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ISIS 위성사진] 북한 핵시설 재가동 사실 확인 못해..
[뉴시스] 2009년 05월 28일(목) 오전 10:32
미국 싱크탱크 과학국제안전보장연구소(ISIS)는 북한이 핵시설을 다시 가동한 것을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고 지지(時事) 통신이 28일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ISIS는 전날(현지시간) 미국 민간위성이 촬영한 북한 영변의 폐연료봉 재처리 관련 시설을 찍은 사진을 공개했다.
ISIS는 사진을 분석한 결과 영변 핵시설의 재가동을 나타내는 수증기 등이 보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일부 언론은 북한이 4월 중순 이래 핵무기 원료인 플루토늄 생산을 위해 재처리 시설의 가동에 착수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미국 정찰위성을 통해 영변의 핵 재처리시설에서 수증기가 나오는 것을 포착했다는 사실 등을 전했다.
이재준기자 뉴시스통신사.
*******************************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세계 과학과 정세에 관련한 세계 안보 문제를 연구하고 대중에게 알리는 미국 워싱톤에 있는 비영리 기관이다. 미국의 전 핵 조사관 데이브 올브라이트(David Albright)가 이끌고 있다.
May 27, 2009
Commercial Satellite Imagery of 2009 Nuclear Test Site in North Korea
미국 워싱턴의 핵 감시기구인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는 북한이 핵실험장을 실시한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의 위성사진을 공개했다. ISIS는 미국의 위성사진업체인 디지털 글로브가 북한의 핵실험 실시 1주일 전(5월18일)에 촬영한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부근 사진을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렸다.< ISIS 인터넷판 >2009-05-29 23:36:56
Figure 1. Wide view of approximate event site in North Korea. The USGS coordinates have a margin of error of approximately 3.8 kilometers.
북한 핵실험 근처 광경 범위 3.8 킬로미터
Figure 2. Buildings within compound surrounded by a fence or wall. This compound is approximately 1.9 kilometers from the center-point of the event coordinates from the USGS 울타리 즉 벽으로 둘러싸인 혼합형태의 건물 그 건물 좌표 대략 범위 1.9 킬로미터
Figure 3. May 14, 2009 image of the suspected tunnel entrance for the 2006 nuclear test in North Korea. This site is approximately 5.5 kilometers from the center point coordinates of the 2009 event from the USGS. 2009년5월14일 이미지로서 북한이 2006년 핵실험 의심 받았던 터널입구 내의 형태 이 좌표로 부터 약 5.5 킬로미터 범위이다.
May 27, 2009
Commercial Satellite Imagery of Yongbyon Nuclear Site from May 26, 2009
Figure 1. May 26, 2009 DigitalGlobe image of the coal-fired plant at the Yongbyon nuclear site in North Korea. The coal-fired plant is used to generate steam for several processes at the adjacent reprocessing plant, including plutonium separation. There does not appear to be any smoke coming out of the chimney in the May 26 image. There also does not appear to be any steam emitted from the piping leading to the reprocessing plant.
북한 핵처리시설 COAL-FIRED 형태
플루토늄 분리를 포함하는 재처리공정 과정에 나올 수 있는 증기생성을 표착 할 수 있는데 2009.5.26 이미지에서 굴뚝으로부터 조금의 증기(연기)도 보이지 않는다.
Figure 2. May 26, 2009 DigitalGlobe image of the reprocessing buildings at Yongbyon. There does not appear to be any plume coming from the stacks at this facility. There also does not appear to be any steam emitting from the pipes leading from the coal-fired steam generation plant to the reprocessing buildings.
Figure 3. May 26, 2009 wide area view showing location of the reprocessing buildings, the coal-fired steam generation plant, and the pipes connecting the two compounds.
Figure 4. May 26, 2009 DigitalGlobe image showing the site of the destroyed cooling tower. There does not appear to be any construction activity near where the cooling tower had previously stood. North Korea imploded the cooling tower in June 2008 as a disablement measure. [ISIS]
'북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北 동창리와 50㎞..우려 크다 (0) | 2009.06.06 |
---|---|
핵무기 어떻게 만드나 (0) | 2009.06.01 |
北, 동해서 신형 단거리미사일 발사 [SA-5] (0) | 2009.05.30 |
일본 '핵무장론' '북한 선제공격론' 난무 (0) | 2009.05.26 |
풍계리 핵실험장서 수상한 연기…北 4곳 ‘이상동향’ (0) | 2009.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