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줄 잇는 북한 붕괴說

한부울 2008. 9. 8. 13:28

줄 잇는 북한 붕괴說

[세계일보] 2008년 09월 05일(금) 오후 06:18

 

                                                리처드 핼로란 前 뉴욕 타임스 특파원


북한 김정일 정권의 붕괴 위험에 관한 새로운 추측이 다수의 정보 분석가, 아시아와 미국 학자, 싱크탱크의 전문가, 국제구호단체의 직원 등으로부터 흘러나오고 있다. 그 이유는 북한의 대규모 기아와 및 국제적 고립이 악화될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북한이 언제 붕괴될 것인지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전문가는 없다. 연착륙하여 김정일 정권이 서서히 해체되고 한국이 단계적으로 대처하게 될 것인지 아니면 경착륙하여 내부 붕괴가 갑자기 일어나 북한이 혼란에 휩싸일 것인지 지금으로서는 알 길이 없다.


평양의 정권교체에 따른 갖가지 결과는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교체 즉시 북한의 핵시설 확보를 위해 미국, 한국, 중국 군대가 북한으로 진주하여 대치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중기적으로, 북한을 부흥시키는 데는 한국, 일본, 중국, 미국이 막대한 비용을 부담할 가능성이 있다. 장기적으로, 한반도 통일은 동아시아의 세력균형을 변화시키겠지만 변화의 방향은 예측하기 어렵다.


지난 10년 동안 계속된 식량부족으로 북한의 일곱 살 아동의 키가 한국 아동보다 대략 20센티미터 작고 몸무게는 9킬로그램가량 적은 사실을 모든 북한 전문가들이 지적한다. 선군정치를 하는 정권의 군대에서 복무하는 북한군 병사들의 급식량은 두 끼로 줄었고 그나마 양은 불충분하다. 공장의 근로자들은 식량과 에너지 부족으로 공장의 마루에서 낮잠으로 시간을 보낸다.


은자 왕국의 경찰국가식 통치가 확고함에도 불구하고 북한 주민들이 대담한 행동을 하지 않을까 하는 추측이 나오는 것은 이런 북한 내부 사정 때문이다. 북한 관련 정보 평가에 정통한 미국의 한 정부관리는 “북한이 이런 상태로 오래 갈 수 없다고 우리는 생각한다”고 말했다.


계속된 식량부족으로 북한이 여러 가지 정치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기아 위기에 처해 있다고 워싱턴 소재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가 보고했다. 연구소는 보고서에서 이렇게 지적했다. “광범한 사회적 문제와 정치적 불안이 초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미 의회의 초당파 기구인 의회조사국은 보고서에서 이렇게 설명한다. “비참한 경제상황은 또한 김정일 정권에 잠재적으로 반대할 가능성이 있는 불만세력을 키울 수 있다. 특히 공산당 지도자들의 사치스러운 생활이 일반 국민들에게 더욱 자세히 알려지거나 경제정책의 실패로 엘리트들까지 생활고를 겪게 될 경우에 그렇다.”


안보서적 출판 전문인 제인출판사는 5년 전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정권에 도전할 수 있는 유일한 세력은 군부뿐이다. 김정일이 국방위원장에 취임한 이후 230명을 장군으로 승진시켰다. 북한군의 대다수 장성들은 김정일에게 충성을 바친다.” 그 이후 달라진 것은 없는 듯하다.


북한이 국제사회에서 더욱 고립되고 있는 현실도 정권에 대한 추가 압박 요인이다. 김정일을 설득하여 핵 야심을 포기하도록 만드는 데 목적이 있는 북핵 6자회담은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끝이 보이지 않는다.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 공산주의자들과의 이념적 유대를 강조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2006년에 핵 장치를 폭파시켰을 때 양국은 불쾌하게 생각한 것이 분명하다. 일본은 오랜 기간 동안 북한에 납치된 자국민들에 관한 해명을 듣기 위해 북한과 조심스러운 협상을 시작했다. 일본의 대북 제재조치의 대부분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북한군 병사가 금강산 관광 중 새벽 산책을 나간 한국 여성을 사살한 후 한국과 북한의 접촉은 둔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젊은 세대는 비용 때문에 북한과의 화해에 부모나 조부모 세대만큼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미국은 김정일이 핵무기를 포기하도록 만드는 협정을 성사시키기 위해 북한과의 협상을 계속하고 있다. 핵무기를 포기할 경우 김정일은 정전협정을 평화조약으로 바꾸고 미국과 외교관계를 맺게 되며 원조와 무역상의 혜택을 얻게 된다. 그러나 미국과 북한의 협상에서 진정한 진전은 눈에 띄지 않는다.


리처드 핼로란 前 뉴욕 타임스 특파원


워싱턴 타임스


정리=오성환 외신전문위원

************************************************

North Korean collapse?

Richard Halloran


An array of intelligence analysts, Asian and American scholars, specialists in think tanks, and workers in relief organizations have renewed speculation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of Kim Jong-il is in danger of collapsing because that nation is on the brink of mass starvation and mounting isolation.


No one will even guess when this might happen - within a year, more likely within five years, and almost surely within 10 years? Will the collapse be a "soft landing" in which Mr. Kim's regime gradually falls apart with the pieces picked up by the South Koreans, or will it be a "hard landing" in which Mr. Kim's regime implodes and chaos sweeps the land?


The consequences of a regime change in Pyongyang could be staggering. Immediately, U.S., South Korean and Chinese troops could charge into North Korea to secure its nuclear facilities - and confront each other. Midterm, reviving North Korea could cost South Korea, Japa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enormous sums. Long term, a reunited Korea would change the power balance of East Asia - but unpredictably.


Analysts everywhere point to a decade of hunger that has left 7-year-old North Korean children 8 inches shorter and 20 pounds lighter than their South Korean cousins. North Korean soldiers in a regime that gives priority to the military forces have been reduced to two skimpy meals a day. Factory workers nap on the floor for lack of food and energy.


That has led to conjecture that North Koreans, despite the pervasive controls in the Hermit Kingdom's police state, may throw caution to the winds. "We just don't think they can go along with this much longer," said an American official with access to intelligence assessments.


The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in Washington reports that North Korea, after 10 years of food shortages, stands on the precipice of famine that could have political consequences. "The possibility of widespread social distress and even political instability," the institute said in a study, "cannot be ruled out."


Another study, from the nonpartisan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says: "Dismal economic conditions also foster forces of discontent that potentially could turn against the Kim regime - especially if knowledge of the luxurious lifestyle of Communist Party leaders becomes better known or as poor economic performance hurts even the elite."


Even so, an assessment from Jane's, publisher of security reports, said five years ago: "The only significant power base that might challenge the regime is the military. Since Kim Jong-il became chairman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however, he has promoted 230 generals. Most of the army's 1,200-strong general officer corps owes their allegiance to him." Nothing appears to have changed that judgment - except starvation.


Added to the pressures on the regime is the increasing isolation of Pyongyang. The six-party talks among North Korea, South Korea, China, Japan,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which are intended to persuade Mr. Kim to give up his nuclear ambitions, are stalled with no end in sight.


China and Russia no longer seem to have an ideological commitment to their fellow communists in North Korea and were clearly miffed when North Korea detonated a nuclear device in 2006. Japan has begun to negotiate warily with North Korea to get an accounting of the Japanese it kidnapped over a long period. Most sanctions remain in place.


Seoul's contacts with North Korea slowed after, among other things, a North Korean soldier killed a South Korean woman taking an early morning walk on a beach near the North Korean resort she was visiting. Moreover, South Korean young people have shown less interest in reconciliation with North Korea than their parents and grandparents because of the cost.


For the United States, officials of the Bush administration are going through the motions of negotiating with the North Koreans for an enforceable agreement under which Kim Jong-il would give up his nuclear weapons. In return, he would get a peace agreement replacing the truce that ended the Korean War of 1950-53,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and aid and trade benefits. But little real progress is in sight.


The opening ceremony of the Beijing Olympic Games, a political event if ever there was one, reflected power relations in East Asia. President Hu Jintao of China was the host, of course. U.S. President George Bush, the 43rd U.S. president, was there along with his father, President George H.W. Bush, the 41st. Premier Vladimir Putin represented Russia, Prime Minister Yasuo Fukuda represented Japan, and President Lee Myung Bak represented South Korea.


skimpy:인색한  distress:고통, 곤란 throw caution to the winds:대담한 행동을 하다


세계일보&세계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