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도부

日 위안부 비난결의안 저지 안간힘-한심스러운 족속들

한부울 2007. 3. 2. 18:15

한심스러운 족속들...
역지사지(易地思之)라... 입장을 바꿔놓고 생각해 볼때, 뻔뻔한 그들이 막상 실제 피해자라고 한다면 과연 어떻게 처신 하였을 것인가?
아마 밤잠도 못자고 이를 갈며 난리를 있는데로 다 치며 패악을 부렸을 것이다.
바로 뻔뻔함에 극치를 다하는 그들의 부모와 형제들이 억울하게 본의가 아닌 강제에 의한 힘에 더럽게 당했다고 생각해보라.
어찌 본 정신으로 그러한 사실을 잊을 수가 있으며 참혹한 현실을 어떻게 감당할 수가 있겠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분명한 사실조차 인정하지 않으려고 거짓말과 억지를 부리며 명색이 지도자라는 놈들이 반성에 기색도 없이 서로 발뺌하고 숨기기에 급급하니 이 어찌 난망하다 하지 않을 수 있으며 맑은 하늘에 쌍천벌 받을 일이 아닌가?
너희 왜구들은 온갖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이 지옥같은 멍에를 벗으려고 하지만 억울한 피해자의 진정한 용서가 없이는 감히 벗을 수가 없는 사실이며 그에 대한 죄 값은 뼈속 깊이 각인이 되면서 고통으로 남아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아픔이 될 것임을 짐승같은 그들에게 경고한다.

 

****************************************

 

日 위안부 비난결의안 저지 안간힘

[연합뉴스] 2007년 03월 02일(금) 오후 04:15


아베 등 "근거없다" 공공연한 발언..마찰 불씨(도쿄=연합뉴스) 최이락 특파원 = 일본 정부가 미국 하원에 제출된 종군 위안부 비난 결의안 채택 저지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고위 관리를 미국 워싱턴으로 파견해 로비전을 벌이는가 하면 국내에서는 보수파 의원과 각료들까지 나서서 구 일본군의 종군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1993년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당시 관방장관의 담화 수정론을 재 점화하는 등 분위기 조성에도 주력했다.

특히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 시오자키 야스히사(鹽崎恭久) 관방장관 등 정부 최고위급 인사들도 종군위안부 강제 동원의 "근거가 없다"는 인식을 공공연히 밝히고 있어 한국 등 주변국과의 마찰의 불씨가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아베 총리는 1일 밤 고노 요헤이 담화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강제성을 증명하는 증언이나 뒷받침하는 것은 없었다. 그러므로 그 정의에 대해서는 크게 변했다는 것을 전제로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교도통신은 이 발언을 구 일본군이 직접 관여했다는 '협의의 강제성'을 뒷받침하는 사실이 없다는 뜻이라고 해석했으나 산케이(産經)신문은 고노 담화 재검토를 시사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해 10월 중의원 답변에서도 구 일본군에 의한 직접적인 동원 등 '협의의 강제성'에 대해서 "여러 가지 의문점이 있는 것이 아니냐"라고 부정적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다만 중국, 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의 향후 관계를 고려한 듯 "정부의 기본적 입장으로서 계승하고 있다"고 고노 담화의 수정에는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앞서 아소 다로(마생태랑) 일본 외상도 지난달 19일 "객관적 사실에 전혀 근거하지 않은 것으로 심각히 유감"이라고 같은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정부의 공식 입장에도 불구하고 일부 정치인은 물론 총리, 각료들까지 나서서 고노담화를 부정하는 듯한 발언을 계속하는 것은 결국 종군 위안부 비난 결의안의 저지와 관련이 있다.

일본 우익 인사들은 "위안부의 설치, 관리, 이송에 구 일본군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했다"는 내용이 포함된 고노담화가 종군 위안부 비난결의안의 미국 하원 처리 캠페인에 이용되고 있다는 불만을 토로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의 앞날과 역사교육을 생각하는 의원모임(회장 나카야마 나리아키<중산성삼> 전 문부과학상)'이 1일 고노담화의 수정론을 제기했던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국내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는 것과 동시에 일본 정부는 고위급 인사를 미국 워싱턴으로 파견하는 등 대미 로비전에도 치중하고 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세코 히로시게(世耕弘成) 총리 보좌관이 지난달 19일부터 22일까지 미국을 방문, 현지 학자와 언론인 등을 상대로 "강제 동원의 근거가 없다"는 주장을 펼친 것은 물론 "결의안이 가결될 경우 4월말로 예정된 아베 총리의 방미에 큰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협박성' 발언까지 서슴지 않았다.

시오자키 관방장관도 위안부 비난 결의안과 관련,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부분이 상당히 있으므로 정부로서는 대사관 등을 통해 미국 의회 사이드에 이를 지적하고 있다"고 전방위 로비전을 벌이고 있음을 시인했다.

또 현지에서는 토머스 폴리 전 하원의장 등 미국 정치권에서 영향력이 큰 로비스트를 고용하는 등 결의안 저지를 위한 필사적인 로비를 벌이고 있다.

일본으로서는 지난해 4월 미 하원에 제출돼 9월 하원 국제관계위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됐던 위안부 결의안을 저지했던 '전력'을 재현하기 위해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총력전을 펼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