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도부

日, 2차대전 이전 해양강국 재건 나서

한부울 2008. 7. 17. 00:35
 

日, 2차대전 이전 해양강국 재건 나서

[연합뉴스] 2008년 07월 16일(수) 오후 02:32


일본이 2차대전 이전 해양강국 재건에 나서면서 한국과 본격적인 외교전에 들어갔으며 중국, 러시아 등 다른 주변국들과도 해양권익을 둘러싼 분쟁과 마찰이 일어날 것이라고 중국의 국제관계 전문가들이 전망했다.


16일 중국 국제관계 전문가들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최근 해양권익 보장기구를 증설한 것을 비롯, 국민들에 대한 해양강국 의식 제고작업에 나섰으며 해군력 증강에도 힘을 쏟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2차대전 이전의 해양강국을 재건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하면서 이미 한국에 대해 독도 영유권 문제로 선제 공격에 나선 것을 비롯해 러시아와는 북방 4개 섬, 중국과는 댜오위다오(釣魚島)를 놓고 분쟁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마에하라 세이지(前原誠司) 일본 민주당 부대표는 최근 '해양기본법' 통과 1주년 기념 토론회에서 "일본은 내년부터 해양강국 부흥의 길을 걷기 시작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중국 세계신문보(世界新聞報)에 따르면 마에하라 부대표는 도쿄(東京)대학에서 정치인과 학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 토론회에서 "일본 정부는 해양강국이란 목표 실현을 위해 각종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일본 정부는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총리 산하에 해양정책판공실을 설치하고 일본을 해양강국으로 재건하기 위한 각종 경제정책과 재정정책을 통과시켰다"고 말했다.


그는 "2차대전 이전에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해양국가 중 하나였지만 2차대전 이후 일본은 제자리에서 위기의 걸음을 걸어왔다"며 "일본은 먹고사는 것을 바다에 의존해온 국가로, 해양능력을 강하게 키우지 않는다면 앉아서 죽기를 기다리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의 군함과 잠수함 등이 일본 주변 해역을 조사하는 것은 군사적인 목적 때문"이라며 "중국과 대만이 언젠가 댜오위다오 주변 해역에서 반일 연합전선을 구축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일본이 1년 전 해양기본법을 통과시킨 이후 해상자위대는 미국 해군과 공동으로 일본 해역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해군력을 강하게 키워 독자적으로 지키는 것으로 임무를 전환했으며, 해상자위대의 작전과 훈련 방식도 과거에는 어선이나 화물선 운항을 방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실시했으나 올해부터는 작전과 훈련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와 함께 일본 해상자위대 잠수함들의 주요 임무는 근해지역을 정찰하는 것이었지만 지금은 '일본 영해의 안전을 절대적으로 확보하는 것'으로 임무 규정을 개정했다.


(베이징=연합뉴스) 권영석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