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리스트/세계우주무기

日군함, 2차대전후 처음으로 중국 입항한다

한부울 2008. 6. 16. 15:36
 

日군함, 2차대전후 처음으로 중국 입항한다

[연합뉴스] 2008년 06월 16일(월) 오전 10:23

 


(베이징=연합뉴스) 조성대 특파원 = 일본 군함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오는 24일부터 28일까지 중국을 방문한다고 동방조보(東方早報)가 15일 일본 언론매체들을 인용, 보도했다.


신문은 일본 해상자위대 소속 미사일 구축함 '사자나미(漣)'호가 작년 11월 있었던 중국 해군 미사일 구축함 '선전(深천<土+川>) 호'의 일본 방문에 대한 답방으로 24일 광둥(廣東)성의 군항인 잔장(잠<삼수변에 甚>江)항에 입항한다고 전했다.


일본 군함이 중국에 입항하는 것은 2차대전 종전 이후 처음이며 다카나미급인 사자나미는 당초 지난 3일부터 7일까지 중국을 방문할 계획이었으나 쓰촨(四川)성 대지진의 영향으로 방문 일정이 3주일 연기됐다.


소식통들은 사자나미의 입항은 쓰촨 지진과 아무런 관계가 없으며 이미 예정됐던 중일간 방위교류 사업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이는 쓰촨성 지진용 구호 물자를 수송하기 위한 일본 자위대 군용기의 중국 파견이 취소된 민감한 시점에 일본 군함의 중국 입항이 중국인민에게 민감한 감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풀이되고 있다.


중국의 군사문제 전문가 두옌(杜言)은 "우리 군함이 일본을 방문한데 대한 답방으로 일본 군함이 중국에 오는 것이며 이는 쌍방간의 군사교류로 무슨 기이한 일이 아니며 미국 군함이 중국에 들어오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중국인들이 자극받지 않기를 기대했다. 중국 구축함 선전호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로는 처음으로 지난해 11월 일본에 입항, 중.일 군사교류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중.일은 2000년 10월 당시 주룽지(朱鎔基) 중국 총리와 모리 요시로(森喜朗) 일본 총리와의 회담에서 합의했으나,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정권이 들어선뒤 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와 역사왜곡 문제 등으로 양국 관계가 악화되면서 실현되지 못했다.


양국 함정 상호 방문은 그러나 작년 8월 중일 국방장관 회담에서 재차 합의된 이후 작년 11월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일본 총리와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간의 전화 회담에서 방위 교류의 일환으로 확정됐다. 차오강촨(曹剛川) 전 중국 국방부장은 작년 8월 일본 방문 기간 가나가와 요코스카(橫須賀)에 위치한 해상자위대 기지에 들러 다카나미(4천650톤)호를 시찰한 적이 있다.


연합뉴스

************************************

Takanami class destroyer

 

 

Displacement:

4650 tons standard

Length:

151 m

Beam:

17.4 m

Draft:

5.3 m

Propulsion:

4 gas turbines (2 × Ishikawajima Harima LM-2500

and 2 × Kawasaki Rolls Royce Spey SM1C);

two shafts,60,000 shaft horsepower

Speed:

30 knots (56 km/h)

Crew Complement:

175

Armament:

• Mitsubishi Type 90 SSM-1B SSM

• VLS Mk 41 32 cells

• Evolved Sea Sparrow SAM

• ASROC anti-submarine rocket

• 1 x Otobreda 127 mm/54 gun

• 2 × 20 mm CIWS

• 2 x Type 68 triple 324 mm torpedo tubes

Aircraft:

2 x Helicopters
1 SH-60J(K)anti-submarine helicopter (peace-time)


건조

 마린 유나이티드 우라가 공장

 쓰비시 중공업 나가사키 조선소

 마린 유나이티드 요코하마 공장

배수량

 기준배수량 : 4,600톤

 만재배수량 : 6,250톤

크기

 151m x 17.4m x 5.3m(길이/폭/흘수선)

승조원

 169명

추진

 COGAG 방식

 LM2500 고속 가스터빈 2기(33,000 마력)

 SM1C 순항 가스터빈 2기(27,000 마력)

 2축 추진

속도

 최대 30노트

 순항 20노트

항속거리

 6000nm(순항시)

무장

 오토 브레다 5인치 54 구경장 함포 1문

 20mm MK 15 팔랑스 2문

 시 스패로/ESSM 대공 미사일,

 아스록 대잠 미사일(MK 41 VLS 32셀)

 SSM-1B(4연장 발사기 2기)

 경어뢰(324mm 68식 3연장 어뢰 튜브 2기)

대응

 MK 36 SRBOC 채프 플레어 발사기

 NOLQ-3 전자전 체계(ESM/ECM)

 SLQ-25 NIXIE 예인 어뢰 디코이

지휘 무장 통제

 OYQ-9 전술 정보 처리 장치 Link 11

 SATCOM SQQ-28 헬기 데이터 링크

 OYQ-103 대잠 전투 통제 체계

레이더

 광역 수색 레이더 : OPS-24 3차원 레이더 - D 밴드

 수상 수색 레이더 : OPS-28 2차원 레이더 - G/H 밴드

 항법 레이더 : OPS-20 레이더 - I 밴드

 사격 통제 : FCS-2-31B 2기 - I/J 밴드

소나

 OQS-5-1 함수 소나

 OQR-2 예인 소나(TACTASS)

탑재헬기

 SH-60J 또는 SH-60K 헬기 2기보유함정

보유함정

 DD110 다카나미함

 DD111 오오나미함

 DD112 마키나미함

 DD113 사자나미함

 DD114 스즈나미함

 

Pennant

no.

Name

Laid down

Launched

Commissioned

Home

port

DD-110

Takanami

2000.4.25

2001.6.26

2003.3.12

Yokosuka

DD-111

Onami

2000.5.17

2001.9.20

2003.3.13

Yokosuka

DD-112

Makinami

2007.7.17

2002.8.8

2004.3.18

Sasebo

DD-113

Sazanami

2002.4.4

2003.8.29

2005.2.16

Kure

DD-114

Suzunami

2003.9.24

2004.8.26

2006.2.16

Maizuru

 

 

 

 

 

 

 

 

  

◇일본 해상자위대의 2020전력 예상도


[일본 해군]

1. 도쿄(요코즈카)의 1호위대군

2. 쿠레의 2호위대군

3. 큐슈 남서쪽 사세보의 3호위대군

4. 마이즈루의 4호위대군


제1호위대군(요코스카)

- 제1호위대(DDH그룹) : DDH181휴우가, 키리시마DDG174, 19DD, 무라사메DD101

- 제5호위대(DDG그룹) : DDG177아타고, 19DD, 19DD, 타카나미DD110


제2호위대군(쿠레)

- 제2호위대 : DDH182휴우가2, 콩고DDG173, 19DD, 하루사메DD102

- 제6호위대 : DDG178아시가라, 19DD, 19DD, 오오나미DD111


제3호위대군(사세보)

- 제3호위대 : DDH183 휴우가3, 묘오코DDG175, 19DD, 유우다치DD103

- 제7호위대 : DDG179이지스7, 19DD, 19DD, 마키나미DD112


제4호위대군(마이즈루)

- 제4호위대 : DDH184 휴우가4, DDG176쵸카이, 19DD, 키리사메DD104

- 제8호위대 : DDG180 이지스8, 19DD, 19DD, 사자나미DD113


제11호위대(요코스카)    : 이나즈마DD105, 스즈나미DD114, 유우기리DD-153

제12호위대(쿠레)        : 사미다레DD106, 아마기리DD154, 마츠유키DD130

제13호위대(사 세 보)    : 이카즈치DD107, 하마기리DD155, 세토유키DD131

제14호위대(마이즈루)    : 아케보노DD108, 세토리기DD156, 아사유키DD132

제15호위대(오오미나토) : 아리아케DD109, 사와기리DD157, 우미기리DD158


[잠수함] 

16SS급 5척예정 4,200톤 - 2004년도부터 건조중인 AIP 추진 잠수함. 유우시오급 대체.

오야시오급 9척 4,000톤 – 외부형태가 궐련형의 중앙단곽구조로 변경, 추가로 2척 건조중.

아사시오급 1척 3,600톤 – 하루시오급 7번함에 스털링기관을 탑재하여 AIP시험함으로 변경.

하루시오급 6척 3,200톤 – 유우시오급을 1m 연장한 것. 물방울형의 복각식 2층 구조.

유우시오급 2척 2,900톤 – 우즈시오급을 4m 연장한 것. 물방울형의 복각식 2층 구조.


[구축함]

16DDH급 2척예정 19,000톤 – 사실상 헬기 항모로 구별되며 하루나급 대체 예정.

시라네급 2척 7,400톤 – 하루나급을 개량한 헬기 탑재 구축함.

하루나급 2척 6,900톤 – 대잠 헬기 3기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는 헬기 탑재 구축함. FRAM 개량

아타고급 2척 10,000톤 – 공고급의 후계형인 신형 이지스 구축함. 다치카제급 2척을 대체할 예정.

공고급 4척 9,485톤 – 호위대군의 미사일 구축함으로 이지스체계를 갖춤. BMD 대응으로 개량중.

하타카제급 2척 6,400톤 - SM1MR 대공 미사일을 탑재한 구역 방공함.

다치카제급 3척 5,500톤 – SM1MR 대공 미사일을 탑재한 구역 방공함.

다카나미급 5척 6,250톤 – 무라사메급의 개량형으로 함포를 127mm로 교체한 범용 구축함.

무라사메급 9척 6,200톤 – 수직발사체계를 갖춘 범용 구축함. 대공 미사일을 ESSM 교체.

아사기리급 8척 4,200톤 – 하츠유키급의 개량형. 다카나미급의 건조로 인해 지방함대로 이전중.

하츠유키급 11척 3,800톤 – 시스패로 대공 미사일 탑재의 범용 구축함. 현재 지방함대에 배속.


[호위함]

아부쿠마급 6척 2,550톤 - 대잠 미사일과 대함 미사일을 탑재한 호위함. 대공미사일은 미탑재.

유우바리급 2척 1,690톤 – 이시카리급의 선체 중앙부를 확대해 건조된 개량형.

이시카리급 1척 1,450톤 – 원래 구잠정을 대체하는 PCE(연안 초계함)로 계획되었으나 DE로 변경.


[유도탄정]

하야부사급 6척 240톤 - 44노트에 76mm 함포 1문과 SSM-1B 4발을 탑재.

미사일정1호급 3척 60톤 – 이탈리아의 지원을 통해 건조된 고속정. 46노트에 SSM-1B 4발 탑재.


[기뢰/소해함정] 

우라가급 2척 5,700톤 –

기계수뢰 부설 능력을 보유한 소해모함(MST). MH-53E 소해 헬기 운용.

야애야마급 3척 1,276톤 –

미국의 어벤저급에 대응하는 목조선체의 대양용 소해함정. 대잠기뢰제거

16MSC급 1척 570톤 –

스가시마급 MSC의 개량형. 자항식 가변심도소나(PVDS) 탑재.

스가시마급 12척 510톤 –

연안용 소해/소토함정, 가변심도소나(VDS) 탑재.

우와지마급 9척 490톤 –

하츠시마급의 개량형. 연안용 기뢰공격/소해함정.

니지마급 2척 510톤 –

하츠시마급을 개량한 소해드론 통제함정(MCL). 무인자항식의 SAM을 통제함.

하츠시마급 5척 490톤 –

연안용 기뢰공격/소해함정. 목제 선체에 굴뚝과 연료탱크는 FRP로 제작.

SAM급 6척 20톤 –

스웨덴에서 도입한 무인자항식의 대형소해장비(MSD).


[상륙함/상륙정]

오오스미급 3척 8,900톤 –LCAC를 운영하는 강습상륙함으로 대형헬기 2기나 소형헬기 5기 운용.

유라급 2척 710톤 - 1981년 취역한 상륙함.

유소테이급 2척 540톤 - 1988~1992년 취역한 LCU로 인원 및 물자수송용.

공기부양정 6척 167톤 – 오오스미급에 사용되는 공기부양정으로 미국의 LCAC와 동형.


[대함 미사일]

Type 90 SSM-1B - 지상 발사형 SSM-1(88식)의 함상 발사형으로 전파 유도식,

사정거리 150km.

RGM-84 하푼 - 속도는 마하 0.8, 사정거리는 약 100km.


글출처 : 어둠의 상인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