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토수호

대마도(위키)

한부울 2008. 7. 17. 20:20
 

대마도

 

지리


위치 동아시아

면적 696.10 km²(본섬)

708.5 km²(부속섬 포함)


행정 구역

일본

시 쓰시마 시 (나가사키 현)


쓰시마 섬(일본어: 対馬 (つしま), 문화어: 쯔시마 섬) 또는 대마도(對馬島)는 한반도와 일본 규슈 사이의 대한해협 중간에 위치한 일본의 섬이다. 삼국시대 초에는 진도(津島) 라고 하였다.


지리


일본이 실효 지배하고 있지만 규슈까지의 거리는 약 132km, 한국과의 거리는 대한해협을 사이에 두고 약 50km에 있어 사실상 한국과 더 가깝다. 섬 크기는 남북에 82km, 동서에 18km 이다. 섬 넓이는 700km2이며, 섬의 인구는 2000년 현재 41,230명이다.


역사


일본 신화에 의하면 일본에서 최초로 태어난 섬의 하나이다. 고대에는 일본의 행정 기관이 놓여졌다. 대마도는 역사시대부터 한국과 일본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해 왔다. 조선 때에는 대마도주가 조선 국왕의 임명장을 받기도 하였다.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평화시에는 한국과 일본 간의 교역을 독점하였으며, 전쟁시에는 두 나라 사이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기도 했다. 원래는 하나의 섬이었으나 에도 시대(17세기 후반 경)와 1900년 러일전쟁 중에 운하를 파서 두 섬으로 나뉘었다


고려 우왕9년에는 박위장군이 대마도를 토벌하였으며 1419년 6월 조선의 세종대왕이 총사령관 이종무의 지휘아래 군사 1만 7285명을 동원하여 대마도를 토벌하였다.


조선의 국왕이 관직을 내려 무역을 허락하고 그들을 조선의 영향력아래 두기 시작하였다. 그 후에도 조선은 대마도에 대한 영향력을 오래 유지했으나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영향력이 약화되고 메이지유신을 계기로 일본의 영토로 대마도가 편입되면서 일본의 관리가 대마도를 통치하게 된다.


대마도의 날


대한민국 경상남도 마산시는 2005년 6월 17일, 마산시청 강당에서 대마도의 날 선포식을 가졌다.


마산시가 이러한 선포를 한 까닭은 대마도가 신라의 강역에 속하였다는 기록 등에 의거한 것이다. 세종실록의 세종년 7월 17일 기록에 따르면, '대마도가 경상도의 계림(鷄林:신라의 별칭)에 속했다는 사실이 문적에 명확히 실려 있음을 분명 상고할 수가 있다. 다만 그 땅이 아주 작고 바다 건너에 있어 오고 가기가 매우 불편하니, 백성들이 살지 않았다. 이에 왜땅(일본)에서 살 수 없는 왜인들이 갈 곳이 없자 모두 여기로 모여서 소굴을 만들었으며, 때로 섬을 떠나 도적질로 나서 백성들을 위협하고 재산을 약탈하며 마음대로 고아와 과부, 부녀자를 죽이고 민가를 불 지르는 극악한 짓이 한 지 여러 해가 되었다.'라고 되어 있는 것 등이 그것이다. (위키사전)

*****************************

대마도와 한국관계

[세계일보]2005.03.23 (수) 19:01


이승만정권 수차례 '古土 반환' 요구 

 

                   ◇대마도 공항 주변 풍경(왼쪽)과 이 섬에 있는 조선 통신사비(오른쪽). 

 

마산시 의회가 ‘대마도의 날’ 조례를 제정하는 등 독도 문제에 대한 ‘맞불’로 대마도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 남단에서는 49.5km, 일본 규슈(九州)에서는 147km 떨어진 대마도는 지리적으로 한국과 가까운 만큼 역사적으로도 한국과 가까웠다. 대마도가 조선 영토였다는 역사적 사실이나 사료는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다. 대마도 영유권 주장은 이승만 전 대통령 등 정부와 민간 부문에서 이어졌지만, 이번에는 독도 문제와 결부돼 여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학계 일부에서는 이 같은 문제 제기에 대해 ‘독도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된다’는 견해를 보인다.


◆역사 속 대마도=대마도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 신라본기(新羅本記)에 처음 나온다. 신라본기 실성이사금(實聖尼師今) 7년(408) 춘 2월조에는 “왜인이 대마도에 영(營)을 설치하고 병기와 군량을 저축하여 우리를 습격하려 꾀하고 있다”는 내용이 있다. 고려 때는 대마도를 속령으로 인식했다. 고려 공민왕 17년(1368) 대마도주는 고려로부터 만호(萬戶) 벼슬을 받고 사신을 파견했고, 같은 해 11월 대마도 만호가 보낸 사신에게 고려 정부는 쌀 1000석을 하사했다는 기록이 있다. 대마도주는 고려의 지방 무관직 벼슬을 받았고 쌀까지 얻어가는 처지였던 것이다.


조선 초 신숙주(申叔舟) 등 관리 17명이 통신사로 일본에 다니면서 남긴 ‘해행총재(海行摠載)’에는 ‘삼국시대에 이미 일본에 사는 왜인(倭人)들은 대마도를 외국으로 보았고, 대마도 사람들은 스스로 반(半)조선인으로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 세종실록에는 “대마도라는 섬은 본시 계림(신라의 별칭으로 지금의 경상도)에 속한 우리나라 땅이다. 이것은 문서에도 기록돼 있는 명백한 사실이다. 다만 땅이 몹시 좁은 데다 바다 한가운데 있어 내왕이 불편한 관계로 백성들이 들어가 살지 않았을 뿐이다. 그런데 자기네 나라에서 쫓겨나 오갈 데 없는 일본 사람들이 몰려들어 그들의 소굴이 되었다.”고 기록돼 있다.


◆이종무 정벌 이후=마산시 의회가 대마도의 날로 제정한 6월19일의 연원이 된 이종무(李從茂)의 대마도 원정은 1419년 단행됐다. 왜구의 근거지인 대마도 정벌을 위해 이종무가 장병 1만7000여명을 인솔해 대마도를 공격해 왜구를 소탕했다. 조선의 영향권에 있던 대마도는 1436년 식량사정이 어려워지자 아예 조선의 한 고을로 편입시켜 달라는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 이에 조선은 대마도를 경상도에 예속시키고 도주를 태수로 봉했다.


18세기 초 조선통신사를 따라 일본을 방문한 신유한은 ‘해유록(海游錄)’에서 “대마도는 조선의 한 고을에 지나지 않는다. 태수가 조선 왕실로부터 도장을 받았고 조정의 녹을 먹으며 크고 작은 일에 명을 청해 받으니 우리나라에 대해 번신(藩臣)의 의리가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일부 학자는 조선 후기의 대마도는 조선과 일본 양쪽 모두에 예속된 ‘양속(兩屬)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중국 고지도인 ‘조선팔도총도(朝鮮八道總圖·1488)’에는 울릉도와 독도(于山島)뿐만 아니라 지도 오른쪽 아래에 대마도(對馬)가 그려져 있다. 사진은 1717년 일본에서 제작된 필사본.


◆일본의 대마도 편입=이처럼 대마도는 조선 영토로 인식되다가 일본이 근대국가 재편 과정에서 영토로 공식 편입했다. 1868년 1월3일 일본의 도쿠가와 바쿠후 체제가 붕괴하고 왕정복고·왕위 친정 체제를 구축하려는 정변이 일어났다.


1871년 메이지 정부는 행정구역을 개편, 바쿠후 시절의 번을 없애고 근대적 지방 행정기관인 현을 두는 폐번치현을 단행했다. 이때 대마도도 일본의 행정구역에 속하게 됐고 1877년 나가사키현에 편입되면서 현에 속한 지방 행정지가 됐다. 이때 조선은 서구 열강의 개방 요구에 쇄국정책으로 맞서고 있었기 때문에 이 같은 국제 정세에 적극 대처하지 못했다.


◆이승만 대통령, 영유권 주장=이승만 대통령은 정부 출범 직후인 1948년 8월18일 전격적으로 ‘대마도 반환요구’를 발표하였다. 이에 일본 요시다 시게루(吉田茂) 내각은 극력 반발했고 이 대통령은 9월9일 재차 대마도 반환을 요구하며 대마도 속령에 관한 성명을 발표했다. 1949년 1월6일 일본에 대해 배상을 요구한 이 대통령은 이틀 후인 1월8일 대일 강화회의 참가 계획을 발표하면서 또 한 번 대마도 반환을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일본 요시다 총리는 연합군 사령관인 맥아더 사령관에게 이 대통령의 요구를 막아줄 것을 요청했고 맥아더 사령부도 이 대통령의 요구를 제지했다. 이후 1952년 1월18일에도 이 대통령은 ‘인접 해양의 주권에 대한 대통령선언’에서 대마도 영유권을 주장했다.


◆‘대마도 조례’ 찬반 엇갈려=마산시 의회가 ‘대마도의 날’조례를 제정하자, 이에 대한 찬반 논란이 일어났다. 찬성론자들은 “역사적으로 한국령이 분명하므로 이번 기회에 되찾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반대론자들은 “현재 일본의 영토가 분명한데 이를 감정적으로 한국령이라고 하는 것은 문제”라고 맞서고 있다. 김영구 여해연구소장(전 한국국제법학회장)은 “역사적으로 분명히 한국 영토였으나 현재 국제법상으로 일본 영토임이 확실하다”며 “대마도 영유권 주장은 독도가 한국 영토라는 주장의 객관성에 흠집을 내는 것”이라고 지적한다.


안두원 기자

*************

대마도는 어떤곳


대마도는 일본 나가사키현 소속 섬으로 면적 695.9㎢에 인구가 4만여명이다. 섬 전체가 해발고도 400m 내외의 산지이고 계곡들은 험준하다. 면적의 92%가 산악 지형이고 농경지는 4%에 지나지 않는다. 대마도가 고려와 조선에 경제적 관계를 맺어달라고 끊임없이 요청한 데는 이처럼 척박한 자연환경 속에서 생존을 위한 것이었다. 농업 등 산업이 발달하지 못한 탓에 동해와 남해 등을 약탈한 왜구의 근거지가 되기도 했다.

 

대마도에서 한국과 관련된 흔적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사찰에서 신라불이나 고려불 또는 조선 범종을 보는 것은 흔한 일이다. 또 일본에 볼모로 잡혀간 신라 왕자 미사흔을 탈출시키고 처형당한 박제상의 순국비, 조선 숙종 때 조난당해 목숨을 잃은 조선역관사(譯官使) 108명을 기리는 역관사비, “왜놈들이 주는 음식은 먹을 수 없다”고 버틴 면암 최익현의 순국비, 정략결혼으로 대마도주 아들과 결혼한 덕혜옹주(고종황제의 딸)의 결혼기념비 등이 대마도에 남아 있는 한국의 옛 기록이다.


역사적 사건 외에도 언어와 풍습 등이 현재까지 남아 있는 것들도 많다. 한국말인 지게는 쓰시마에서도 ‘지게’로 불린다. 일본 다른 지역에선 쓰지 않는 말이다. 대마도에서만 통용되는 한국산 단어는 300개가 넘는다. 매년 8월 첫째 일요일에 열리는 ‘아리랑 마쓰리(축제)’도 한국의 영향이다. 1607년부터 1811년까지 200여년동안 12차례에 걸쳐 파견된 조선통신사가 대마도를 지나갔는데 ‘아리랑 마쓰리’는 이때 조선통신사의 행렬을 재연하는 것이다. 조선통신사의 행로를 따라 있는 절이나 관공서에는 ‘조선통신사가 묵었던 곳’이라는 표지판이 세워져 있다.


대마도는 지리적 위치상 한국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일제 식민통치기 때 대마도는 인구가 9만여명에 이를 정도로 융성했다. 그러다가 제2차세계대전 종전 이후 한국과의 교류가 끊기면서 인구가 해마다 줄어 지금은 4만여명에 불과하다. 한국인도 일제 강점기에는 2만여명이나 살았지만 지금은 수십명에 지나지 않는다.


1999년부터 부산과 대마도를 잇는 정기여객선이 취항한 이후 관광 코스로도 인기를 끌고 있다. 부산발 여객선이 결항하는 날에는 대마도의 관광지와 호텔가도 한산해진다고 한다.


안두원 기자 세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