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리스트/세계우주무기

달 과학기지 건설’ 한국도 참여…NASA 다국적 프로젝트

한부울 2008. 7. 30. 21:04
 

달 과학기지 건설, 한국도 참여…NASA 다국적 프로젝트

[경향신문] 2008년 07월 30일(수) 오후 06:22


英·日 등 8개국과 공동 수행


한국이 달에 과학기지를 건설하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다국적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NASA는 29일 한국 등 8개국과 향후 달 탐사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협정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프로젝트에는 미국과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인도, 이탈리아, 영국 등이 참여한다.


NASA는 이날 성명을 통해 “지난주 이들 나라의 관계자들과 회담을 하고 세부 협력사항을 논의했으며, 차세대 달 탐사를 위한 원칙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국제 달 탐사 네트워크(ILN)’로 명명된 이번 프로젝트는 달 표면에 6~8개의 이동식·고정식 과학기지를 설치하게 된다.


이 과학 기지들은 달 표면과 내부 연구용 프로젝트인 ‘아폴로 프로그램’에 사용된 설비를 대체하기 위한 2세대 로봇과학 네트워크도 형성하게 된다. 오는 2013~2014년까지 달 표면에 처음으로 2개의 ILN 착륙선을 구축한다는 게 NASA의 목표다.


ILN 프로젝트는 지난해 미국 국립연구위원회(NRC)가 “달이 중요한 과학적 가치를 지니며 달 연구는 다른 과학 및 탐사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내놓은 후 마련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백홍열)은 지난 24일 NASA에 ‘국제 달 네트워크’ 참여를 위한 참여의향서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제임스 그린 NASA 행성과학국장은 “국제 공동탐사가 여러 분야에서 달에 대한 과학 지식을 많이 가져다 줄 것”이라며 “많은 국가들이 프로그램에 관심이 있는 만큼 멋진 협력 작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지희기자  경향신문 & 경향닷컴

**************************************************

한국, NASA의 달 과학기지 구축 사업 참여 

[매일경제]2008.07.30 11:50:23 

 

한국이 달 표면에 최대 8개의 과학기지를 건설하려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공동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NASA는 29일 한국과 일본 등 8개국과 향후 탈 탐사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협정에 서명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NASA는 이날 성명을 통해 "지난 주 이들 나라의 관계자들과 회담을 갖고 세부 협력사항을 논의했으며, 차세대 달 탐사(lunar science)를 위한 원칙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NASA에 따르면 '국제 탈 탐사 네트워크(ILN)'로 명명된 이 프로젝트는 달 표면에 6개 내지 8개의 이동식 또는 고정식 과학기지를 단계적으로 설치한다는 내용이다.


이들 과학기지는 또 달 표면 및 내부 연구용 프로젝트인 '아폴로 프로그램'에 사용된 설비들을 대체하기 위한 2세대 로봇과학 네트워크도 형성하게 된다. 2013년과 2014년에 달 표면에 처음으로 2개의 ILN 착륙선을 구축한다는 게 NASA의 계획이다.


ILN 프로젝트는 '달이 중요한 과학적 가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달 활동은 광범위한 과학 및 탐사 활동에 적용된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미국 국립연구위원회(NRC)의 보고서가 지난 2007년도에 나온 뒤 마련됐다. 한편 NASA는 달에 유인 전초기지(outpost) 설립을 위한 적극적인 행보에 나섰다.


NASA는 29일 자체 홈페이지에 올린 성명을 통해 하니웰 인터내셔널 등 11개 기업 및 메릴랜드 대학과 함께 향후 6개월간 달에 전초기지를 건설하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모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된 연구 분야는 에너지 저장, 항공전자학,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이다.


NASA 존슨우주센터의 '컨스털레이션 프로그램(Constellation Program)' 책임자인 제프 핸리는 "달에 전초기지들이 설립될 때 이용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려는 우리 프로그램에 새로운 아이디어들을 제공할 것"이라며 이번 연구에 기대감을 표시했다.


컨스털레이션 프로그램은 오는 2020년부터 시작될 일련의 달 탐사 계획을 통해 현지에 사람을 보내 유인 전초기지를 설치하기 위한 차세대 계획이다.


NASA는 이번 연구에 200만 달러(약 20억원)를 투자한다.


(워싱턴.시드니 신화.블룸버그=연합뉴스) [매일경제]

**************************************************

NASA Hosts International Meeting For Lunar Science Discussions  

July 29, 2008


MOFFETT FIELD, Calif. -- NASA hosted a meeting of space agencies from nine countries last week to discuss the next steps in the ongoing scientific exploration of the moon. The meeting laid the groundwork for a new generation of lunar science.


Discussions, led by NASA Headquarters officials, were held at NASA's Lunar Science Institute, located at the Ames Research Center at Moffett Field, Calif. Representatives from space agencies in Canada, France, Germany, India, Italy, Japan, the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attended the meeting. During the meeting, attendees discussed cooperation on an international activity called the International Lunar Network (ILN). The network is designed to gradually place 6-8 fixed or mobile science stations on the lunar surface. The stations will form a second-generation robotic science network to replace hardware left by the Apollo Program to study the moon’s surface and interior.


NASA plans to place its first two ILN landers on the surface of the moon in 2013-14. The landers are being developed under the Lunar Precursor Robotic Program at NASA's Marshall Space Flight Center. Huntsville, Ala.


The ILN is supported by NASA's Science Mission Directorate at the agency's headquarters in Washington. It was created in response to a 2007 report released by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which affirmed that the moon offers "profound scientific value" and "lunar activities apply to broad scientific and exploration concerns."


Representatives from space agencies considering participation in the ILN agreed on a statement of intent as a first step in planning. The statement marked an expression of interest by the agencies to study options for participating in a series of international lunar missions. The goal is to form a network of missions that will benefit scientists worldwide.


"We are tremendously excited by the enthusiasm shown for the ILN and lunar science more broadly," said Jim Green, director of the Planetary Science Division at NASA Headquarters. "This international activity will greatly extend scientific knowledge of the moon in a number of important areas."


The statement of intent does not completely define the ILN concept. The document leaves open the possibility for near and long-term evolution and implementation. Initially, participants intend to establish potential landing sites, interoperable spectrum and communications standards, and a set of scientifically equivalent core

instrumentation to carry out specific measurements.


"We are in a new era of lunar exploration," said Jim Adams, deputy director of the Planetary Science Division at NASA Headquarters. "Scientific coordination of the international armada of missions being sent to the moon in the next decade will greatly leverage our scientific capabilities, and perhaps even more importantly, develop the next generation of lunar scientists."


International participation in specific ILN activities will be established by appropriate international agreements. Additional participants may join in the future when they are programmatically and financially ready. Participation in the ILN could include the contribution of landers, orbiters, instrumentation, or other significant infrastructure, such as ground segment elements or power supplies for surviving the lunar night.


For more information on NASA lunar activities, visit:

*************************

Canada

 

 

France

 

Germany

 

India

 

 

Italy

 

Japan

 

 

the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Kingdom

 

 

United St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