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삼한역사/식물

참다래(키위 獼猴桃, 奇異果 Kiwifruit)

한부울 2012. 12. 12. 19:43

**********************

참다래 (키위, 奇異果 Kiwifruit)

 

다래는 원숭이 봉숭아, 미후도(獼猴桃)라고 하고 키위(Kiwifruit)라 한다.

미후도는 원숭이가 잘 먹는 복숭아로 해석할 수도 있다.

미후도(獼猴桃)는 부드러운 복숭아 일명 연도(輭桃)이고 속명은 다래(達愛), 다래, 달애(怛艾)라고 칭했으며 속어로 는 등리(籐梨)라 했고 이것을 다래(炟艾)라 하였다 한다.

중국이 원산지로서 중국에서는 귀도(鬼桃), 승리(繩梨), 등리(藤梨), 양도(羊桃)등으로 부른다.

우리나라에서 속어로 등리(籐梨)라 한 것처럼 중국에서도 등리라고 하였던 것을 보면 같이 쓴 것이 분명하다.

우리나라 삼한사람들은 조선에서 산출되는 다래를 기어코 참다래라고 하였다고 본다.

참다래를 "맛좋은 미후도"라고 하여 한어자료에는 미미미후도(美味獼猴桃)하고 학명으론 Actinidia deliciosa 이라고 하였으며 이와 다른 학명(異名)은 Actinidia chinensis deliciosa 이라 하였는데 이것은 중국다래(Actinidia chinensis)라고 표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려가요 청산별곡(靑山別曲)에 보더라도 참다래라고 하는 키위(Kiwifruit, 獼猴桃)는 우리나라에 오래 전부터 존재하던 과일이었던 것 같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靑山)에 살어리랏다 멀위랑 다래랑 먹고 청산(靑山)에 살어리랏다”라고 하는 내용처럼 다래는 예로부터 산에서 길을 잃은 나그네나 나무꾼 등이 허기를 채우기 위해 상시 먹던 대표적인 야생 열매라는 것이다.

그러나 반도사가 말하길 이 다래가 역사적으로 특별하게 관심을 끌지 못했다고 하였는데 세종지리지에서는 분명 토공(土貢)공물로 황해도(黃海道)와 강원도(江原道)에서 난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러함에도 반도사가 관심을 끌지 못했다고 하는 것은 이 다래가 한반도에는 자라지 않았다는 것을 감추기 위함이다.

실제로 한반도에는 뒤 늦은 1974년에서야 키위(Kiwifruit, 獼猴桃)가 도입 되어 대체로 따뜻한 지역인 제주도 남해안 일대에서 재배되기 시작하였고 1980년대부터 본격적인 생산이 되었다는 사실이 한반도에는 이 키위(다래)가 결코 자랄 수 없는 곳임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하지만 분명 고려시대때 청산별곡(靑山別曲)에 나타나듯이 산에서 길을 잃은 나그네와 나무꾼이 허기를 채우기 위해 다래를 늘 접하던 기록이 있다는 사실과 어쨌던 우리나라 토공(土貢)공물로 황해도(黃海道)와 강원도(江原道)에서 자생했다는 것을 보면 관심을 끌지 못했다고 궁색한 별명을 늘어 놓고 있지만 실제 역사에서는 이 참다래가 자랐던 것이 확실한 것이다.

때문에 황해도(黃海道)와 강원도(江原道)는 한반도 황해도와 강원도가 아니라는 사실을 명백하게 밝혀주고 있다.

 

키위(Kiwifruit, 獼猴桃)우리는 열대작물로 보통 알고 있었지만 중국을 원산지다.

그러나 이것도 잘못된 설명이라고 본다.

Its origin is supposed to be the northern Yangtse river valley In China,

위 영문 자료에 다래(獼猴桃)기원을 중국 북방, 양자강 골짜기계곡이라고하고 있는데 양자강을 지금 신중국 대륙에 있는 강이라고 한다면 곤란하다고 생각한다.

분명 양자강 서쪽 위치가 동아시아대륙 신중국에서 볼 때 결코 북방이라고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중부라고 해야 정확하다 할 것이다.

 

Cercopithecus(원숭이 북아메리카 대륙 분포지)

북아메리카 분포지:California San Diego, Colorado El Paso, Michigan Ingham County, Massachusetts Suffolk, FLORIDA DADE 이다.

 

또 다래를 미후도(獼猴桃)라고 하여 이것은 원숭이가 많이 있는 곳에 다래가 자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양자강 상류에는 이 원숭이가 많이 서식했음을 알 수 있는데 위 원숭이 북아메리카 대륙 분포지 자료를 보면 북아메리카 미주리강 주변에 그러함을 알 수가 있다.

세종지리지(世宗地理志)에는 미후도(獼猴桃)가 공물(貢)로 황해도(黃海道)와 강원도(江原道)에서 산출 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조선 연산8년(1502)에 경기(京畿)감사에게 다래를 서리가 내린 뒤 가지와 덩굴이 달린 채로 봉진하라고 한 것을 보면 경기(京畿)에도 산출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이렇다는 것은 중국이 원산이라고 하는 이 다래가 조선 땅 황해도, 강원도, 경기도에 났다는 것인데 하지만 아래 미국자료 분포지에 보면 한반도에는 아예 노란 점이 없다.

 

Actinidia deliciosa

분포지

Washington King

감숙성 통위(通渭)

 

Actinidia chinensis Planch. KIWI

분포지

California Butte
California Los Angeles
Missouri County Saint Louis City
New Zealand Te Puke, Hort Research Orchard

감숙성 통위(通渭)

 

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TARA VINE, Trochostigma arguta

분포지
California Inyo
Missouri Saint Louis City
OH
ME
Massachusetts Berkshire
Missouri Saint Louis City

 

(1)Actinidia deliciosa
(2)Actinidia chinensis Planch. KIWI

(3)Actinidia arguta(Sieb. et Zucc.) Planch. ex Miq.

 

어떻게 된 것일까?

위 미국자료 Discover Life 를 통해 세 개의 학명 분포지도를 보면 동아시아대륙은 특별할 것이 없는데 반해 북아메리카대륙은 원산지 근거가 분명하다.

그렇다면 이 키위를 왜 ‘차이니즈 구즈베리(Chinese gooseberry)’라고 했을까 하는 궁금증이 인다.

그리고 왜 차이니즈 구즈베리가 뉴질랜드의 특산품이 되어야 했을까? 하는 점도 그렇다.
원래 구즈베리(gooseberry)라고 하는 과일은 북아메리카동부지역에 기원하는 거위딸기, 아매(鵝莓:Ribes uva-crispa) 또는 초률(醋栗)이라 하는데 키위와는 완전히 다른 식물이다.

그럼에도 키위를 차이나 구즈베리, 중국아매 또는 중국초률(Chinese gooseberry)이라고 하였다니 이 식물과 연관성이 전혀 없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

 

문제는 이 차이니즈 구즈베리 역시 북아메리카대륙 동부에 집중되어 산출되었을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키위와 구즈베리가 마구 섞여 혼돈을 일으킨 것인가?

신중국이라고 하는 동아시아대륙과도 거리상 멀고 또한 북아메리카대륙과도 뉴질랜드가 거리상 엄청 떨어진 곳에서 자리잡고 있음에도 키위라고 하면서 기어코 차이니즈 구즈베리를 특산물로 재배하게 되었다는 것은 어딘가 순리적으로 풀 수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국다래, 미후도 등이 뉴질랜드 상징성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이름이란 점도 있다.

그렇다고 하여 뉴질랜드에서만 서식하고 날지 못하는 닭만한 크기의 새, 뉴질랜드만을 상징할 수 있다는 키위(kiwi)란 이름을 억지로 붙였다는 것은 참다래, 또는 미후도(獼猴桃)라는 이미지 정리가 잘 되지 않는다.

 

특히 이해 할 수 없는 것은 이 키위가 원래 중국 남부와 중국 북방, 양자강 골짜기 계곡에 자란다고 하였는데 갑자기 20세기 초에 뉴질랜드에 재배하기 시작하였다는 이야기는 어떤 이유인지 알 수없지만 꿰 맞추었다는 느낌이 많다.

마치 뉴질랜드에 20세기 초 어떤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재배하게 하였다는 느낌이 적지 않은 것이다.

중국다래라는 호칭의 혼란 때문인지 아니면 구즈베리와 키위의 사실적인 구분에서 오는 혼란 때문인지 알 수가 없으나 여하튼 뉴질랜드와 아무런 연관성이 없어 보이고 식물 자체 성질이 다른 ‘차이니즈 구즈베리(Chinese gooseberry)’란 이름으로 키위 상품화하였다는 자체가 믿기 힘들며 또한 공식 명칭은 중국다래라고 하였다는 사실에서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결국 이 키위라고 하는 중국다래가 우리가 알고 있는 참다래(Actinidia deliciosa)인지 아니면  중국다래(Actinidia chinensis Planch. KIWI)인지도 명확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다만 사실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키위라고 생각 될 뿐이지 구즈베리는 아니라는 사실만 확인된다.

 

미국 Discover Life의 식물 DNA 분석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든 분포지도를 다시 자세히 살펴보면 참다래라고 하는 학명 (1)Actinidia deliciosa 의 분포지는 워싱턴주 킹(Washington King)과 신중국 감숙성 통위(通渭)에 노란점이 희귀하게 한 점씩 달랑 있으며 중국다래라고 하는 학명 (2)Actinidia chinensis 는 캘리포니아 뷰트(California Butte),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California Los Angeles),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시티(Missouri Saint Louis City), 그리고 키위 새의 본 고장인 뉴질랜드 테푸케(New Zealand Te Puke) 그리고 신중국 감숙성 통위(通渭)부근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3)Actinidia arguta(Sieb. et Zucc.1867) 학명은 조선을 해체하는데 막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보는 독일 식물학자 지볼트와 주카리니가 명명한 것으로서 주요분포지가 캘리포니아 인요(California Inyo),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시티(Missouri Saint Louis City), 오하이오(OH ), 메인주(ME), 메사츄세츠 버크셔(Massachusetts Berkshire)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신 한반도는 아무런 표시가 없다.

 

 

 

 

이렇게 볼 때 미주리강(Missouri river)은 참다래의 원산 지역이라고 하는 양자강으로 보인다.

왜 이렇게 생각하는가 하면 위 학명 모두에서 동아시아대륙보단 북아메리카대륙이 더 신빙성이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양자강 북방 골짜기 계곡이 어디겠는가?

바로 록키산맥을 지정할 수 있다.

양자강이 서(西)에서 동(東)으로 흐르는 것처럼 미주리강(Missouri River) 역시 그렇게 흐른다.

신중국 북방 골짜기 계곡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양자강처럼 이 미주리강(Missouri river)도 록키산맥에서 발원하여 서(西)에서 동(東)으로 흘러 다시 남(南)쪽으로 흐르다가 북프래티강(North platte river)과 합류하여 미시시피강으로 본류에 흘러 든다.

이 본류가 바로 황해가 될 수 있는 문제이다.

여기서 나는 세종지리지에서 기록한 황해도(黃海道)를 매우 의미심장하게 바라보게 된다.

이 미시시피강(Mississippi river)은 대강(great river)이라고 하여 바다와 같은 의미가 있어 양자강이 흐르는 하류 황해와 같다고 보며 지류 미주리 강 역시 황해 또는 황강(黃海, yellow river)이라고 불릴 정도로 황토색 물흐름이 강했다는 사실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미주리주 강이 흐르는 상류에 위치한 캘리포니아 뷰트(California Butte),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California Los Angeles),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시티(Missouri Saint Louis City)는 참다래 즉 중국다래가 자라는 곳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리고 그곳을 황해도라고도 볼 수 있고 강원도(江原道)라고도 볼 수 있는것이다.[세계삼한역사연구:한부울]

***************************

세종지리지 토공(土貢) 다래 자생 분포지
황해도(黃海道)  
황해도 / 해주목(海州牧)
황해도 / 풍천군 / 문화현 
강원도(江原道)

***************************

연산 46권, 8년(1502 임술 / 명 홍치(弘治) 15년) 9월 8일(정축)

경기 감사에게 산포도 등을 봉진하도록 하다

○令京畿監司, 山萄葡、獼猴桃, 經霜後, 連枝蔓封進。

경기 감사에게, 산포도와 다래[獼猴桃]를 서리가 내린 뒤에 가지와 덩굴이 달린 채로 봉진(封進)하라고 명하였다.

**************************

성호사설 제8권  

인사문(人事門)

조선 후기 실학자 이익(李瀷)이 쓴 책. 1915년과 1929년에 조선고서간행회와 문광서림(文光書林)에 의해 《성호사설유선》이 각각 간행되었다.

조선방음(朝鮮方音)


 《고려사(高麗史)》를 상고하니 “미후도(獼猴桃)를 달애(怛艾)라 하고, 고양이[猫]를 고이(高伊)라 하며, 잠수장(梣樹杖)을 수청목(水靑木)이라 한다.” 하였으며, 동월(董越)의 《조선부(朝鮮賦)》에는 “아버지[父]를 아필(阿必)이라 하고, 어머니[母]를 액미(額嬭)라 한다.” 하였고, 송(宋) 나라 손목(孫穆)의 《계림유사(鷄林類事)》에는 “구름[雲]을 굴림(屈林)이라 하고, 바람[風]을 발람(孛纜)이라 하며, 눈[雪]을 눈이(嫩耳)라 하고, 비[雨]를 비미(霏微)라 하며, 우레[雷]를 천동(天動)이라 하고, 무지개[虹]를 육교(陸橋)라 하며, 까마귀[雅]를 타마귀(打馬鬼)라 하고, 개[犬]를 가희(家稀)라 하며, 놀고 먹는 사람[遊子]을 부랑인(浮浪人)이라고 한다.” 하였다. 나머지는 다 기록하지 않는다.

********************

청장관전서 제55권  

앙엽기 2(盎葉記二)

조선 후기 학자 이덕무(李德懋)의 저술총서. <청장관>은 저자의 호이다. 1795년(정조 19) 내탕금(內帑金)을 받아 아들 광규가 편집, 간행하였는데 앙엽기는 일종의 소논문집·소백과사전이라 할 수 있다.

다래[炟艾]

獼猴桃。一名輭桃。俗名達愛。輿地勝覽。高麗神宗初。崔忠獻奏黜內侍閔湜等。以俗傳王飮炟艾 案炟艾。卽達愛之同音。井。則䆠者用事。乃毁之。俚語藤梨謂之炟艾。藤梨二字。甚新。

미후도(獼猴桃)는 일명 연도(輭桃)이고 속명은 다래[達愛]이다.《여지승람(輿地勝覽)》에,

“고려 신종 초년에 최충헌(崔忠獻)이 내시 민식(閔湜) 등을 축출하자고 주청할 때, 세속에서 왕이 다래정[炟艾井] 상고하건대, 다래[炟艾]는 곧 다래[達愛]와 동음(同音)이다. 의 물을 마시면 내시들이 용사(用事)한다 하여 다래정을 허물어 버렸다.”

하였고, 속어로 등리(籐梨)를 다래[炟艾]라 하는데, 등리 두 글자는 아주 새롭다.

********************

참다래 (키위, 奇異果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Planch.

Jules Émile Planchon (March 21, 1823 – April 1, 1888) was a French botanist born in Ganges, Hérault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奇異果,又稱獼猴桃、中國醋粟,是獼猴桃屬中多個栽培種水果的通稱(主要種源包括美味獼猴桃),其他中文名稱還有猕猴梨、藤梨、羊桃、陽桃、几维果、木子與毛木果等。

맛좋은 키위 참다래(美味獼猴桃:Actinidia deliciosa;異名:Actinidia chinensis deliciosa)是源產於中國南方的一種植物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門: 被子植物門 Magnoliophyta

綱: 雙子葉植物綱 Magnoliopsida

目: 杜鵑花目 Ericales

科: 獼猴桃科 Actinidiaceae

屬: 獼猴桃屬 Actinidia

種: 美味獼猴桃 A. deliciosa

二名法

Actinidia deliciosa C.F.Liang.& A.R.Ferguson.

 

奇異果,又稱獼猴桃、中國醋粟,是產於新西蘭的獼猴桃屬中多個栽培種水果的通稱,其他中文名稱還有猕猴梨、藤梨、羊桃、陽桃、几维果、木子與毛木果等。

中國長江流域以. 南及西南部 雲南

1904年,新西兰一位名叫伊莎贝尔的女校长到中国湖北宜昌看望她的姐姐,并把中国的猕猴桃种子带回了新西兰。回新西兰后,伊莎贝尔将种子转送给当地的果树专家,之后辗转送到当地知名的园艺专家亚历山大手中,培植出新西兰第一株奇异果树。迄今为止,新西兰出产的绿色奇异果已经风行全世界,而新西兰在奇异果营销、研发和价格方面的影响力,也是世界第一。


native to Southern China. Originally known as Yang Tao, it is declared as the "National Frui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門: 被子植物门 Magnoliophyta
綱: 双子叶植物纲 Magnoliopsida
目: 杜鹃花目 Ericales
科: 猕猴桃科 Actinidiaceae
屬: 猕猴桃属 Actinidia
種: 软枣猕猴桃 A. arguta
二名法
Actinidia arguta(Sieb. et Zucc.) Planch. ex Miq.

变种
软枣猕猴桃 A. a. var. arguta
凸脉猕猴桃 A. a. var. nervosa
紫果猕猴桃 A. a. var. purpurea
陕西猕猴桃 A. a. var. giraldii
心叶猕猴桃 A. a. var. cordifolia

참다래는 Actinidia decliciosa, 다른 다래나무속 식물을 교배하여 만든 과일 품종이다. 참다래란 이름은 1990년대 대한민국 농가에서 생산된 제품에 붙은 뒤 일반화되었으며, 지금도 다른 나라에서 생산된 제품은 양다래나 키위란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키위란 이름은 뉴질랜드의 나라새인 키위와 닮았다 해서 붙여졌다.


달걀모양으로 생겼으며 털이 달린 갈색의 껍질을 갖고 있다. 과육은 연두색 혹은 금색이며 작고 검은 씨들이 박혀 있다. 맛은 딸기, 바나나, 파인애플을 혼합한 듯하나, 수확 후 충분한 숙성기간을 거치지 않으면 신맛이 강하다. 때문에 참다래는 후숙 과일로 분류된다.


참다래는 원래 중국 남부에서 자라는 식물이었으나, 20세기 초에 뉴질랜드에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때문에 초기에는 ‘차이니즈 구즈베리’란 이름으로 상품화되었다. ‘헤이워드’ 품종이나 그와 유사한 품종이 일반적으로 경작되지만, 과육이 노란색인 금다래(골든 키위라고 불리운다.)도 재배된다.

 

                                    Kiwifruit orchard in Himachal Pradesh, India

 

                                                              Female flower

 

                                                              Male flowers


중국이 원산지이며 중국에서는 귀도(鬼桃)·승리(繩梨)·등리(藤梨)·양도(羊桃) 등으로 부른다. 어린 가지에 털이 빽빽이 있지만 늙은 가지에는 없다. 잎은 어긋나고 둥근 모양이거나 둥근 달걀 모양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끝이 팼고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성모(星毛:여러 갈래로 갈라져 별 모양으로 된 털)가 빽빽이 있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핀다. 열매는 8∼10월에 익고 둥근 달걀 모양 또는 원기둥 모양이며 표면에 갈색 털이 빽빽이 있다. 수확한 후 3∼4개월간 저장하였다가 먹는다. 열매가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키위 새처럼 생겼다고 하여 영어 이름이 키위(kiwi)이다.

 

과육의 가운데 부분은 크림색이고, 그 둘레는 연한 녹색이며 깨알 같은 종자가 있다. 꽃이 암수딴그루이므로, 나무를 심을 때는 암나무 몇 그루에 수나무 1그루씩 섞어 심어야 한다. 비타민 C가 풍부하여 성인 1명이 하루에 필요한 양이 열매 1개에 충분히 들어 있다.


향기가 있으므로 날것으로 먹고, 잼과 아이스크림 등에 사용한다. 뉴질랜드에서 많은 양을 생산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1977년에 뉴질랜드에서 묘목이 도입해 제주도·전라남도·경상남도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다.[두산백과사전]

 

There are about 40–60 species of Actinidia:

Actinidia arguta (Kokuwa, Tara Vine, or Hardy Kiwi) native to Korea, Northern China, and Russian Siberia.

Actinidia arisanensis

Actinidia callosa

Actinidia carnosifolia

Actinidia chengkouensis

Actinidia chinensis Its origin is supposed to be the northern Yangtse river valley. In China,

Actinidia chrysantha

Actinidia cinerascens

Actinidia cordifolia

Actinidia coriacea

Actinidia cylindrica

Actinidia deliciosa (Kiwifruit, Mi Hou Tao(彌猴桃) or Chinese gooseberry) native to southern China, where it is declared as the National fruit of China.

Actinidia eriantha

Actinidia farinosa

Actinidia fasciculoides

Actinidia fortunatii

Actinidia fulvicoma

Actinidia glauco-callosa

Actinidia glaucophylla

Actinidia globosa

Actinidia gracilis

Actinidia grandiflora

Actinidia hemsleyana

Actinidia henryi

Actinidia holotricha

Actinidia indochinensis

Actinidia kolomikta native to temperate mixed forests of the Russian Far East, Korea, Japan and China (Eastern Asiatic Region).

Actinidia laevissima

It is endemic to China.

Actinidia lanceolata

Actinidia latifolia

Actinidia leptophylla

Actinidia liangguangensis

Actinidia macrosperma

Actinidia maloides

Actinidia melanandra

Actinidia melliana

Actinidia obovata

Actinidia pilosula  It is endemic to China.

Actinidia polygama (Silver Vine) It ranges from East Asia to China and Japan

Actinidia purpurea

Actinidia rubricaulis

Actinidia rubus

Actinidia rudis It is endemic to China.

Actinidia rufa

Actinidia rufotricha

Actinidia sabiaefolia

Actinidia sorbifolia

Actinidia stellato-pilosa

Actinidia styracifolia

Actinidia suberifolia It is endemic to China.

Actinidia tetramera

Actinidia trichogyna

Actinidia ulmifolia It is endemic to China.

Actinidia umbelloides

Actinidia valvata

Actinidia vitifolia It is endemic to China.

Actinidia venos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