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무드라[手印]
[무드라](mudra)는 [산스크리트](Sanskrit) 말로 불교에서 부처님이나 보살님의 조각상과 탱화(幀畵)에서 보이는 ‘손 모습’(symbolic hand gesture)들을 말한다. 즉 [무드라](mudra, 母陀羅)는 영어로는 ‘seal, seal-ring, signet, stamp, authorization, pass’ 등이고 한자말로는 ‘인상(印相), 수인(手印), 또는 인계(印契) 등으로 변역 된다.
그리고 한자말의 인(印)[yin, 인]은 ‘찍을 도장’(刻文合信)의 뜻이 있다. 또한 계(契)와 ‘seal’은 어떤 행위를 하고 나서 그 끝을 맺는 것이다. [무+드+라]는 그러므로 우리말의 ‘(끝 맺음을) 보이도록+들어가게 하는+그러한 것’이 된다.
여기서 음운 변화는 [ㅁ] ß ‘ㅂ’이를테면 점토판(粘土板)으로 된 문서에 ‘seal-ring’을 찍어 ‘凹’ 모습으로 움푹 들어가게 한다는 말씀이다. 해서 여러 가지 형태의 ‘손 모습’들은 각각 어떤 특별한 경우의 그런 ‘final touch’를 ‘상징’하는 것이다.
헌데 이런 ‘손 모습’의 상징에는 대개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본다. 그 하나는 어떤 행위나 모습을 그대로 흉내를 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런 행위나 모습을 일단 ‘말의 표현’을 거친 다음‘손 모습’으로 그런 ‘말의 표현’을 소리 없이 상징하는 방법이다. 이를테면 손가락 두 개로 ‘V’모습을 만들어 보이는 것은 영어의 ‘Victory’라는 ‘말의 표현’을 뜻하는 것처럼 나는 [무드라]가 뒤의 방법을 쓰지 않았을까 생각했다. 이 글에서는 어느 경우에 어떤 ‘독특한 명칭’의 [무드라]를 썼는가 하는 그런 종교적인 의미보다는 그저 ‘음운’ 자체로만 보려 한다.
내 관심은 ‘말’에 국한하므로.
1) 시무외인(施無畏印) =[아+브하야 무드라](Abhaya mudra):
[아]= 우리말의, ‘아니 (no)’a 손의 안쪽으로 상징.
[브하+야]= fear= 우리말의, ‘무섭고+두렵다’
a [브하야]: (손) 바닥을 들어, 밖으로 보이는 동작.
[무드라]의 이름과 각 동작의 우리 말 발음을 비교해 보시라.
2) 촉지인(觸地印)=[부흐미+스파르사 무드라](Bhumisparsa mudra):
[부흐+미]= 땅(earth)= 우리말의 ‘밑아래의+무엇’
a (손) 바닥을 밑으로.
[스프르즈](sprz)= ‘touch’= 우리말의 ‘손끝으로 무엇을 짚는’
3) 전법륜인(轉法輪印)=[드하르마+차크라 무드라](Dharmachakra mudra):
[드하르마]= 법(法)= ‘따라야 하는 무엇’a (두 손으로) 돌리는
[차+크라]= 바퀴(wheel)= ‘(해) 솟은 모습처럼+둥그런’
a (두 손가락을) 서로 짚어, 둥글게 하는 동작.
4) 선정인(禪定印)= [드흐야나 무드라](Dhyana mudra):
[드흐+야나]= ‘(마음속에) 돋아 높이+오르게 하는
a 두 손을 잡고, 엄지를 올려서, 서로 닿게 하는 동작
참고로 대승(大乘)= [마하+야나](Mahayana)=
우리 말의 ‘높고 넓게+오르게 하는’
소승(小乘)= [히나+야나](Hinayana)= ‘혼자+오르게 하는’
5) 시원인(施願印)= [바라다 무드라](Varada mudra):
[바라다]= ‘바라는’ a (손) 바닥을 밑 아래로 보이는 동작.
6) 지권인(智拳印)= [바쥐라 무드라](Vajra mudra):
[바쥐라]= ‘(굳어서, 다른 것을) 부스러지게 하는’
a 주먹 쥔, 두 손을 서로 붙잡는 동작.
7) 설법인(說法印)= [비타르카 무드라](Vitarka mudra):
[비타르카]= ‘밖으로 어떻게 돋아 오르게 할 것인가?’
a 밖으로 손가락을 둥글게 만들어서 들어 보이는 동작.
아직 미흡한 점이 많으나 나는 여기서, 두 가지를 말씀 드리고자 한다.
첫째 [산스크리트]어의 발음은 우리말로 풀이가 된다는 것과
둘째 [무드라]에서의, ‘손 모습’의 기초가 되는 그 어떤 ‘말의 표현’도 우리말과 관계가 있다는 말씀이다.
우리는 중국판(中國版) 불교를 수입했는지라 [산스크리트]어와 우리말을 직접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실은, 놓쳤던 것은 아닐까?
나는 [산스크리트]어의 중국어 번역 과정에서 이를테면 [아리아발로키테스바로 보디사트보](Aryavalokitesvaro bodhisattvo)가 졸지에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과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라는 두 가지 이름들로 번역됐다고 의심한다.
내 생각에, 이를 우리말로 직역하면 오름을 바라던 끝에 솟아 오른 밝아진 사람’의 하나일 뿐인데 현재 여러 스님들이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 경전을 연구하고들 계시다. 만일 그 연구에 우리네 [알타이] 말과의 관계를 아울러 생각해 보시면 더욱 훌륭한 성취를 이루실 것이라고 감히 말씀 드린다.
*****************************
불상의 수인(手印: 손모양)
불보살님의 깨달음과 서원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손모양 또는 손가락모양을 '수인(手印)'이라 합니다. 원래 불전도(佛傳圖)에 나오는 석가모니불의 손모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석가모니불의 경우에는 '석가모니 근본 5인'인 선정인, 항마촉지인, 전법륜인, 시무외인, 여원인 5가지 수인을 주로 취하나 이 밖에도 천지인 등이 있습니다. 또, 비로자나불(대일여래)의 지권인, 또한, 아미타불의 구품인, 미륵불의 용화수인, 약사여래불의 약기인을 비롯하여 보살, 천부, 명왕 등에 따른 다양한 손모양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불상 종류에 의한 수인은 교리적인 뜻을 가지고 표현되었기 때문에 불상의 성격과 명칭을 분명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였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그 규칙이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1. 선정인(禪定印) Dhyana-mudra,
부처가 선정에 든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결가부좌한 상이 취하는 수인이다. 삼마지인(三摩地印) 또는 삼매인(三昧印)이라고도 하며 불상의 종류에 따라 법계정인(法界定印), 등지인(等持印)이라 부르기도 한다. 원래는 석가모니가 보리수아래 금강좌에 앉아 깊은 생각에 잠겨 있을 때 취한 수인이다. 손바닥을 편 채로 왼손은 배꼽 아래에 두고, 그 위에 오른손을 포개서 두 엄지손가락을 맞대고 있다.
2. 전법륜인(轉法輪印) Dharmacakra-mudra
부처가 깨달은 후 바라나시의 녹야원(鹿野苑)에서 다섯 비구와 중생들에게 최초로 설법할 때의 수인이다. 양손을 가슴 앞에 올린 채 왼쪽 손바닥은 안으로, 오른쪽 손바닥은 밖으로 향하게 하고 각각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맞붙여 마치 불교의 법륜(法輪)을 상징하는 것 같은 모양이다. 이 수인은 시대나 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어 일정하지 않다. 보통 정토교에서 말하는 상품중생인(上品中生印)에 해당되며 단독의 아미타상에도 나타난다.
3.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BhumisParsa-mudra
부처가 깨달음에 이르는 순간을 상징하는 수인이다. 항마인(降魔印), 촉지인(觸地印), 지지인(指地印)이라고도 한다. 석가모니가 보리수 아래에 앉아 성도(成道)할 때 악귀의 유혹을 물리친 증인으로 지신(地神)을 불러 자신의 깨달음을 증명하였다는 내용에서 유래되었다.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결가부좌한 다리 가운데에 놓고 오른손은 무릎 밑으로 늘어뜨리면서 다섯 손가락을 편 모양이다. 이 수인은 반드시 결가부좌한 좌상만이 취하는 것으로 입상이나 의상(倚像)에서는 볼 수 없다.
4. 시무외인(施無畏印) Adhaya-mudra 및 5. 여원인(與願印) Varada-mudra
시무외인은 부처가 중생의 모든 두려움을 없애주고 위안을 주는 수인이다. 인도의 초기불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오른손 또는 왼손을 어깨 높이까지 올리고 다섯 손가락을 세운 채로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게 한 형태이다.
여 원인은 부처가 중생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다 들어준다고 하는 의미의 수인이다. 시원인(施願印), 만원인(滿願印)이라고도 한다. 왼손을 내려서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게 한 손모양으로 시무외인과는 반대가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여원인은 넷째, 다섯째 손가락을 구부리고 있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며 삼국시대 불상에서는 시무외인과 함께 불상의 종류에 관계없이 나타나고 있다. 삼국시대부터 여원인과 짝을 이루어 크게 유행하였으며 이 두 수인을 합하여 일명 '통인(通印)'이라고 한다.
6. 지권인(智拳印) Bodhi-sri-mudra,
이(理)와 지(智), 중생과 부처, 미혹함과 깨달음이 원래는 하나라는 뜻의 수인이다. 보리인(菩提印), 각승인(覺勝印)이라고도 한다. 금강정경(金剛頂經)에 기초를 둔 것으로 양손을 가슴 앞에 올리고 집게손가락만 똑바로 세운 왼손을 오른손으로 감싸서 오른손 엄지가 왼손 집게손가락 끝에 서로 맞닿도록 한 모양이다.
이 수인은 주로 밀교계의 대일여래가 취하는 것이나 우리나라에서는 화엄종의 주존불인 비로자나불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예로는 보림사 철조비로자나철불(859년)을 비롯하여 동화사 비로자나철불(863년), 도피안사 비로자나철불(865년), 축서사 비로자나철불(867년) 등 고려시대의 불상을 들 수 있다.
7. 합장인(合掌印) Anjali-mudra
보통 예배를 드리거나 제자와 문답(問答)할 때 취하는 수인으로, 귀명인(歸命印) 또는 일 체절왕인(一切切王印)이라고도 한다. 두 손을 가슴 앞에 올리고 손바닥을 서로 맞대고 있는 모양으로 인도의 바르후트 대탑이나 산치 대탑 등의 부조상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의 방어산 마애삼존불(801년)의 오른쪽 협시보살상을 비롯하여 안압지 출토 금동보살판불상, 석굴암의 십대제자상 등에 나타나고 있다.
8. 공양인(供養印)
부처님에게 공양을 올리는 모습을 나타낸 수인으로 두 손을 마주 잡아 연꽃봉오리처럼 만든 모습이다. 이 표시는 보살이나 제자들·예배자들·협시불 들에게만 적용되는 수인으로 예배·숭배를 의미한다.
수인은 특히 밀교에서 중요시하며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 기본형은 6종권과 12합장이다. 6종권은 연화권·금강권·외박권·내박권·분노권·여래권 등이 있다. 12합장은 석가모니의 항마와 성도의 과정을 반영한 것으로서 견실합장, 허심합장, 연화합장(미개련합장), 초할련부수향하합장, 부수합장 등 12종류로 분류된다. 이 중 금각합장인 두 손가락을 교차시킨 모양이며 오른손 손가락을 왼손 손가락 위에 둔다. 연화합장인은 두 손을 합하여 마치 연꽃봉오리처럼 약간 볼록하게 표현한 모양을 말한다.
○ 연화합장인
연화합장인이란 두 손의 열 손가락을 세워서 손가락과 손바닥을 함께 합하는 합장으로 그 모양이 연꽃의 봉오리를 닮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음을 연꽃과 같이 번뇌에 물들지 않게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법식을 행할 때 처음에는 이러한 결인을 한다.
○ 금강합장인
금강장, 귀명합장이라고도 한다. 12합장의 하나로 열 손가락을 합하여 그 첫마디를 교차 하여 세운 것이다. 이것은 행자가 본존에 대하여 공경 공양하며 견고한 신심을 나타내는 결인이다.
○ 금강권인
엄지손가락을 손바닥에 넣고 다른 네 손가락으로 싸쥐는 것으로 금강계 대일여래의 오른손 수인이다. 양부 중에는 금강계에 속하고, 이지 중에는 지를 표하여 금강같이 견고함을 가리킨 것으로 이렇게 이름하였다.
9. 아미타정인(阿彌陀定印)과 구품인(九品印)
선정인에서 약간 변형된 것으로 아미타불의 수인이다. 묘관찰지정인(妙觀察智定印)이라고도 한다. 손바닥을 위로 한 왼손에 오른손을 포개서 배꼽 부근에 놓고 각각 둘째손가락을 구 부려서 그 끝이 엄지손가락에 닿게 한 모양이다.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에 의하면 중생들은 성품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 중, 하 3등급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세분화하여 9등급으로 나누어서 각 사람에게 알맞게 설법해야만 구제할 수 있다고 한다. 이 9품에 따라 아미타불의 수인도 각각 다르다. 구품인은 상품상생인, 상품중생인, 상품하생인, 중품상생인, 중품중생인, 중품하생인, 하품상생인, 하품중생인, 하품하생인을 말한다.
'상생인(上生印)'은 아미타정인과 같은 손모양을 하고 있으며 '중생인(中生印)'은 두 손을 가슴 앞에까지 올려서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게 한 자세이고, '하생인(下生印)'은 오른손을 손바닥이 밖으로 향하게 하여 가슴 위까지 올리고 왼손은 아래로 내리고 있는 것만이 다를 뿐, 손가락 모양은 상, 중, 하생인이 똑같이 되어 있다. 다만 엄지와 맞대고 있는 손가락에 따라 상(上), 중(中), 하품(下品)으로 구분된다.
즉 엄지와 둘째손가락이 서로 맞대고 있을 때에는 상품이고, 엄지가 셋째 손가락과 맞대고 있을 때에는 중품, 그리고 엄지와 넷째 손가락이 닿아 있을 때에는 하품이 되는 것이다. 이 중에서 '상품상생인'은 좌상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반면에 입상에서는 '상품하생인'이 일반적이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이와는 반대로 손모양은 똑같지만 서로 맞댄 손가락에 따라 상, 중, 하생인으로 나누는 경우도 있으나 최근에는 전자의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미타불'이 9품인을 하고 있는 예는 매우 드물며 주로' 아미타정인'과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상품상생(上品上生): 자비심이 높아 죽는 순간 극락세계의 불보살이 맞이하여 극락에서 가장 좋은 곳을 말한다.
상품중생(上品中生): 대승경전의 깊은 이치를 모두 깨닫고 인과의 윤회를 알아 수행하고 정진한 자가 태어나는 극락세계를 의미한다.
상품하생(上品下生): 인과의 도리를 믿어 성불하겠다는 신심으로 수행한자가 태어나는 극락세계를 의미한다.
중품상생(中品上生): 중품에서 제일 좋은 세계로 5계와 8계를 지키고 선을 수행한 자가 태어나는 극락세계를 의미한다.
중품중생(中品中生): 불교의 계율을 지키고 열심히 수행한 사람이 태어날 수 있는 극락세계를 의미한다.
중품하생(中品下生) :10악을 저지르지 않고 부모에게 효도하고 덕행을 쌓은 사람이 태어나는 극락세계를 의미.
하품상생(下品上生): 악을 곧바로 참회하고 공덕을 쌓은 사람이 스님의 염불공덕으로 태어날 수 있는 극락세계를 의미한다.
하품중생(下品中生): 5계나 10계를 범하였으나 바로 뉘우치고 올바른 생각을 하는 사람이 스님의 염불공덕으로 태어날 수 있는 극락세계를 의미한다.
하품하생(下品下生): 많은 죄를 지었으나 늦게나마 참회하고 불심을 가진 사람이 스님의 염불공덕으로 태어날 수 있는 극락세계를 의미한다.
10. 약기인(藥器印)
약사불상의 가장 큰 특징은 수인(手印)과 손에 들고 있는 물건인 지물(持物)에 있다. 먼저 지물인 약기(藥器)에 대해 살펴보면, 우리나라 약사불상은 보주(寶珠) 형태와 약그릇[藥器] 형태로 구분된다. 대부분의 약사불상은 약그릇으로 보주형의 지물을 가지고 있는데, 이처럼 둥근 보주형으로 만든 이유를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보주의 의미로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 제10에 의하면 “사람의 질병을 치료해주고 빈궁에서 벗어나게 하며, 아울러 어떠한 독(毒)도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공덕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을 갖는 보주는 현세구복 신앙의 성격이 강한 관음보살, 지장보살, 약사불의 지물로 사용된다. 둘째로는 약호(藥壺)나 약합(藥盒)을 단순화한 것이라는 견해이다.
11. 천지인(天地印)
부 처가 태어나자마자 일곱 발자국 걸어가서 오른손은 하늘을, 왼손은 땅을 가리키면서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天上天下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라고 외쳤던 데에서 유래한 수인이다. 한 손은 위로 하고 다른 한 손은 아래로 향한 모습으로 주로 탄생불이 취한 수인이다.
12. 설법인(說法印)
중생에게 법을 설하고 있음을 상징하는 수인이다. 이 수인은 앉아 있거나 서 있거나 관계없이 적용된다. 오른팔 혹은 양팔을 들어 엄지와 검지를 붙여 동그라미를 만든다. 동그라미는 법의 바퀴를 의미한다.
13. 계인(契人)
계인은 손에 물건을 든 수인을 말한다. 약사부처님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불상이 계인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주로 보살상, 신장상, 나한상들이 계인을 하고 있다. 수많은 보살상과 신장상과 나한상들은 각각 다른 지물을 들고 있기 때문에 종류는 그만큼 다양하다. 법구(法具), 무구(武具), 약기(藥器), 동물, 식물, 옥류(玉類), 건축물, 장신구, 별, 자연현상 등 모든 것이 그 대상이 된다.
[출처]부산 달마원
'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슬람율법 (Shari'ah) (0) | 2009.05.09 |
---|---|
이슬람교(Islam) (0) | 2009.05.09 |
불교(佛敎, Buddhism) (0) | 2009.05.02 |
우상숭배 안돼..40대女 암자 불상 파괴 (0) | 2009.04.11 |
미 기독교인 급감...무종교인 증가 (0) | 2009.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