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北미사일, 25개 기지서 3-7분내 남한 목표물 불바다 -미사일기지 자료

한부울 2008. 9. 26. 14:30

北 KN-02 미사일, 고폭·화학탄 탑재가능 http://blog.daum.net/han0114/15513203 
패트리어트 미사일[MIM-104 Patriot] http://blog.daum.net/han0114/15583812 
한국이 원하는 PAC-2 미사일은 미군과 통합에 한계
http://blog.daum.net/han0114/15610016 
패트리어트 미사일 http://blog.daum.net/han0114/12210238 
 

********************************

北미사일, 25개 기지서 3-7분내 남한 목표물 불바다

[연합뉴스] 2008년 09월 26일(금) 오전 09:24

 


김태우 국방연구원 부소장, 美 세미나서 주장


"PAC-2, SM-2로 구성될 남한 자체 방공망 무용지물"(워싱턴=연합뉴스) 김병수 특파원 = 북한은 북한 전역에 스커드.노동 미사일 등을 발사할 수 있는 미사일 기지 25개를 운용하고 있으며 이들 기지에서 발사된 미사일들은 3~7분 이내에 남한내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다고 국방연구원 김태우 부소장이 25일(미국 현지시간) 밝혔다.


특히 휴전선 인근지역에 배치된 북한 미사일의 경우 발사된 이후 1분도 안걸려 서울을 공격할 수 있어 한국이 도입중인 구형 패트리엇 미사일(PAC-2)과 해상용 요격미사일인 SM-2로 구성된 한국의 자체 방공망은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고 김 부소장은 주장했다.


김 부소장은 이날 미국의 보수성향 싱크탱크인 헤리티지재단 주최로 워싱턴에서 열린 한반도 세미나 이틀째 회의에서 "북한은 지난 40년간 미사일 기술을 개발, 지금은 자체적으로 중거리 및 장거리 미사일을 개발하고 배치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부소장은 미국과학자연맹(FAS)의 자료를 인용, 북한은 북한 전역에 모두 25개의 미사일 기지를 운용하고 있다면서 "북한의 미사일들은 발사된 지 3~7분 내에 남한내 공격목표물들을 타격할 수 있고 휴전선 인근에 배치된 미사일들은 1분도 안걸려 서울을 공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례로 서울에서 127 km 떨어진 지하리 미사일 기지에서 발사된 미사일의 경우 3분, 상원동 미사일 기지(168km)에서 발사된 미사일은 4분, 옥평 미사일기지(191km)에서 발사된 미사일은 5분만에 서울을 공격할 수 있다는 것.


김 부소장은 이처럼 남북간 거리가 가까워 기술적인 차원에서 남한의 방공망으로는 북한의 미사일을 탐지.요격할 수가 없으며 대응을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스커드 C형이나 노동미사일처럼 대기권밖으로 비행하는 미사일은 그 비행 시간이 눈깜빡할 사이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현재 주한미군은 구형 패트리엇미사일인 PAC-2와 신형인 PAC-3미사일을 한국에 배치하고 있으나 이것들은 주한미군기지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 한반도 유사시에는 신형 SM-3 미사일을 구비한 미군 이지스함이 배치될 예정이며 남한은 차세대 대공미사일 도입을 위해 SAM-X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시스템들은 북한의 고속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 데 효과적이지 못하며 현재 한국이 도입중인 PAC-2, SM-2 미사일로 구성된 한국의 독자 방공능력은 북한의 미사일 공격을 막는 데 거의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고 김 부소장은 주장했다. 그는 남한이 SAM-X 사업을 완성하더라도 북한 미사일 공격에 대한 제한적인 방공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뿐만아니라 김 부소장은 남한에 있어 북한의 미사일 공격 능력은 핵위협과 연관돼 있다며 북한이 남한에 대해 핵공격을 결정할 경우 스커드 B(사거리 300km), 스커드 C(500km), 스커드 D(700km), 노동 1호(1천km)를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했다.


김 부소장은 또 북한이 현재 개발중인 대포동 1호(2천200km), 대포동 2호(5천~6천km)는 북한의 핵무기 공격 능력을 더욱 확대할 것이며 이밖에 북한은 IL-28 폭격기를 비롯해 미그-21.23.29 등 전투기에 핵폭탄을 싣고 투척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한편, 북한의 미사일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남한은 방공망을 보강하는 수세적인 전략과 함께 국방중기계획 등을 통해 북한의 미사일 공격 징후를 조기에 포착, 대응하도록 다목적 인공위성, 중.고고도 무인정찰기, 조기 경보기 도입 등 대북감시.정보능력을 확장하는 방안을 아울러 추진하고 있다. 또 북한 미사일 기지에 대한 응징타격 능력을 키우기 위해 차세대 전투기 도입사업을 비롯해 한국형 벙커버스터 등 정밀유도폭탄 도입 등도 병행하고 있다.


워싱턴의 한 군사전문가는 "미사일 공격을 요격미사일로 방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며 "방공망을 확대하는 것과 동시에 북한의 미사일 공격 징후를 조기에 포착, 응징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것도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

스커드 미사일 Scud missile

 

스커드(Scud)는 냉전시절 구소련에 의하여 개발되어 많은 국가에 판매된 전술 탄도미사일 시리즈의 이름이다. 이 이름은 서방의 정보기관에 의해 분류된 나토 보고서 이름인 SS-1 Scud로 부터 유래되었다. 러시아 이름은 R-11(초기 개발분)과 R-300(후기 개발분)이다. 스커드라는 이름은 언론에 의하여 본래의 미사일에 기반하여 여러 나라에서 개발된 다른 변종에도 사용되었다. 때때로 미국에서는 서방에서 개발되지 않은 모든 탄도탄을 일컫기도 한다.


소련개발


R-11에 대하여 나토에서 SS-1b Scud-A라고 부르면서 처음 스커드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초기 R-1 미사일은 나토에서 SS-1 스쿠너(SS-1 Scunner)라 불렸으나 이것은 거의 독일의 V-2의 복제로 매우 다른 외양을 가졌다. R-11은 V-2로부터 얻은 기술을 사용하였으나 V-2나 R-1보다 작았으며 새로 설계되었다. R-11은 Makeyev OKE에 의하여 개발되었으며 1957년에 실전 배치되었다. R-11에서 가장 발전된 부분은 A.M. Isaev에 의하여 설계된 엔진이다. V-2의 다중실(multi-chamber) 구조보다 훨씬 단순하며, 진동 방지 장치를 채용하여 차후 러시아의 우주로켓의 더 큰 엔진을 위한 선구자 역할을 하였다.


발전형은 1961년의 스커드-비(R-300 Elbrus / SS-1c Scud-B)와 1965년의 스커드-씨(SS-1d Scud-C)이며, 이 두 종은 일반적인 고폭탄과 80 kiloton의 핵무기, 화학 무기 등을 탄두로 사용할 수 있었다. 1980년에 개발된 스커드-디(SS-1e Scud-D)는 일반적인 고폭탄과 기화 폭탄, 다탄두 폭탄 등을 탄두로 사용할 수 있다.


모든 형식은 11.25m의 길이와 0.88m의 직경을 가진다(스커드-에이만 길이가 1m 짧다). 스커드-에이는 케로신과 질산을 연료로 사용하며, 다음 형식부터는 UDMH와 RFNA(러시아 형식명 SG-02 Tonka 250)을 연료로 사용하는 단발 엔진을 사용한다.


타국개발


스커드는 같은 미사일에 대한 이라크의 변형 모델을 가리키기도 한다. 많은 부분이 개량되었으며 특히 걸프전에서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에 많은 수의 미사일이 사용되어 유명해졌다. 미국의 패트리어트 미사일이 요격에 성공하였다고 주장하지만 패트리어트 미사일의 정확도가 과장되었으며 95%가량은 실패하였다는 비판이 있다. 스커드 미사일은 화학무기나 생물무기를 탑재할 수 있으므로 걸프전에서 특히 이스라엘에 가장 위협적인 공격무기였다.


결국 스커드 미사일에 1명의 이스라엘인과 28명의 미군이 사망하였다(스커드 미사일이 사우디아라비아 바란의 펜실베니아 주방위군 막사를 직격했다.). 스커드 미사일을 소탕하기 위하여 사용한 연합군 공군 자원은 1/3에 이른다. 스커드 미사일은 이동식 발사 트럭에 탑재되어 쉽게 추적할 수 없어 미군과 영국군 특수 부대가 발사대를 추적하기 위하여 적진에 종종 침투하곤 하였다. 이스라엘은 스커드에 의한 공격이 계속될 경우 참전하겠다고 밝혔으며, 미국과 영국은 이에 대응하여 반 이스라엘 아랍 국가의 연합군 탈퇴를 염려하여 스커드의 위협을 제거하기를 바랐다.


이라크는 스커드(Scud), 스커드 연장형(longer-range Scud or Scud LR), 알후세인

(Al Hussein), 알아바스(Al Abbas)의 4가지 형태를 개발하였다. 개조되지 않은 것을 재외하고 이 미사일들은 오작동과 탑재 중량 미비로 성공적이지 않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란, 파키스탄의 미사일 개발 계획은 스커드 미사일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1300-1500km의 사거리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작전용도


모든 스커드 미사일은 다른 초기 미국의 로켓과 마찬가지로 독일의 V-2로켓을 기반으로 하므로 명중도가 매우 낮다. 따라서 스커드는 지역 폭격무기이다. 이라크의 스커드 역시 명중도가 아닌 사거리를 늘렸다.


다른 몇몇 미사일처럼 이 무기의 군사적 이점은 쉬운 이동성에 있다. 이동성은 발사 위치의 확보와 발사 시스템의 생존성 확보에 영향을 미친다(걸프전에서 100대 이상의 발사대가 연합군에 의해 파괴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발사후 위치확보에 의한 파괴는 한대도 없었다).


스커드 미사일은 실전에서 사용된 몇 안 되는 탄도미사일 가운데 하나이다. 걸프전에서 사용된 것 이외에도 여러 지역 분쟁에서 사용되었다. 1988년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바그다드에 대한 미사일 공격에 대응하여 이라크는 태헤란을 포함한 여러 이란의 도시에 대하여 190기의 스커드 미사일을 발사하였으며, 이란에 (차후 평화 협상에 이라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을)수천명의 사상자와 공포감을 심어주었다. 1988년에 12기 이상의 스커드가 아프가니스탄에서 파키스탄으로 발사되었다. 1994년 예멘 내전에서도 소수의 스커드 미사일이 사용되었으며 1996년 체첸에서도 러시아군이 사용하였다.


NATO code name

Scud-A

Scud-B

Scud-C

Scud-D

U.S. DIA

SS-1b

SS-1c

SS-1d

SS-1e

Official designation

R-11

R-17/R-300

 

 

Deployment Date

1957

1964

1965?

1989?

Length

10.7 m

11.25 m

11.25 m

12.29 m

Width

0.88 m

0.88 m

0.88 m

0.88 m

Launch weight

4,400 kg

5,900 kg

6,400 kg

6,500 kg

Range

150 km

300 km

575-600 km

700 km

Payload

950 kg

985 kg

600 kg

985 kg

Accuracy (CEP)

4000 m

900 m

900 m

50 m

************************ 

로동 1호


로동 1호(蘆洞1, 표준어: 노동 1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개발한 1단계 이동식 액체추진 중거리 탄도 미사일이다. 로동(蘆洞)은 함경남도 함주군 로동리에 있는 마을 이름으로, 미군의 첩보위성이 처음으로 이 미사일을 발견한 장소이다. 일부 언론에서 "Labour 1호"나 "勞動 1호"라 잘못 쓴 사례가 있다.


로동 1호는 1980년대 중반에 소련의 SS-1 더 잘 알려진 나토제식명으로 "스커드" 미사일을 베낀것이다. 북조선은 스커드 B형의 설계도를 이집트로부터, 스커드 C형의 설계를 중국으로부터 입수해서, 역공학을 통해 로동이라 불리는 더 크고 장거리 무기를 만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첩보위성은 1990년 5월에 이 타입을 처음으로 탐지했다. 1993년에 북한은, 비록 미사일은 동해바다에 아무 피해없어 떨어졌지만, 혼슈를 향해 미사일 시험발사를 해서 일본을 놀래켰다.


미사일의 정확한 능력이나 스펙은 알려져 있지 않다. 생산과 배치 사실조차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것은 무게 15~16톤, 직경 1.3미터, 길이 15~17미터이고, 스커드C의 확대개량형으로 보인다. 사정거리는 대략 1000~1300km, 탄두무게는 700~750kg인 것으로 보인다. 이것의 나쁜 정확도는 견고한 군사 목표물들에게는 무해할 것이나, 따라서 추정 용도는 대규모 시설이나 도시에 대한 고폭탄(high explosive) 또는 화학탄 운반용으로 보인다.


로동 2호, 로동 B호, 로동 X호로 불리는 개량형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북한의 심각한 경제난 때문에, 1996년 또는 1997년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그리고 더 고성능인 대포동 1호의 설계에 자원을 집중했다. 그러나 로동 1호는 돈이 되는 수출품이 되었다. 리비아와 시리아는 로동 1호를 보유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개량형들은 이란의 사하브 3호와 파키스탄의 가우리 미사일의 기초가 된 것으로 보인다.


로동 1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의 인공위성이라는 광명성 1호을 쏘아올린 대포동 1호의 1단 추진체로 사용되었다.

************************************

North korea Missile Bases


1.Chiha-ri Missile Base (支下里 미사일 基地)

2.Chunggang-ŭp Missile Base (中江邑 미사일 基地)

3.Chunghwa-kun Missile Base (中和郡 미사일 基地)

4.Kalgol-dong Scud Missile Base (葛骨洞 스커드 미사일 基地)

5.Kilchu-kun Missile Base (吉州郡 미사일 基地)

6.Komdŏk-san Missile Base (곰덕산 미사일 基地)

7.Kŭmch'ŏn Scud Missile Base (金泉 스커드 미사일 基地)

8.Mayang Island Missile Base (馬養島 미사일 基地)

9.Mt. Kanggamch’an Missile Base (강감찬산 미사일 基地)

10.Okp’yŏng-dong Missile Base (玉坪洞 미사일 基地)

11.Oryu-dong Missile Base (梧柳洞 미사일 基地)

12.Paeg'un-dong Missile Base (白雲洞 미사일 基地)

13.P'yŏngsan-kun Cruise Missile Base (平山郡 미사일 基地)

14.Sakkabbong Missile Base (삿갓봉 미사일 基地)

15.Sangnam-ri Missile Base (上南里 미사일 基地)

16.Sangwŏn-kun Missile Base (祥原郡 미사일 基地)

17.Sariwŏn Scud Missile Base (沙里院 스커드 미사일 基地)

18.Shin'gye-kun Scud Missile Base (新溪郡 스커드 미사일 基地)

19.Shin’o-ri Missile Base (新五里 미사일 基地)

20.T'ŏ'gol Missile Base (터골 미사일 基地)

21.Wŏnsan Missile Base (元山 미사일 基地)

22.Yŏngjŏ-ri Missile Base (嶺底里 미사일 基地)

23.Yongnim-ŭp Missile Base (龍林邑 미사일 基地)

 

북한 미사일 기지(2003년)

 

 

북한 공군기지(2000년)

     


북한 공격가능 미사일 종류

 

스커드 B(사거리 300km),

스커드 C(500km),

스커드 D(700km),

노동 1호(1천km)

 

 

 

 ******************************

북한 지도


Nuclear Maps (핵) 

  Suspected Uranium Enrichment Sites  

 

 

  Mining and Milling  

 

 

  Other Nuclear Facilities  

 

 

Chemical Maps (화학)  

  Dual-Use Chemical Production Sites  

 

 

  Military Organizations  

 

 

  Production and Storage Sites  

 

 

  Research and Development Sites  

 

 

 

Biological Maps (생물) 

  Weapons Sites  

 

 

  Biotechnology and Dual-Use Infrastructure  

 

 

Missle Maps (미사일) 

  Missile Bases  

 

 

  Missile Production Facilities 

 

 

NTI : Working for a safer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