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조선독립-한국독립당과 한국국민당, 조선혁명당 그리고 삼균주의
민족주의계열
한국독립당 (韓國獨立黨)
1930년 1월 25일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조직된 민족주의 계열의 대표적인 독립운동 정당.
결성 이후 한국독립당은 재건(1935. 9)·통합(1940. 5)의 변천과정을 거치면서 그 조직이 변화했다. 1920년 후반 민족유일당운동이 실패로 돌아가자, 임시정부계열의 민족주의자들이 사회주의 세력에 대항하여 임시정부에 대한 지지와 민족진영의 단합과 쇄신을 도모하고 종래의 파벌적 감정을 청산하여 해외독립운동전선을 통일하기 위해 1930년 1월 25일 상하이에서 한국독립당을 조직했다.
초대 이사장에는 이동녕, 이사에는 김구(金九)·조완구(趙琬九)·김철(金澈)·안창호(安昌浩)·이시영(李始榮)·조소앙(趙素昻)이 선임되었다. 이동녕·안창호·이유필·조완구·김두봉·안공근(安恭根) 등이 삼균주의(三均主義)에 입각하여
① 국내민족에 대하여 혁명의식을 환기하고 혁명역량을 집중한다,
② 엄밀한 조직하에서 민족적 반항과 무력적 파괴를 적극 진행한다,
③ 세계 피압박민족의 혁명운동단체와 함께 협력을 도모한다는 당책과 당강을 작성했으며, 강력한 항일투쟁을 표방했다.
또한 기관지<상해신문上海新聞>을 발간하여, 중국에 거주하는 한인교포들에게 임시정부의 활동상황등 독립운동에 관한 것을 선전했다. 그리고 의열투쟁으로 1932년 3월 이덕주(李德注)·유진만(兪鎭萬)의 한국 잠입 및 조선총독 처단계획과 같은해 4월 유상근(柳相根)·최흥식(崔興植)의 일본관동군사령관 폭살계획에도 간접적으로 관여했다. 한편 만주사변으로 일본의 중국본토 침입이 본격화되자, 1932년11월10일 조선혁명당·조선의열단·한국혁명당·광복동지회 등과 연합하여 조직한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에 참가했다.
한편 1932년 6월 중국 측으로부터 기증된 독립운동자금의 처리문제를 둘러싸고 발생한 항저우사건[杭州事件]으로 인해 한국독립당은 김구계열, 김철 조소앙계열, 이유필계열 등으로 대립했다.
이에 1933년 1월 상하이에서 유호한국독립당대회를 개최하여 상하이 의거 이후의 한국독립당의 활동과 조직을 점검하고 향후 활동방향을 논의했으며 간부를 재 선출했다. 당시 선임된 간부는 엄항섭·안공근 등 김구계열의 인물이 이사직에서 배제되고, 박창세 등 이유필계열의 인물이 대거 등장했다.
그리고 외곽단체로서 상해한인청년당·상해한인연해국부인회·상해한인여자청년동맹·상해한인소년동맹등을 조직하여, 청년운동·부인운동·소년운동 등 독립운동 각 부문에서 대표적인 통합단체로 육성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게 했다.
그러나 1933년 3월 이유필이, 같은해 10월12일 이사겸 총무부원인 이수봉(李秀峰)이 일본경찰에 체포되고, 송병조·박창세 등이 1933년 8월 발생한 옥관빈(玉觀彬)등 친일 주구배 처단사건에 연루되어 상하이에서 피신했다. 그리고 김구 또한 상하이 의거 이후 난징 군관학교 내 한인특별반 창설에 주력하고, 김두봉은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의 상무위원으로 난징에 거주하는 등 한국독립당 주요간부들이 중국각지에 흩어져 한국독립당은 1933년 말 경부터 별다른 활동이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독립당은 1934년1월말까지 상하이에 있던 본부를 항저우로 옮기고, 새로운 진로를 모색했다. 이후기관지<진광震光>을 발행하여 반일혁명세력과의 통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주의·이론을 주장하는 한편, 1934년3월3일에는 강병학(康秉學)의사의 제2차 홍커우[洪口]공원의거라 할 수 있는 '상하이신사투탄의거'(上海神社投彈義擧)를 계획·주도했다.
이 의거는 윤봉길의 상하이의거 당시 죽은 일본 군인들에 대한 초혼제에 참석하는 일본군 고관암살을 목적으로 특무대장 박창세가 송병조·조소앙 등과 협의하여 결행한 한국독립당의 무력적 파괴행동이었으나 폭탄불발로 실패하고 말았다.
또한 항저우본부 이외에 항저우특구회(特區會), 광둥[廣東]·난징·베이징[北京] 등지에 지부를 설치하고 간부진을 개편했는데, 이는 독립운동계의 전반적인 부진으로부터의 탈피와 세력기반을 만회하기 위한 것이었다. 같은 해 9월에는 다시 일제 관헌의 감시를 피해 쑹장[松江]으로 이전했다.
한편 중국관 내 통일전선운동은 한국대일전선동맹의 결성으로 운동전선의 통일에는 일차적으로 성공했으나, 동맹은 연락기관적 역할밖에 못했다. 이에 이 동맹을 기초로 한 단일대당(單一大黨)·민족유일당을 조직하자는 논의가 제창되자, 한국독립당 내에는 신당에 찬성하는 파(조소앙·박창세 등)와 임시정부를 사수하자는 파(송병조·차이석 등)로 분열되었다.
1935년5월 개최된 당 대회에서 신당참가파가 승리함에 따라 조소앙 등 대부분의 당원이 민족혁명당에 참가하고, 한국독립당의 해체를 선언했다. 그러나 이들은 조선의열단의 당권을 장악하고 조직 및 자금 면에서의 열세로 대항할 수 없게 되자, 같은해 7월5일 민족혁명당을 탈퇴하고 신한혁명당과 합동하여 한국독립당의 재건을 선언했다.
그리고 민족혁명당에 불참한 김구를 비롯한 임정고수파는 1935년11월 항저우에서 한국국민당을 창당하여 임시정부의 여당으로서 민족혁명당에 대항했다. 1937년1월 민족혁명당 전당대표회의에서 서기국 총서기로 선임된 김원봉이 민족혁명당의 당권을 완전히 장악하자, 2월 이청천·최동오 등은 민족혁명당을 탈퇴하고 4월 조선혁명당을 다시 조직했다.
이로써 중국관 내 민족주의진영은 한국국민당·재건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의 3당으로 정립되었으며, 이들 3당은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효과적인 대일항전을 위해 3당 연합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1937년7월 한국국민당 송병조가 재건한국독립당의 홍진, 조선혁명당의 이청천과 난징에서 회의를 갖고 3당 합동에 대한 구체적인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를 토대로 같은 해 8월 1일 민족 3당 이외에 대한인국민회·한인애국단·대한부인구제회와 함께 우익진영의 연합체인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를 결성했다.
이후 또한 좌익계열인 민족전선연맹과 제휴를 시도하여 1939년7월 전국연합진선협회를 조직했으나, 이념적 대립으로 실패했다. 이에 따라 1940년5월8일 우익 민족 3당인 한국독립당·한국국민당·조선혁명당은 새로운 한국독립당을 결성했다.
통합된 한국독립당 간부는 집행위원장 김구, 집행위원 홍진·조소앙·조시원(趙時元)·이청천·김학규(金學奎)·유동열(柳東說)외 14명이었으며, 감찰위원에는 이시영 등 3명이었다. 통합된 한국독립당은 3당의 과거를 역사적으로 계승하고, 1930년대 이후 우익독립운동계에서 널리 수용되었던 삼균주의를 근간으로 이루어졌다.
표방한 당의는 혁명적 수단으로 일제를 박멸하고 국토·주권을 완전히 광복하며 정치·경제·교육의 평등한 기초위에 신 민주국가를 건설하는 것과 안으로 균등생활을 보장하고 밖으로 세계일가(世界一家)의 노선으로 나간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당강은 완전한 광복을 통한 대한민국의 건설, 보통선거제의 실시를 통한 정치적 균등, 의무교육을 통한 교육적 균등, 광복군 편성과 의무병역 실시 등이었다.
3당이 통합된 1940년의 한국독립당은 임시정부 그 자체였으며, 당 간부가 임시정부의 국무위원과 임시의정원을 구성했을 뿐만아니라 당의 정책이 곧 임시정부의 정책이었다. 이는 중국국민당과 마찬가지로 이당치국(以黨治國)의 형태를 취한 것이었다. 특히 1940년4월 3당 통합을 위한 대표회의에서 중국 영토 안에서 한국광복군이 성립될 수 있도록 중국 정부에 승인을 요구하는 결의를 했으며, 다음해 5월에 장제스[蔣介石]의 승인을 받아 9월17일 충칭[重慶]에서 광복군총사령부 성립대회를 개최했다.
한국독립당은 한국광복군을 어느 당파의 군대가 아니라 한국 군대임을 강조했으며, 이에 따라 김원봉의 조선의용대 및 나월환의 한국청년전지복무대도 광복군에 편입되었다. 또한 1941년12월9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름으로 대일 선전포고를 선언하고, 1943년에는 미국 주재 외교 위원부를 강화하여 이승만(李承晩)을 대표로 임명하고 임시정부승인과 군사원조 등에 관한 국제간 외교과제를 처리하게 했다.
이어 1942년10월에는 조선민족혁명당, 조선민족해방동맹, 조선혁명자연맹,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등이 차례로 임시정부를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다수가 임시정부 각 원에 참가함으로써 중국관내 항일운동의 통합을 보았다.
*************************
삼균주의 [三均主義]
조소앙(趙素昻)이 제창한 정치·사회사상.
상해 임시정부의 외무부장이자 한국독립당의 이론가였던 그는 한국 민족해방운동 내부의 좌·우익사상을 지양(止揚)·종합하여 독립운동의 기본방략 및 미래조국 건설의 지침으로 삼기 위하여 균권(均權)·균산(均産)·균학(均學)으로 표현되는 정치·경제·교육의 균등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 간에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민족·국가 간의 균등을 주장한 이론을 주창했다.
성립과 전개
1920년대 말에 기본구상이 세워지고, 1931년 임시정부의 '대외선언'에서 체계가 정립되었다. 이때는 민족해방운동 내부의 좌·우익 대립을 해소하기 위한 민족유일당운동이 전개되다가 좌절되어가는 시기였다. 조소앙은 좌·우익의 극심한 대립상황을 겪으면서 중국 쑨원[孫文]의 삼민주의(三民主義)와 캉유웨이[康有爲]의 대동사상(大同思想)·무정부주의·사회주의 등 여러사상들을 참고하여 좌우 절충적 정치사상을 제시함으로써 그 대립을 타개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삼균주의는 좌·우익 모두의 정치 이념으로는 받아들여지지 못했으며, 다만 임시정부 등 우익 중심의 민족주의 운동세력에 상당 부분 수용되었다. 한국독립당의 강령으로 채택되었을 뿐만 아니라 1941년에는 임시정부의 건국이념 및 정책노선으로 채택되었다. 8·15해방 후 임시정부·한국독립당 세력이 미군정, 이승만 세력에 의해 소외됨에 따라 실제 국가건설의 방략으로 채택되지는 못했다.
이론체계와 성격
삼균 가운데 정치적 균등은 보통선거제, 경제적 평등은 토지국유와 대(大)생산기관 국유제, 교육적 평등은 국비의무교육제(國費義務敎育制) 실시를 통해 실현되며 이를 통해 개인과 개인 간 균등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또 민족과 민족 간의 균등은 민족자결에 의해 구현되며, 이를 모든 민족에 적용하여 소수민족과 약소민족이 피압박·피통치의 지위로 전락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국가와 국가 간의 균등은 식민지 정책과 제국주의를 부정하는 모든 국가들이 상호 침략을 하지 않음으로써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이로써 완전평등의 국제생활, 더 나아가 사해일가(四海一家)·세계일원(世界一元)의 궁극적 목적을 실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주의적인 이론 및 정책은 8·15해방 후 남한에서의 현실 속에서 상당한 수정을 겪게 된다. 조소앙이 한국독립당을 이탈, 1948년 12월 사회당을 창당하면서 토지 및 대 생산기관의 국유론을 삭제하고 대신 '현재의 사유토지와 중기업(中企業)의 사영'을 강조하는 정책을 제시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현실적으로는 자본주의를 전제로 하되 그 위에 약간의 사회주의적 요소를 가미한, 우익 입장의 좌우절충사상이었다고 보여 진다. 그러나 사회주의에 가까운 사회민주주의 이론이라는 평가도 있다.
*****************************************
한국국민당 [韓國國民黨]
1935년 11월 김구(金九) 등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옹호하기 위해 항저우[抗州]에서 조직한 독립운동 정당.
민족혁명당이 임시정부의 폐지를 주장하자, 김구는 1935년 이동녕(李東寧)·엄항섭(嚴恒燮) 등과 제휴하여 임시정부를 뒷받침할 강력한 조직의 결성과 임시정부로의 복귀를 시도했다. 김구는 그와 타협이 가능한 세력인 한국독립당·임시정부 고수파와 제휴하여 다시 결집을 도모하려 했다. 그러나 3갈래의 세력이 연합하는 과정에서 김구 세력과 임시정부 고수파만이 의견이 합치됨으로써 한국국민당이 결성되었다.
한국국민당은 민족혁명당 성립 후 4개월이 지난 1935년11월 하순에 결성되었는데, 이사장에 김구, 이사에 이동녕·송병조(宋秉祚)·조완구(趙琬九)·차이석(車利錫)·김붕준(金朋濬)·안공근(安恭根)·엄항섭, 감사에 이시영(李始榮)·조성환(曹成煥)·양묵(楊墨), 선전부장 엄항섭, 조직부장 차이석, 비서 조완구 등이었다. 인원구성에서 차이석·송병조·조성환 등을 제외하고는 모두 김구계열의 핵심세력이었다. 중앙본부는 난징[南京]에 두었으며, 상하이[上海]에 조상섭(趙尙燮)·나우(羅愚)를 책임으로 하는 지부를 두었다. 중앙본부 아래에는 연락부·조사부·행동부·특무부·교통부를 두었다. 한국국민당은 그 산하에 외곽단체로서 한국국민당청년단 한국청년전위단을 조직하여, 일제에 대한 각종 정보수집, 관공서 파괴, 요인암살 등에 의한 후방교란, 선전유인물 배포의 중요임무를 수행하게 했다. 한국국민당은 중국 측의 여지사(勵志社)로부터 매월2,500원의 재정지원을 받고 있었으며, 미주지역의 한인독립운동단체에서 수집한 인구세 150원정도가 매달 송부되었다. 또한 한국국민당의 특무공작을 실제적으로 주도·지휘하고 있던 안공근이 중국국민당으로부터 매달 수천원씩의 보조를 받아 이중의 일부를 당무 경비로 보조하기도 했다.
한국국민당은 삼균주의(三均主義)에 입각한 민주공화국의 건설을 당의 기본이념으로 했으며, 당강(黨綱)에서
① 국가주권광복의 혁명적 의식을 국민에게 고취·환기하여 민족적 혁명역량을 총집중할 것,
② 엄밀한 조직하에 민중적 반항과 무력적 파괴를 적극적으로 진행할 것,
③ 광복운동을 우호적으로 원조하는 국가 및 민족과 절실히 연락할 것,
④ 토지와 대 생산기관을 국유로 하고 국민의 생활권을 평등하게 할 것,
⑤ 독립운동에 대한 사이비 불순적 이론과 행동을 배격할 것,
⑥ 임시정부를 옹호·진전시킬 것 등이 혁명적 수단으로써 국토와 주권을 광복하여 신민주공화국을 건설하고 삼균주의가 실현되는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표와 방법을 천명했다.
한국국민당은 무장투쟁론을 독립운동론으로 채택했는데, 이는 중일전쟁의 현실화가 예견되는 당시의 시기에 적절한 것이었다. 또한 1936년3월부터 기관지<한민韓民>을 발행하여 민족의식 및 항쟁을 고양·촉구했으며, 이러한 선전활동 이외에 부문단체를 통한 조직력 강화, 의열투쟁(특무공작) 및 중국국민당과의 협조체제를 유지해갔다. 1937년2월 이청천(李靑天)·최동오(崔東旿) 등이 민족혁명당에서 탈퇴하고 4월에 조선혁명당을 다시 조직함에 따라 중국 관내의 민족주의진영은 한국국민당·재건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의 3당으로 되었다. 이에 한국국민당은 나머지 당을 중일전쟁 때 효과적인 대일항전을 위해 연합을 모색했다.
이에 1937년7월 한국국민당의 송병조가 한국독립당의 홍진(洪震), 조선혁명당의 이청천과 난징에서 회의를 갖고 3당 합동에 대한 구체적인 결의안을 채택했고, 8월1일 민족3당 이외에 대한인국민회·한인애국단·대한부인애국단(일명 대한부인구제회)와 함께 우익진영의 연합체인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를 결성했다. 이후 좌익계열의 민족전선연맹과도 제휴를 시도하여 전국연합진선협회를 조직했으나, 이념적 대립으로 실패했다. 결국 한국국민당은 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과 함께 새로운 한국독립당을 결성하기 위해 1940년 4월에 해체되었다.
************************************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
1930년대 만주에서 활약한 대표적인 독립운동단체.
1929년 9월 "일본제국주의를 박멸하여 한국의 절대독립을 이룬다."는 강령하에 국민부(國民府)의 정당적 성격을 갖춘 자매기관으로 길림성(吉林省)에서 결성되었는데 1927∼1929년 사이에 유일당촉성론(唯一黨促成論)이 논의되어 대집회를 개최하였으나 실패하여 만주 일부만의 조직체를 결성한 것이다.
출범 당시에는 현익철(玄益哲,중앙책임비서), 현정경(玄正卿,정치), 이웅(李雄,군사), 고이허(高而虛,조직), 최동오(崔東旿,외교), 장승언(張承彦,재무), 김보안(金輔安,교육), 고할신(高轄信,선전)등이 간부로 활약하였다.
성당부(省黨部), 현당부(縣黨部)등 100명 지부당에 정원3,500명, 준당원2,000명을 두고 있었다. 한편, 조선혁명당은 그 산하에 조선혁명군을 두어 총사령관에 이진탁(李辰卓), 부사령관에 양세봉(梁世奉), 참모장에 이웅을 임명, 활동하였다.
1931년 9월의 만주사변이래 만주를 벗어나 국내로 남하하여 1932년 11월에는 대일전선통일동맹(對日戰線統一同盟)결성에 가담하였다. 그 뒤 1935년 조선민족혁명당(朝鮮民族革命黨)에 합병되었다가 이탈하여 1937년 4월 난징(南京)에서 조선혁명당이 재건되었다.
이때 중앙위원은 지청천(池靑天), 최동오, 유동열(柳東說), 이광제(李光濟), 박창세(朴昌世), 양기탁(梁起鐸), 현익철, 김학규(金學奎), 이운환(李雲]煥), 강창제(姜昌濟)등이었다. 그해 8월 김구(金九)의 한국국민당(韓國國民黨)이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를 구성할 때 이 연합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이 당은 비록 '연아용공(聯俄容共)'을 주장하고 한국국민당과 함께 단일정당을 추구하였으나 시종 전통있는 이론을 수립하지는 못했다. 특히 당내에 청년은 극히 소수이고 대부분 중년간부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정치상 적극적인 활력이 결핍된 양상을 보였다.
또한 조선민족혁명당에서 이탈한 뒤에는 재정이 궁핍하여 한국국민당으로부터 매월 수 백원씩 받아 유지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이미 경제적으로는 한국국민당에 부속된 상태였다
[끝. 야후사전, 엠파스사전]