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北, 서해안에 ICBM 발사기지 건설 [자료이미지]

한부울 2008. 9. 11. 14:38

북 새 미사일 발사기지-new missile base at Pongdong-ni

http://blog.daum.net/han0114/17048316

 

北, 서해안 Pongdong-ni 에 ICBM 미사일기지 건설

데일리NK [2008-09-11 08:40 ]    


美전문가 “8년전 비밀리 착수…核무기 미국에 날리려는 의도”

 

북한이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에 설치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기지보다 규모가 더 크고 기능이 향상된 장거리 미사일 발사기지를 서해안에 비밀리에 건설했다고 미국의 민간전문가들이 주장했다.


제인스 인포메이션 그룹의 전문가인 조지프 버뮤디즈는 올해 봄 이러한 미사일 발사기지를 처음 확인한 후 위성사진 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민간업체인 탤런트-키홀 닷컴의 팀 브라운과 함께 상업용 위성사진을 이용해 기지의 건설작업을 추적해왔다고 AP통신이 10일 보도했다.


이들에 따르면 새 기지는 봉동리(Pongdong-ni)라는 작은 마을에 건설됐으며 이동 가능한 발사대와, 탄도미사일이나 로켓을 지지할 수 있는 10층 높이의 탑으로 이뤄져 있다. 또 이란의 테헤란 외곽에 들어선 로켓 시험시설과 비슷한 규모로 로켓 모터를 테스트하는 시설도 들어서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버뮤디즈는 AP와의 인터뷰에서 미사일 발사대가 2005년 이후 가동 상태에 있었으나, 아직 한 번도 사용되지는 않았다고 설명하고 북한이 사정거리가 더 길고 정확도 높은 ICBM을 개발하는데 이 기지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브라운은 이 기지의 건설작업은 적어도 8년 전에 착수됐으며 아직까지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가까운 장래에 미사일의 발사가 이뤄지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 기지는 특히 인공위성의 발사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기지는 미사일이 발사대로 옮겨지기 전 최종 조립이 이뤄지는 수직형태의 조립 건물이 갖춰져 있지 않은데다 레이더 추적 시설도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북한은 실제 실험에서 이동식 레이더 시스템이나 함선에 장착된 레이더 시스템에 의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또 공습으로부터 이 시설을 방어할 수 있는 방공시스템도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곳에는 엔진 테스트 스탠드가 갖춰져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 시설은 엔진의 진동을 측정하고 유도시스템을 조정할 수 있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버뮤디즈는 “이 기지의 주된 목적은 시험용”이라면서 “이는 특히 북한이 탄도미사일 개발프로그램을 계속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버뮤디즈와 브라운은 이 기지에서 가장 가까운 마을의 이름을 따 이 기지를 ‘동창동(Tongch'ang-dong) 발사기지’라고 언급했으나 미 정보당국은 이런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미국의 한 관리는 미국 정보당국이 북한의 새 미사일 기지의 존재 사실을 수년 전부터 알고 있었던 것으로 말했다. 북한은 미국정부가 핵개발프로그램을 폐기하도록 설득 노력을 재개한 이후에도 이 기지의 건설작업을 계속 진행했다. 버뮤디즈는 ‘제인스 닷컴(Janes.com)’ 사이트와 17일자 제인스디펜스위클리에 관련 위성사진을 공개할 예정이다.


글로벌시큐리티(GlobalSecurity) 소속의 위성사진 분석전문가인 존 파이크에 따르면 북한의 기존 미사일발사기지인 무수단리 기지의 경우 규모가 작아 단기간에 여러 시험을 실시할 수 없다. 반면 새 기지는 규모가 크고 훨씬 더 정교해, 짧은 시간에 여러 차례 발사 실험을 할 수 있어 북한의 장거리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에 큰 진전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 시설은 무수단리 기지와 달리 대부분 구릉으로 둘러싸여 있어 외부 정찰로부터 훨씬 더 잘 보호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파이크는 “이 기지는 북한이 원자폭탄을 미국본토로 날려 보낼 수 있는 미사일 능력을 갖추려는 의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AP와 인터뷰한 파이크와 브라운 두 사람은 9년 전 워싱턴 소재 미국과학자연맹 소속으로 무수단리 기지의 존재를 함께 확인한 바 있다. 


데일리NK[박인호 기자]

****************************************

Satellite Images Show Second Long-Range Missile Site in North Korea

Wednesday, September 10, 2008

 

 

 

In this image provided by DigitalGlobe, this satellite view, made on June 22, 2008, shows part of the Tongch'ang-dong facility near Pongdong-ni, North Korea. North Korea is building a second and larger, more capable missile launch facility on its west coast from which it will be able to fire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or rockets to put satellites into orbit, according to independent analysts who discovered the site and have tracked its construction using commercial and unclassified satellite imagery. Associated Press © 2008

  

 

In this image provided by DigitalGlobe, this satellite view, made on April 1, 2006, shows part of the Tongch'ang-dong launch facility near Pongdong-ni, North Korea. North Korea is building a second and larger, more capable missile launch facility on its west coast from which it will be able to fire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or rockets to put satellites into orbit, according to independent analysts who discovered the site and have tracked its construction using commercial and unclassified satellite imagery. Associated Press © 2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