창출해냈다. 이는 빼어난 자연조건을 이용하면서 농업 생태계를 보호하는 방식이다. 또한 제방을 축조하고 전기를 이용한 배수관개시설을 설치해 홍수와 침수 같은 재해와 바닷물이 밀려드는 것을 막고, 농업 발전을 촉진시켰다. 벼·사탕수수·누에고치·황마·바나나·아나나스·모과·여주·용안·등자·레몬 등이 많이난다. 담수어업도 발달했다.
Podkamennaya Tunguska River
29위.Podkamennaya Tunguska River - 1,865 km - 1,159 miles
포드카멘나야·퉁스카강(러시아어: Подкаменная Тунгуска, Podkamennaja Tunguska; 글자 하나하나를 충실히 맞춰 보면 돌아래를 흐르는 퉁구스의 강이라는 뜻인데)은 러시아의 시베리아를 흐르는 애니세이강우안 지류의 하천이다. 명칭은 이 강이 수면을 노출하는 일 없이 작은 돌로 덮인 상태로 그 아래를 흐르고 있는 것에 유래한다. 1908년에 발생한 천체 낙하로 보여지는 퉁스카대폭발이 상류 부근에서 일어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Rajang River - Malaysia - South China Sea
라장강[Batang Rajang] 동(東)말레이시아(보르네오 섬 북서부) 사라와크 주를 흐르는 강.
길이 563㎞로, 이란산맥에서 발원하여 카피트까지 남서쪽방향으로 흐른 다음 서쪽으로 돌아 남중국해로 흘러든다. 라장강 유역의 넓고 습한 삼각주지대에는 베루이트 섬이 포함되며 이 섬의 시리크 곶에는 등대가 있다. 사라와크 주에서는 거의 모든 수송이 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라장강('폭이 좁은 강'이라는 뜻)에서는 시부까지 130㎞쯤 큰 배로 항해가 가능하며 시부에서는 작은 배로 160㎞ 정도를 더 갈 수 있다. 조그만 카누를 이용하면, 다른 방법으로는 접근할 수 없는 내륙지방의 이반까지 갈 수 있다.
사리케이·비나탕·카노위트·카피트 같은 교역도시들이 라장 강기슭을 따라 자리잡고 있다. 사라와크 주에서는 보기 드문 농업지대가 라장강 물길과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뻗어 있다. 지류로는 카노위트·응게마·이란·발레·필라 강이 있다.
Red River - China, Vietnam - South China Sea
홍강[紅河, Song Hong](영)Red River. 위안장 강[元江].
베트남 북부를 흐르는 주요강. 총길이는 1,200km이다. 중국 남서부 윈난성[雲南省] 중심부에서 발원하여 남동쪽의 깊은 협곡을 지난 다음 통킹 주를 가로지르며 하노이를 거쳐 통킹 만으로 흘러들어간다. 주요지류인 로강(맑은 강)과 다강(검은강)을 좌우에서 받아들이면서 수량이 크게 늘어나 우기에는 유속이 9,500㎥/s 정도까지 이른다. 강유역 상당부분이 부서지기 쉬운 토양으로 이루어져 있어 강줄기가 진행하면서 많은 양의 실트가 운반된다. 홍강이라는 이름은 유역 가운데에서도 특히 실트가 대량 생성되는 홍토지대라는 데서 비롯된 이름이다. 운반된 토양은 내륙으로 149km, 해안선을 따라 80km가량 펼쳐진 약 7,000㎢의 평평한 삼각주에 퇴적된다. 베트남 북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이 삼각주는 인구밀도가 높고 개간이 잘 되어 있다. 삼각주 북쪽 모서리에는 하노이의 외항인 하이퐁이 있다
红河水系:元江 - 把边江 - 李仙江 - 藤条江 - 盘龙河 - 普梅河 - 南溪河 - 曲江 - 甸溪河
Sakarya River - Turkey
사카리아강 Sakarya river은 터키의 Anatolia고원 중서부에 근원을 발하여, 동쪽으로 流路를 취한 뒤 북서로 흘러 보스포러스 해협의 동쪽 140킬로미터의 지점에서 흑해에 흘러 들어가는 강. 전체 길이 824킬로미터. 1921년의 8월부터 9월에 걸쳐, 케말·아타테르크가 인솔하는 터키 국민군은 이 상류 하반에서 그리스군과 교전해 승리를 거두어 조국 해방운동의 성공을 결정 지었다(Sakarya의 싸움). 근년에는 포르스크, 사르얄, Sakarya 등에 많은 거대한 댐이 건조되고 있다.
************
사카리아[Sakarya]터키 북서부의 주.
흑해에서 남쪽으로 사카리아 강의 양쪽을 따라 펼쳐져 있다. 북부는 낮은 평원으로서 호수와 습지가 여기저기 있다. 토양이 비옥해서 경작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밀·옥수수·콩·감자 등을 재배하며, 남쪽의 고지대에서는 포도도 약간 재배한다. 터키에서 손꼽히는 사탕수수 생산지이며, 이곳에서 생산하는 사탕수수는 주도 아다파자리에 있는 큰 제당공장에서 가공된다. 20세기 이후 덜 비옥한 지역에서 모여든 많은 이주민들 때문에 사카리아 교외의 농촌지역은 인구밀도가 상당히 높다. 지명의 유래가 된 사카리아 강은 전체길이가 790㎞ 정도이며,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동쪽으로 137㎞ 떨어진 카라수에서 흑해로 흘러든다. 면적 5,015㎢, 인구 579,000(1983).
Salween river - China (Tibet, Yunnan), Myanmar, Thailand - Andaman Sea
18위.Salween River - 2,400 km - 1,500 miles
살윈강 누장,노강 미얀마에서 가장 긴 강이며 동남 아시아의 대하천.
중국에서는 누장강[怒江]이라고 한다. 티베트 동부의 탕구라산맥[唐古拉山脈]에서 발원하며, 남쪽으로 중국의 윈난성[雲南省]과 미얀마 동부를 거쳐 약 2,400㎞를 흐른 후 모울메인에서 안다만 해의 마르타반 만으로 흘러든다. 하류의 130㎞ 정도는 미얀마와 타이의 국경을 이루며 흐른다. 주변 경관이 아름다운 상류에서 높은 구릉들 사이로 난 좁고 깊은 협곡들을 흐르며 미얀마의 샨 고원을 가로지른다. 샨 지방에서는 미얀마로드(후이팅다리)와 여러 자동차도로가 강을 가로질러 세워져 있다. 부분적으로 소형 선박이 운항할 수 있는 구역들도 있지만, 위험한 급류들이 많아 본격적인 수로로는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경제적인 면에서는 미얀마 남동부 산림지대에서 나는 티크 목재를 바다로 떠내려 보내는 데 이용된다. 폰 강을 지나 살윈 강 오른쪽으로 유입되는 필루강에서 수력발전이 이루어지며, 살윈 강 급류지대는 전력생산 및 관개사업에 이용될 수 있는 풍부한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강 하류는 160㎞ 조금 못 미치는 지점까지 선박의 운항이 가능하다. 모울메인에서 살윈 강은 기아잉·아타란 강과 함께 소규모의 충적 삼각주를 형성한다.
Sefid River Iran Sefid River (سفيدرود)
사피드강[Safῑd Rūd]영)Safid River. Sefῑd Rūd라고도 씀. Sepid Rud, White River, Rud-e Safid 이란 북부에서 가장 긴 강.
Provinces-Kordestan, Zanjan, East Azarbaijan, Guilan
Major city-Rasht
Length-670 km (416 mi)
Watershed-13,450 km² (5,193 sq mi)
Source location-Zagros Mountains
Mouth-Caspian Sea
해발 280 m 높이에서 발원하여 길이 37㎞의 골짜기를 따라 흘러 엘부르즈 산맥을 통과하며, 길란 평원으로 들어가 삼각주를 형성하고 카스피 해로 흘러들어간다. 주요지류인 케젤우잔 강을 포함해서 길이가 약 1,000㎞이며, 유역면적은 5만 6,200㎢이다. 골짜기 상단 만질에는 홍수를 막아주고 관개시설을 개선·확장하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댐이 있다.
Selenga - Russia (Siberia), Mongolia
셀렝가-오르혼 하계[Selenga-Orhon river system]
셀렝가 강(몽골어로는 셀렝게뫼뢴)과 오르혼 강으로 이루어지는 하계.
셀렝가 강 또는 셀렝게 강 (몽골어: Сэлэнгэ, 러시아어: Селенга?)은 몽골과 러시아를 흘러가는 강이다. 항가이 산맥(몽골)에서 발원해서 바이칼 호로 흘러 들어간다. 유역 길이는 1024 km이다. 셀렝가 강은 예니세이 강 - 안가라 강연결 지역에 있다.
몽골 북중앙부를 흐르는 오르혼 강
셀렝가 강은 호브스괼 호(湖) 남쪽 몽골에서 발원하는 이데르 강과 뫼뢴 강이 만나 이루어지며 오르혼 강은 항가인 산맥 비탈 먼 남쪽에서 발원한다. 이 두 흐름은 북동쪽으로 흘러 쑤허바타르에서 합쳐지는데, 이 지점부터 셀렝가라 부른다. 셀렝가 강은 북쪽으로 계속 흘러 러시아 연방으로 들어간 후 동쪽으로 굽어 부랴티야 자치공화국의 수도인 울란 우데에 이른다. 울란 우데에서 북쪽으로 진행하여 타타우로보로 들어가서는 서쪽으로 물길의 방향을 바꿔 삼각주를 가로질러 바이칼 호로 흘러든다. 쑤허바타르에서 강어귀까지 완만한 경사면을 흘러내려가면서 몽골과 러시아 연방의 아시아 쪽 평원들을 적신다. 시베리아 횡단철도가 골짜기를 따라 상류로 거슬러올라가 울란우데에 이르며 이곳에서 지선을 통해 쑤허바타르를 거쳐 오르혼 강의 상류 쪽으로 올라가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에 이른다.
셀렝가 강은 길이가 1,480㎞이고 얼음이 녹는 5~10월에는 강어귀에서 쑤허바타르 너머까지 배가 다닐 수 있다. 면적이 44만 8,000㎢인 강유역은 오르혼·하누이·에기인 강 등의 몽골 쪽 지류들과 러시아 쪽의 치코이·킬로크·우다·지다·템니크 강을 포함한다. 요루·하라크·툴 강을 받아들이는 오르혼 강은 길이가 1,123㎞이며 유역면적은 13만 2,815㎢이다. 7~8월에는 상류 쪽으로 요루 강까지 배가 다닐 수 있다. 상류 가까이에는 몽골 제국의 옛 수도였던 카라코룸이 위치해 있었다.
울란 우데(Ulan-Ude)는 1666년, 러시아 제국의 코사크 부대가 우데강의 하반에 건설한 요새에 유래한다. 당초의 이름은 베르후네우진스크(Verkhneudinsk)로, 현재의 울란·우데의 명칭은 소련시대 이후이다. 울란·우데는 붉은 우데강이라고 하는 의미이다.
러시아 혁명후에는 반혁명군 그 다음에 시베리아 출병한 일본군이 이 거리를 점령하여 1920년에는 소련 정권에 의한 완충국가인 극동공화국의 수도가 되었지만, 1922년에 소련이 다시 지배했다. 1923년에는 브리야트·몽고·소련 사회주의 자치공화국의 수도가 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역중심이 되고 있다.
The Selenge river in Russia 우란 우데(Ulan-Ude)부근
Selenga river delta
Shatt al-Arab river- Iraq, Iran - Persian Gulf
샤트알아랍 강(Shatt-al-Arab江) 아랍어: ط العرب, 페르시아어: اروندرود 아르봔드루드 강
이라크 남동부에서 유프라테스강과 티그리스강이 합류하여 이란과 이라크 국경을 따라
페르시아 만까지 193km를 흐르는 강이다. 하류 쪽은 이란과의 국경을 이루며, 습지대가 많고 대추야자 재배가 활발하다.
이라크령의 바스라, 이란령의 호람샤할, 아바단등의 항만 도시가 강가에 이어져, 양국의 중요한 항로가 되고 있다.
아랍의 해안을 가리킨다. 또 이란측의 통칭인 아르바드(Arvand는 중세 이란의 여러가지 문학 작품이나 민족 서사시 샤·나메 에서 티그리스강을 가리키는 이름으로서 등장하지만, 20 세기에 접어들어 Pahlavi 왕조 후기에는 샤트알아랍 강을 가리키는 이름으로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이란 혁명 후도 아르바드의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티그리스강(연장 1,900 km)과 유프라테스강(연장 2,800 km)은 이라크 남부, 바스라현의 알·크루나(al-Qurnah)의 마을에서 합류해, 바스라현을 관철해 흐른다. 하류는 이란(후제스탄주Khūzestān)과 이라크의 국경 지대를 흘러 도중에 동쪽에서 이란 최장의 강·카룬강
(Karun/Karoun, 연장 720 km)도 합류된다. 카룬강은 대량의 황토를 포함해 흘러들기 때문에, 샤트알아랍 강의 항로를 유지하기 위한 준설이 필요하다. 강은 삼각주를 만들어 페르시아만에 유입한다. 도중의 바스라 주변에서는 200 m를 넘은 강 폭은 하구에서는 800 m를 넘는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은 이전에는 현재의 샤트알아랍 강보다 서쪽을 지나 바다에 흘러 들어가고 있어 샤트알아랍 강의 유로의 형성은 지질학적으로는 비교적 새로운 것들이다.
샤트알아랍 강유역은 풍부한 습지대로 농경이 영위된다. 세계 최대의 대추 야자의 숲도 있어, 1970년대 중반에는 1700만개에서 1800만개를 세어 세계의 대추 야자 9000만개의 5분의 1이 이 지역에 나 있었다. 2002년까지 그 8할에 해당하는 1400만개(이라크에서 900만개, 이란에서 500만개)가 전쟁·염해·병해로 고사하고, 남은 것이 300만개 정도로 상태가 좋지 않다.
국경문제
이란과 이라크는 오랜 세월 , 샤트알아랍 강유역의 영토 문제와 항행권 문제로 대립하여, 이것이 이란 이라크 전쟁(1980년 - 1988년)의 개전의 원인이나 되었다. 1988년에는 전쟁 전상태를 회복하는 것으로 양국은 휴전했지만 유역에 중요한 항만 도시가 있는 샤트알아랍 강은 여전히 양국간의 문제가 되고 있다.
항로의 사용과 강가의 국경선을 둘러싸고 수세기 전부터 분쟁이 있었다. 오스만 제국이 사파비Safavid왕조부터 이라크를 빼앗은 직후의 1639년에 연결된 평화 조약의 가스레·시린 조약에서는 현지에 사는 부족의 관습과 그들의 양제국에 대한 충성에 근거하여 국경이 정해지면서 엄밀한 측지 등은 행해지지 않았다. 샤트알아랍 강양안의 습지대에는 옛부터 머쉬·아랍인이 살고 있었지만, 오스만 제국은 스스로가 머쉬·아랍의 이익을 대표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었다.
페르시아와 터키의 사이에서는 종교·정치·문화를 둘러싼 전면적인 긴장이 높아져, 19 세기에는 가끔 쌍방의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다. 양국간의 교섭은 오래 끌어, 영국 및 러시아의 중재를 거쳐, 1847년에 가쟈르왕조와 오스만제국의 사이에 제2차 에르즈룸 조약이 연결되었다. 이 후도 양국에서는 조약의 철회나 견해의 불일치가 보여졌기 때문에, 1851년에는 영국의 외무 대신 팔마스톤(Palmerston)경이 이러한 의견을 남겼다.
터키와 페르시아의 사이의 국경은, 대영제국과 러시아 제국의 측에서 일방적인 결정을 하지 않는 한 최종적인 결착은 없을 것이다. 오스만제국과 페르시아는 의정서를 1913년에 콘스탄티노풀로 조인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에 의해 모든 것은 파기되었다. 이라크 왕국의 영국인 고문은 유럽의 국제 하천에서 정해진 국경선의 원칙(thalweg principle, 항행 가능한 강에서 나눌 수 있는 2개국의 국경선은 강바닥의 최심부의 선[谷線, thalweg, 항로의 중간선으로서 한다]에 의해 정해진다)의 적용에 의하여 샤트알아랍 강을 이란과 이라크 양국을 항행할 수 있는 강으로서 확보하려고 했다. 한층 더 영국의 意志를 읽은 이라크측은 샤트알아랍 강의 국경선을 이란의 河岸 연안에 맞춰, 수면 전면을 이라크령으로 했다. 이것은 강을 항행하는 이란의 유전탱크나 선박으로부터 통행료를 취하는 의도이었다. 1930년대에는 양국간의 분쟁이 격화해, 국제연맹이 개입한 결과, 1937년의 테헤란 조약으로 이란은 강바닥의 최고 깊이 線(thalweg)까지의 주권을 획득했다.
바스라 부근의 샤트알아랍 강
샤트알아랍 강을 가는 나룻배 이라크측에서는 샤트알아랍 강에 의존하지 않는 항구의 확보가 중하게 되어 이라크 왕국 후기 이래, 강의 서해안의 습지대 알·파우 반도에 위치하는 어촌 움카술(Umm Qasr)의 대규모 항만화가 구상되었다. 움카술은 알·파우 반도의 서쪽에 위치해, 쿠웨이트와 이라크의 국경을 이루는 끝에서 페르시아만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Abd al-Karim Qasim에 의한 정권 탈취 후의 1958년에 군항이 움카술에 옮긴 이후 서구 제국의 지원으로 항만이 건설되었다.
삿담·후세인 정권의 이라크에서도 여전히, 샤트알아랍 강은 이란측의 강가까지 모두 이라크령이라고 주장하고 있었지만, 이란의 팔레비(Mohammad Reza Pahlavi)는 아르바드강(샤트알아랍 강)을 이라크령이라고 주장하는 상태를 불만으로 표출했다. 1970년에는 양국의 국교는 단절하면서 1972년부터 무력 충돌이 빈발한다. 국제연합은 조정자로서 이란·이라크 양국간의 분쟁에 개입하려고 했지만, 양국에서 거절되었다. 이란측은 이전 이라크 북부의 쿠르드족분리주의 세력을 지원하고 이라크측은 북부에 군을 이동하고자 하는 압박이 계속되었다.
양국은 1975년의 OPEC의 회의에서 알제이협정으로 샤트알아랍 강 및 후제스탄에 있어서의 국경 문제의 해결과 적대 관계의 정지를 합의했다. 이 합의에서는, 대체로 강바닥의 최고 깊이선(thalweg)에 가까운 장소를 선으로 하여 국경선으로서 확인했다.
알제이협정으로부터 6년이 못되어1980년 삿담은 알제이협정을 철폐하는 선언하여 이란 영내에 침입했다(국제법상, 2국간 혹은 다국간의 조약은, 어떠한 경우도 일방적으로 철폐할 수 없다).
이란-이라크 전쟁(1980) http://blog.daum.net/han0114/17047566
이란 이라크 전쟁에 대해 샤트알아랍 강은 양군의 전투의 주된 무대가 되었다. 이라크군은 후제스탄에 들어가 호람샤할이나 아바단등의 도시나 석유시설을 파괴했지만 이란은 대반격을 실시하였고 이라크군을 강반대측까지 밀어냈다. 이 강은 이라크의 유일한 페르시아만에의 출구라서 이란 측에 공격에 으하여 이라크에 출입하는 선박은 큰 타격을 받아 1987년에는 이라크의 항만 거의가 기능을 상실 물자 수송은 쿠웨이트나 아카바만에까지 대체할 수밖에 없었다. 이란 이라크 전쟁은 양국에 아무것도 얻지 못한체 정전되었지만, 1990년의 걸프전쟁때 삿담 정권은 쿠웨이트 침공을 앞두고 이란을 회유하기 위하여 알제이협정을 인정했다.
Songhua - China (Manchuria), Russia (Siberia)
27위.Sungari River - 1,927 km - 1,197 miles
송화강(중국어: 松花江, 병음: Sōnghūa Jīang, 만주어: sunggari ula, 러시아어: Сунгари)은 만주의 강으로 헤이룽장 강(아무르 강)의 가장 큰 지류이다. 창바이 산맥에서 발원하여 지린 성과 헤이룽장 성을 통과한다. 강의 길이는 1,927km이다.
Syr Darya - Kazakhstan
21위.Syr Darya - 2,212 km - 1,374 miles
아무다리야 [Amudarya]옥수스 강 http://blog.daum.net/han0114/17045933
Tarim River(Mandarin Tǎlǐmù Hé , 塔里木河; Uyghur: تارىم دەرياسى)
24위.Tarim River - 2,030 km - 1,260 miles 중국 新疆維吾爾自治區에 있는 주요강
타림강[塔里木河] 다리무 강,탑리목하 Talimu, T'alimu, Tarim River.
티베트 고원 바로 북쪽에 있다. 이 강의 이름은 중앙 아시아의 톈산 산맥[天山山脈]과 쿤룬 산맥[崑崙山脈] 사이에 있는 큰 분지에도 붙여졌다. 구간의 대부분이 타클라마칸 사막을 지나며, 유역 일부는 키르기스스탄의 영토에 속한다. 타림이라는 말은 호수로 흘러드는 하천의 둔덕, 또는 사막의 모래와 구별되지 않는 강의 둔덕이라는 뜻이다. 이것이 타클라마칸 사막의 모래를 가로질러 흐르는 많은 강의 물길이 지닌 독특한 모습이다. 타림 강을 포함해서 타림 분지를 흐르는 강들의 또다른 특징은 활발한 이동, 예컨대 강바닥과 둔덕의 이동이라고 할 수 있다.
타림강은 신장의 가장 서쪽을 흐르는 카슈가르 강과 야르칸트 강이 합류해 이루어진다. 이들 강이 합류한 지점에서 북동쪽을 향해 흐르는 타림 강은 370㎞ 정도 하류로 내려간 뒤 아커쑤 강[阿克蘇河] 및 허톈 강[和田河]과 합쳐진다. 이들 강 가운데 아커쑤 강만이 1년 내내 흐른다. 아커쑤 강은 타림 강의 가장 중요한 지류로 타림 강 수량의 70~80%를 공급한다. 타림이라는 이름은 허톈 강과 합류한 지점의 아래쪽에서 쓰이는 이름이다. 야르칸드-타림 수계의 총길이는 2,030㎞이다. 그러나 타림 강의 물길은 빈번히 바뀌며 길이도 해마다 달라진다. 타림 강은 로프노르 호[羅布泊]와, 로프노르 호로부터 남쪽으로 수백㎞ 떨어진 타이터마 호[台特馬湖]로 들어간다. 타림 강 유역의 면적은 타이터마 호 유역과 로프노르 호 유역을 포함해서 95만 1,500㎢에 달한다. 타림 강의 수로는 상당한 부분이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며, 뚜렷하게 가능할 수 없는 강바닥을 따라 흐른다. 이 강의 하류에서는 심한 증발현상 때문에 수량이 감소한다.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는 수위가 낮아진다. 봄·여름에는 수위가 높아지는데, 이는 5월에 시작해 멀리 톈산 산맥과 쿤룬 산맥의 눈이 녹은 물을 받아들이면서 9월까지 이어진다. 타림 강 하류 유역은 충적토와 호수 침전물로 형성된 건조한 평원으로, 웅장한 산맥과 맞닿아 있다. 이 유역은 유라시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으로, 대부분의 지역을 타클라마칸 사막이 차지하는데, 모래지대의 면적은 27만㎢가 넘는다. 또한 780~4,400㎢에 달하는 비교적 작은 모래지대도 여러 군데 있으며, 사구(沙丘)가 도처에서 뚜렷한 윤곽을 이루고 있다.
타림분지의 강수량은 극히 부족하며, 몇 년 동안 비가 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타클라마칸 사막과 로프노르 호 유역의 연평균강수량은 10~12㎜이다. 산기슭과 타림 강 유역의 몇몇 다른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51~102㎜에 이르기도 한다. 톈산 산맥은 훨씬 습기가 많으며, 강수량이 510㎜를 넘을 때도 있다. 타림 분지의 최고기온은 40℃ 정도이다. 타림 강은 매년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는 얼어 있다. 타림 분지의 식물은 주로 강과 그 지류를 따라 분포해 있다. 모래지대 가장자리에는 관목과 같은 식물이나 키가 작은 수목, 특히 다북쑥이 발견된다. 타림 강 유역에는 포플러가 드문드문 자라는 숲이 있다. 잔풀로는 버드나무·바다갈매나무 및 밀생하는 인도 대마(大麻)와 우랄 감초 등을 꼽을 수 있다. 타림 강에는 어족이 풍부하다. 타림 강과 주변 사막은 동물들의 생태가 다양한 곳인데, 그 유역과 여러 호수는 수많은 철새의 도래지이다. 오아시스 농업은 아직도 이 지역에 흩어져 살고 있는 주민들의 주요한 생활수단이다. 곡물·목화·비단·과일·양모가 주요농산물이며, 그밖의 중요한 산물로는 허톈[和田]의 옥이 있다. 분지에서 나는 산물을 다른 지역으로 거의 수출하지 않는다. 그러나 가끔 이곳에서 나는 잉여농산물을 지나가는 여행객에게 팔기도 한다.
******************
타림분지[塔里木盆地]다리무 분지 Talimu, T'alimu, Tarim Basin.
중국 최대의 내륙분지.
신장웨이우얼 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남부에 있다. 북쪽·서쪽·남쪽은 톈산 산[天山], 파미르 고원, 쿤룬 산맥[崑崙山脈] 그리고 아얼진 산맥[阿爾金山脈]에 둘러싸여 있다. 마름모꼴로서 해발 1,000m이고, 서쪽은 해발 1,000m 이상, 동쪽 로프노르(뤄부포[羅布泊]) 호는 780m에 이른다. 면적은 53만㎢이다. 대륙의 깊숙한 내지에 있고 높은 산이 습윤한 공기의 진입을 막고 있기 때문에, 연강수량이 100㎜를 넘지 못하며 많이 내려야 50㎜ 이하여서 대단히 건조하다. 분지 중심에는 타클라마칸 사막이 형성되어 있는데 면적은 33만㎢이고, 로프노르 호, 타이터마 호[台特馬湖] 주위에는 대규모 소금사막이 있다. 물줄기는 톈산·쿤룬 산맥의 물줄기에서 발원하여 사막까지 이른 뒤 점점 소실되는데 예얼야르칸트 강[葉爾羌河], 허톈 강[和田河], 아커쑤 강[阿克蘇河]과 큰 하류만이 비교적 긴 물줄기를 이루고 있다. 각각의 물줄기는 모두 타림강으로 흘러드는데, 타림은 위구르어로 '물줄기가 모여드는 곳'이라는 뜻이다. 옛날 카슈가르 강, 웨이간 강[渭干河] 등도 타림 강으로 유입되었으나 후에 관개용수가 많이 필요하게 되어 타림 강과는 단류되었다. 수원이 충분한 산록지대는 이미 관개옥토가 되었는데, 그중 유명한 곳은 쿠얼러[庫爾勒]·쿠처[庫車]·아커쑤·예청[葉城]·허톈·간톈[干田] 등이다. 타림 분지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내륙의 면(綿) 산지이다. 일광조건이 좋아 내륙의 면 생산과 플란넬 생산에 적합하다. 낮과 밤의 큰 기온차는 작물의 양분 축적에 도움을 주고 해충이 자라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이곳은 중국에서 가장 우수한 품질의 면 생산지구가 되었다. 과일도 많이 생산되는데, 쿠얼러의 꿀배, 쿠처의 살구, 예청의 석류, 허톈의 붉은 포도 등이 유명하다. 허톈의 견직물과 양잠도 상당히 발달된 수준이다. 1949년 이후 타림 분지를 따라 많은 대형 국영농장이 건설되었다. 예청 등에는 이미 대량의 유전이 발견되었다. 철로가 현재 쿠얼러까지 통하기 때문에, 타림 분지 개발에 좋은 조건을 제공하고 있다.
********************
타클라마칸 사막[沙漠, Takla Makan Desert]중앙 아시아의 대사막.
중국 서부 타클라마칸 사막의 모래 폭풍(2005. 6. 25), ...
세계 최대의 모래사막 가운데 하나로, 중국 타림 분지 중앙에 있으며 27만 2,000㎢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타클라마칸 사막의 고도는 서부와 남부가 약 1,200~1,500m, 동부와 북부가 약2,600~3,300m이다. 북쪽의 톈산 산맥[天山山脈], 남쪽의 쿤룬 산맥[崑崙山脈], 서쪽의 파미르 고원 등 높은 산맥들로 둘러싸여 있으며, 동쪽은 점차 습한 로프노르 호로 이어진다.
서부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사막 전체가 사구(砂丘)로 이어져 있는데, 그중 85%가 이동성 사구이다. 이 사구들은 100여m에 이르는 흐트러지기 쉬운 충적토 위를 바람에 날리는 모래가 덮고 있는 형태인데 이 모래의 두께가 300m에 이르는 것도 있다. 사막의 바람은 부는 형태가 매우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바람에 의해 형성된 지형의 모습도 다양하다. 사구들 가운데 거대한 것은 높이가 200~300m에 이르는 것도 있다. 사막의 서쪽에는 사암과 점토로 이루어진 2개의 작은 산맥, 즉 활처럼 생긴 마자르 산맥과 쵤 산맥이 솟아 있다. 쿤룬 산맥을 흐르는 강들은 사막으로 100~200㎞까지 스며들어 모래 속에서 서서히 말라버린다. 이 사막은 온대사막으로 뚜렷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강수량은 매우 적어 연강수량이 서쪽 38㎜에서 동쪽 10㎜까지 분포해 있다. 몇 안 되는 강의 유역과 사막의 주변지역을 제외하고는 식생이 희귀하며, 정착인구가 없다. 거대한 유전의 개발이 사막의 북부와 남부에서 이루어졌다.[네이트백과]
Tigris River
28위.Tigris River - 1,900 km - 1,180 miles
티그리스 강(Tigris)은 길이 약 1,900km로, 터키 동쪽의 타우르스 산맥에서 시작하여 남동쪽으로 흘러 이라크 남부의 꾸르나(Al Qurna)에서 유프라테스 강과 합류한다. 이렇게 만난 두 강은 페르시안 만으로 흘러들어가는 샤트 알-아랍(the Shatt al Arab) 수로를 형성한다. 이라크의 수도인 바그다드가 티그리스 강가에 위치하고 있고, 항구도시인 바스라는 샤트 알-아랍 강에 걸쳐있다.
고대에는 메소포타미아의 많은 도시들이 강 근처에 있었고 수메르인들은 이 강을 관개하여 문명을 이룩했다. 티그리스 강 근처의 주목할 만한 도시로는, 기원전 2400년에 인공수로를 만들어 관개를 했던 Lagash를 포함해, Nineveh, Ctesiphon, 그리고 Seleucia 등이 있다. 사담 후세인의 고향인 Tikrit 또한 이 강 주위에 있으며, 이 강에서 이름을 딴 것이다.
티그리스 강은 거대한 사막국가들의 중요한 운송로로 사용되어왔다. 이 강은 바그다드까지는 작은 배로도 운항이 가능하지만, Mosul로의 운항에는 땟목이 적절하다. 이 강을 통한 무역은 20세기 중 Basra-Baghdad-Mosul railway and roads가 화물운송의 대부분을 전담하면서 그 비중이 감소하였다.
티그리스-유프라테스 하계[河系, Tigris-Euphrates River System]
유프라테스 강은 아카드어로 Purattu, 아랍어로 Furat, 터키어로 Firat, 성서에는 Perath. 티그리스 강은 아카드어로 Idiklat, 아랍어로 Dijla, 터키어로 Dicle, 성서에는 Hiddekel. 서아시아의 거대한 두 강으로 이루어진 하계.
이라크 남부 티그리스·유프라테스 강 사이의 습지, 멧돼지류와 뒤쪽으로 ...
터키 동부 산악지대에서 발원한 후 남동쪽으로 흘러 시리아 북부와 이라크를 지나 페르시아 만으로 유입된다.
티그리스 강(1,900㎞)과 유프라테스 강(2,800㎞)은 각각 멀리 떨어진 귀네이도우토로슬라르 산맥과 자그로스 산맥의 여러 수원지에서 발원하여 흐르다가 중류에서 서로 가까워지며, 겨울철에 내리는 비와 눈이 수량의 대부분을 이룬다. 이라크 북부지방에서 알자지라('섬'이라는 뜻)로 알려진 3각형 모양의 불모지인 석회석 사막지대를 사이에 두고 멀어진 후 두 강 모두 수로의 2/3 길이까지 선회하다가 이들이 퇴적시킨 실트로 형성된 저지대 삼각주인 메소포타미아 평원에 이른다. 평원 남쪽에서 유프라테스 강은 얕지만 거대한 호우르알함마르 호를 지나 페르시아 만 북서쪽 약 160㎞ 지점에서 티그리스 강과 합류하여 아랍 강(샤트알아랍)을 이룬다. 이 두 강은 유역면적이 111만 4,000㎢에 이르는 지역을 흐르는 동안 티그리스 강은 디얄라 강, 알우자임 강, 대(大)자브 강, 소(小)자브 강을, 유프라테스 강은 발리크 강, 서부 알카부르 강, 가라프 수로를 주요지류로 받아들인다. 가라프 수로는 알쿠트에서 티그리스 강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유프라테스 강과 합류하며, 아랍 강은 이란에서부터 남쪽으로 흐르던 카룬 강과 합류한다. 아랍 강은 연평균 초당 1,400㎥의 물을 방출한다.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은 2번의 뚜렷한 범람주기가 있다. 첫 번째는 11월에서 3월말까지 이어지는 기간으로, 이 시기에는 주로 비 때문에 수위가 불규칙하게 상승한다. 2번째인 4, 5월에는 홍수 때문에 두 강에서 초당 5만 3,375㎥에 이르는 물이 방류된다.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은 이 홍수기간 동안 고지대로부터 많은 양의 퇴적물을 실어 나른다. 이들이 실어온 침적토 가운데 바다로 흘러가는 것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 메소포타미아 평원에 퇴적되어 비옥한 토양을 형성한다. 여름기온이 높은 반면 강우량은 상대적으로 적은 대륙성기후대에 속한다. 메소포타미아 평원의 많은 지역이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 강의 물로 관개되며, 밀·보리·기장·벼·대추야자가 재배된다.
Tumen River - China, North Korea, Russia - Sea of Japan
Ural River
17위.Ural River - 2,428 km - 1,509 miles
Vaigai River - India southern India, flowing 150 miles (240 km)
바이가이강[Vaigai Rive] 인도 남부 타밀나두주에 있는 강이다.
타밀어(語)로는 바이야이(Vaiyai)강이라고 한다. 서고츠(Western Ghats)산맥의 페리야르
(Periyar)고원에서 발원하여, 캄밤(Kambam)골짜기·바루샤나드(Varushanad) 언덕·판디아나두(Pandya Nadu)·마두라이(Madurai)를 거친 후, 라마나타푸람(Ramanathapuram)행정구에서 팔크(Palk)해협으로 흘러들어간다. 강에는 바타파라이(Vattaparai)폭포가 있다. 주요 지류는 수룰리야루(Suruliyaru)·바라가나디(Varaganadi)·마나잘라루(Manajalaru)강이다. 강은 주로 케랄라(Kerala)주 쿠물리(Kumuli)에 있는 페리야르(Periyar)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케랄라주정부가 댐의 수위를 올리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강이 종종 말라버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정작 마두라이에는 강물이 흐르지 않는다.
Vilyuy River
13위.Vilyuy River - 2,650 km - 1,647 miles
빌류이 강[Vilyuy River] Viliui River라고도 씀. 시베리아 중부를 흐르는 강.
주로 러시아 연방의 야쿠티야 공화국을 통과해 흐른다. 레나 강의 가장 긴 지류로서 길이 2,650㎞, 유역면적 491,000㎢이다. 예벤키 자치구에 있는 중앙 시베리아 고원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야쿠티야 공화국으로 들어가 남쪽과 남동쪽으로 흐르며, 다시 완만하게 동쪽으로 흐르다가 야쿠츠크 북서쪽 약 321㎞ 지점에서 레나 강과 합류한다. 강유역은 인구밀도가 희박하다. 강가의 소규모 거주지로는 빌류이스크(1634 세움), 베르흐네빌류이스크, 강어귀에서 약 800㎞ 지점에 있는 전통적인 해군본부 순타르 등이 있다.
1954년 빌류이 강어귀에서 724㎞ 떨어진 강줄기 근처 미르니에서 풍부한 다이아몬드 광상이 발견되었다. 도로와 공항이 세워졌으며 광산 근처의 체르니세프스키에 있는 빌류이 강가에서 빌류이 댐 건설이 시작되었다. 전력은 미르니에 있는 다이아몬드 선광작업(選鑛作業)에 이용되며, 북쪽으로 402㎞가량 떨어진 아이할 다이아몬드 광상(1964)과 우다치니 다이아몬드 광상(1968)에까지 공급된다. 댐 건설로 강의 수량 상황과 유역 주변의 경제가 크게 바뀌었다.
Vitim River
25위.Vitim River - 1,978 km - 1,229 miles
비티무강(비팀강, 비티무강, Vitim, 러시아어: Витим)은, 러시아 연방 시베리아 동부의 브리야트 공화국, 치타주, 이르쿠츠쿠주를 흐르는 강이다. 레나강의 오른쪽 지류로, 남쪽에서 합류한다.
Baical호수의 동쪽 100 km에 있는 이캇트 山地東 경사면의, 표고 2,573 m의 水源으로부터 출발한다. 비티무 타카하라를 사행하여, 야브로노브이 산맥을 따라 북서로 흐른 후, 스타노보이 고지를 관철해 보다이보의 마을을 흘러 사하 공화국 렌스크의 서쪽에서 레나강에 합류한다. 합류점부근에서는 레나강으로 향해 분류해 내륙 삼각주를 형성하고 있다. 보다이보까지는 선박의 항행이 가능하다. 레나 강의 지류이다. 이카트 산맥의 동쪽 경사면, 부랴티야 공화국의 바그다린 시 근처에서 발원하여 대체로 북쪽으로 흘러 비팀시에 있는 삼각주에서 레나강과 합류한다. 길이는 1,978㎞이며 유역면적은 22만 7,000㎢이다. 강어귀에서 296㎞ 떨어진 보다이보 금광지대의 중심지인 보다이보 시까지 배로 연결된다.
곤충등의 화석의 출토지로서 유명한 바이사(w:Baissa)는, 비티무강의 좌안에 있다. 2002년 9월 25일밤에 보다이보 부근에서 일어난 큰 천체 폭발로 알려진 비티무 사건의 현장이기도 하다. 현지로부터 운석 같은 것은 거의 발견할 수 없었지만, 유성이나 혜성이 충돌했다고 보여지고 있다.
Xi - China
26위.Xi River - 1,930 km - 1,200 miles
서강[西江] Xi Jiang, Hsi Chiang, West River. Si Kiang이라고도 씀. 중국 남부에서 가장 긴 강.
넓게 잡아 윈난[雲南] 고원지대에서 남중국해까지 동쪽으로 약 1,957km를 흐른다. 베이장 강[北江], 둥장 강[東江], 주장 강[珠江]과 함께 44만 8,000㎢에 달하는 넓은 유역의 물을 배수한다. 시장 강은 중국의 다른 중요한 강인 양쯔 강[揚子江]·황허 강[黃河], 쑹화 강[松花江]보다 길지 않지만 막대한 양의 물을 운반하며 유량(流量)은 양쯔 강에 버금간다.
시장 강 자체는 대략 중국 남부와 베트남 북부의 32만 8,800㎢에 달하는 지역의 물을 배수한다. 유역은 절반 이상이 산지로, 해발 500~3,000m이며 나머지 유역의 40% 이상은 해발 100~500m인 구릉지대이다. 삼각주 저지대는 전체 배수지역의 5%에도 못 미친다. 산지와 구릉의 대부분은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시장 강이 산지와 구릉을 꿰뚫고 지나가면서 움푹 들어간 계곡을 만들어놓고 있다. 강바닥은 급류와 협곡에 의해 부서지며, 강둑은 높고 가파른 곳이 많다. 이러한 풍경은 카르스트 지형이 이루어놓은 것으로, 석회암 바위덩어리가 굴과 구멍이 많은 벌집 형상을 하고 있어 배수되는 물의 대부분이 지하로 흐르며 깊은 늪과 좁은 구덩이가 많다.
주요원류는 일반적으로 난판 강[南盤江]이라고 여겨진다. 난판 강은 고도가 약 2,100m인 윈난-구이저우[貴州] 고원지대에서 발원하지만 처음 850km 구간에서 고도가 모두 1,800m나 떨어진다. 윈난 성을 가로질러 남동쪽으로 흐르는 난판 강은 약 860km에 걸쳐 구이저우 성과 광시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 사이의 경계를 이룬다. 이 강은 처헝 진[冊亨鎭] 남동쪽에서 베이판 강[北盤江]과 합류하며, 그곳에서부터는 훙수이 강[紅水河]이라고 불린다. 훙수이 강은 좁은 계곡을 따라 640km 정도 흐른다. 계곡의 비탈은 260m쯤 높이 깎아질러 있다. 강바닥은 너비 50~300m로 거센 급류에 의해 깎이는데, 강의 깊이는 90cm도 되지 않아 배를 띄우기 어렵다. 훙수이 강은 처음 120km에서는 구이저우 성과 광시좡족 자치구의 경계를 이루며 동쪽을 향해 흐른다. 주톈어[九天峨]에서 남쪽으로 크게 방향을 바꾸면서 광시좡족 자치구를 가로지르며, 궁촨[貢川]에서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었다가 다시 동쪽으로 흐른다.
훙수이 강은 스룽[石龍]에서 왼쪽 기슭의 가장 중요한 지류인 류장 강[柳江]과 합류하며, 이곳에서부터는 첸장 강[黔江]으로 불린다. 첸장 강 구간은 시장 강 중 가장 짧아 120km도 안 되는데, 이 구간 내에서 강 높이가 15m 정도 낮아지며, 수로가 급작스럽게 발달해 수심이 85m에 이르는 곳도 있다. 첸장 강은 전체 길이의 거의 절반 가량이 우쉬안[武宣]과 구이핑[桂平] 사이에 있는 좁고 온통 바위로 뒤덮인 다텅샤[大藤峽]를 통과하면서 흐른다. 그 마지막 지점에서 첸장 강은 오른쪽 기슭의 가장 중요한 지류인 위장 강[鬱江]을 받아들이며, 거기서부터는 쉰장 강[潯江]이라고 불린다. 쉰장 강은 동쪽으로 200km 정도 흐르며 고도는 17m 이상 낮아진다. 이 강은 텅 현[藤縣]에서 오른쪽의 룽장 강[容江]을 받아들이고, 광둥 성[廣東省]과의 경계에 있는 우저우[梧州 : 창우(蒼梧)라고도 함]에서 왼쪽의 구이장 강[桂江]을 받아들인다. 쉰장 강에서 너비가 가장 넓은 지점은 340m로 룽탄샤[龍潭峽]에 있다. 최대수심은 거의 60m에 달한다.
이 강은 우저우 아래쪽을 지나 광둥 성으로 진입하면서 비로소 시장 강이라고 불린다. 그 유역은 굽이진 협곡과 넓은 골짜기들로 이루어져 있다. 싼룽샤[三融峽]와 링양샤[羚羊峽]에 이르면 강너비는 70~80m로 좁아지고 깊이는 75m로 깊어진다. 시장 강은 210km 전체 구간에 걸쳐 고도가 단지 9m 낮아질 뿐이다. 계속 동쪽으로 흐르던 시장 강은 싼수이[三水]에서 베이장 강과 합류한 후 남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그뒤 광저우[廣州] 삼각주라고도 하는 광활한 주장 강 삼각주를 지난 뒤 마카오 서쪽을 걸쳐 남중국해로 들어간다.
주장 강 삼각주는 시장·베이장·둥장 강 등 3개의 주요강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중 시장 강과 베이장 강은 싼수이에서 짧은 수로로 이어졌다가 다시 나누어진다. 더 큰 갈래인 시장 강은 남쪽으로 굽이치면서 삼각주의 서쪽 경계를 이룬다. 반면 더 작은 갈래인 베이장 강의 포산[佛山] 지류는 동쪽을 향해 곧장 삼각주로 흘러들어간다. 둥장 강은 동쪽에서 흘러와서 삼각주의 주요수로인 주장 강으로 진입한다. 주장 강은 광저우 바로 위쪽에서 시작한다. 광저우는 둥장 강이 주장 강으로 흘러드는 지점 서쪽에 있으며, 홍콩은 너비가 거의 30km에 달하는 주장 강 어귀의 동쪽에, 마카오는 서쪽에 있다.
광둥 성 남동부의 약 3,900㎢에 달하는 지역에 걸쳐 있는 주장 강 삼각주는 강의 지류와 수로들로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충적토로 이루어진 섬들과 한때 해안가의 섬이었던 구릉에 의해 분할된다. 비옥한 섬들은 해면보다 약간 높을 뿐이어서 홍수방지를 위한 제방시설에 의해 바다로부터 보호되고 있다. 시장 강 유역의 산지는 대부분이 숲으로 뒤덮여 있는데, 북쪽과 서쪽에서 구이저우 성과의 경계를 따라 뻗어 있는 곳이 특히 무성하다. 중요한 수종으로는 소나무·전나무·녹나무·유동(油桐)·대나무 등이 있다. 시장 강 유역의 동쪽 부분에 해당하는 해안 저지대에서는 벼·땅콩·사탕수수·대마·과일·채소가 널리 재배된다. 또한 시장 강에는 담수어가 많다. 주장 강 삼각주의 강물은 양어장으로 많이 이용된다. 서쪽 산악지대에는 원숭이·곰·맥(貘)이 많다. 시장 강 유로(流路)에 있는 산악지대 전체를 놓고 볼 때 이 강은 부근에 사는 주민들과는 관련이 거의 없다. 사람들은 주로 산지 사이의 평원이나 작은 골짜기에 모여 사는데 대부분 독립되어 있으며 조밀한 농경마을이다. 강가의 촌락들은 광시좡족 자치구 지역의 구릉 부분에 보다 많이 형성되어 있다. 이곳에서 강은 통상의 중추 역할을 한다. 궁촨·첸장[遷江]·라이빈[來賓]·구이핑·우저우 및 텅 현이 주요도시에 속한다.
주장 강 삼각주는 중국에서 인구가 가장 조밀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다. 전지역에서 집약적 농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가장 중요한 작물은 쌀이며, 보다 서늘하고 건조한 기후를 가진 서쪽에서는 밀·옥수수·사탕수수·콩·감자도 재배된다. 복잡하게 얽힌 관개체계 중에는 1,900km가 넘는 홍수방지용 제방도 있다. 강물은 양어장으로도 이용된다. 삼각주의 많은 수로는 국내 교역뿐만 아니라 광저우에서 이루어지는 국제 무역에서도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 시장 강 유역은 주로 강우에 의해 물을 공급받으며, 수위와 수량도 상대적으로 풍족한 강우량에 따라 달라진다. 여름이면 강의 유속이 2배로 빨라지는데 이 거대한 흐름은 대부분 계절풍의 영향을 받은 여름철 강우에 의해 생긴다. 이때는 사나운 홍수가 발생하기도 하며 대참사와 같은 피해도 자주 입는다. 겨울 건조기에는 수위와 수량이 최저로 내려간다. 1년 중 수위 변동은 우저우 부근이 가장 크며, 그 차이가 24m까지 된다. 저지대나 삼각주에서는 수위 변화가 적다. 특히 위험한 것은 삼각주에서 발생하는 홍수로, 범람한 강물이 높은 조수(潮水)와 결합하면서 생긴다. 시장 강 유역에서 홍수는 17세기에 29번, 18세기에 26번, 19세기에 36번, 20세기 전반(1900~49)에 24번 발생했다.
시장 강은 교통의 동맥 구실을 하는 중요한 곳이다. 유역에는 1만 4,500km가 넘는 수로가 이어져 있으며 그중 1만 1,000km 이상이 항행에 이용되고 있다. 이 수로 전체의 1/3 이상은 증기선의 항행이 가능하다. 반면 정크와 소형선박은 항행이 가능한 모든 수로에서 운행된다. 배들은 수위가 낮은 지류가 많기 때문에, 그리고 어떤 곳에서는 급류 때문에 항행에 방해를 받는다. 위장 강과 같은 몇몇 지역에서는 선박들이 배를 감아 올리는 기계인 수동 윈치를 사용해 급류를 헤쳐 나간다. 둥장·베이장 강을 포함한 여러 강에서는 강의 수위가 낮아지면 항행이 중지된다. 수로는 완전한 체계로 되어 있지 않다. 시장 강 유역에서 가장 큰 도시인 광저우에서 시장·베이장 강으로 직접 가는 노선은 없다. 유역 내의 수로와 도시를 연결해주는 운하는 구불구불하고 진흙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흘수선(吃水線)이 낮은 선박만 항행할 수 있다. 삼각주를 흐르는 지류의 대부분은 수위가 낮아 원양을 항해하는 선박은 광저우까지 갈 수 없으며, 하류로 16km 떨어진 황푸 항[黃埔港]선거(船渠)가 설비되어 있다.
**********************
홍수[紅水河]훙수이 강Hongshui, Hungshui River.
중국 남부의 구이저우 성[貴州省]과 광시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에 걸쳐 흐르는 강.
광저우[廣州]에 삼각주를 형성하는 시장 강[西江]의 주요지류 가운데 하나이다. 구이저우 성 서부에 있는 우멍 산맥[烏蒙山脈]에서 발원하며, 상류는 라이머우 강으로 불린다. 이 강은 남동쪽으로 흐르다가 판장차오[盤江稿] 부근에서 시싸 강[西薩江]과 합류하며, 이 합류지점 아래부터는 베이판 강[北盤江]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강은 왕모[望謨] 부근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구이저우와 광시 경계를 이루며 약 80㎞를 흐른다. 그 뒤 톈어[天峨]에 이르러 다시 남동쪽으로 방향을 바꾸는데 여기서부터 훙수이 강으로 불린다. 훙수이 강은 광시좡족 자치구의 북서부를 가로질러 약 345㎞를 흐른 다음, 구이핑[桂平]에서 위장 강[郁江] 본류와 만난다. 구이저우 남서부와 광시 북서부의 대부분 강이 훙수이 강과 그 지류로 들어간다. 이 강의 주요한 지류는 라이빈[來賓] 조금 아래에서 합류하는 류장 강[柳江]이다. 라이빈 아래쪽과 멀리 류장 강의 류저우[柳州]까지의 구간에는 밑이 얕은 정크만이 다닐 수 있다. 그러나 훙수이 강의 상류는 급류와 깊은 골짜기가 많아 사실상 배가 다닐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훙수이 강 및 그 지류 유역은 중국 남부에서 구이저우 성으로 들어가는 주요한 통로가 되고 있다[네이트백과]
Xiang river- China 800㎞
상강[湘江]Xiang Jiang, Hsiang Chiang (River).
중국 후난 성[湖南省]을 흐르는 강.
총길이는 800㎞이며 양쯔 강[揚子江]의 주요지류이다. 광시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의 싱안 현[興安縣]에서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흘러 후난 성으로 들어간다. 후난과 광시의 경계 산맥을 흐르다가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오는 샤오수이 강[瀟水]과 링링[零陵]에서 합쳐지며, 헝양[衡陽]에서는 광둥 성[廣東省] 경계 부분에서 흘러오는 레이수이 강[耒水]과 합쳐진다. 그다음에는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창사[長沙]를 거쳐 둥팅 호[洞庭湖]로 들어가며, 그뒤 양쯔 강으로 흘러들어간다. 주저우[株洲]에서 루수이 강[淥水]과, 샹탄[湘潭] 아래에서는 샹장 강의 주요한 서쪽 지류인 롄수이 강[漣水]과 합쳐진다.
샹장 강은 중요한 수로로 1930년대 후난 성에 철도가 완공되기 전까지 후난 성 교통의 대동맥 구실을 했다. 양쯔 강에서 올라오는 큰 배가 창사까지 들어갈 수 있고, 소형 증기선은 샹탄까지, 정크는 헝양까지 다닐 수 있으며, 물이 불어날 때는 정크로 링링까지 갈 수 있다. 창사 윗부분의 상류로는 조그만 배로 싱안까지 갈 수 있으며, 그다음에는 고대에 건설된 링취 운하를 통해 분수령을 넘어 구이장 강[桂江]까지 연결된다. 역사적으로 이 수로는 중국 중부와 광둥 및 광시 사이를 잇는 중요한 교통로였다. 지금도 사용되기는 하지만 그 역할의 대부분을 철도에 빼앗겼다
Yangtze (Chang Jiang) - China - East China Sea
1위.Yangtze (Chang Jiang) - 6,300 km - 3,915 miles
양자강[揚子江],장강, 창장 Yangzi Jiang (웨)Yangtze Chiang (영)Yangtze River. Yangtze kiang이라고도 쓰며, 창장 강[長江]이라고도 함.
세계에서는 3번째로 길다. 길이는 6,300km이며, 유역은 동서로 약 3,200km, 남북으로는 970km가 넘게 뻗어 있다. 중국 서부에서 발원한 이 강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12개의 성(省)과 지역을 가로지른다. 그중에는 시짱 자치구[西藏自治區 : 티베트]도 포함된다 (→ 티베트 고원). 양쯔 강 유역의 인구분포는 고르지 않다. 인구가 가장 많이 집중된 곳은 중국 중부와 동부의 양쯔 강과 그 지류의 연변에 인접한 평원이다. 반면 인구가 가장 희박한 곳은 유역 서쪽의 고지대이다. 강 구간의 3/4 이상이 산지를 지난다.
양쯔라는 이름은 고대 제후국인 양(揚)나라에서 따온 것으로 유럽인들이 즐겨 쓰는 이름이며 중국인들 사이에서는 상용되지 않는다. 대신에 '긴 강'이라는 뜻의 창장[長江]이 널리 쓰이고, 더러는 다장[大江]으로 불리기도 한다. 양쯔 강에는 8개의 주요지류가 있다. 왼쪽 편으로는 상류에서부터 어귀에 이르기까지 야룽 강[雅礱江], 민장 강[岷江], 자링 강[嘉陵江], 한수이 강[漢水]이 있으며, 오른쪽으로는 우수이 강[武水], 위안장 강[沅江], 샹장 강[湘江], 간장 강[贛江]을 들 수 있다. 양쯔 강 유역은 중국의 거대한 곡창지대로, 이 나라에서 나는 곡물의 거의 절반 정도가 이곳에서 생산된다. 그 가운데 쌀은 전체 양의 70%에 달한다. 거기에다 목화·밀·보리·옥수수·콩·대마와 같은 그 밖의 많은 작물이 재배된다. 상하이[上海]·난징[南京]·우한[武漢]·충칭[重慶]과 같은 인구 100만 명 이상의 거대도시가 이 강의 유역에 자리잡고 있다
상류
양쯔 강의 상류는 티베트 고원을 가로질러 흐른다. 이곳 주민들은 주로 목축과 자급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추우며, 생육기간은 단지 4~5개월에 불과하다. 이곳에서 가장 인구가 조밀한 지역에는 약간의 중국인(한족)과 후이족[回族]·네팔인·인도인들이 살고 있다. 남서쪽의 고지에 인접한 산악지대에는 중국인이 압도적으로 많다. 이들은 다른 소수민족과 마찬가지로 주로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양쯔 강은 처음에 2곳에서 발원하는데, 탕구라 산맥[唐古拉山脈]의 해발 5,490m 되는 지점이 그 발원지이다. 2개의 발원지 중 남쪽에 있는 것이 주요발원지로, 그 지방에서는 티베트어 '울란무렌'(Ulan Muren)으로 알려져 있다. 2개의 원류가 합쳐진 곳부터는 얕고 넓은 계곡을 지난다. 계곡 아래에는 호수와 작은 웅덩이들이 점점이 흩어져 있다. 이 구간은 티베트 고원에서도 좀더 높은 지역에 해당한다. 고원의 동쪽 끝에 이르러 강의 형세가 급격하게 변하는데, 티베트에서 벗어나는 지점인 이곳에서 고도가 크게 떨어진다. 진로도 높은 바옌카라 산맥[巴顔喀喇山脈] 남쪽으로 굽어지며, 깊이 2~3km의 좁다란 계곡을 흘러간다. 각각의 산봉우리들은 해발 4,900m가 넘으며 빙하와 만년설로 덮여 있다. 바위로 된 가파른 산비탈은 골짜기와 깊은 계곡들로 인해 깎아지른 듯하다. 양쯔 강은 300~400km를 남동쪽으로 흐른 뒤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빠른 속도로 아래로 흘러가며, 가파른 통로를 상당한 길이에 걸쳐 흐른다. 마을은 드물기는 하지만 강 위쪽의 높은 곳에 있다. 이곳에서 양쯔 강은 메콩 강 및 살윈 강과 인접하여 달린다. 이 세 강은 모두 서로 24km에서 48km 사이에 있으며, 400km가 넘게 서로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면서 흐른다 (→ 진사 강).
북위 26° 북쪽에서 양쯔 강이 동쪽으로 꺾어지면서 이 세 강은 갈라진다. 이곳에서 양쯔 강은 산지를 가로질러 이빈 시[宜賓市]로 흘러가는데, 비탈이 가파르고 구불구불한 계곡을 지나게 된다. 많은 지류들을 받아들이면서 양쯔 강은 강 너비가 300~400m로 넓어지며, 깊이는 종종 9m를 넘어서기도 한다. 지류 중에서는 야룽 강이 가장 크며 방류하는 물도 가장 많다. 좁은 골짜기들에서는 강 너비가 거의 반으로 줄어들며, 반면에 깊이는 급속히 늘어난다.
상류 구간의 끝지점에 이르러 양쯔 강은 고도가 해발 300m로 낮아진다. 따라서 약 2,570km에 걸친 상류에서 고도는 전체적으로 5,180m가 넘게 낮아지며, 이는 1km당 평균 2m가 낮아진 것이다. 그러나 산지에서는 실질적으로 강의 낙차가 평균보다 2~3배 정도 크다.
중류
양쯔 강 중류는 여름이 덥고 겨울이 비교적 온화한 것이 특징이다. 그 반면에 연강수량은 1,016~1,524㎜나 된다. 생육기간은 6개월 이상 계속된다. 비는 대부분 여름에 내리며, 이는 농업 발전에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해서 농업이 이 지역 경제를 좌우하고 있다. 주민은 주로 한족이며, 그밖에 소수민족도 많이 살고 있다.
이빈 시와 이창 시[宜昌市] 사이의 약 1,000km에 걸쳐 뻗어 있는 중류에서 양쯔 강은 산이 많은 쓰촨 성[四川省]을 가로질러 흐른다. 이곳의 산악지역은 중국 남서부의 고지대와 히말라야 동쪽이자 시안[西安] 남쪽에 있는 친링 산맥[秦嶺山脈] 지역을 연결시켜준다. 이곳에서 강 너비는 약 300~500m 정도로 되며, 수심은 9m에 이르는 곳도 있다. 유속은 빠르며 강 양안은 종종 높고 가파르다. 쓰촨 성에서 강의 낙차는 250m가 넘는데, 이는 1km당 대략 0.2m가 낮아진 것이다. 이곳의 토양은 매우 기름지며 기후조건은 농사에 알맞다. 이 지역의 높은 산들이 쓰촨 성으로 불어오는 차가운 북풍과 서풍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온화한 기온은 양잠업에도 유리하다. 석탄·구리·인·금·석유 및 천연 가스를 포함한 여러 가지 유용 광물이 쓰촨 성에 집중적으로 매장되어 있다. 인구는 특히 청두 시[成都市] 부근의 평원에 밀집해 있다. 거대한 규모의 산업 중심지이자 하항(河港)인 충칭도 이 지역에 있다. 쓰촨 성을 뒤로 한 양쯔 강은 취탕샤[瞿塘峽]·우샤[巫峽]·시링샤[西陵峽] 등 3개의 좁은 협곡이 있는 산악지역을 약 200km에 걸쳐 흐른 뒤 평원으로 빠져나간다(→양쯔 강 싼샤) (→ 양쯔 강 싼샤).
하류
중국 동부 저지대의 광대한 평원 모퉁이에 있는 양쯔 강 하류 유역은 온화한 해안성기후로, 봄은 따뜻하고 여름은 더우며 가을은 시원하고 겨울은 비교적 추운 것이 특징이다. 계절풍이 이 지역의 날씨를 좌우하며, 여름과 가을에 태풍이 정기적으로 불어온다. 이곳의 자연조건은 특히 농업에 적당하다. 생육기간은 8~11개월이나 계속되며, 몇몇 지역에서는 2모작이나 3모작도 가능하다. 이 지역은 중국에서 농업과 공업이 가장 발달한 곳이다. 대부분이 한족인 강유역 주민들 가운데 대부분이 이곳에 집중해 있어 인구밀도가 상당히 높다. 약 2,100km를 하류로 내려간 양쯔 강은 3협곡 지역을 벗어나기 시작해 광대한 평원으로 들어간다. 이곳에서는 본류 외에 많은 지류와 호수들로 이루어진 복합 수계를 형성한다. 편평한 량쯔 호[梁子湖] 평원을 가로질러 우한으로 들어가면서 양쯔 강은 드넓은 운몽택(雲夢澤 : 고대의 大沼澤地) 지대의 바닥에 충적지와 호수의 침전물을 만들어놓는다.
넓은 계단식 모양의 경사면에는 호수가 수없이 많다. 입구에 있는 호수들은 작지만, 뒤쪽에는 창후 호[長湖], 훙후 호[洪湖], 둥팅 호[洞庭湖]를 비롯해서 커다란 저수지들이 있다. 이 호수군 지역의 전체면적은 1만 7,100㎢가 넘는다. 이들 호수는 주로 어업에 있어서 국가 경제적 차원에서 중요성을 갖고 있다 (→ 양쯔 평원). 량쯔 호 평원이 끝나는 곳에서 양쯔 강은 두드러지게 넓어지며, 강줄기는 거대한 고리 같은 모양으로 굽어진다. 이곳에서 강 너비는 790m에 이르며 수심은 30m가 넘는다. 유속은 0.9~1.2m/sec 정도이다. 강 양안에는 홍수를 방지하기 위한 제방이 축조되어 있다. 평원의 남쪽 부분에 이 지역에서 가장 넓은 호수인 둥팅 호가 있는데 넓이는 3,600~4,700㎢나 된다. 이 호수는 양쯔 강을 4개의 지류와 2개의 운하로 나누면서 강의 흐름을 조절한다. 농업지역이자 군데군데 호수가 박혀 있는 주변지역은 중국의 미작지대로 불린다.
한수이 강 어귀 부근의 양쯔 강 강안에 3개의 도시가 있다. 왼쪽 기슭에 있는 도시가 한양[漢陽]과 한커우[漢口]이며, 오른쪽 기슭은 우창[武昌]인데 이들 도시는 합쳐져 야금술의 기지이자 하항인 우한이라는 거대도시가 되었다. 량쯔 호 평원의 동쪽 끝에서 양쯔 강은 좁고 아름다운 계곡으로 흘러들어간 뒤 평원으로 빠져나온다. 이 평원 남부에 또 하나의 거대한 호수 포양 호[鄱陽湖]가 있다. 이 호수의 면적은 대략 2,600㎢이며, 양쯔 강과는 강 너비가 넓은 지류로 연결된다. 이곳에서 양쯔 강은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많은 호수가 물을 내보내는 넓고 폐쇄된 계곡을 지나 화베이[華北] 평원으로 빠져나간다. 이 지점에서 강 너비는 900~1,800m로 넓어지며 수심이 30m에 이르는 곳도 몇 군데 있다. 이 지역에는 안칭[安慶]·우수이[武水]·쑤저우[蘇州]·상하이[上海] 등 대도시가 많다. 길이가 약 1,770m로 세계에서 가장 긴 운하에 속하는 대운하는 전장 시[鎭江市] 부근에서 양쯔 강과 갈린다.[네이트백과]
Yalu - North Korea, China - Korea Bay of the Yellow Sea
Yellow River (Huang He) - China - Yellow Sea
2위.Yellow River (Huang He) - 5,464 km - 3,395 miles
황하[黃河] 황허 Huang He, Huang He (영)Yellow River.
황허 강은 시짱 자치구[西藏自治區]의 동쪽 고지로부터 발원해 5,464km를 흘러 황해 보하이[渤海]로 유입된다. 황허 강은 칭하이 성[靑海省], 간쑤 성[甘肅省], 닝샤후이족 자치구[寧夏回族自治區], 네이멍구 자치구[內蒙古自治區]를 지나 산시 성[陝西省], 산시 성[山西省], 허난 성[河南省], 산둥 성[山東省]으로 들어간다. 실트(silt)를 포함한 황허 강은 상당 부분이 굽이지고 물길이 사나우며 종종 제방을 넘어 화베이[華北] 평원을 범람한다. 이 때문에 황허 강은 '중국의 우환'과 '다스릴 수 없는 강'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황(黃)이라는 말은 강물이 운반하는 미세한 황토를 가리킨다. 황허 강 유역은 중국 고대부터 문명의 발상지로 란저우[蘭州], 바오터우[包頭], 시안[西安], 타이위안[太原], 뤄양[洛陽], 정저우[鄭州], 카이펑[開封], 지난[濟南] 등 도시가 발달했다. 유역면적은 74만 5,000㎢이다.
지형
황허 강은 산이 많은 상류의 분지구역과 평원구역의 2구역으로 나뉘며 평원구역은 다시 중부와 하부 분지로 나뉜다. 산지 구역의 넓은 고지는 강과 지류로부터 300~400m의 높이에 있다. 고지는 결정체의 암석을 기반으로 하며 이 암석들은 때로 침식된 노두(露頭)로 관찰되기도 한다. 평원에서는 이들 암석계가 주로 황토로 구성되어 깨지기 쉬운 퇴적물의 두터운 층들로 덮여 있다. 두께가 49~60m(152m인 곳도 있음)인 황토층은 티베트 고원으로부터 동쪽으로 뻗어 화베이 평원까지 이른다. 이 단단하지 않은 롬(loam)을 지나면서 강은 깊은 골짜기를 형성하고 엄청난 양의 실트를 운반한다. 하상(河床)이 불안정한 것은 쉽게 침식되는 황토흙 때문이다. 황허 강의 분지는 화베이 평원을 가로질러 넓어지다가 하류에 이르면 부채꼴 모양으로 되는데, 화베이 평원은 낮은 산둥의 구릉들로 가로막혀 있다. 평원은 강물에 운반된 미세한 실트로 이루어졌으며, 한때 이 지역에 있었던 바다가 후퇴하면서 퇴적된 모래와 자갈을 덮고 있다. 과거의 수많은 하상을 포함하고 있는 평원은 중국의 주요 곡창지대의 하나이다.
자연지리
황허 강은 티베트 동부 고원에 있는 4,572m 높이의 바옌카라 산맥[巴顔喀拉山脈]에서 발원하여, 상류에서 2개의 커다란 호수 차링 호[札陵湖]와 어링 호[鄂陵湖]를 건넌다. 이 호수들은 수심이 그리 깊지 않아 어류가 풍부하고 겨울에는 결빙한다. 란저우 시의 상부에 있는 아니마칭 남쪽 경사면을 굽이쳐 돌면서 황허는 깊은 협곡으로 들어간다. 급류가 많은 이 지역의 강의 낙차는 1km당 2m를 넘는다. 협곡을 지나면 황허는 티베트 고원을 벗어나 북부 중국의 오르도스 사막을 거쳐 북쪽으로 거대한 고리 모양을 형성했다가 남쪽으로 진로를 바꿔 산시 성[陝西省]과 산시 성[山西省]의 경계를 이루는 긴 도랑을 따라 정저우 시까지 흐르는데 도랑의 길이는 2,880km이 넘는다. 중부분지의 대부분은 914~2,133m 높이의 황투 고원[黃土高原]을 가로질러 흐른다. 이 고원에는 충적평원과 간혹 높이 457m를 넘는 봉우리도 있으며 계단식의 경사지도 있다. 이 거대한 고리 안에서 황허 강은 5만 9,800㎢의 지역을 배수한다. 강은 처음에는 북동 방향으로 나무가 없는 황토 언덕들 사이를 880km가량 흐르는데 급류가 많이 발생하고 여러 지역에서는 강폭도 좁아진다. 그 다음 동쪽으로 굽어 충적평원을 지나 또 800km를 유유히 흐른다. 강이 동쪽으로 게속 흐른다면 베이징으로 가겠지만 강은 급격히 남쪽으로 굽어서 좁은 협곡과 몇백m 높이의 경사지 사이를 712km가량 흐른다. 이 구역에서 강의 폭은 보통 46~61m이다. 강은 서서히 넓어지면서 다시 갑자기 동쪽으로 돌아 480km를 흐른다. 여기에서 강은 친링 산맥의 동쪽 봉우리들 사이에 있는 접근하기 어려운 협곡 사이를 흐른다. 티베트 고원과 화베이 평원 사이에 있는 강의 중류분지에는 2개의 가장 긴 지류가 있다. 하나는 산시 성[陝西省]의 웨이허[渭河]로 859km이고 또 하나는 산시 성[山西省]의 펀허[汾河]로 688km이다.
황허 강의 하류는 길이가 700km이며 평균낙차는 1.6km당 약 7.5cm이다. 이곳은 대홍수가 일어나는 지역인데 그것은 많은 지역의 하상이 주위보다 높기 때문이다. 카이펑 시 위의 구역에서 저수위(低水位)는 주위보다 1.8~3m 높이에 있고, 중 수위는 2.7~7m이며, 최고수위는 종종 10m에 이른다. 카이펑에서 대운하까지 강의 제방은 높이 0.9~1.8m를 거의 넘지 않으며 저습지가 많다. 대운하 아래에서는 제방의 높이가 3.9~4.9m로 높아지며 어떤 곳은 7.6m까지 올라간다. 황허 강의 삼각주는 하구로부터 약 256km 거리에서 시작해 2,470㎢에 이르는 지역으로 전개된다. 강에 의해 운반된 실트로 이루어진 삼각주는 소택지이며 갈대로 덮여 있다. 하구의 사주(砂洲)는 간조 때 2m 이상의 깊이를 요구하는 배들의 운항을 방해한다. 만조 때 사주에서의 깊이는 2.4~2.7m이다.
수계
지난 4,000년간 황허 강의 수로는 몇 차례의 급격한 변화를 겪어서, 서로 다른 시기에 800km나 떨어진 지점에서 황해로 흘러들기도 했다. BC 3000~602년 황허 강이 최북단의 수로를 지났을 때는 톈진 시[天津市]를 가로질러서 근처의 보하이로 들어갔다. BC 602~AD 70년 강과 하구 모두는 산둥 반도의 남쪽으로 진로를 바꿨다. 70~1048년 황허 강은 다시 북쪽으로 방향을 바꿔 현재의 하상과 근접하는 수로를 취했다. 1048~1194년 수로의 변화는 내륙 안쪽, 강이 화베이 평원으로 들어가는 곳에서 일어났다. 1194년 강이 최남단의 수로를 취하자 하구는 삼각주의 남쪽 가장자리로 위치가 옮겨졌다. 그해에 제방이 무너져 산둥 반도의 남쪽지역에 황허 강의 2번째 하구가 형성되었다. 1289~1324년 강은 궈허[渦河]의 하상과 화이허[淮河]의 상당 지역을 흘러 이전의 하상으로 돌아갔다. 그후 500년 이상은 안정되어 보였다. 그러다 1854년 이후로 산둥 반도의 북쪽으로 더 전진해 마침내 현재의 위치로 정착했다.
제방의 붕괴는 역사를 통해 내내 있어왔다. 960~1048년 38회, 1048~1194년 29회의 붕괴 기록이 있다. 그 후에는 제방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개선으로 그런 붕괴가 많이 줄었다 (→ 홍수). 그러나 태평천국의 난(1850~64) 동안 이런 노력들이 소홀해지자 1852~54년 수로에 변화가 생겼다. 황허 강의 삼각주는 세계에서 가장 활동적인 삼각주 중의 하나로 1870~1970년의 100년 동안 바다 쪽으로 평균 19.2km나 밀고 나갔다. 몇몇 확장부분은 좀더 급속히 팽창해서 한 지역은 1949~51년에 8km나 넓어졌고, 또 한 지역은 1949~52년에 24km가 넘게 확장했다.
황허 강은 연평균 48.2㎦의 물을 바다로 운반하는데 고수량(高水量)의 해에는 69㎦, 저수량의 해에는 17~25㎦정도이다. 또 평균 유량은 초당 약 1,530㎥이다. 물론 계절에 따라 유량은 상당한 차이가 난다. 분지의 연강수량의 반 이상이 우기인 7~10월 사이에 떨어진다. 분지 전체의 연강수량은 약 470㎜인데 분포량은 시기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어떤 해에는 강물의 대부분이 지류들로부터 오기도 한다. 상류에서의 주요 원천은 산지의 강설(降雪)로 봄의 최고 수위가 10m에 이른다. 강의 중류와 하류에서의 최고수위(3~7m)는 7월과 8월에 발생한다. 란저우 부근에서의 강물의 최대유량은 1초당 5,350~6,120㎥이고, 룽먼(龍門)에서는 9,912㎥이며, 하류에서는 35,560㎥이다(1943).
황허 강은 세계에서 가장 진흙이 많은 강으로 1yd3(1㎥)의 강물에 26kg(34kg)의 실트를 운반하는데, 이에 비교해 나일 강은 0.9kg, 아무다리야(고대의 옥서스 강)는 3kg, 콜로라도 강은 7.7kg이다. 홍수시의 강물은 물 1yd3당 544kg의 실트를 함유하기도 한다(용적의 70%). 강은 매년 15.2억t의 실트를 바다로 운반하는데, 그 부분적인 원인은 분지의 대부분이 쉽게 부서지고 운반이 용이한 황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요인들로는 급한 경사지, 빠른 유속, 침식을 막고 실트가 침전하도록 하는 저수지와 식수(植樹) 지역의 부족 등이 있다. 평원의 관개시설은 강물의 흐름을 완화시킬 만큼은 충분하지 못하다.
[지류]
白河
黒河
湟水
祖厲河
清水河
大黒河
窟野河
无定河)
汾河
渭河
洛河
沁河
大汶河
[협곡]
茫尕峡—多石峡—麦多唐贡玛峡—官仓峡—拉加峡—野狐峡—拉干峡—龙羊峡—阿什贡峡—松巴峡—李家峡—公伯峡—积石峡—寺沟峡—刘家峡—牛鼻子峡—朱喇嘛峡—盐锅峡—八盘峡—柴家峡—桑园峡—大峡(下峡)—乌金峡—红山南峡—红山北峡—黑山峡—虎峡—青铜峡—晋陕峡谷—晋豫峡谷(包括三门峡—任家堆—八里胡同—小浪底)
경제
4,000년이 된 황허 강의 관개시설은 1950년 이후 건설된 관개와 운항용의 운하로 증가되어 2만 6,000㎢에 이르는 지역에 물을 공급한다. 강의 하류지역을 횡단하는 대운하는 수(隋)의 양제가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북쪽의 베이징으로부터 남쪽의 항저우[杭州]까지 1,760kg에 이른다. 1953년 완공된 성리운하[勝利渠]는 약 48km가량 베이징-한커우 철도선과 평행하게 달리며 정저우 북쪽의 황허와 신샹[新鄕]의 웨이허 강을 잇는다. 이 운하는 웨이허강의 수면을 높임으로써 신샹과 톈진 사이의 운항을 개선했으며 또한 신샹과 황허 사이의 관개수로망을 제공했다.
정저우에서 서쪽으로 208km 지점, 허난-산시 경계에 있는 싼먼샤 시의 싼먼샤[三門峽]에는 100만kW의 발전소와 댐이 있으며 그 저수지는 길이가 182km이다 (→ 싼먼댐). 이 저수지의 건설 전에 하류에서 배의 운항거리는 160km 정도로 제한되어 있었다. 현재 새로운 댐과 저수지의 건설을 구상하고 있으며 그것이 완공되면 약 3000만kW로 예상되는 잠재 수력전기를 이용할 수 있고 강과 지류의 운항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 포장수력).
Yenisei - Russia (Siberia)
6위.Yenisei River - 4,090 km - 2,540 miles
예니세이 강[Yenisey River] Yenisei, Enisei라고도 씀.
아시아권 러시아의 중앙을 남북으로 가로지른다. 이 강은 러시아 연방과 몽골 사이의 국경 산악지대에서 발원하여 주류는 중앙 시베리아 고원의 기슭에서 서시베리아 평원의 동부 경계선을 따라 북쪽으로 흘러 예니세이 만을 거친 후 얼음처럼 차가운 카라 해(북극해의 일부)로 흘러든다. 길이는 대(大)예니세이 강을 발원지로 본다면 4,090km이며, 셀렝가 강 상류를 발원지로 보면 5,540㎞이다. 면적이 2,580만㎢인 예니세이 강 유역은 중앙 시베리아 고원 서부까지 뻗어 있으며, 해발고도는 평균 500~700m이다.
주요지류로는 서쪽에서 흘러오는 아바칸·엘로구이·투루한 강 및 동쪽에서 흘러오는 투바·칸·앙가라·포트카멘나야퉁구스카·니주냐야퉁구스카·쿠리에이카 강 등이 있다. 강물의 절반 이상이 눈 녹은 물이며 1/3 이상이 빗물이고 그 나머지는 지하수이다. 바다로 유입되는 물의 양은 연평균 초당 1만 9,800㎥로 러시아 연방에서 가장 많으며, 봄에는 큰 홍수가 일어나기도 한다. 예니세이 강 북부 유역의 기후는 아(亞)북극성이며, 중남부는 뚜렷한 대륙성이다. 10월초에 하류가 얼기 시작하여 12월초에는 강 전체가 결빙되며, 이듬해 5월말이나 6월초에야 완전히 해빙된다. 강유역의 대부분이 이끼가 많고 숲이 우거진 타이가 지역이며, 남쪽에는 소나무가 많고 북쪽으로 갈수록 낙엽송이 많다.
북부 유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주로 사냥, 어업, 순록, 털모피동물 사육업을 하며, 그밖에 석탄·구리·니켈 채광업도 활발하다. 남쪽에서는 가공업과 제조업이 발전하고 있다. 예니세이 강과 지류인 앙가라 강의 잠재된 발전용량은 2,500만kW로 평가되고 있다. 사야노고르스크(옛 이름은 오즈나첸노예)에서 카라 해까지 약 3,000㎞의 구간에서 항행이 가능하며, 이 강의 큰 항구인 크라스노야르스크·스트렐카·예니세이스크·이가르카·두딘카·우스티포르트를 통해 주로 목재를 수송한다. 해상항해용 선박들은 내륙 쪽으로 이가르카까지 항행한다.[네이트백과]
Yesilirmak -Turkey
Yuan- China
원강[沅江]위안장 Yuan Jiang , Yüan Chiang (영)Yüan River (관)Yüan kiang.
중국 남동부, 구이저우 성[貴州省] 동부에서 후난 성[湖南省] 서부에 걸쳐 흐르는 강.
구이저우 성 두윈[都勻] 근처 먀오링 산맥[苗嶺山脈]에서 발원하며, 길이는 800km 정도이다. 상류를 룽터우 강[龍頭江], 하류를 칭수이 강[淸水江]이라고 부른다.
즈장 현[芷江縣]을 거쳐 흘러드는 북쪽 지류인 우수이 강[価水]과 합류한 후부터 위안장 강이 된다. 그후 후난 성에 있는 쉐펑 산맥[雪峰山脈]의 서쪽 측면을 따라 북동쪽으로 흐르다가 창더[常德] 부근에서 둥팅 호[洞庭湖]로 흘러들어가고 그후 다시 양쯔 강[揚子江]과 합류한다. 위안장 강은 후난 성 서부와 구이저우 성 동부에 있어 주요한 수로이다. 대형 선박은 창더까지 항행할 수 있으며, 소형 증기선은 멀리 타오위안[桃源]까지 갈 수 있다. 상류에서는 물살이 급하지만 흘수선이 낮은 정크는 구이저우 성 경계 부근의 훙장[洪江]까지 이를 수 있고, 우수이 강을 거슬러 올라가 즈장 현까지도 갈 수 있다. 비록 위안장 강 유역을 따라 간선도로가 놓여 있으나, 이 강은 여전히 후난 성 서부 산간지역의 첫째 가는 수송로이다.
Yurungkash - China (Takla Makan) 玉龙喀什河
The Yorungqash or White Jade River, also spelt Yorungkax (Chinese: 白玉河; pinyin: Báiyù Hé), is a river in the southern Xinjiang region, People's Republic of China.
全长513公里,每年6-9月为洪水期, 发源于昆仑山北坡的冰川
Karakash River ('Black Jade River)
Yurungkash River ('White Jade River)
Zijiang (Zi)-
China
Zeravshan - Tajikistan, Uzbekistan
제라프샨 강 [Zeravshan River] Zeravšan이라고도 씀.
투르키스탄 산맥 동부에서 발원하는 강.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 남동부를 거쳐 서쪽으로 877㎞를 흐르다가 아무다리야 강 근처 차르조우 북쪽 사막에서 없어진다. 한때 아무다리야 강의 지류였던 제라프샨 강은 오늘날 운하로 물을 공급받는 남쪽의 카르시 스텝을 포함하는 거대한 지역에 물을 대고 있다. 제라프샨 강의 유역에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데, 특히 우즈베키스탄 지역의 인구밀도가 높은 편이다.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이 일본 보다 작다? OECD 평균 신장 비교 (0) | 2009.05.16 |
---|---|
중(中)해군 팽창 경계…베트남, 잠수함 6척 구입 (0) | 2009.04.29 |
탈레반-Taliban (0) | 2009.04.24 |
궁지에 몰린' 세계 지도자 5인 (0) | 2009.04.18 |
아프팍(Afpak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은 탈레반 천하…미(美) 땀 뻘뻘 (0) | 2009.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