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도부

Burakumin (部落民 tribe people)

한부울 2009. 5. 5. 13:56
 

Burakumin (部落民 tribe people)

 


부라쿠민(일본어: 部落民 ぶらくみん)이란 전근대 일본의 신분 제도 아래에서 최하층에 위치해 있었던 천민 및 신분제 철폐 이후의 근현대 일본에서도 여전히 천민 집단의 후예로 차별 대상이 되고 있는 일본 사회의 특정 계층을 가리킨다. 아이누인, 재일 한국인, 재일 중국인, 류큐인과 함께 일본 내의 대표적 소수 집단이다.


용어 정리


일본에서 부라쿠(部落)란 용어는 여러 집들이 모여 이룬 마을, 촌락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으나, 현재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부라쿠라고 하면 정식 용어로는 히사베츠부라쿠(被差別部落)라는 부라쿠민들의 거주지 또는 부라쿠민 문제를 가리키는 것으로 인식되어 언급이 터부로 여겨지고 있다. 대신 마을이라는 의미의 학술용어는 “集落”이라고 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라쿠민의 집단 거주지는 “被差別部落,” 부라쿠민은 피차별 부락민, 또는 피차별 부락 출신자라고 부른다. 또한 특수 부락이라는 용어도 쓰였으나, 오늘날에는 부적절한 용어로 여겨진다.


역사


Romaji

Kanji

Meaning

Annotation

Hisabetsu-buraku

被差別部落

discriminated 

community/

hamlet

is a commonly used, politically correct term, with people from them called hisabetsu-

burakumin(被差別部落民"discriminated community (hamlet) people") or hisabetsu buraku shusshin

-sha (被差別部落出身者 "person from

a discriminated community / hamlet")

Burakumin

部落民

hamlet

people

is actually an abbreviation and its use in the

Japanese language is sometimes frowned

upon, although it is by far the most commonly used term in English.

Mikaihō-

buraku

未解放部落

unliberated

communities

is a term sometimes used by human rights

pressure groups and the one which has

a degree of political ring to it.

Tokushu

buraku

特殊部落

special

hamlets

was used in the early 20th Century but is now considered inappropriate.


에도 시대 이전에도 천민에 해당하는 신분 계층은 있었으나, 구체화된 것은 에도 시대 이후였다. 에도 시대 신분 제도는 사농공상의 4단계의 구분이 있었으며, 이 신분은 세습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4계급에 들지 못하는 계급이 있었는데, 이는 조선시대의 천민과 마찬가지로 주로 천시되는 직업에 종사하는 계층이 해당되었다.


이는 다시 두 가지 신분으로 나뉘었다. 에타(穢多)라는 계층은 가축의 도살, 형장의 사형 집행인, 피혁 가공 등의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이었다. 에타의 穢는 穢れ,즉 더러움을 뜻하며, 문자 그대로 더러움이 많은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는 뜻의, 부라쿠민에 대한 멸시감정이 담긴 표현이었다. 이는 불교의 영향으로 살생을 업으로 하는 일을 꺼렸던 일본인의 인식을 대변하는 것이었다. 또 다른 계층은 히닌(非人)으로 불렸는데, 주로 사형 집행 보조인 및 그 관할하의 걸인, 죄인 및 시체 매장, 도로 청소, 사찰의 종자, 예능인 등 여러 직업군의 사람들이 속하였다. 히닌은 불교 용어로서 "사람이 아닌 것이 사람의 형상을 하고 있다"라는 뜻의 차별발언이었다. 에도 시대에 이들은 영주의 관할하에서 따로 모여 살면서 특정 직업군에 종사하는 하면서 다른 평민과 분리된 일종의 게토를 형성하였다.

 Fukuoka에서 burakumin로서 태어났던 BLL Jiichiro Matsumoto (1887-1966 )의 가장 유명한 지도자.  그는 정치가이었고, " buraku 석방의 아버지"라고 불렀다.


신분제 철폐 이후의 부라쿠민


메이지 신정부 수립 이후의 일본 정부는 세금징수를 위해, 부라쿠민 해방령을 공포하여 사농공상(무사, 농민, 공업인, 상인)의 신분제를 철폐하는 동시에 그때까지 에타, 히닌으로 불리고 있었던 천민 집단에 대해서도 일반 국민(평민)의 지위를 부여하였다. 그러나 부라쿠민에 대한 일본사회의 뿌리 깊은 차별 의식 때문에 평민은 천민과 동등한 지위라는 사실을 인정하기를 거부하여 해방령 반대 운동이 곳곳에서 벌어졌고, 이들에게 신평민(新平民)이란 호칭을 붙여, 배척하였으며, 해방령 이후에 천민은 성난 일부 평민에게 습격을 당하기도 하였다.

 

                        부라쿠해방동맹의 기.1922년 스이헤이샤 창설대회당시 제작됨


일본에 사회주의적 평등 의식과 인권 의식이 유입되면서, 부라쿠민의 인권 의식도 발전하여, 차별 철폐를 요구하는 조직적인 사회운동으로 발전하였다. 1922년 3월 3일 사이코 만키치(西光万吉), 사카모토 세키치로(阪本清一郎) 등이 중심이 된 스이헤이샤(水平社,수평사) 운동은 일본 최초의 인권 선언인 《스이헤이샤 선언》을 발표하는 등, 부라쿠 차별 철폐 운동의 큰 구심점이 되었다. 스이헤이샤 창설대회당시 부라쿠민들은 수평사 사기에 피차별계급인 자신들의 아픔과 차별철폐의지를 뜻하는 예수의 가시면류관을 그려 넣었으며, 죽창을 깃대로 사용하여 차별폐지를 위한 투쟁의지를 보여주었다. 스이헤이샤 운동은 당시의 조선에도 영향을 주어 백정 차별에 반대하는 형평사(衡平社)가 설립되기도 하였지만, 일본사회의 부라쿠민 차별은 없어지지 않아서 1923년 3월에는 일본국수회라는 우파단체와 나라현에서 유혈충돌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어느 사람이 부라쿠민을 차별하는 말을 한 사건이 발단이 되었는데, 국수회원이 일본도와 권총으로 스이헤이샤를 위협하여 결국 유혈충돌이 일어나고 말았다. 당시 일본군은 일본국수회와 차별발언을 한 사람에게 사건발단의 책임이 있음에도, 오히려 소란죄를 일으켰다며 스이헤이샤 관계자들을 검거하는 편파적인 모습을 보였다.


식민지 지배 이후 조선에서 일본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재일 조선인은 아직 신분차별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유교적 신분 관념의 영향하에 있었기에, 부라쿠민을 조선의 천민-백정과 같이 생각하는, 그러니까 직업의 귀천을 따지는 직업관에 따라 천시하였고, 부라쿠민은 식민지인, 외국인이란 이유로 재일 한국인을 천시하였으나, 한편 양자 모두 일본 사회에서 차별과 멸시받는 위치에 있었기에 서로 협력하는 분위기도 있었다. 이후 한국의 천민 계층에 대한 차별 의식은 일제 강점기동안 일본인이 한국의 상위 계급이 되면서 전통적 신분 관념이 약화되고, 한국전쟁이라는 대 혼란기를 거치면서 사실상 와해된 데 비하여, 일본에서는 봉건적 천민 차별 의식의 잔재가 존속되었다.


현대의 부라쿠민


종전 이후 일본 정부는 종래의 부라쿠민 거주 지구를 대상으로 주거 환경의 개선과 인프라 구축 등을 골자로 하는 동화 대책 사업이라는 것을 추진하였다. 이것은 1969년 일본 국회를 통과한 동화 대책 사업 추진법에 근거하여 일본의 해당 지자체에서 동화 지구로 설정한 지역에 대하여 실시하는 관주도의 공공사업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부라쿠민 거주지가 모두 동화 지구에 포함된 것은 아니다. 일본 경제의 급성장과 정부 주도의 노력 등으로 부라쿠민 거주지의 주거 환경은 상당 부분 개선되었으나, 아직까지도 일본에서는 피차별 부라쿠민 출신이라는 이유로 취직, 결혼 등에서의 불이익 즉, 차별을 당하거나, 사람들이 이들에 대해 편견을 갖고 보는 등 부라쿠민 문제는 일본 사회의 민감한 사회문제로 받아들여진다.[위키백과]

 

 

A new Japanese layer on Google Earth has revealed historic low caste settlements, and inadvertently caused an uproar. Photo / 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