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쇠비름(馬齒莧-Portulaca oleracea)

한부울 2010. 10. 19. 21:17

경기, 경상, 황해도는 열대이거나 아열대 지방인가?

원산지에서 옮겨 심는 귀화식물의 하나로 중국, 인도, 유럽 등에서 채소로 이용하였다.

유럽에서는 줄기 잎을 샐러드로 먹거나 삶아 먹는다.

한방에는 독을 풀며 어혈을 없애고 기생충을 죽이며 오줌이 잘 나오게 하며 음식으로는 부드러운 잎과 줄기를 소금물로 살짝 데쳐 햇볕에 바싹 말려 묵나물로 저장해 두었다가 물에 불려 된장이나 양념에 무치든지 기름에 볶아 먹는다.

이 쇠비름은 온. 열대식물로 영어자료에는 원산지를 인도와 말레이시아, 호주라 하였고

한어자료에는 인도와 歐洲, 南美洲, 중동지역에서 재배된다고 하였으며 중국대륙에 재배지로 아열대지역으로서 대만남부(台湾省南部)、광동(广东)、해남(海南)지역을 열거하고 있다.

세종지리지에서는 경기도, 경상도, 황해도를 분포지라 하였다.

*******************************

세종지리지 쇠비름 자생 분포지

경기(京畿) 

경상도(慶尙道) 

황해도(黃海道) 

***********************

사계전서 제19권  

근사록석의(近思錄釋疑)

역행(力行)을 논함

현륙쾌쾌(莧陸夬夬)

○ 정전(程傳)에 오(五)는 음(陰)을 결단하는 주효(主爻)임에도 도리어 음과 가까이하니, 그 허물이 크다. 그러므로 반드시 그 결단해야 할 것을 결단하되 자리공[莧陸]처럼 한다면 중행(中行)의 덕에 있어 허물이 없게 될 것이다. 중행(中行)이란 중도(中道)이다. 자리공[莧陸]이란 오늘날 마치현(馬齒莧)이니, 햇볕에 말리기 어려운 것은 음기(陰氣)에 감응한 바가 많기 때문인데, 부드러워서 쉽게 꺾인다. 오(五)가 만일 자리공처럼 음에 감촉되었을지라도 결단을 쉽게 한다면 중행에 있어서 잘못이 없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 중정(中正)을 잃게 된다. 음에 감응됨이 많은 물건으로는 자리공이 쉽게 끊어지는 까닭에 이를 취하여 상(象)을 삼은 것이다.

*****************

산림경제 제3권  

구급(救急)

단독(丹毒)

走馬火丹。用景天。 집우디기一名愼火草。苗葉似馬齒莧。四月四日七月七日采 擣爛取汁塗。卽效 神隱。

주마화단(走馬火丹)에는 경천(景天) 지부지기. 또는 신화초(愼花草)라고도 하는데 싹과 잎이 마치현(馬齒莧)과 비슷하다. 4월 4일과 7월 7일에 채취한다. 을 문드러지게 짓찧어 즙을 내서 바르면 즉시 효력이 있다. 《신은지》

************

산림경제 제3권  

구급(救急)

마독(馬毒)

마독창(馬毒瘡)에는 부인(婦人)의 월경(月經) 피를 창(瘡)에 바르고 이어 먹인다. 또 생률(生栗) 및 마치현(馬齒莧)을 짓찧어 붙이거나, 마치현 즙을 먹인다. 또 말똥즙을 먹이고 말오줌으로 씻어준다. 또 찹쌀밥을 식혀 창 위에 붙여 주어도 즉시 낫는다. 《동의보감》

*****************

두엄더미 따위에서 잘 자라는 흔한 풀인 쇠비름

portulaca -[식물]쇠비름속(屬) 식물의 통칭;《특히》 채송화

**********************************

쇠비름(馬齒莧-Portulaca oleracea)

 

 


马齿苋(学名:Portulaca oleracea),又名马齿菜、五行草、酸苋、猪母菜、地马菜、马蛇子菜、长寿菜、老鼠耳、寶釧菜、蚂蚱菜,是马齿苋科马齿苋属的一年生小型草本植物,经常用作绿叶菜。叶子肉质,口感脆粘,味道微酸微咸。分布于全世界温热带地区


资源分布:产于印度,几个世纪以来传播到世界各地,在欧洲、南美洲、中东地带都有其野生型。在英国、法国、荷兰、美国早已有了栽培种,在我国以野生为主

栽培季节,亚热带地区的台湾省南部、广东、海南等地区


It has an extensive old-world distribution extending from North Africa through the Middle East and the Indian Subcontinent to Malesia and Australasia.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門: 被子植物门 Magnoliophyta

綱: 双子叶植物纲 Magnoliopsida

目: 石竹目 Caryophyllales

科: 马齿苋科 Portulacaceae

屬: 马齿苋属 Portulaca

種: 马齿苋 P. oleracea

二名法

Portulaca oleraceaL. (1753)

 

 

쇠비름은 쇠비름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밭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란다. 생명력이 강해서 뿌리째 뽑혀도 오랫동안 살 수 있다. 그만큼 번식이 왕성해서 농사에 큰 피해를 주어 해로운 잡초로 간주되기도 한다.


생태 : 줄기의 높이는 15-30㎝ 가량이다. 줄기는 가지로 나누어져 있는데, 아랫부분은 땅을 기고 윗부분은 비스듬히 선다. 잎은 긴 타원형으로 마주나며 잎자루가 없으며 다육질이다. 5-8월경이 되면 5개의 꽃덮이를 가진 꽃이 가지 끝에 2-5개씩 피는데, 꽃자루가 없으며, 아침에 피었다가 한낮이 되면 오므라든다. 7-12개의 수술이 있으며 열매는 개과로, 익으면 위의 반쪽이 모자처럼 떨어진다.


잎을 나물이나 샐러드로 만들어 먹는다. 생약으로는 전초를 쓰며 마치현(馬齒莧)이라 한다. 옥살산 칼슘과 같은 다량의 무기염과 도파민 등을 함유하여 한국과 중국에서는 해독, 이뇨약으로 쓰며, 서양에서는 건위, 천식, 방광염에 쓴다[위키]


오행초(五行草)·마치채(馬齒菜)·산산채(酸酸菜)·장명채(長命菜)·돼지풀·도둑풀·말비름이라고도 한다. 밭 근처에서 자라는 잡초이다. 높이가 30cm에 달한다. 전체에 털은 없으나 육질이고 뿌리는 흰색이며 줄기는 붉은빛이 도는 갈색으로서 많은 가지가 비스듬히 옆으로 퍼진다.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나는데 가지 끝에서는 돌려난 것같이 보인다. 모양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양성화이고 6월부터 가을까지 계속 피며 노란색이다. 꽃받침조각은 2개, 꽃잎은 5개, 수술은 7∼12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8월에 익으며 가운데가 옆으로 갈라져서 종자가 나오는데, 서양에서는 그 연한 부분을 샐러드로 이용한다. 한국에서는 나물로 이용하며, 풀 전체를 민간약으로 사용한다. 전세계의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분포한다. [두산백과사전]


쇠비름 조청 : 쇠비름 반쯤 말린 것 12근 정도에 땅두릅나무 5근, 유근피 3근을 큰 가마솥에 함께 넣고 생수를 부어 달인다. 약한 불에 몇일동안 달여야 하며 물이 부족할 때는 반드시 끓인 물을 부어야 한다. 건더기는 버리고 달인 물을 다시 졸이는데 이때 처음 달일 때 부은 물의 2/3정도 되게 달인다. 이 물에 엿기름을 넣고 졸여 조청을 만들어 조금씩 수시로 먹는다. 더운물에 타서 마셔도 좋다. - 잘 낫지 않는 난치병을 다스리는데 두루 쓰임. 위장병, 위궤양, 위암, 신우염, 고환염, 방광염, 결핵, 각종 암 등


쇠비름 고약 : 위의 쇠비름 달인 물을 완전히 식힌 다음 소쓸개를 구하여 쓸개즙을 반 정도 따라 낸 뒤 여기에 쇠비름 달인 물을 보충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매달아 둔다. 오래되면 찐득찐득해지는데 이것을 각종 통증이 있는 환부나 종양 타박, 고름이 나오는데, 진무른 데에 바르면 아주 신효하다


약성 및 활용법 :"리그닌", "모리브덴" 등 치암의 성분이 풍부하고 발암물질을 분리하는 특수효과가 들어 있으며 그밖에 각종 난치병을 고쳐주는 신비의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너무나 흔하지만 뛰어난 효험을 내는 좋은 치암제이다.


1.맛은 시고 성질은 차다. 심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어혈을 없애고 벌레를 죽이며 오줌을 잘 누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강심작용, 혈압을 높이는 작용, 억균작용, 자궁을 수축시키는 작용, 피를 멎게 하는 작용 등이 밝혀졌다. 대장염의 예방 치료에 주로 쓴다.<동의학 사전>

2.주로 모든 종루유목을 낫게 하며 현벽을 파하고 소갈을 멈추며 장을 튼튼히 하며 적백대하를 낫게 하고 혈벽과 징가를 파하며 면포, 백독두창, 금창류혈, 옹창을 고쳐준다 <본초강목>

3.갖가지 악창과 종기를 치료하는 데 놀랄 만큼 효험이 있음

4.솥에 넣고 오래 달여 고약처럼 만들어 옴, 습진, 종기 등에 바르면 신기하리 만큼 잘 낫는다. 오래된 흉터에 바르면 흉터가 차츰 없어진다.

5.피부를 깨끗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6.몸 속의 독소를 제거하고 대 소변을 원활하게 한다.

7.이외에도 결창, 기부족, 근골 동통, 부종, 산후허한, 산후혈리, 치질초기, 적백대하, 음부종통, 여드름, 임파선결핵, 종기 등에 좋은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위키]

 

 

 


Portulaca amilis – Paraguayan Purslane

Portulaca andicola

Portulaca bicolor – Pigweed

Flowering all year the plant is common to coastal regions of Australia.

Portulaca biloba – Cuban Purslane

Portulaca boliviensis

Portulaca caulerpoides – Puerto Rican Purslane

Portulaca cryptopetala

Portulaca elatior

Portulaca elongata

Portulaca eruca

Portulaca fluvialis

Portulaca fragilis

Portulaca gilliesii

Portulaca gracilis

Portulaca grandiflora Hook. – Moss-rose Purslane

大花马齿苋(学名:Portulaca grandiflora),半支莲(植物学大辞典)、松叶牡丹、龙须牡丹、金丝杜鹃、洋马齿苋、太阳花、午时花,是马齿苋科马齿苋属的植物。分布于阿根廷、巴西南部、乌拉圭以及中国大陆的公园等地,常生于逸生,原产於南美洲,可播种或扦插繁殖。

native to Argentina, southern Brazil, and Uruguay

 

 


科學分類

界: 植物界 Plantae

門: 被子植物门 Magnoliophyta

綱: 双子叶植物纲 Magnoliopsida

目: 石竹目 Caryophyllales

科: 马齿苋科 Portulacaceae

屬: 马齿苋属 Portulaca

種: 大花马齿苋 P. grandiflora

二名法

Portulaca grandiflora Hook(1829)

異名

Portulaca insularis Hosok.

Portulaca pilosa L. ssp. grandiflora (Hook.) Gees. 

채송화(菜松花, 문화어: 따꽃)는 쇠비름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남부, 우루과이 원산이다.


줄기는 육질이 많고 원주형으로 홍색을 띠고 옆으로 누우며 가지를 쳐서 뻗는데 큰 것은 30cm 가량 자란다. 햇빛이 잘 들며, 토양이 기름지지 않고 푸석푸석한 곳에서 잘 자란다. 잎은 살이 많고 선상이며 털이 없고 잎겨드랑이에는 흰털이 무더기로 나와 있다. 꽃은 줄기의 끝에서 한 송이 또는 두 송이 이상 달리기도 한다. 여름에 홍색 또는 백색으로 피는데 꽃받침은 2편이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화판은 5개이고 넓은 도란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대개 낮에는 꽃이 피고 오후에는 시드는데 맑은 날에 햇볕을 받을 때만 핀다. 꽃한송이의 수명은 짧으나 다른 꽃이 계속 피므로 오랫동안 꽃을 보고 즐길 수가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5~9개의 암술머리로 되어 있다. 18세기를 전후하여 한국에 들여온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채송화의 전초를 반지련(半支蓮)이라고 하여 약으로 사용한다. 성분은 폴투랄 등이 알려져 있다. 효능은 인후염이나 편도선염에 그 즙을 내어 입안에 물고 있다가 버리면 염증이 소실되고 발열감이 적어진다. 또 어린아이의 피부습진이나 화상·타박상 등에 짓찧어서 붙이고 외상으로 인한 출혈에도 환부에 붙인다. 주로 외용약이므로 상처에 따라서 용량을 조절한다.[위키, 두산백과]


Portulaca halimoides L. – Silkcotton Purslane

It is native to the deserts of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and northern Mexico, as well as parts of Central and South America.

Portulaca insularis

Portulaca intraterranea

native to deserts of central Australia.

Portulaca kuriensis A.G.Mill. (Yemen)

Portulaca lanuginosa

Portulaca longiusculotuberculata

Portulaca lutea – Yellow Purslane

Portulaca molokiniensis – ʻIhi

Portulaca mucronata

Portulaca oleracea L. – Common Purslane, Pigweed 쇠비름

Portulaca papulosa

Portulaca pedicellata

Portulaca perennis

Portulaca pilosa L. – Shaggy Purslane

native to the Americas.

Portulaca psammotropha

Portulaca quadrifida L. – Chickenweed Purslane

Portulaca rotundifolia

Portulaca rubricaulis – Redstem Purslane

Portulaca samhaensis A.G.Mill. (Yemen)

Portulaca sclerocarpa A.Gray – ʻIhi Makole

Portulaca sedifolia A.G.Mill. (Yemen)

Portulaca smallii P.Wilson – Small's Purslane

Portulaca suffrutescens – Shrubby Purslane

Portulaca teretifolia – Roundleaf Purslane

Portulaca umbraticola – Wingpod Purslane

Portulaca villosa Cham. – Hairy Purslane, ʻI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